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737B1 -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37B1
KR101789737B1 KR1020150185752A KR20150185752A KR101789737B1 KR 101789737 B1 KR101789737 B1 KR 101789737B1 KR 1020150185752 A KR1020150185752 A KR 1020150185752A KR 20150185752 A KR20150185752 A KR 20150185752A KR 101789737 B1 KR101789737 B1 KR 101789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communication
unit
signal
communic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035A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헬로팩토리 filed Critical (주) 헬로팩토리
Priority to KR102015018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04B5/04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05B37/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통신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부; 다른 디바이스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호출벨부; 및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도록 하기 위해서 기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호출벨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고, 상기 호출벨부는 원형이며, 상기 비콘부는 상기 호출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초승달형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은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기술 및 이와 다른 주파수 통신 기술을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이용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 통신을 통해서 타 디바이스를 호출하는 호출벨부 및 타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부를 하나의 통신 제어 장치에 구비함으로써, 호출과 관련된 서비스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의 초연결(Hyperconnectivity) 혁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은 전체 사물의 1% 미만이나 향후 연결 확대 과정에서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예시로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등장으로 차량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긴급구난 메시지 자동 전송, 무인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제품들이 신체의 심장박동, 운동량 등을 측정하여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홈의 태양으로는, 가전 기기의 원격제어 또는 홈 CCTV와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IoT의 주요 기술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및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센싱 기술은 전통적인 온도/습도/열/가스/조도/초음파 센서 등으로부터 원격 감지, SAR(Synthetic Aperture Rad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 센서 등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물리적인 센서에서의 감지를 의미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응용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와 정보 처리 능력을 내장한 스마트 센서로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이미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가상 센싱 기능도 포함되며 가상 센싱 기술은 실제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구현된다. IoT 센싱 기술은 기준의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센서보다 한 차원 높은 다중(다분야) 센서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면, IoT의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장치로는 기존의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i-Fi, 3G/4G/LTE, 블루투스(Bluetooth), 이더넷(Ethernet),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위성통신, Microware, 시리얼 통신,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인간과 사물, 서비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IoT의 주요 3대 구성요소(인간사물서비스)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와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아니라, 정보를 센싱, 가공/추출/처리, 저장, 판단, 상황 인식, 인지, 보안/프라이버시 보호, 인증/인가, 디스커버리, 객체 정형화, 온톨러지 기반의 시맨틱, 오픈 센서 API, 가상화, 위치확인, 프로세서 관리, 오픈 플랫폼 기술, 미들웨어 기술, 데이터 마이닝 기술, 웹 서비스 기술, 소셜네트워크 등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저장, 처리, 변환 등)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일반 음식점 및 병원, 공장 등에 활용되고 있는 무선 호출벨(wireless calling bell)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요구 사항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 등을 전달하기 위해 타인을 호출하거나,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무선 호출벨을 누르고(push), 호출 신호는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되어 무선 호출벨을 식별하고, 해당 무선 호출벨에 대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최근에는 근거리 네트워크 기술 중에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하여 디바이스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양방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근거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연결을 통해서 장치 간에 필요한 여러 케이블 연결을 대신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무선 기술이 휴대폰과 랩탑 컴퓨터 안에 구현되면 케이블 없이도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프린터, PDA, 데스크탑, FAX, 키보드, 조이스틱은 물론이고,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장치들을 케이블로부터 자유롭게 만들어 주는 것뿐 아니라,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기존의 데이터망과 주변 장치들간의 인터페이스, 그리고 고정된 네트워크 하부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치들 간에 특별한 그룹을 형성시켜주는 보편적인 다리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빠른 인식과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여 기기 간의 연결을 튼튼하게 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패킷을 전송하거나 보낸 후에 새로운 주파수 호핑을 함으로써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피한다. 같은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는 다른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블루투스는 특별히 빠르고 짧은 패킷을 사용한다. 한편, 클래식 블루투스와 블루투스 하이 스피드와 블루투스 저 에너지를 포함한 기능을 가진 블루투스 4.0이 발표됨에 따라,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지그비(ZigBee), Z-Wave, Wi-Fi 등이 있다. 최근 O2O(Online to Offline) 시장에서 가장 관심을 받는 제품 중 하나인 비콘은 블루투스(Bluetooth) 4.0 규격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사용한다.
이 비콘은 근거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응용이 있다.
비콘이 등장한지는 좀 되었지만 요즘에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블루투스 4.0 버전인 블루투스LE(Bluetooth Low Energy; BLE) 때문이다.
종전의 블루투스 버전은 전력 효율과 동시 연결 가능한 기기 대수에 제한이 있었다. 블루투스 4.0은 동전 모양 배터리 하나로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전력 소모량이 획기적으로 개선됐고 동시 연결할 수 있는 기기 수에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비콘 서비스가 더 폭 넓게 가능하게 되었다.
비콘의 특징은 최대 100m까지의 거리에서 인식이 가능하고,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이 있는 실내에서도 개개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콘은 디바이스마다 각각의 ID를 송출함으로써 개별 기기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비콘별, 또는 개인별 맞춤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선 호출벨의 주파수 통신 방법과 블루투스 기술을 하나의 장치에서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단점 등을 보완하여 그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무선 호출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부; 다른 디바이스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호출벨부; 및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도록 하기 위해서 기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호출벨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고, 상기 호출벨부는 원형이며, 상기 비콘부는 상기 호출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초승달형(crescent)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통신 중임을 지시하는 LED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부는, 색상, 밝기 및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가 통신 중임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호출벨부 영역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비콘부 영역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비콘부의 버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기기 정보, 사용 주파수 대역 정보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비콘부에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부는, 상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부의 식별정보 및 상기 호출벨부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 간의 간섭 신호를 제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2.4GHz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벨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블루투스의 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배터리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호출벨부와 비콘부가 함께 공유하며, 외부 전원과의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벨부 영역은 상기 비콘부 영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는 하나의 PCB 회로기판에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무선 호출벨 통신 방식에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무선 호출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호출벨에서도 비콘벨부를 통해 OTA(On The Air)로 시스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최신의 정보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호출벨을 활용하는 범위가 상당히 넓어지게 되어, 무선 호출벨과 스마트폰 등의 결합에 의한 활용도의 시너지가 커지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서 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콘부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되어 IoT(Internet of Things)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무선 호출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CCTV, TV, 세탁기,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device)는 “기기” 또는 “장치”와 혼용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기기” 및 “장치”는 동일한 표현으로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는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식별 값, 디바이스의 종류,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속성, 및 디바이스의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는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는 서버 또는 타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기초한 서비스, 디바이스 내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적용되는 서비스는 본 개시에 예로서 기재된 서비스 이외에도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통신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크게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의 두 개의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부(1)는 비콘부(1)의 버튼부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비콘의 정해진 신호가 RF 구동소자를 통해서 전송되며, 이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의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서 수신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호출벨부(13)의 버튼부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RF 구동소자를 통해서 정해진 신호가 전송되며, 호출벨부(13)의 수신기에서 수신되어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 등에 기초하여 번호 또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단말로서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호출벨(calling bell),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PC,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기기, 디지털방송용 기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두 개의 원이 서로 교차한 땅콩 형태(∞자)로 구성될 수 있다. 크게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로 구성되며, 비콘부(1)의 원형 디스플레이 상에 호출벨부(13)의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호출벨부는 원형의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으며, 비콘부는 일부가 가려진 원형의 일측에 대응하는 초승달형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일 수 있으나, 외부면은 원형의 호출벨부와 초승달형(crescent)의 비콘부일 수 있다. 두 디스플레이 간에 더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더 사용도가 높은 호출벨부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본 디바이스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비콘부의 디스플레이가 원형이고, 호출벨부의 디스플레이가 초승달 형태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가 두 개의 원이 서로 교차하는 땅콩(∞자) 형태가 가지는 장점은 하기와 같다.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이 함께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조작에 편리하고,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 입력에 서로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디자인적으로도 사용자에게 현대적인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심미적인 요소도 증대시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내부가 개방된 ∞자 형태를 가짐으로써, 도 4의 회로도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의 배치 설계가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 간에 연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는 별도의 전원부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공통의 내부 배터리를 사용하여 공간적인 최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통신 제어 장치)에서 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타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의 호출벨부를 통해서 수신기(2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이 수신기(250)와 송수신하는 정보는,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250)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호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식별하여야 하므로, 수신기는 디바이스의 고유의 일련번호 등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기(250)는 식별된 디바이스(20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250)는 식당 내의 일 영역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50)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후에, 해당 신호에서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어느 디바이스(200)에서 전송한 호출 신호인지 결정할 수 있다. 수신기(250)는 호출 신호를 전송한 디바이스의 번호(예, 12번 테이블)를 표시할 수 있다.
수신기(250)는 디바이스(200)에서의 호출 신호를 타 디바이스(255)에 전송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55)에서는 디바이스(200)의 호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250)로부터 디바이스(200)에서 호출된 신호라는 것을 수신한 타 디바이스(255)는 12번 테이블에서 호출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55)의 사용자는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디바이스에서 호출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호출 신호에 대한 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의 A 테이블에서 호출 신호를 전송한 경우, 식당의 수신기에서 이를 종업원의 스마트 워치로 전송하여, 스마트 워치 상에서 A 테이블의 호출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종업원은 표시된 정보를 통해서 A 테이블로 이동하여 다양한 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식당에서 A 테이블에 앉은 손님이 K 메뉴를 더 주문하기 위해서 호출할 경우, 종업원은 A 테이블에 가지 않고서도 종업원의 스마트 워치에 수신된 메뉴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K 메뉴를 손님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병원에서 환자가 병실의 실내 온도가 높아서,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호출 신호를 전송하면, 간호사는 해당 환자를 대면하지 않고서도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비콘부를 통해서 타 디바이스(265)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비콘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265)와 통신할 수 있다. 이는 타 디바이스(265)에서도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타 디바이스(265)와 통신을 하면서 타 디바이스(265) 또는 디바이스(200)의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265)는 펌웨어 소프트 업그레이드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한 가능하다.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설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디바이스(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00)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타 디바이스(265)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블루투스 통신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타 디바이스(27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호출벨부를 통해서 타 디바이스(255)를 호출할 수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비콘부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음식점을 예로 들면, 호출벨 부를 통해서 종업원을 부를 수 있으며, 비콘부를 통해서 메뉴 주문을 할 수 있다. 또한, 비콘부를 통해서 메뉴 주문 외에도 결제 서비스, 후기 작성 서비스, 음식 정보 업데이트 등 다양한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호출벨부 및 비콘부의 상호 결합에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도 편의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수신기와도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호출벨은 하나의 수신기에 연결되도록 설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수신기와도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수신기(250)뿐만 아니라, 다른 수신기(280)와도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은 식당에서는 종업원을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병원에서는 간호사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호출벨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복수의 수신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내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크게 비콘부(1), 내부 배터리(12) 및 호출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부(1)는 전원 공급부(2), RF 구동소자(3), 버튼부(4), LED부(5) 및 비콘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제어부(6)는 라디오 모듈(7), 내부 메모리(8), 중앙처리유닛(9) 및 범용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는 내부 배터리(12)에 연결되어, 비콘부(1)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콘부(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RF 구동소자(3)는 주파수 통신을 수행하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의 경우,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쓰인다. 아마추어 무선, 무선랜, 블루투스가 이 ISM 대역을 사용한다.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hopping)한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는 최대 7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할 뿐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꿀 수 있다.
RF 구동소자(3)는 블루투스 외에도, Wi-Fi, Zigbee 및 NFC 등 다양한 통신 기법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통신 기법에 대한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므로, RF 구동소자(3)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 소자일 수 있다.
버튼부(4)는 디바이스(300)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버튼부(4)가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 입력되는 경우, 비콘의 정해진 신호가 RF 구동소자(3)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비콘부(1)는 버튼부(4)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설정된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전송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주기에 따른 데이터 전송의 경우, 디바이스(300)의 상태 정보(예, 배터리 잔량, 동작 모드, 정상 동작 여부 등)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에 기초하여 수신기와의 거리 등을 판단하여 위치 등을 측정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버튼부(4)는 디바이스(300)의 비콘부(1) 영역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무게중심 영역에 버튼부(4)가 위치함으로써,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러지는 경우에도 물리적인 안정감을 높힐 수 있다. LED부(5)는 디바이스(300)의 동작 여부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정상적인 동작 수행 중 및 오작동 시에 LED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고, 대기 중인 경우와 통신 중인 경우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LED부(5)는 점멸 시간, 밝기, 색상 등을 변경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비콘 제어부(6)는 비콘부(1)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비콘 제어부(6) 내의 라디오 모듈(7)은 주파수 통신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내부 메모리(8)는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중앙처리유닛(9)은 비콘부(1) 내에서 처리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범용 인터페이스(10)는 사용자가 비콘부(1)에 대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UI 구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배터리(12)는 디바이스(300)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비콘부(1) 및 호출벨부(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의 내부 배터리(12)에서 두 구성부(1 및 1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디바이스(300)의 소형화에 바람직하며, 각각의 전원 공급부(2 및 14)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내부 배터리(12)는 디바이스(300)의 호출벨부(13)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부 배터리(12)는 비콘부(1) 상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내부 배터리(12)는 외부 전원과의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내부 배터리는 충전식 외에도 전원 교체식(예, 건전지)으로 디바이스(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호출벨부(13) 또한, 전원 공급부(14), RF 구동소자(15), 버튼부(16), LED부(17) 및 호출벨 제어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벨 제어부(18)는 라디오 모듈(19), 내부 메모리(20), 중앙처리유닛(21) 및 범용 인터페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16)는 상기 디바이스(300)의 호출벨부(13) 영역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RF 구동소자(15)는 기설정된 주파수로 디바이스(300)와 수신기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버튼부(16)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호출 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의 소형화를 위해서, 비콘부(1)의 구성들과 호출벨부(13)의 구성들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들(17 및 18)에 대해서는 앞서 비콘부(1)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통신 제어 장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500)는 수신기(510)를 통해 타 디바이스(52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500)의 버튼부에 입력하면, 디바이스(500)는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부에 터치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스(500)에의 입력은 터치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모션(motion) 입력, 음성(voice) 입력 등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52에서, 해당 입력이 호출벨부에 대한 버튼부 입력인 경우, 디바이스(500)의 RF 구동소자는 수신기(510)에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디바이스(500) 및 수신기(510) 간의 통신 주파수 대역에는 다양한 FM(Frequency Modulation) 또는 AM(Amplitude Modulation) 변조 기법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수신기(510)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매칭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 수신기 간에 주파수 매칭을 통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실 호출 시스템의 경우, 간호사실에 위치하는 하나의 수신기에 대하여, 환자의 수만큼 디바이스가 주파수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53에서, 수신기(510)는 수신되는 호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수신된 호출 신호에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디바이스에서 호출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510)는 디바이스(500)에서 전송된 호출 신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사용 주파수 대역 정보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정보(RSS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4에서, 수신기(510)는 해당 호출 신호를 타 디바이스(520)에 전송할 수 있다. 타 디바이스(520)는 디바이스(500)의 호출 신호를 처리하는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0)에서 A 동작을 원하여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타 디바이스(520)는 호출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A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5에서 수신기(510) 또는 타 디바이스(520)는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부에서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점멸 주기를 변경하여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호출을 요청한 디바이스(500)의 식별정보 또는 관련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콘부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600)는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1 및 S62에서, 디바이스(600)는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에게 비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beacon) 신호는 디바이스(600)의 발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600)의 통신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1 및 단계 S62는 모두 수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계만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유니캐스팅(uni-casting), 멀티 캐스팅(multi-casting) 및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유니캐스팅 방식은 일대일 통신 방식으로서, 디바이스(600)는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에 대하여 비콘 신호를 각각 유니캐스팅 할 수 있다. 멀티캐스팅 방식은 한번에 동일한 비콘 신호를 복수의 수신 대상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며, 브로드캐스팅은 무분별하게 복수의 수신 대상들에게 전송하는 기법이다. 디바이스(600)는 자기를 타 기기에서 발견시키기 위해서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비콘을 전송하여 광고(advertising)할 수 있다.
단계 S63에서,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600)를 감지할 수 있다.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600)의 기기 정보(예, 식별 번호, 통신 주파수 대역, 통신 프레임의 크기, 통신 방식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4에서, 수신기(610)는 서버(630)에 컨텐츠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요청 정보는 수신기(610)에서 감지한 디바이스(6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610)는 서버(630)에 디바이스(6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펌웨어(firmware)가 있는지를 질의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630)는 디바이스(600),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에 관한 통신 채널 정보를 기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서버(630)는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 통신 규격의 변경 등 기기들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기기 제작 업체 등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65 및 단계 S66에서, 서버(630)는 수신기(610) 및/또는 타 디바이스(620)에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되는 컨텐츠는 수신기(610) 및/또는 타 디바이스(620)의 펌웨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630)는 각 기기들의 고유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 기기들에서 요청한 업데이트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610) 및/또는 타 디바이스(620)는 서버(63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 중에 어느 하나의 기기만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 간에 동기화된 펌웨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기 모두에서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
수신기(610) 및/또는 타 디바이스(620)에서는 서버(63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컨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기기의 펌웨어를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관리프로그램의 승인없이도 자동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승인 절차를 거친 이후에만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펌웨어는 기기 간의 통신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61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들이 추가되는 경우에 각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610) 한 대에 10대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다가 20대의 디바이스로 연결되는 경우, 수신기(610)에서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등이 중복될 수 있으므로, 각 기기들의 식별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610)는 각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펌웨어는 기기들 간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대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A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이 가능하였어도, 20대의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간섭의 문제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간섭되는 주파수 대역을 피하기 위하여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이 요구될 수 있다. 새로운 동작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는 펌웨어를 통해서 업데이트 됨으로써 각 기기들은 최신의 동기화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펌웨어는 새로운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수신기(610) 및 타 디바이스(620)에서 지원되지 않는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되는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 각 기기들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610) 및/또는 타 디바이스(620)에서 기존에는 음식 주문에 관한 서비스만 지원되었지만,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 결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단말 간 통신(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일반
근거리 통신(local area communication)에서 단말 간 통신은 보통 피어 투 피어(peer-to-peer) 형태로 정의된다. 이 통신 주체들은 서로간의 임의 접속 방식이 정의되고 규약된 형태로 통신을 상호 수행하며, 어느 한쪽이 실제 공중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반면에,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은 반드시 기지국과 단말간, 혹은 기지국과 등가의 존재와 단말간의 통신으로 정의되며, 모든 통신의 행위는 모두 기지국 혹은 이의 등가 존재로부터 제어를 받는다. 이러한 규약 상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모든 단말의 동작을 일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제약 시킴으로써 최대의 수율(throughput)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반면에 이러한 규칙은 오히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따라서 혹은 단말의 채널 환경에 따라서 과도한 규칙의 측면(over-ruled aspect)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 같은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데 소모할 파워의 결정도 기지국에서 하게 되고, 단말이 같은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데 있어서의 모든 동작(behavior)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제 받음으로써 근거리 통신에 대해서도 기지국을 중간에 두는 형식으로 동작해야 한다. 저전력을 소모하면서도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단말은 또 다른 무선 접속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거나 아니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불편함으로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점은 단말의 채널 환경이 취약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새로운 접속 경로를 찾아서 접속하면서 최적의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제약을 가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단말 간 직접 통신은 단말-대-단말 통신(D2D communication /M2M(MS-to-MS) communication) 또는 피어 투 피어 통신 (P2P (Peer-to-Peer) communication) 등과 같은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단말 간 통신 수행 방법
D2D 단말이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은 후 이루어지는 최초 전송은 각 D2D 단말이 모두 D2D 통신을 위한 자원을 명확히 알고 있는 점에서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최초 전송과 차이가 있다.
또한, D2D 통신이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와 자원을 공유하여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중인 단말과 D2D 통신 중인 D2D 단말 간 또는 서로 다른 D2D 단말들과 D2D 통신을 수행 중인 D2D 단말 간의 동기(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시간 동기)가 어긋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단말의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나 이때의 경로에 따른 지연들이 D2D 통신 중인 D2D 단말과 상이하게 되므로 D2D 통신 중인 D2D 단말은 동기의 어긋남으로 인하여 인터-캐리어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D2D 통신의 경우 D2D 단말은 상호간의 대략적 동기(coarse synchronization)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맞출 수 있으나, 셀룰러 네트워크와 경로가 상이하므로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D2D 단말 간의 미세 동기(fine synchronization)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의 동기 또는 서로 다른 D2D 단말들과 D2D 통신 중인 D2D 단말들 간의 동기와 상이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D2D 통신에서는 D2D 단말의 하드웨어(H/W)적 한계로 인하여 하향링크 채널 구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상향링크 채널 구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D2D 통신을 수행하는 D2D 단말 간의 D2D 통신을 위하여 미세 동기(fine synchronization)를 맞추기 위한 참조 신호(또는 동기 신호)가 필요하다.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와는 달리 타 단말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송수신 D2D 단말들 모두 전송 전력에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는 직접 통신에서 동기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은 데이터 전송 성능과 밀접한 영향이 있으므로 동기를 위한 참조 신호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혹은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디바이스
1: 비콘부
13: 호출벨부

Claims (10)

  1.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부;
    다른 디바이스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호출벨부; 및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부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견되도록 하기 위해서 기설정된 주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의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호출벨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비콘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고,
    상기 호출벨부는 원형이며, 상기 비콘부는 상기 호출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초승달형이며,
    상기 비콘부는 상기 내부 배터리에 연결되어, 비콘부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비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주파수 통신을 수행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구동소자, 사용자의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부, 통신 중임을 지시하는 LED부 및 비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제어부는 라디오 모듈, 내부 메모리, 중앙처리유닛 및 범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기기 정보, 사용 주파수 대역 정보 및 수신 신호의 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비콘부는 상기 버튼부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설정된 전송 주기로 전송하며, 전송 주기에 따른 데이터 전송의 경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하고,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수신기와의 거리를 판단하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부의 식별정보 및 상기 호출벨부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부 및 상기 호출벨부 간의 간섭 신호를 제거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호출벨부의 통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블루투스의 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통신 중임을 지시하는 LED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부는,
    색상, 밝기 및 점멸 주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경하여, 상기 통신 제어 장치가 통신 중임을 지시하도록 설정되는, 통신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비콘부에서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상기 버튼부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와 비콘부에서 기설정된 주기로 전송 설정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콘부는,
    상기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터리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의 상기 호출벨부 및 상기 비콘부가 공유하며, 외부 전원과의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
KR1020150185752A 2015-12-24 2015-12-24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8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52A KR101789737B1 (ko) 2015-12-24 2015-12-24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752A KR101789737B1 (ko) 2015-12-24 2015-12-24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35A KR20170076035A (ko) 2017-07-04
KR101789737B1 true KR101789737B1 (ko) 2017-10-25

Family

ID=5935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752A KR101789737B1 (ko) 2015-12-24 2015-12-24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787B1 (ko) * 2017-09-13 2018-07-31 주식회사 큐필드 스피드 페어링 기능을 구비한 보안 겸용 호출벨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64B1 (ko) 2010-08-17 2011-05-09 (주)트라이원테크 무선 주문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64B1 (ko) 2010-08-17 2011-05-09 (주)트라이원테크 무선 주문 및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35A (ko)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5761B2 (ja) 無線電力伝送機能のための機器の既存の構成要素の利用方法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577358B1 (ko)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49041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60063041A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6311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
US11601793B2 (e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proximity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146954A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US110828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device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681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ce
US103831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280412A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KR201601385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60118923A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28869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그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789737B1 (ko)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29340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EP431925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network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29342A (ko) Nfc 태그를 이용한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51618B1 (ko) 매장내 호출 및 주문 플랫폼을 위한 운영 시스템
KR20220018869A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773506B1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이를 이용한 만남 정보 서비스 방법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819109B1 (ko) Ble 비콘 기반의 위치인식을 통한 스마트기기 관리방법
KR20220102036A (ko) 전자 장치의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