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550B1 -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550B1
KR101789550B1 KR1020170081702A KR20170081702A KR101789550B1 KR 101789550 B1 KR101789550 B1 KR 101789550B1 KR 1020170081702 A KR1020170081702 A KR 1020170081702A KR 20170081702 A KR20170081702 A KR 20170081702A KR 101789550 B1 KR101789550 B1 KR 10178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module
content
broadcas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용
Original Assignee
김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용 filed Critical 김찬용
Priority to KR102017008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공공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상기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상기 셋톱박스로 제공하는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die) 정보를 미리 수신하는 EPG 정보 수신 모듈; 상기 EPG 정보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는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는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방송 채널 제어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이 상기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광고 스케줄링 모듈을 구성한다.

Description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BROADCASTING/ADVERTISING USING SETTOP BOX IN PUBLIC PLACE}
본 발명은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차역, 버스 터미널, 공항 등의 공공 장소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대형 디스플레이는 주로 셋톱박스(settop box)에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에서는 하나의 채널만 방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 장소의 사람들은 채널에 대한 선택권이 없다. 물론, 공공 장소에서 방송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수시로 바뀌고 장시간 방송을 시청하지는 않지만, 누구든지 자신이 보고 싶은 채널을 선택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다.
또한, 광고는 주로 방송사에서 라이브(live)로 제공하는 광고를 시청하게 된다. 이러한 광고 역시 특정 공공 장소의 많은 관중을 타겟팅(targeting)하여 광고를 하는 경우 광고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공공장소에서는 주로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그대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불특정 다수에게 채널 선택권을 부여하거나 최적의 채널 설정을 하거나 최적의 광고를 출력하지는 못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가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지는 특이성 때문에 공공 장소의 시청자를 위주로 하는 채널 설정이나 광고 선별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때로는 공공 장소의 시청자들이 관심없는 채널과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기도 하며, 이는 공공 장소의 시청자들에게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게 하는 요인이 된다. 대기 시간동안 잠시 시간만 때우기 위해 의미없이 시청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이 공공 장소의 TV가 외면받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며,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과도 적어질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고 하루 24시간을 기준으로 엄청나게 많은 수의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용성이나 만족도는 매우 떨어진다.
10-0744852 10-1410578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공공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상기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상기 셋톱박스로 제공하는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die) 정보를 미리 수신하는 EPG 정보 수신 모듈; 상기 EPG 정보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는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는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방송 채널 제어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이 상기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광고 스케줄링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채널 제어 모듈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이 방송 채널(channel)을 선택하여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 스케줄링 모듈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일시 중지하여 광고 시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광고 시간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스케줄링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방법은,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셋톱박스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EPG 정보 및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고 상기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EPG 정보 및 소정의 광고 콘텐츠 저장하고, 상기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방송 채널(channel)을 선택하여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일시 중지하여 광고 시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광고 시간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시시각각 바뀌는 공공 장소의 시청자들을 파악하여 최적의 채널을 자동 설정하고 최적의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공 장소의 불특정 시청자들 누구든지 자신이 원하는 채널을 보게 되거나 관심있는 광고 콘텐츠에 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에 노출되는 시청자들을 파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고에 노출되는 유효 히트(hit) 수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정확한 광고비를 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display)(110), 셋톱박스(settop box)(120),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 시청자 단말(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100)은 기차역, 공항, 버스 터미널 등의 대기자가 많은 공공 장소에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불특정 다수의 대기자들이 대기 시간에 방송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공 장소에서는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들이 수시로 바뀌면서 짧은 시간동안 시청하기 때문에 채널 선택권이 없으며 광고 콘텐츠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유발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100)은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들을 파악하여 최적의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최적의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영상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청자들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고 출력 시간을 조정하거나 시청자들의 시청자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방송 채널을 자동 전환하거나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차, 버스 등의 출/도착 시간을 통해 대기 시간을 추론해내고 이를 통해 광고 출력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기존에 외면받던 공공 장소의 TV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불특정 시청자들을 더 많이 확보하고 광고 타겟팅에 따른 광고 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display)(11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OLED, LCD 등의 출력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대형 화면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누구든지 멀리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셋톱박스(settop box)(12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11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110)에 방송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셋톱박스(12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방송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 그리고 각종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셋톱박스(120)는 EPG 정보나 실시간 시청률 정보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셋톱박스(120)는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광고 콘텐츠를 불특정 시청자에 따라 선별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셋톱박스(120)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일단 저장하고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이라도 언제든지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방송 콘텐츠의 출력 시간은 실제 방송의 출력 시간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는 방송 콘텐츠와 광고 콘텐츠를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는 현재 시청률에 대한 실시간 시청률 정보를 셋톱박스(120)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40)은 공공 장소에서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방송 콘텐츠나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들이 소지하는 단말이다.
시청자 단말(140)은 스마트 폰이 될 수 있으며, 공공장소의 셋톱박스(120)와 통신하기 위한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40)은 셋톱박스(120)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나 기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청 가능 거리 정도인 대략 10 여 m 정도의 거리에서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의 크기에 따라 시청 가능 거리가 더 멀어질 수 있다.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자의 기본적인 시청자 정보를 셋톱박스(12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정보는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간단한 직업 정보, 관심 사항이나 선호 채널, 선호 방송 콘텐츠, 선호 방송 콘텐츠 카테고리, 선호 광고 카테고리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12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수신 모듈(121),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122a),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122b),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122c),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123a),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123b),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123c),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126a), 실시간 출/도착 시간 수신 모듈(126b),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126c), 카메라 모듈(126d), 안면 인식 모듈(126e),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126f), 광고 유효 히트 송신 모듈(126g), 쿠폰/수신 전달 모듈(1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수신 모듈(121)은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방송 콘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die) 정보를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PG 정보는 1주일 분량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1주일 분량을 EPG 정보를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122a)은 EPG 정보 수신 모듈(121)에서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122b)은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122a)에서 실시간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채널별로 실시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122c)은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122b)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 중에서 셋톱박스(120)에서 선택된 방송 채널에 따라 해당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셋톱박스(120)가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언제든지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122c)의 재생과 실제 전파 방송의 재생 간에는 광고 재생 분량만큼의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123a)은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지상파 방송의 광고 콘텐츠가 아닌 광고주에 의해 별도로 광고 청약을 받은 광고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역이나 터미널, 공항 등의 불특정 대기자들에 대한 타겟팅을 하는 광고 콘테츠가 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는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카테고리에 대해 미리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123b)은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123a)에서 미리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123b)에는 광고 카테고리 별로 저장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123c)은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123b)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123c)은 주로 방송 콘텐츠가 종료되고 난 후 지상파 등의 광고 시간에 재생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간에도 방송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광고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은 방송 채널을 자동 선택하여 해당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122c)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은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방송 채널을 자동 선택하고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습니다.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도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채널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습니다.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은 공공 장소의 불특정의 시청자들이 누구나 좋아하거나 다수가 좋아할 만한 채널을 선택하여 실시간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123b)에 미리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123c)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가급적 지상파 광고 시간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간에라도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126a)은 현재 각 방송 채널이나 각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률을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은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126a)에서 실시간 수신된 실시간 시청률에 따라 방송 채널을 자동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시청률이 다수의 시청자들이 가장 좋아할만한 방송 콘텐츠를 대변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공공 장소의 불특정 시청자들 역시 실시간 시청률과 유사하게 방송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간 출/도착 시간 수신 모듈(126b)은 기차역의 기차, 버스 터미널의 버스 그리고 공항의 비행기 등이 출/도착하는 시간을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개 기차역, 버스 터미널 등의 대기자들은 출발 전 탑승자들이거나 또는 도착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될 수 있다. 출발 전 탑승자들은 탑승전 20-30분쯤 전부터 미리 역이나 터미널 등에서 대기할 가능성이 높고, 도착을 기다리는 사람들 역시 도착전 20-30분쯤 전부터 미리 역이나 터미널에서 대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특별한 용무없는 대기자가 많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출/도착 전 20-30전부터 출/도착 시간이 될 확률이 높다. 이러한 특별한 용무없이 출/도착 시간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공공 장소의 TV나 디스플레이(110)에서 시청할 가능성이 높다. 즉, 공공 장소에서는 출/도착 20-30분전부터 출/도착 시간까지의 시간이 프라임 타임(prime time)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간대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면 광고 효과가 높을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이라도 이 시간대에 광고 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광고 재생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126c)은 시청자 단말(140)의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저장된 시청자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청자 정보는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간단한 직업 정보, 관심 사항이나 선호 채널, 선호 방송 콘텐츠, 선호 방송 콘텐츠 카테고리, 선호 광고 카테고리 등이 될 수 있다.
방송 채널 제어 모듈(124)은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126c)을 통해 수집되는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을 실시간 선택하고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선호 채널, 선호 방송 콘텐츠, 선호 방송 콘텐츠 카테고리 등에 따라 방송 콘텐츠나 방송 채널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실시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방송 채널에 설정되어 있더라도 시청자 정보에서 선호 방송 콘텐츠가 변경되면 해당 선호 방송 콘텐츠로 즉시 방송 채널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호 방송 콘텐츠가 방송 중이지 않을 때에는 선호 방송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을 자동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락, 뉴스, 다큐멘터리, 스포츠, 영화 등의 카테고리가 있을 수 있다.
공공 장소에서는 시청자들이 짧은 시간을 주기로 자주 바뀌기 때문에 가장 많은 시청자군을 대상으로 채널을 바로 변경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126c)에서 수집된 시청자 정보 중에서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간단한 직업 정보, 관심 사항이나 선호 광고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에는 타겟팅이 되는 광고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직업, 관심 사항 등의 정보 그리고 광고 카테고리가 태깅(tagging)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콘텐츠의 태그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6d)은 디스플레이(110)를 향하여 바라보는 시청자들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면 인식 모듈(126e)은 카메라 모듈(126d)에서 촬영된 시청자들을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시청자를 가려낼 수 있다. 즉, 눈, 코, 입이 그대로 정면에서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인식되는 사람들이 시청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옆모습이거나 뒷모습 또는 지나가는 사람들 또는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 폰을 보는 사람들은 시청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안면 인식 모듈(126e)에서 소정 시간 이상 변화없이 안면이 인식되는 동안에는 시청자의 시청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126f)은 안면 인식 모듈(126e)에서 시청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는 시청자들의 수를 카운트(count)하여 집계를 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126f)에 의해 실시간 집계되는 시청자 수에 의해 광고 재생 시간을 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수가 별로 없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재생해도 광고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시청자 수가 적을 때에는 광고 콘텐츠의 재생을 가급적 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 수가 많아지면 빠른 시간 내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콘텐츠의 선별시 시청자 정보 이외에도 현재 방송 중인 방송 콘텐츠가 어떠한 방송 콘텐츠인지에 따라서 광고 콘텐츠를 선별할 수도 있다. 시청자 정보에 의해서 정확한 시청자군을 판단할 수 없을 때에는 방송 콘텐츠의 주시청자층이 어린학생들인지 노인인지 30-40대 여자들인지 등에 따라서 광고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126f)에 의해 실시간 집계되는 시청자 수에 의해 광고 콘텐츠가 몇 명의 시청자에게 노출되었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유효 히트(hit) 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광고 유효 히트 송신 모듈(126g)은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에 의해 산출된 광고 유효 히트 수를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유효 히트 수는 광고비의 정확한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스케줄링 모듈(125)은 광고 유효 히트 수와 함께 연관 시청자 수도 함께 집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유효 히트 수가 광고 콘텐츠를 실제로 본 시청자의 숫자라면, 연관 시청자 수는 시청자 정보를 통해 해당 광고 콘텐츠의 직접 수요층이나 타겟팅 수요층인 시청자가 몇 명이나 되는지를 나타낸다. 연관 시청자 수 역시 광고비 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쿠폰/수신 전달 모듈(127)은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로부터 현재 출력된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쿠폰을 수신하여 해당 시청자 단말(140)로 실시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청자 단말(140)은 이러한 쿠폰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쿠폰/수신 전달 모듈(127)은 광고 유효 히트 수에 상응하는 모든 시청자 단말(140)로 쿠폰을 전달할 수도 있고, 광고 유효 히트 수 중에서 연관 시청자 수에 대응되는 시청자 단말(140)로만 쿠폰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는 EPG 정보 송신 모듈(131),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2a), 방송 콘텐츠 송신 모듈(132b),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3a), 광고 콘텐츠 송신 모듈(133b), 실시간 시청률 송신 모듈(134), 실시간 출/도착 시간 송신 모듈(135),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136a), 광고비 산정 모듈(136b), 쿠폰 송신 모듈(13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EPG 정보 송신 모듈(131)은 EPG 정보를 미리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2a)는 방송사의 방송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 콘텐츠 송신 모듈(132b)은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2a)에 미리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3a)는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를 미리 저장해 놓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콘텐츠 송신 모듈(133b)은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33a)에 미리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시청률 송신 모듈(134)은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등의 실시간 시청률을 셋톱박스(12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간 출/도착 시간 송신 모듈(135)은 기차역이나 버스 터미널 등에서 기차나 버스의 출/도착 시간을 실시간으로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136a)은 광고 유효 히트 수를 셋톱박스(1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136a)은 광고 유효 히트 수 외에도 연관 시청자 수도 셋톱박스(12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고비 산정 모듈(136b)은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136a)에서 수신된 광고 유효 히트 수와 연관 시청자 수를 이용하여 광고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광고가 노출된 것에 기초하여 광고비를 산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광고비가 산출될 수 있다. 광고 유효 히트 수를 기반으로 하며 연관 시청자 수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관 시청자 수에는 2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광고 유효 히트 수에서 연관 시청자 수를 차감한 수에 대해서는 1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광고비 산정 모듈(136b)은 실시간 출/도착 시간 송신 모듈(135)의 실시간 출/도착 시간을 고려하여 광고비를 산정할 수 있다. 즉, 출/도착 20-30분쯤 전부터 출/도착 시간까지의 프라임 타임에는 기본적인 광고비를 2배로 설정하여 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쿠폰 송신 모듈(137)은 광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해당 광고의 광고 유효 히트 수 또는 연관 시청자 수에 상응하는 광고 쿠폰을 실시간으로 셋톱박스(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130)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셋톱박스(120)로 제공한다(S101).
다음으로, 셋톱박스(120)가 EPG 정보 및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고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한다(S102).
다음으로, 셋톱박스(120)가 EPG 정보 및 소정의 광고 콘텐츠 저장하고,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저장한다(S103).
다음으로, 셋톱박스(120)가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재생한다(S104).
여기서, 셋톱박스(12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방송 채널(channel)을 선택하여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셋톱박스(120)가 앞서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한다(S105).
이때, 셋톱박스(12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일시 중지하여 광고 시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광고 시간에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스케줄링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120: 셋톱박스
121: EPG 정보 수신 모듈
122a: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
122b: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
122c: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
123a: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
123b: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
123c: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
124: 방송 채널 제어 모듈
125: 광고 스케줄링 모듈
126a: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
126b: 실시간 출/도착 시간 수신 모듈
126c: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
126d: 카메라 모듈
126e: 안면 인식 모듈
126f: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
126g: 광고 유효 히트 송신 모듈
127: 쿠폰/수신 전달 모듈
130: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
131: EPG 정보 송신 모듈
132a: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32b: 방송 콘텐츠 송신 모듈
133a: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133b: 광고 콘텐츠 송신 모듈
134: 실시간 시청률 송신 모듈
135: 실시간 출/도착 시간 송신 모듈
136a: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
136b: 광고비 산정 모듈
137: 쿠폰 송신 모듈
140: 시청자 단말

Claims (6)

  1. 기차역 또는 버스 터미널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display);
    상기 기차역 또는 버스 터미널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상기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상기 셋톱박스로 제공하는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방송 콘텐츠 및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시청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시청자 단말은,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고, 상기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등록된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간단한 직업 정보, 관심 사항, 선호 채널, 선호 방송 콘텐츠, 선호 방송 콘텐츠 카테고리 및 선호 광고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시청자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셋톱박스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EPG(electronic program gudie) 정보를 미리 수신하는 EPG 정보 수신 모듈;
    상기 EPG 정보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EPG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는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
    타겟팅이 되는 광고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직업, 관심 사항 및 광고 카테고리의 태그(tag)가 미리 태깅(tagging)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를 미리 수신하는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수신 모듈에서 미리 수신된 광고 콘텐츠를 태그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
    상기 방송 콘텐츠가 재생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상기 방송 콘텐츠 재생 모듈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방송 채널 제어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 재생 모듈이 상기 광고 콘텐츠를 소정의 스케줄(schedule)에 따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광고 스케줄링 모듈;
    상기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로부터 현재 각 방송 채널 또는 각 방송 콘텐츠의 실시간 시청률을 실시간 수신하는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
    상기 기차역 또는 버스 터미널에서 출/도착하는 기차 또는 버스의 출/도착 시간을 상기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실시간 출/도착 시간 수신 모듈;
    상기 시청자 단말로부터 시청자의 성별, 나이, 지역, 간단한 직업 정보, 관심 사항, 선호 채널, 선호 방송 콘텐츠, 선호 방송 콘텐츠 카테고리 및 선호 광고 카테고리로 구성되는 시청자 정보를 자동으로 실시간 수신하여 수집하는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촬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향하여 바라보는 사람들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사람들을 안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소정 시간 이상 2개의 눈, 코, 입이 모두 포함된 안면이 인식되는 사람들을 시청 상태인 시청자로 인식하는 안면 인식 모듈;
    상기 안면 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시청자의 수를 카운트(count)하여 집계를 실시간 산출하는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
    상기 광고 스케줄링 모듈로부터 광고 유효 히트 수를 수신하여 상기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로 실시간 송신하는 광고 유효 히트 송신 모듈;
    상기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로부터 현재 출력된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쿠폰을 수신하여 해당 시청자 단말로 실시간 전달하는 쿠폰/수신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채널 제어 모듈은,
    상기 실시간 시청률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실시간 시청률에 따라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실시간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되어 수집되는 경우 수집되는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 또는 방송 콘텐츠를 실시간 선택하여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고 스케줄링 모듈은,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방송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재생을 일시 중지하여 광고 시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광고 시간에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실시간 스케줄링을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시간 출/도착 시간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출/도착 시간으로부터 30분 전부터 출/도착 시간까지의 시간을 공공장소 프라임 타임으로 자체 설정하여 광고 시간을 추가 확보하여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되어 수집되는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 저장 모듈에 태그와 대응되어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검색하여 상기 시청자 정보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태그의 광고 콘텐츠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고 스케줄링 모듈은,
    소정의 광고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시청자 수 카운트 모듈에 의해 실시간 산출되는 시청자의 수에 의해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 히트 수를 산출하여 상기 광고 유효 히트 송신 모듈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청자 정보 자동 수집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되어 수집되는 시청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유효 히트 수 중에서 상기 광고 콘텐츠와 연관성이 높은 연관 시청자 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공장소 셋톱박스용 방송/광고 서버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EPG 정보를 상기 셋톱박스로 미리 송신하는 EPG 정보 송신 모듈;
    방송사의 방송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는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방송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상기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방송 콘텐츠 송신 모듈;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광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광고 콘텐츠 송신 모듈;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의 실시간 시청률을 상기 셋톱박스로 실시간 송신하는 실시간 시청률 송신 모듈;
    상기 기차역 또는 버스 터미널의 기차 및 버스의 출/도착 시간을 실시간으로 상기 셋톱박스로 송신하는 실시간 출/도착 시간 송신 모듈;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광고 유효 히트 수를 실시간 수신하는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
    상기 광고 유효 히트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광고 유효 히트수를 이용하여 광고비를 산정하고, 상기 광고 유효 히트 수에 대해서는 1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비를 산정하고, 상기 광고 유효 히트 수 중에서 연관 시청자 수에 대해서는 2배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광고비를 산정하고, 상기 공공장소 프라임 타임에는 광고비를 2배로 산정하는 광고비 산정 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해당 광고의 유효 히트 수 또는 연관 시청자 수에 상응하는 광고 쿠폰을 상기 셋톱박스로 실시간 송신하는 쿠폰 송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1702A 2017-06-28 2017-06-28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78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02A KR101789550B1 (ko) 2017-06-28 2017-06-28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02A KR101789550B1 (ko) 2017-06-28 2017-06-28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550B1 true KR101789550B1 (ko) 2017-11-20

Family

ID=6080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02A KR101789550B1 (ko) 2017-06-28 2017-06-28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90A1 (ko) * 2019-05-03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의 제어방법
KR20220102247A (ko) 2021-01-13 2022-07-2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사용자 취향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90A1 (ko) * 2019-05-03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의 제어방법
US11620674B2 (en) 2019-05-03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erver
KR20220102247A (ko) 2021-01-13 2022-07-2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사용자 취향을 기반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6819B2 (en) Advertisement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video streams
US101169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ing in program streams
US7984466B2 (en)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video streams
EP1172000B1 (en)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video streams
US6820277B1 (en)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video streams
CA2544941C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and running video-on-demand advertising
US20070283384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argeted advertisements
US20040237102A1 (en) Advertisement substitution
AU2010287064B2 (en) Informational content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JP2009540770A (ja) キーワード検索に基づく媒体挿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554055A (zh) 基于客户忠诚度的系统网际协议电视广告投放机制
US86773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iable two-way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audiences using multiple media formats
EP1327356A1 (en) Push advertising model using multiple digital streams
US20070101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video programming to a user
KR101789550B1 (ko) 공공 장소의 셋톱 박스를 이용한 방송/광고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92803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viewing management server, viewing determination method, broadcasting system, viewing determina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EP2415255B1 (en) Content sub-item substitution
EP2698782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reception device, system, program, and method
WO2016093588A1 (ko) 방송 광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04201745B2 (en) Advertisement management considering subscriber characteristics
KR20100071414A (ko) 컨트롤 화면 연동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