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86B1 -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86B1
KR101789686B1 KR1020130067368A KR20130067368A KR101789686B1 KR 101789686 B1 KR101789686 B1 KR 101789686B1 KR 1020130067368 A KR1020130067368 A KR 1020130067368A KR 20130067368 A KR20130067368 A KR 20130067368A KR 101789686 B1 KR101789686 B1 KR 10178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ice
user terminal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013A (ko
Inventor
박수홍
염선희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86B1/ko
Priority to US14/295,605 priority patent/US9538363B2/en
Priority to EP14171651.4A priority patent/EP2813988A1/en
Publication of KR2014014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3Customisation support for file systems, e.g. localisation, multi-language support,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34Details of monitoring file system events, e.g. by the use of hooks, filter drivers, l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05Append-only file systems, e.g. using logs or journals to sto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USER TERMINAL APPRATUS, SERVER AND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란,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 필요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온라인 물품 구매 내역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판단하고 이러한 기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신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에 로그인을 필요로 하였다. 사용자의 관심, 필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해야 하는데, 이러한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가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이 나타난 경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에 보관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이력 정보나 프로파일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야 하므로 우선적으로 사용자를 식별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도 1은 종래 맞춤형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의 실시 예에 역시 스마트 폰(10)을 통해 맞춤형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서버(20)에 로그인 과정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로그인이 수행되면, 서버(20)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쇼핑 정보, 개인 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30)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필요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관심, 필요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사용자가 관심 있을 만한 상품 정보를 스마트 폰(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그인 과정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아이디나 패스워드의 노출 위험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에 회원으로 가입을 해야 하는 불편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서비스 제공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가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를 안고 있다. 사용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정보는 종종 유출되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프라이버시 취약성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을 완화하면서도 로그인 과정 없이 편리하게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을 완화하면서도 로그인 과정 없이 편리하게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더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포함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을 완화하면서도 로그인 과정 없이 편리하게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맞춤형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즉, 도 7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모식도, 그리고,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쇼핑 정보, 개인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에 저장한다. 쇼핑 정보는 사용자가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이용한 내역을 기록한 로그 정보로, 보통 사용자의 능동적 행위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의해 기록되고 관리된다. 이에 반해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관심분야, 연령, 사는 지역, 학력, 직업, 취향, 직장 위치, 자동차 보유 유무, 좋아하는 스포츠 등,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입력한 정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200)에 대한 별도의 로그인 과정이 불필요하다. 즉,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단지 전술한 쇼핑 정보, 개인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요청하기만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기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다)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한다. 서버(200)는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심, 필요를 분석하고,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온라인 상품을 추천하거나 가격 비교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서버(200)는 상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지만, 서비스 제공이 끝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이상 서버(200)는 더 이상 상기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를 좀더 구체화한 본 발명의 일반적인 구성 및 동작에 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30), 통신부(12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동작한 이력을 저장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관련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웹 브라우저(미도시)는 방문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방문 이력은 방문 날짜, 시간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또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는 저장된 방문 이력에 대해 분석, 처리, 정렬, 추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필요한 메타 데이터 등을 생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200)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쿼리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아이템 선택 정보란,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의 아이템 선택 정보 역시 전술한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 로그 정보로 저장되어 관리되고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가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란, 다운 받은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정보, 애플리케이션 실행 빈도, 실행 시간,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소(위치 정보) 등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에 대해 분석, 처리, 정렬, 추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필요한 메타 데이터 등을 생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200)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쿼리로 이용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실행된 MP3 파일,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사진 파일, 온라인 티켓 예매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다말 장치(100)는 컨텐츠 관련 정보에 대해 분석, 처리, 정렬, 추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필요한 메타 데이터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관심이나 필요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200)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쿼리로 이용될 수 있다.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검색하거나 예약하는데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 구매한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구매한 것은 사용자가 가장 관심이 높거나 사용자에게 가장 필요한 아이템으로 볼 수 있어 유의미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모바일 결재 내역에 대해 분석, 처리, 정렬, 추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필요한 메타 데이터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관심이나 필요에 대한 데이터로써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200)가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쿼리로 활용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보조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사용 로그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 즉,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함께 고려되는 경우, 좀더 정확한 사용자의 관심, 필요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컨텐츠를 다운받는 경우,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정확한 관심, 필요를 판단하는데 필수적일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전술한 분석, 처리, 정렬, 추론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측위 기술로 판단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GPS 방식,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측위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현 기술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 로그 정보는 지속적으로 축적되는데, 이 경우 모순 정보의 처리가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사를 가게 되어 주소 정보가 바뀌게 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된 정보와 모순되는 정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선택하게 하거나, 이전의 정보를 가장 최신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다양한 기술수단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롬(ROM) 또는 램(RAM)과 같은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BD(Blur-ray Dis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불휘발성 램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스태틱 램(Static RAM)이나 다이나믹 램(Dynamic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탑재가 가능한 1.8인치 이하의 소형 하드 디스크가 적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사용자가 특정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한다. 통신부(120)는 먼저 서버에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 서버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서버가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버는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어떠한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할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스로 제공하고 싶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정보는 전술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한다. 결과적으로 통신부(120)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서버(200)로 전송한다.
변형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정도에 따라 사용 로그 정보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등급 정보는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보로, 사용자의 이름, 연봉, 정확한 주소,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등급 정보보다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낮은 정보로는 사용자의 취미, 자동차 모델, 나이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30)는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서버(200)에 제공하고 싶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중계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상의 서버(2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0)는 와이파이(WIFI) 통신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와이파이(WIFI) 모듈은 IEEE 802.11 기술 규격에 따르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IEEE 802.11 기술 규격에 따르면, 단일 캐리어 DSSS(Single Carrier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으로 불리는 대역확산 방식의 무선 통신 기술과, 다중캐리어 OFDM(Multi Carrier Orthogonal Frequency Multiflexing)으로 불리는 직교 주파수 분할 방식의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된다.
다른 실시 예로 다양한 이동통신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기존의 무선 전화망을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셀룰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3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즉,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및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4G(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2.3GHz(포터블 인터넷)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또는 와이브로(WiBro)는 고속으로 움직일 때도 사용 가능한 인터넷 기술이다.
또한,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LTE는 WCDMA의 확장 기술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과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 다중 안테나)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WCDMA 기술을 활용한 것이므로 기존의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넓은 대역폭을 갖고 효율성이 높은 와이맥스, 와이파이, 3G, LTE 등이 활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량이 많다고 볼 수는 없으므로 좀더 효율적인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즉,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 기타 근거리 통신 모듈과, 무선랜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
특히, 제어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모바일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 PMP, MP3 플레이어, PDA, 셀 폰, 랩탑 컴퓨터, 기타 이동성 있는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일반적인 전자 계산 장치가 갖는 필수적인구성을 포함한다. 즉, 충분한 제어 및 연산 능력을 갖는 CPU, 캐쉬 메모리, 램 메모리, 하드 디스크나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장치, 근거리 통신 모듈, HDMI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 데이터 버스 등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며, 전술한 제어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동작한 이력을 저장한 정보이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기술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통신 수단, 이동통신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서버(200)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TCP는 전송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나누고 포장하는 기술에 관한 규약이고, IP는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에 관한 규약이다.
제어부(220)는 서버(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220)는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한다.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의 필요,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카테고리화되어 있으며, 사용자 로그 정보를 쿼리로 하여 일련의 서비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할 만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의 구현 방식은 제한이 없다. 즉, 계층형 데이터 베이스(HDB : Hierarchica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RDB : Relational Database), 객체지향형 데이터 베이스(OODB : Object-Oriented Databa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가 별도의 서버에서 구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형의 데이터 베이스 외에 네트워크형 데이터 베이스(NDB : Network Database)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는 클라우드 형태로 구축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도 형태의 제약이 없는데, 이를테면,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나,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어느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서버(200)은 빅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적어도 한 대의 고성능의 메인 프레임 컴퓨터 또는 워크 스테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버(200)는 이러한 유형의 전자 계산 장치가 갖는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즉, 충분한 제어 및 연산 능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CPU, 대용량 캐쉬 메모리, 램 메모리, 하드 디스크나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 키보드, 모니터,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출력 장치, 통신 모듈, HDMI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모듈, 데이터 버스 등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며, 전술한 제어부(2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서버(200)가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서버(200)에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200)에 대한 별도의 로그인 과정이 불필요하다.
대신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과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입한 내역(history),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장바구니에 넣어둠으로써 관심 상품으로 판단된 상품 정보(Interest Product) 등을 사용로그 정보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사용자의 연령(20 ~ 30대), 성별(sex), 사는 지역(Seoul, Korea), 직업(Patent Attorney) 등이 사용자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스로 사용 로그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선택적으로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공개하고 싶은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도 5의 (a)에서 사용자는 구매 이력(purchace history)과 연령(age)의 체크박스만을 체크한 상태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정보만을 서버(200)로 제공한다.
서버(200)는 상기 구매 이력과 연령을 쿼리로 하여 상품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사용자는 과거에 여행 상품, 시계, 의류 등을 구매한 적이 있고, 사용자의 연령이 20-30대임을 고려하여 온라인 쇼핑몰 화면이 구성된다(도 5의 (b)). 즉,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색상, 가격 등이 고려되어 사용자가 관심을 갖거나 필요로 할 만한 상품이 검색되며, 검색된 상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쇼핑몰 화면이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서버(200)에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200)에 대한 별도의 로그인 과정이 불필요하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과거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한 동영상에 대한 정보(타이틀, 배우, 러닝 타임 등),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 한 동영상 정보(타이틀, 배우, 러닝 타임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시청한 동영상 정보(타이틀, 배우, 러닝 타임 등),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진 티켓 예매 정보 등을 사용 로그 정보로 저장하고 있다(도 6의 (a)). 사용 로그 정보는 서버(200)에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스로 사용 로그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선택적으로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제공을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화를 고화질 동영상으로 시청하는 습관이 있고, 저작권 문제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영화가 서비스 되는 경우가 적음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영화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 이력은 고려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만을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사용 로그 정보를 쿼리로 하여 동영상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영화의 장르, 출연 배우, 감독, 러닝 타임 등을 골려하여 동영상 서비스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도 6의 (b)).
근래에는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유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어, 서버(200)가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만 사용 로그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사용자의 관심이나 필요를 정확하게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한 명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사용 로그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이러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즉, 도 7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사용자 다말 장치(100) 외에도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인 태블릿 PC(100-1), 스마트 워치(10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단말 장치 들(100, 100-1, 100-2) 사이에서는 사용 로그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어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사용 로그 정보 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의 사용 로그 정보까지 서버(200)로 포워딩하여 제공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 장치 들(100, 100-1, 100-2)이 갖고 있는 사용 로그 정보는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각자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서버(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어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사용 로그 정보만을 제공하고, 이 경우 서버(200)는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1, 100-2)들 각각으로부터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200)의 제어부(220)는 상기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 100-1, 100-2)에 대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810),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S820-Y),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8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S8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83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S840)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S840)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S840)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910)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9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930)와,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940)를 포함한다.
상기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94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940)는,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94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10),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10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S1030).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맞춤화된 정보를 생성하고(S1040), 상기 생성된 맞춤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서비스를 제공한다(S1050).
한편,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상에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이 가능하며, 전자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형태로 하드웨어 IC칩에 내장되어 제공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맞춤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200 : 서버
110 : 저장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로그 정보의 등급을 설정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될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사용 로그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더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정보이고,
    상기 제어부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로그 정보의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설정된 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제공될 사용 로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사용 로그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웹 페이지 방문 기록 정보, 아이템 선택 정보, 애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컨텐츠 다운로드 정보, 아이템 구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동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특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제공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상품 구매 이력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상기 상품 구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상품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정보이고,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시청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에 맞춤화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67368A 2013-06-12 2013-06-12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8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368A KR101789686B1 (ko) 2013-06-12 2013-06-12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14/295,605 US9538363B2 (en) 2013-06-12 2014-06-04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EP14171651.4A EP2813988A1 (en) 2013-06-12 2014-06-09 User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iz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368A KR101789686B1 (ko) 2013-06-12 2013-06-12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13A KR20140145013A (ko) 2014-12-22
KR101789686B1 true KR101789686B1 (ko) 2017-10-25

Family

ID=5113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368A KR101789686B1 (ko) 2013-06-12 2013-06-12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8363B2 (ko)
EP (1) EP2813988A1 (ko)
KR (1) KR101789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32A (ko) * 2017-12-20 2019-06-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컨텍스트 추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990A (ko) * 2018-03-13 2019-09-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랜딩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방법
US11074369B2 (en) 2019-07-29 2021-07-27 Google Llc Privacy preserving remarke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1760A1 (en) * 2007-12-31 2009-07-02 Nok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297A (ko) 2000-10-09 2002-04-17 김장우 통합 아이디 관리 서비스 방법
US20020107792A1 (en) * 2001-02-02 2002-08-08 Harvey Anderso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billing allocation within an access controlled environment via a global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US20020133374A1 (en) * 2001-03-13 2002-09-19 Agoni Anthony Angelo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rvices
US7578436B1 (en) * 2004-11-08 2009-08-25 Pisaf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e document distribution
US7743336B2 (en) * 2005-10-27 2010-06-22 Apple Inc. Widget security
KR100993333B1 (ko) 2008-07-17 2010-1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접속 도구를 고려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8504481B2 (en) * 2008-07-22 2013-08-06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user privacy using social inference protection techniques
US8818909B2 (en) * 2011-09-16 2014-08-26 Facebook, Inc. Location aware deals
US9413893B2 (en) * 2012-04-05 2016-08-09 Assurant, Inc.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obile device support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1760A1 (en) * 2007-12-31 2009-07-02 Nok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32A (ko) * 2017-12-20 2019-06-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컨텍스트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041986B1 (ko) * 2017-12-20 2019-1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위치 컨텍스트 추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0859A1 (en) 2014-12-18
EP2813988A1 (en) 2014-12-17
US9538363B2 (en) 2017-01-03
KR20140145013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531B2 (en)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US9922360B2 (en) Recommendations system
KR101526837B1 (ko)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9952848B2 (en) Dependency-aware transformation of multi-function applications for on-demand execution
US9477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8606636B1 (en) Recommend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variables
US11397958B2 (en) Store visit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JP6143724B2 (ja) 位置に基づくコンテンツへのアクセス
US9451008B1 (en) Content selection with privacy features
US9247314B1 (en) Cross-platform electronic shopping cart
US9373140B2 (en) Generation of an interface with computer-executable options and visual elements based on collected social network data
US201500667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ing an In-Store Shopping Experience for a User in a Retail Store that Provides Accessories for Computing Devices
KR10178968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맞춤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10313460B2 (en) Cross-domain information management
US10003620B2 (en) Collaborative analytics with edge devices
KR101686462B1 (ko) 사용자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한 웹페이지 생성 방법 및 활용 방법
KR20170094995A (ko)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프리뷰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860744B1 (en) Electronic content requests
US20120317186A1 (en) Web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ross-site personalisation
US10740417B2 (en) Methods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ctivities
KR20150047151A (ko) 푸시 방식을 기반으로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