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194B1 - 역사 환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역사 환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194B1
KR101791194B1 KR1020160061529A KR20160061529A KR101791194B1 KR 101791194 B1 KR101791194 B1 KR 101791194B1 KR 1020160061529 A KR1020160061529 A KR 1020160061529A KR 20160061529 A KR20160061529 A KR 20160061529A KR 101791194 B1 KR101791194 B1 KR 10179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istory
pollution
degree
pollution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중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16006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001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11/003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1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52Air quality properties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Abstract

본 발명은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없이 역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 실내의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에 적절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역사 전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역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역사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내기 오염도와 외기 오염도를 비교하여 흡기 및 내기 순환을 판단하는 내외기 비교 단계와,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에서 흡기로 판단할 경우, 흡입할 흡입량을 선택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사 환기 제어 방법{a ventilation control method for a station}
본 발명은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없이 역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 실내의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에 적절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역사 전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역사는 지상 또는 지하에서 운행중인 전철을 정차시켜 탑승객들이 승하차하는 장소이다. 지하철 역사에는 그 특성상 먼지 또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 등의 오염 물질들이 쉽게 유입되어 쌓이게 되며, 특히 지하 역사의 경우 그러하다.
최근 지하철 역사의 실내 공기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미세 먼지,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학물 등이 다중 이용시설 기준치를 상당히 초과할 정도로 공기오염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종래부터 그러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자 지하철 역사 내부에 대한 공기정화 또는 환기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서울, 부산 등의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공기 정화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기능이 없어서 제대로 여과하지 못하고 지하철 역사에 그대로 잔류시키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지하철 역사에서 근무하는 역무원 또는 지하철 탑승객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필터를 통해 먼지 또는 유해물질을 필터링하고 있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필터의 주기적인 교환이 곤란하여 먼지 또는 유해물질들이 오히려 공기 정화 덕트에 누적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공기 정화 효율이 충분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세정형 필터 또는 자동세정형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경우에는 세정으로 인한 습기 또는 부식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유지보수, 교체 또는 관리가 필요하며 동절기의 경우 결빙 또는 동파 등이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일반적인 필터 또는 자동세정형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외부의 공기오염도가 지하철 역사 내부보다 높은 경우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지하철 역사 내부의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데 편중됨으로써, 불필요한 시스템 관리비용을 발생시키고 외부의 환경에도 불필요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4216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철 역사 내기 또는 외기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내기의 오염도 정보 또는 내기 및 외기의 오염도 비교정보를 공기압력 조절장치(20)로 전송하는 오염도 감지장치(10); 전송받은 상기 내기의 오염도 정보 또는 내기 및 외기의 오염도 비교정보를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 내부를 내기 압력이 외기압력보다 높은 양압상태 또는 내기압력이 외기압력보다 낮은 음압상태로 설정하는 공기압력 조절장치(20); 설정된 양압상태 정보 또는 음압상태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지하철 역사 내부의 적정한 공기압력에 도달하기 위해 급기장치(40) 또는 배기장치(50)가 공급 또는 배출해야 하는 적정한 공기량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급기장치(40) 또는 배기장치(50)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30); 상기 제어장치(30)의 명령신호에 따라 지하철 역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장치(40); 및 상기 제어장치(30)의 명령신호에 따라 지하철 역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장치(50);를 포함하되,상기 급기장치(40) 또는 배기장치(50)는 지하철 역사 내부에 2개 이상 설치되고, 설치된 급기장치(40)들 간 또는 배기장치(50)들 간을 연결하는 제 2 연결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942168호에 기재된 기술은 주기적인 필터 및 집진기의 유지보수, 교체 및 관리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외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외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오염감지센서의 설치비용이 증가하며, 설치된 오염감지 센서는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사의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역사의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내기와 외기를 비교하여 흡기 여부를 결정하는 내외기 비교단계와 흡기 결정시 흡기량을 설정하여 외기를 흡기하는 환기 단계로 이루어져,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에만 외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에서는 별도의 외기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공공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 지역의 공기 오염도를 통하여 해당 역사의 환기구 위치의 오염도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없이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어,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외기의 오염도는 측정소가 위치한 부분의 오염도이므로, 역사가 위치한 지역과는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와 각 오염도 측정소에서 측정한 오염도와 현재 역사의 위치를 통하여 공간 보간법으로 현재 역사 주변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도록 하여 외기 오염도의 정확도를 높이게 되고, 역사가 위치한 지역의 교통량에 대한 정보도 수신하여 교통량의 정보까지 고려하여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외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역사 내의 공기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사 및 역사 내부에 형성되는 각 공간으로 출입하는 인원수를 감지하여, 인원수에 따라 필요한 흡기량을 판단하여 외부로부터 필요이상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며, 역사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인원수가 많이 분포하는 곳에 위치하는 급기팬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보다 신속하게 역사 내부 전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역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역사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내기 오염도와 외기 오염도를 비교하여 흡기 및 내기 순환을 판단하는 내외기 비교 단계와,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에서 흡기로 판단할 경우, 흡입할 흡입량을 선택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는 공공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염도 정보를 통하여 역사 주변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는 1차 오염도 판단 과정과, 1차 오염도 판단 과정에서 판단한 오염도를 공공 정보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역사 주변 교통량에 따라 보정하는 2차 오염도 판단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차 오염도 판단 과정에서는 공공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정보와 각 오염도 측정소에서 제공하는 오염도와 역사의 위치 정보를 적용한 공간 보간법을 사용하여 해당 역사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에서는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외기 흡입 가능으로 판단하고,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내기를 재순환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 단계는 역사 내부 공간의 크기와 역사 내부의 인원수에 따라 흡입하는 외기의 양을 판단하는 흡기량 판단 과정과, 역사 내부의 공간 별로 수용된 인원수를 판단하는 위치별 인원수 판단 과정과,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으로 분배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하는 인원수별 분배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역사의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역사의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내기와 외기를 비교하여 흡기 여부를 결정하는 내외기 비교단계와 흡기 결정시 흡기량을 설정하여 외기를 흡기하는 환기 단계로 이루어져,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에만 외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에서는 별도의 외기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공공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 지역의 공기 오염도를 통하여 해당 역사의 환기구 위치의 오염도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설비없이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어,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공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외기의 오염도는 측정소가 위치한 부분의 오염도이므로, 역사가 위치한 지역과는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와 각 오염도 측정소에서 측정한 오염도와 현재 역사의 위치를 통하여 공간 보간법으로 현재 역사 주변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도록 하여 외기 오염도의 정확도를 높이게 되고, 역사가 위치한 지역의 교통량에 대한 정보도 수신하여 교통량의 정보까지 고려하여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외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역사 내의 공기를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사 및 역사 내부에 형성되는 각 공간으로 출입하는 인원수를 감지하여, 인원수에 따라 필요한 흡기량을 판단하여 외부로부터 필요이상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며, 역사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인원수가 많이 분포하는 곳에 위치하는 급기팬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보다 신속하게 역사 내부 전체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역사의 내외기 환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역사의 내외기 환기 시스템의 환기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각 공간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서 오염도 측정소와 각 역사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각 공간의 공기 공급을 제어하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서 오염도 측정소와 각 역사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역사(100)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S100)와, 역사(100)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S200)와, 내기 오염도와 외기 오염도를 비교하여 흡기 및 내기 순환을 판단하는 내외기 비교 단계(S300)와,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S300)에서 흡기로 판단할 경우, 흡입할 흡입량을 선택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역사(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내기 감지부(140)와 공공 정보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30)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공조장치(110)와 역사(100) 내부 인원을 감지하기 위한 인원 감지부(150)와 상기 각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공 정보 제공 서버(200)는 각 지역의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미세먼지 등의 함유 정도를 통하여 공기의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 환경 공단(220)과 각 도로의 교통량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한국 교통 정보 센터(210)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공공 정보를 수신받아 각 역사(100)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기 오염 판단 단계(S100)에서는 역사(100)에 구비된 내기 감지부(140)를 통하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게 되는데, 상기 내기 감지부(140)는 역사(100) 내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등을 감지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142)와 역사(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14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오염도 센서(142)와 온습도 센서(144)를 통하여 역사(100)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S200)는 상기 공공 정보 서버(200)를 통하여 한국 환경 공단(220)에서 제공하는 오염도 분석 정보를 통하여 역사(100) 주변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는 1차 오염도 판단 과정(S210)과 상기 1차 오염도 판단 과정(S210)에서 판단한 오염도를 공공 정보 서버(200)를 통하여 교통 정보 센터(210)에서 제공하는 역사(100) 주변 교통량에 따라 보정하는 2차 오염도 판단 과정(S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1차 오염도 판단 과정(S21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환경 공단(220)에서 제공하는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정보와 각 오염도 측정소에서 제공하는 오염도와 역사의 위치 정보를 통하여 각 역사의 위치의 오염도를 판단하게 되는데,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와 각 역사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공간 보간법을 통하여 각 역사 위치의 대기 오염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S300)에서는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S200)에서 계측된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공조장치(110)를 제어하여 외기를 흡입하지 않고, 내기를 재순환하도록 제어하며,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외기가 흡입 가능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 장치(110)는 역사(100)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117)와 역사(100) 내부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덕트(118)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 덕트(117)에는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메인 흡입팬(112)과 공급 덕트(117)로 공급된 외기를 역사(100) 내부에 형성된 각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 흡입팬(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단계(S400)는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S300)에서 외기가 흡입 가능하다고 판단할 경우, 외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환기시키게 되는데, 상기 환기 단계(S400)는 흡입할 외기의 양을 판단하는 흡기량 판단 과정(S410)과 각 공간에 위치한 인원수를 판단하는 인원수 판단 과정(S420)과 역사(100) 내부에 형성된 각 공간에 위치하는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에 공급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하는 인원수별 분배 과정(S4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기량 판단 과정(S410)은 각 역사(100)에 구비되는 인원 감지부(150)를 통하여 감지한 역사(100) 내부의 인원수와 역사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흡입하기 위한 외기의 양을 판단하게 되며, 상기 인원수 판단 과정(S420)은 역사(100)에 구비되는 인원 감지부(150)를 통하여 역사(100) 내부의 각 공간에 위치하는 인원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원 감지부(150)는 역사(100)의 출입구와 역사(100) 내부에 형성된 각 공간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출입 감지센서(152)로 이루어져, 역사(100) 내부에 위치하는 총 인원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100) 내부의 각 공간에 위치하는 인원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인원수별 분배 단계(S430)에서는 각 공간에 위치하는 인원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상기 제어부(120)는 인원수에 따라 필요한 흡기량을 판단하여 외부로부터 필요이상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도록 하며, 외기를 실내로 공급할 경우에 각 공간에 위치한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에 설치된 보조 흡입팬(1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역사(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공간에 위치한 인원수가 많을 경우에는 보다 많은 신선한 공기가 필요하므로 보조 흡입팬(114)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보다 많은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공간에 위치하는 인원수가 비교적 적은 곳에는 보조 흡입팬(114)의 회전속도를 줄여 적은 공기만을 흡입하도록 하여 역사(100)의 내기 상태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각 공간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팬(116)의 속도는 보조 흡입팬(114)의 속도에 대응되도록 조절하여 각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적절한 속도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역사(100)의 내부에 형성된 각 공간으로 외기를 공급할 때에는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공급 덕트(117)부터 공급하고, 내기를 배출할 때에는 배출팬(116)을 구동하여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 턱트(1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실내 공기 오염도의 가장 큰 원인인 이산화탄소는 일반 공기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바닥부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각 공간의 바닥을 통하여 내기를 배출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오염원인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추가적인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 없이 역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사 실내의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에 적절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역사 전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역사 110 : 공조 장치
112 : 메인 흡입팬 114 : 보조 흡입팬
116 : 배출팬 117 : 공급 덕트
118 : 배출 덕트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내기 감지부
142 : 오염도 센서 144 : 온습도 센서
150 : 인원 감지부 152 : 출입 감지 센서
S100 :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 S200 :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
S300 : 내외기 비교 단계 S400 : 환기 단계

Claims (5)

  1. 역사 내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내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역사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와,
    내기 오염도와 외기 오염도를 비교하여 흡기 및 내기 순환을 판단하는 내외기 비교 단계와,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에서 흡기로 판단할 경우, 흡입할 흡입량을 선택하여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기 오염도 판단 단계는 공공 정보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오염도 정보를 통하여 역사 주변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는 1차 오염도 판단 과정과,
    1차 오염도 판단 과정에서 판단한 오염도를 공공 정보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역사 주변 교통량에 따라 보정하는 2차 오염도 판단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오염도 판단 과정에서는 한국 환경 공단에서 제공하는 오염도 측정소의 위치정보와 각 오염도 측정소에서 제공하는 오염도와 역사의 위치 정보를 적용한 공간 보간법을 사용하여 해당 역사의 외기 오염도를 판단하고,
    상기 환기 단계는 역사 내부 공간의 크기와 역사 내부의 인원수에 따라 흡입하는 외기의 양을 판단하는 흡기량 판단 과정과, 역사 내부에 형성되는 각 공간 별로 수용된 인원수를 판단하는 위치별 인원수 판단 과정과, 인원수에 따라 각 공간으로 분배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하는 인원수별 분배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역사 내부에 형성되는 각 공간의 상부에는 보조 흡입팬이 구비되되, 각 공간에 공급하여야할 외기의 양에 따라 상기 보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각 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출팬의 회전속도 역시 보조 흡입팬의 회전속도에 대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내외기 비교 단계에서는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외기 흡입 가능으로 판단하고,
    외기의 오염도가 내기의 오염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내기를 재순환하도록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환기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61529A 2016-05-19 2016-05-19 역사 환기 제어 방법 KR10179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29A KR101791194B1 (ko) 2016-05-19 2016-05-19 역사 환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529A KR101791194B1 (ko) 2016-05-19 2016-05-19 역사 환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194B1 true KR101791194B1 (ko) 2017-11-20

Family

ID=6080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529A KR101791194B1 (ko) 2016-05-19 2016-05-19 역사 환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68B1 (ko) * 2019-03-14 2020-02-25 김관식 실내공기의 질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빌딩 자동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31505B1 (ko) * 2020-06-19 2021-03-24 김인근 열차 역사 내 감염병 의심자의 격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8B1 (ko) 2008-03-25 2010-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8B1 (ko) 2008-03-25 2010-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5481B1 (ko) * 2014-11-25 2015-02-23 서전엔지니어링(주) 재실인원 정보를 활용한 에너지절감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168B1 (ko) * 2019-03-14 2020-02-25 김관식 실내공기의 질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빌딩 자동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31505B1 (ko) * 2020-06-19 2021-03-24 김인근 열차 역사 내 감염병 의심자의 격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0942168B1 (ko)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CN114857719A (zh) 用于房间的空气管理的设备和方法
KR102117836B1 (ko) 실내공기질 관리형 빌딩자동제어시스템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KR102350583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유입 차단 기능을 갖춘 스마트 쉘터
KR101791194B1 (ko) 역사 환기 제어 방법
KR102111268B1 (ko) 환기용 공기청정기와 자율주행용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07704B1 (ko) 미세먼지 제어 기능과 에어나이프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구비한 버스 쉘터의 제어방법
KR20200126470A (ko)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KR102182147B1 (ko) 지하철 승강장용 공기정화장치
KR20170020046A (ko) 환기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실내 공기질 관리 장치
KR20160116129A (ko) 공조 환경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919473U (zh) 室内空气监测与净化智能控制系统
KR20190068869A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WO2020138635A1 (ko) 에너지 절감형 실내 공기관리장치
KR101988292B1 (ko) 지하철 역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WO2021117946A1 (ko) 공기청정기
KR20190005075A (ko) 차량용 실내공기 청정 장치
CN116518544A (zh) 一种层流罩及净化系统
KR102266710B1 (ko) 미세먼지 유입 차단 기능을 갖춘 스마트 게이트
KR102550372B1 (ko) 공기 청정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KR20200036141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180044874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