KR101791510B1 -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510B1
KR101791510B1 KR1020160154786A KR20160154786A KR101791510B1 KR 101791510 B1 KR101791510 B1 KR 101791510B1 KR 1020160154786 A KR1020160154786 A KR 1020160154786A KR 20160154786 A KR20160154786 A KR 20160154786A KR 101791510 B1 KR101791510 B1 KR 10179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cover
scree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5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실 내측을 향하는 도어 내측면에 암레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상면에 버튼박스가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버튼박스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내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차실 내측과 도어 내부를 연통시키는 슬릿홀; 상기 슬릿홀과 인접하도록 도어 내부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홀과 나란히 배치되는 롤; 전후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상기 롤에 귄취되어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슬릿홀을 통해 차실 내측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기 일단에 체결되어 차실 내측에 배치되는 커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롤의 일단에 귄취되며,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와이어; 길이가 신축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며, 도어 내부에서 차실 내측을 향해 배치되어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VEHICLE DOOR HAVING RAINWATER SHIELD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 및 버튼박스를 구비하고 승객이 차실 내로 승하차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조작이나 도어의 락/언락, 각종 편의기능의 조작 등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버튼은 필요에 따라 도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의 자세나 팔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도어 내측면의 암레스트 일측에 버튼박스의 형태로 배치되고 있다. 즉, 차량용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에는 암레스트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암레스트의 전단부에 각종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박스가 구비되고 있다. 일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5269호는 암레스트 전단부에 윈도우 스위치가 구비된 차량 도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버튼박스의 위치는 탑승자가 암레스트에 팔꿈치 부위를 편안하게 올려둔 상태에서, 암레스트 전단부의 버튼박스를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편의성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버튼박스의 위치는 도어 개방시 버튼박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는 특히 우천시 더욱 문제될 수 있다. 즉, 버튼박스는 도어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정도 돌출된 암레스트 상면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우천시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빗물이 직접 버튼박스 위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빗물은 버튼박스 내로 유입되어 전장 부품인 각종 버튼의 오작동이나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5269호(1999.07.0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천시 암레스트에 구비된 버튼박스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실 내측을 향하는 도어 내측면에 암레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상면에 버튼박스가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버튼박스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내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차실 내측과 도어 내부를 연통시키는 슬릿홀; 상기 슬릿홀과 인접하도록 도어 내부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홀과 나란히 배치되는 롤; 전후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상기 롤에 귄취되어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슬릿홀을 통해 차실 내측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상기 일단에 체결되어 차실 내측에 배치되는 커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롤의 일단에 귄취되며,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를 밀거나 당기는 와이어; 길이가 신축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며, 도어 내부에서 차실 내측을 향해 배치되어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에 체결되는 서포트바;를 포함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우천시 도어가 개방되면, 버튼박스 상측으로 스크린이 전개되어 빗물이 버튼박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스크린은 불사용시 도어 내부공간의 롤에 권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도어 내측면의 슬릿홀은 커버에 의해 차폐되므로, 기능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실내 외관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스크린이 버튼박스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차실 내측을 향해 횡방향 전개되므로, 스크린이 전개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 의한 버튼박스의 조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스크린이 전개되더라도 사용자는 스크린 아래쪽을 통해 버튼박스의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린의 부가에도 불구하고, 버튼박스의 조작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저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빗물 차단 기능은 스크린, 모터 등 비교적 제작이 간단하고 저가인 구성들을 사용해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능 추가에 따른 제작상의 난점이나 제조단가의 상승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용이하게 구현 및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 버튼박스가 구비된 암레스트 전단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스크린 등을 도어 내부공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스크린 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 버튼박스(120)가 구비된 암레스트(110) 전단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암레스트(110) 및 버튼박스(120)를 구비할 수 있다. 암레스트(110)는 차실 내측을 향하는 도어 내측면에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버튼박스(120)는 암레스트(110)의 전단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박스(120)에는 윈도우 글라스의 개폐 버튼, 도어의 락/언락 버튼, 기타 편의기능을 위한 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암레스트(110) 및 버튼박스(120)는 종래 공지된 차량용 도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차실 내측을 향하는 도어 내측면에 형성되어 버튼박스(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슬릿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슬릿홀(130)은 버튼박스(120)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릿홀(130)은 버튼박스(120)를 충분히 커버 가능하도록 버튼박스(120)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거나, 그보다 소정정도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릿홀(130)은 차실 내부공간과 도어 내부공간 간의 연결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차실 내측과 도어 내부에 마련된 도어 내부공간은 슬릿홀(130)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홀(130)을 후술할 스크린(140)의 출납을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스크린(140)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린(140)은 버튼박스(120)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슬릿홀(130)을 통해 차실 내부로 출납될 수 있다.
스크린(140)의 일측은 도어 내부공간에 배치된 롤(150)에 권취될 수 있으며, 반대측 단부는 차실 내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140)은 불사용시 롤(150)에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시 슬릿홀(130)을 통해 차실 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린(140)은 차실 내측으로 전개시 버튼박스(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버튼박스(120) 상측을 차폐시키게 된다.
스크린(140)의 전후 폭은 슬릿홀(13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슬릿홀(130)의 길이와 관련하여, 스크린(140)이 버튼박스(120) 전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스크린(140)은 롤(150)에 권취될 수 있고, 빗물 차단 기능을 가지도록, 방수 기능이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140)은 방수 처리된 직물 시트, 비닐 등의 합성수지, 막 형태로 가공된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실 내측을 향하는 스크린(140)의 단부에는 커버(141)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141)는 스크린(140)과 달리 플라스틱, 금속 등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140) 단부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질의 커버(141)는 스크린(140)의 차실 내측 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141)는 스크린(140)의 불사용시 슬릿홀(130)을 가려 슬릿홀(130)을 통해 도어 내부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릿홀(130)의 부가로 인해 차량의 실내 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커버(141)는 슬릿홀(130)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스크린(140) 등을 도어 내부공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스크린(140) 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스크린(140)이 권취되는 롤(150)을 구비할 수 있다. 롤(15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슬릿홀(130) 안쪽의 도어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슬릿홀(130) 또는 스크린(140)의 전후 길이에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롤(15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160)를 구비할 수 있다. 모터(160)는 롤(150) 일단에 체결되어 롤(1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롤(150)에 권취된 스크린(140)은 롤(150)로부터 풀려 나와 차실 내측으로 전개되거나, 다시 롤(150)에 감겨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터(16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감지 센서와 연계되어, 도어 개방시 스크린(140)이 전개되도록 모터(16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우천 여부를 감지하는 레인 센서와 연계되어, 우천시에 한해 스크린(140)이 전개되도록 모터(16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도어 감지 센서 및 레인 센서와 연계되어, 우천시 도어가 개방되면 스크린(140)이 전개되도록 모터(16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모터(160)의 구동력을 스크린(140)에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170)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170)는 모터(160)가 배치된 롤(150)의 일단 부위에 권취될 수 있으며, 일단이 스크린(140)의 차실 내측 단부에 마련된 커버(14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170)는 모터(160)가 롤(1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킴에 따라, 롤(150)로부터 풀려 나와 스크린(140) 단부의 커버(141)를 차실 내측 방향으로 밀거나, 롤(150)에 감기면서 커버(141)를 도어 내부공간 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스크린(140)은 롤(150)에 권취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린(140)의 전개를 위한 구동력 전달을 와이어(170)를 통해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70)는 일단에 연결된 커버(141)를 잡아 당길 뿐만 아니라, 스크린(140)의 전개시에는 커버(141)를 차실 내측으로 미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170)는 롤(150)에 권취가 가능하되,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커버(141)를 밀 수 있는 재질이나 크기(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와이어(170)로는 통상 도어 래치의 개폐 조작에 사용되는 스틸 재질의 조작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와이어(170)는 커버(141)로 어느 정도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는 있으나, 전개된 상태의 스크린(140)을 지지하기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와이어(170)는 기본적으로 롤(150)에 권취가 가능한 재질이기 때문에, 스크린(140)의 전개상태에서 충분한 횡방향 지지력을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스크린(140) 전개시 와이어(170)만으로는 커버(141) 및 스크린(140)이 아래로 쳐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서포트바(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바(18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복수의 원통형 부재가 순차적 결합되어,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바(180)는 스크린(140)의 전개 방향을 따라 도어 내부공간에서 차실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바(180)는 스크린(140)의 전단 또는 후단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2와 같이 서포트바(180)가 스크린(140)의 전단 모서리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필요에 따라, 서포트바(18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스크린(140)의 전단 및 후단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의 경우, 스크린(140)은 롤(15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어야 하므로, 스크린(140)의 전단 모서리 등은 서포트바(180)에 직접 결합되지는 않는다. 즉, 스크린(140)의 차실 내측 단부가 커버(141)에 체결되어 전개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서포트바(180)의 도어 내부공간 측 단부는 모터(160) 또는 롤(150)에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반대측인 차실 내측 단부는 커버(14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와이어(170)는 서포트바(180)의 내부공간을 통해 단부가 커버(141)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와이어(170)는 중공 원통형의 서포트바(18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차실 내측의 단부가 커버(14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바(180)는 와이어(170)의 구동에 따라 길이가 신축될 수 있다. 즉, 와이어(170)가 커버(141)를 밀며 스크린(140)을 전개하는 경우, 서포트바(180)는 커버(141)의 이동에 따라 차실 내측을 향해 길이가 신장되며, 반대로, 와이어(170)가 커버(141)를 당기며 롤(150)에 다시 권취되는 경우, 서포트바(180)는 커버(141)에 밀려 도어 내부공간 측을 향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단, 이와 같은 서포트바(180)의 길이 변화는 커버(141)이 이동에 따라 피동적으로 일어나는 것임을 알려둔다.
상기와 같은 서포트바(180)는 금속, 플라스틱 등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스크린(140)의 전개시 커버(141) 및 스크린(140)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이어(170)에 의해 커버(141)가 차실 내측으로 이동되어 스크린(140)이 전개되는 경우, 커버(141)는 서포트바(1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141)에 체결된 스크린(140)도 아래로 쳐지지 않고, 전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천시가 아니거나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경우, 스크린(140)은 롤(150)에 권취되어 도어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도어 내측면에 마련된 슬릿홀(130)은 커버(141)에 의해 차폐된다.
레인 센서에 의해 우천이 감지되고, 도어가 개방되면, 모터(160)에 의해 롤(150)이 회전 구동되며, 와이어(170)가 롤(150)에서 풀려 나오면서 커버(141)를 차실 내측으로 밀게 된다. 이와 함께 롤(150)에 감겨져 있던 스크린(140)도 차실 내측으로 풀려 나온다. 또한, 커버(141)의 이동에 따라, 서포트바(180)는 차실 내측을 향해 길이가 신장된다. 차실 내측으로 이동된 커버(141)는 이와 같은 서포트바(180)에 의해 지지되며, 스크린(140)은 차실 내측 단부가 커버(141)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린(140)이 차실 내측으로 풀려 나와 완전히 전개된 상태가 되면,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박스(120)의 상측이 스크린(14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시에도 버튼박스(120)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우천시 도어가 개방되면, 버튼박스(120) 상측으로 스크린(140)이 전개되어 빗물이 버튼박스(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스크린(140)은 불사용시 도어 내부공간의 롤(150)에 권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도어 내측면의 슬릿홀(130)은 커버(141)에 의해 차폐되므로, 기능의 추가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실내 외관에 끼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스크린(140)이 버튼박스(120)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차실 내측을 향해 횡방향 전개되므로, 스크린(140)이 전개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 의한 버튼박스(120)의 조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스크린(140)이 전개되더라도 사용자는 스크린(140) 아래쪽을 통해 버튼박스(120)의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크린(140)의 부가에도 불구하고, 버튼박스(120)의 조작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저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빗물 차단 기능은 스크린(140), 모터(160) 등 비교적 제작이 간단하고 저가인 구성들을 사용해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능 추가에 따른 제작상의 난점이나 제조단가의 상승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비교적 용이하게 구현 및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암레스트 120: 버튼박스
130: 슬릿홀 140: 스크린
141: 커버 150: 롤
160: 모터 170: 와이어
180: 서포트바

Claims (4)

  1. 차실 내측을 향하는 도어 내측면에 암레스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암레스트의 상면에 버튼박스(120)가 배치되는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버튼박스(12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도어 내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차실 내측과 도어 내부를 연통시키는 슬릿홀(130);
    상기 슬릿홀(130)과 인접하도록 도어 내부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홀(130)과 나란히 배치되는 롤(150);
    전후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상기 롤(150)에 귄취되어 감김 및 풀림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슬릿홀(130)을 통해 차실 내측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크린(140);
    상기 스크린(140)의 상기 일단에 체결되어 차실 내측에 배치되는 커버(141);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롤(15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60);
    상기 롤(150)의 일단에 귄취되며,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141)에 체결되어, 상기 롤(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141)를 밀거나 당기는 와이어(170);
    길이가 신축 가능한 중공 원통형의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와이어(170)가 관통되며, 도어 내부에서 차실 내측을 향해 배치되어 차실 내측을 향한 일단이 상기 커버(141)에 체결되는 서포트바(180);를 포함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41)는,
    상기 슬릿홀(130)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릿홀(130)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40)은,
    방수 처리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바(180)는,
    상기 와이어(170)에 의한 상기 커버(141)의 이동에 따라 피동적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상기 스크린(140)의 전개 상태에서, 상기 커버(141) 및 상기 스크린(140)을 지지할 수 있는 경질의 재질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160)는,
    레인 센서에 의해 우천이 감지되고, 도어 감지 센서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린(140)이 차실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롤(150)을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160154786A 2016-11-21 2016-11-21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179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86A KR101791510B1 (ko) 2016-11-21 2016-11-21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786A KR101791510B1 (ko) 2016-11-21 2016-11-21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10B1 true KR101791510B1 (ko) 2017-10-30

Family

ID=6030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86A KR101791510B1 (ko) 2016-11-21 2016-11-21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380B1 (ko) * 2017-12-26 2019-07-04 김인규 빗물 커버를 형성한 주차 관제용 무인정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380B1 (ko) * 2017-12-26 2019-07-04 김인규 빗물 커버를 형성한 주차 관제용 무인정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6869B1 (en) Door handle assembly
CN107075884B (zh) 用于机动车的车门把手装置
RU2676912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закрыванием крыш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7401840B2 (en) Window shade
US9469178B2 (en) Roller blind curtain device for car
US8887445B2 (en) Door glass over-closing
JP2010504879A (ja) カバー部材を移動させる駆動装置、ドアモジュール、および該駆動装置を組み付ける方法
JP6019763B2 (ja) ドアハンドル
KR101461330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US11351901B1 (en) Concealed vehicle grab handle assembly
KR101791510B1 (ko) 빗물 차폐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JP2016527131A (ja) 摺動軸と平行に移動可能なハンドルと歯車とを有するスライドパネルを備えた自動車窓閉鎖装置および対応する車両
KR20020044568A (ko)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을 위한 윈도우 차양 제어 시스템
EP2383132B2 (en) Shade apparatus for vehicle
JP2017214043A (ja) スライドドア用アームレスト構造
KR102026403B1 (ko) 자동차 지붕에 설치되는 빗물 가림막
US20200001686A1 (en) Shading device for a window of a motor vehicle
KR20130106790A (ko) 차실용 보호 장치
KR20070001837A (ko) 구동 요소 상에 포지티브 엔드 정지부를 갖춘 차량용윈도우 차양막
WO2012132366A1 (en) Tonneau cover device
US11214131B2 (en) Vehicle integrated rain guard
JPH0427686Y2 (ko)
JPH035237A (ja) オープンカーのルーフ格納構造
KR20060030798A (ko) 차량용 비 차단장치
JP2007145243A (ja) 車両用雨除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