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429B1 -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429B1
KR101789429B1 KR1020160078018A KR20160078018A KR101789429B1 KR 101789429 B1 KR101789429 B1 KR 101789429B1 KR 1020160078018 A KR1020160078018 A KR 1020160078018A KR 20160078018 A KR20160078018 A KR 20160078018A KR 101789429 B1 KR101789429 B1 KR 10178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w water
fiber
turbidity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준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429B1/ko
Priority to US15/629,402 priority patent/US10596495B2/en
Priority to CN201720735526.3U priority patent/CN207545923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429B1/ko
Priority to US16/791,045 priority patent/US111920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0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52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53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clearness or turbidity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from a mass of loose granular or fibrous material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0Brush filters ; Rotary brus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7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gas bubbles,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8Filter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s or pores
    • B01D2201/184Special form, dimension of the openings, pores of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186Pore openings which can be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선택적 여과가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함과 상기 상부함에 연통되는 하부함으로 이루어지는 외함과, 상기 상부함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측 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트레이너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사 여재 및 상기 하부함에 내장되어 제2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볼 여재를 포함하되,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상기 섬유볼 여재를 통과하는 제1 여과모드, 상기 섬유사 여재를 통과하는 제2 여과모드 또는 상기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를 모두 통과하는 제3 여과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Multistag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iltering}
본 발명은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선택적 여과가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오염된 원수를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 깨끗한 처리수로 만들어 공급하는 장치로서, 음용을 위한 식수 뿐 아니라 상하수나 공장용수의 처리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하천수나 공장폐수의 처리 또는 해수의 담수화 설비에 사용되는 여과장치는 처리수량의 확대와 수질의 개선을 위하여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수처리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멀티형(Multi type) 여과장치가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8460호 '멀티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정수장이나 수처리 플랜트 또는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여과기에서 생산된 물을 별도로 설치된 카트리지 필터를 통하여 재차 여과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설치부지가 많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요약하면, 위와 같은 경우 점유공간이나 설치공간이 매우 커져서 부지가 많이 필요하거나 소요비용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처리속도의 향상과 수질의 개선을 위해서 복수의 여과기를 이용하거나 동일 여과조 안에서 여러 단계(Multi Stage)를 거치도록 배열하여 장치를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122호 '일체형 수직 다단 섬유여과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일체형 수직 다단 섬유여과기는, 여과조 내부에 스트레이너를 중심으로 공극조절용 섬유여재가 형성되어 여과조 내부의 원수가 섬유여재를 통과하여 스트레이너로 유입되면 스트레이너 하단으로 배수하는 단위 섬유여과기 복수개를; 각 상단 단위 섬유여과기의 스트레이너 하단과 각 하단 단위 섬유여과기의 여과조 상단을 연통시켜 수직으로 적층시키고; 최상단 단위 섬유여과기의 여과조에는 외부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유입구를 형성시키고; 최하단 단위 섬유여과기의 스트레이너 하단은 여과수 배출관을 연통시켜 여과수를 외부 수조로 배수시킨다.
이 때, 원수는 여과조(10)의 최상단에 형성된 원수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어 다단의 섬유여재(20)를 모두 통과한 뒤 여과조(10)의 최하단에 형성된 여과수 배출관(12)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이다.
하지만,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의 수질은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 및 강우 시에는 원수 수질의 변동폭이 매우 크므로 항상 다단 여과가 필요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항상 모든 섬유여재를 통과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8122호 (2009.05.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수의 탁도 (turbidity)에 따라 선택적 여과가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함과 상기 상부함에 연통되는 하부함으로 이루어지는 외함과, 상기 상부함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측 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트레이너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사 여재 및 상기 하부함에 내장되어 제2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볼 여재를 포함하되,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상기 섬유볼 여재를 통과하는 제1 여과모드, 상기 섬유사 여재를 통과하는 제2 여과모드 또는 상기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를 모두 통과하는 제3 여과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1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며, 중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2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고, 고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3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함 하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 배관과, 상기 하부함 하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 배관 및 상기 하부함 상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 또는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3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볼 여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사 여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사 여재 및 상기 섬유볼 여재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에 따라 원수를 상기 제1 배관 또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유입되도록 제어하며, 중탁도 또는 고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중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는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고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는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따르면,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섬유사 여재의 1stage 여과, 섬유볼 여재의 1stage 여과 또는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의 2stage 여과를 선택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섬유 여재의 사용이 줄어들고, 교체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여과모드 변경으로 인한 역세수 물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후속공정인 역세수 처리 장치의 폐수처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약품 사용량과 슬러지량의 감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수직 다단 섬유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볼 여재의 1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사 여재의 1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의 2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볼 여재의 1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사 여재의 1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의 2stage 여과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원수는 여과를 위해 본 발명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유입되는 여과되기 전 상태의 유체를 지칭하는 것이며, 여과수는 여과된 상태로 본 발명의 다단 섬유여과장치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지칭한다.
하지만, 용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수는 이동경로나 상태에 따라서 여과수나 처리수 또는 배출수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지칭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는 개략적으로 상부함(100)과 상기 상부함(100)에 연통되는 하부함(200)으로 이루어지는 외함, 스트레이너(120), 제1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사 여재(140), 제2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볼 여재(220), 제1 배관(300), 제2 배관(400) 및 제3 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함은 복층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함(200)과 상기 하부함(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함(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함(100)과 하부함(200)은 원통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함(100)과 하부함(200)은 서로 연통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함(100)의 하부 일측에는 여과 시 원수(原水)가 유입되기 위한 제1 배관(300)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배관(300)은 여과 시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척 시에는 역세수가 배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세수가 배출되기 위한 배관이 상기 상부함(100)의 하부 타측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관(300)은,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가 설치된 원수 유입관(320) 및 역세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세수 배출 제어밸브(342)가 설치된 역세수 배출관(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여과 시 원수가 유입되어 오는 곳과 역세척 시 역세수가 배출되는 곳은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를 통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역세척 시에는 원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역세수 배출 제어밸브(342)를 통해 역세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여과 시에는 상기 상부함(100)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함(200)의 하부 일측에는 여과 시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 배관(400)이 연결된다. 상기 제2 배관(400)은 여과 시에 여과수가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척 시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배관(400)의 일부에는 제2 배관 제어밸브(402)가 구비되어 여과수의 배출량 또는 세척수의 유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함(200)의 하부 일측 또는 상기 제2 배관(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역세척 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1 공기 유입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 유입관(420)의 일부에는 제1 공기 유입 제어밸브(422)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부함(200)의 상부 일측에는 여과 시 원수가 유입 또는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3 배관(500)이 연결된다. 상기 제3 배관(500)은 여과 시에 원수가 유입 또는 여과수가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척 시에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배관(500)의 일부에는 제3 배관 제어밸브(502)가 구비되어 원수의 유입량 또는 여과수의 배출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함(200)의 상부 일측 또는 상기 제3 배관(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역세척 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기 유입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유입관(520)의 일부에는 제2 공기 유입 제어밸브(522)가 구비되어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함(100)의 상면에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 배출관(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세척 시 유입된 공기가 최상측의 공기 배출관(60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120)는 상기 상부함(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스트레이너의 상측은 폐쇄되고 하측은 개방된다. 상기 스트레이너(120)는 길다란 원통형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측벽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이 유출입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제1여층을 형성한다. 상기 섬유사 여재(140)의 상단은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섬유사 여재(140)의 하단은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측면부를 모두 감쌀 수 있도록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된다. 또한, 원수의 여과경로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섬유사 여재(140)를 여러 겹으로 형성하여 제1여층이 두텁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섬유사 다발로 형성된 것으로, 섬유사 소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등의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 이온 여과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플리에틸렌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전도성 섬유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압착 또는 이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섬유사 여재(140)의 공극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측고정수단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측고정수단이 상향이동하는 경우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당겨져 상기 스트레이너(120)에 압착되면서 공극의 크기는 줄어들게 되고, 상측고정수단이 하향이동하는 경우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인장력이 감소하면서 이완되어 공극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상기 상부함(100)과 하부함(200) 사이에는 분배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판은 원판으로 된 몸체에 균등한 크기의 분배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섬유사 여재(140)와 스트레이너(120)를 통과한 여과수가 상기 하부함(200)에 골고루 분산되어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하부에는 역세척 노즐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역세척 노즐부(122)는 제2 공기유입관(520)을 통해 상기 하부함(200)의 상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분사시킬 수 있으며, 상방으로 분사되는 공기와 물은 상기 섬유사 여재(140)의 하부를 흔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역세척수와 공기에 의해 마찰을 받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레이너(120)에서 배출되는 1차 여과수가 상기 하부함(200)의 외곽까지 넓게 분산되어 투입되도록, 상기 상부함(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부함(200)의 외곽면에 이르는 경사판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면도 상에서 볼 때 경사판은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섬유사 여재(140)를 통과한 여과수의 일부는 경사판의 내면을 따라 흐른 후에 분배판을 통해 상기 하부함(200)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섬유볼 여재(220)는 상기 하부함(20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제2여층을 형성한다. 상기 섬유볼 여재(220)는 솜 등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다공성 필터로, 상기 상부함(100)의 섬유사 여재(140)와 스트레이너(120)를 거친 1차 여과수를 2차로 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섬유볼 여재(220)는 단단하게 형성되는 심부와 심부에 연결되어 두터운 섬유층을 형성하는 표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10~50mm 범위의 직경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함(200)의 하면은 평판으로 형성되는 중앙부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외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스트레이너 노즐(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 노즐(240)은 상방으로 공기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섬유볼 여재(220)가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레이너 노즐(240)에서 공기 또는 물이 분출될 때 중앙부에서는 상측으로 향하고 외곽부에서는 하측으로 향하는 순환류가 형성되어 상기 섬유볼 여재(220)가 원활하게 섞이면서 골고루 세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여층의 표층은 다수개의 섬유볼 여재(220)가 섞이면서 임의로 자리하게 되어 장기간 여과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단 섬유여과장치는,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상기 섬유볼 여재(220)를 통과하는 제1 여과모드, 상기 섬유사 여재(140)를 통과하는 제2 여과모드 또는 상기 섬유사 여재(140) 및 섬유볼 여재(220)를 모두 통과하는 제3 여과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측정기(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탁도 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가 저탁도(low turbidity)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1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며, 중탁도(medium turbidity)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2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고, 고탁도(high turbidity)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3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된다.
다음으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의 제1 내지 제3 여과모드에 따른 여과작용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여과모드는 원수가 저탁도(low turbidity)일 경우 상기 섬유볼 여재(220)에 의해서만 여과되는 모드로, 상기 섬유사 여재(140)는 통과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여과모드에서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볼 여재(220)를 통과하며 여과처리 된 후 상기 제2 배관(400)을 통해 여과수가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는 원수의 유입을 위해 열린 상태가 되며,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 또한 여과수의 배출을 위해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2 여과모드는 원수가 중탁도(medium turbidity)일 경우 상기 섬유사 여재(140)에 의해서만 여과되는 모드로, 상기 섬유볼 여재(220)는 통과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여과모드에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300),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수 유입관(320)을 통해 유입되며, 이를 위해 상기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원수는 원수 유입관(320)의 외측에 형성된 펌프(미도시)를 통해 가압받아 상기 상부함(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해 상기 상부함(100)과 스트레이너(120) 사이의 공간에 저장되는 원수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원수는 상기 섬유사 여재(140)로 형성된 제1여층을 통과하며 여과처리된 후,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통공을 통해 스트레이너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섬유사 여재(140)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는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내벽 및 경사판의 내면을 타고 하부로 흐르거나 낙하하여 분배판에 이르게 된다. 다음, 상기 분배판에 다수개 형성된 분배홈을 통해 상기 하부함(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여과수가 상기 섬유볼 여재(220)를 통과하여 제2 배관(40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배출되어진다. 이 때,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함(200)의 내부에는 기존 여과모드에서 운전되었을 시 처리되었던 여과수 또는 처리될 물이 제2 여과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수위를 유지하며 남아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여과모드는 원수가 고탁도(high turbidity)일 경우 상기 섬유사 여재(140)와 섬유볼 여재(220)를 차례로 모두 통과하며 여과되는 모드로, 여과시간 및 여과량이 높아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여과모드에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300),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수 유입관(320)을 통해 유입되며, 이를 위해 상기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원수는 원수 유입관(320)의 외측에 형성된 펌프(미도시)를 통해 가압받아 상기 상부함(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해 상기 상부함(100)과 스트레이너(120) 사이의 공간에 저장되는 원수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원수는 상기 섬유사 여재(140)로 형성된 제1여층을 통과하며 1차로 여과처리된 후,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통공을 통해 스트레이너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섬유사 여재(140)에 의해 1차로 여과된 여과수는 상기 스트레이너(120)의 내벽 및 경사판의 내면을 타고 하부로 흐르거나 낙하하여 분배판에 이르게 된다. 다음, 상기 분배판에 다수개 형성된 분배홈을 통해 상기 하부함(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섬유볼 여재(220)로 이루어진 제2여층의 표층에 고르게 분배된다.
이 때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는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1차로 여과된 여과수가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하부함(200) 내에서 상기 섬유볼 여재(220)로 이루어진 제2여층을 통과하며 2차 여과처리된다. 2차 여과처리까지 완료된 여과수는 상기 제2 배관(40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단 섬유여과장치는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섬유사 여재의 1stage 여과, 섬유볼 여재의 1stage 여과 또는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의 2stage 여과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섬유 여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체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여과모드 변경으로 인한 역세수 물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후속공정인 역세수 처리 장치의 폐수처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약품 사용량과 슬러지량의 감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는, 상기 탁도 측정기(700)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에 따라 원수를 상기 제1 배관(300) 또는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측정기(700)에 연결되어, 탁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원수의 탁도(turbidity)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저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고, 중탁도 또는 고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관(300)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원수의 저탁도, 중탁도 및 고탁도를 나누는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이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를 개방하고, 상기 섬유볼 여재(220)를 통과하며 여과처리된 여과수가 상기 제2 배관(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 또한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원수가 중탁도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300),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수 유입관(32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를 개방하고, 상기 섬유사 여재(140)를 통과하며 여과처리된 여과수가 상기 제3 배관(5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를 개방함과 동시에 여과수가 상기 제2 배관(400)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는 닫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원수가 고탁도일 경우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300),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수 유입관(32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 제어밸브(322)를 개방하고, 상기 섬유사 여재(140)를 통과하며 1차로 여과처리된 여과수가 상기 하부함(2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섬유볼 여재(220)를 통과하며 2차로 여과된 후 상기 제2 배관(4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배관 제어밸브(502)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제2 배관 제어밸브(402)는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에 있어서, 역세척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섬유여과장치는 역세척 작용 또한 제1 및 제2 역세척 모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역세척 모드는 상기 섬유사 여재(140)와 섬유볼 여재(220)의 역세척이 모두 필요할 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함(200) 하부의 제2 배관(400)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상기 섬유볼 여재(220)가 1차로 세척되고, 수위가 상승한 세척수에 의해 상기 섬유사 여재(140)가 2차로 세척된 후 역세수가 상기 상부함(100) 하부의 제1 배관(3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역세척 모드는 상기 섬유사 여재(140)의 역세척만 필요할 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함(200) 상부의 제3 배관(500)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에 의해 상기 섬유사 여재(140)가 세척된 후 역세수가 상기 상부함(100) 하부의 제1 배관(3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상부함 120 : 스트레이너
122 : 역세척 노즐부 140 : 섬유사 여재
200 : 하부함 220 : 섬유볼 여재
240 : 스트레이너 노즐 300 : 제1 배관
320 : 원수 유입관 322 : 원수 유입 제어밸브
340 : 역세수 배출관 342 : 역세수 배출 제어밸브
400 : 제2 배관 402 : 제2 배관 제어밸브
420 : 제1 공기유입관 422 : 제1 공기 유입 제어밸브
500 : 제3 배관 502 : 제3 배관 제어밸브
520 : 제2 공기유입관 522 : 제2 공기 유입 제어밸브
600 : 공기배출관 700 : 탁도 측정기

Claims (12)

  1. 상부함과 상기 상부함에 연통되는 하부함으로 이루어지는 외함;
    상기 상부함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스트레이너;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 하측 고정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트레이너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사 여재;
    상기 하부함에 내장되어 제2여층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섬유볼 여재; 및
    상기 하부함 상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 또는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3 배관;을 포함하며,
    원수의 탁도(turbidity)에 따라 상기 섬유볼 여재를 통과하는 제1 여과모드, 상기 섬유사 여재를 통과하는 제2 여과모드 또는 상기 섬유사 여재 및 섬유볼 여재를 모두 통과하는 제3 여과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측정기;
    를 더 포함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1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며, 중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2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고, 고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제3 여과모드에 의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함 하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원수가 유입되기 위한 제1 배관; 및
    상기 하부함 하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여과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 배관;
    을 더 포함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볼 여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사 여재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여과모드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섬유사 여재 및 상기 섬유볼 여재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turbidity)에 따라 원수를 상기 제1 배관 또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탁도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유입되도록 제어하며, 중탁도 또는 고탁도일 경우에는 원수가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저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중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는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수가 고탁도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배관에 형성되어 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2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배관에 형성되어 여과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어밸브는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섬유여과장치.
KR1020160078018A 2016-06-22 2016-06-22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KR10178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8A KR101789429B1 (ko) 2016-06-22 2016-06-22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US15/629,402 US10596495B2 (en) 2016-06-22 2017-06-21 Multistag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iltering
CN201720735526.3U CN207545923U (zh) 2016-06-22 2017-06-22 多级纤维过滤装置
US16/791,045 US11192050B2 (en) 2016-06-22 2020-02-14 Multistag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ilt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8A KR101789429B1 (ko) 2016-06-22 2016-06-22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429B1 true KR101789429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18A KR101789429B1 (ko) 2016-06-22 2016-06-22 선택적 여과 가능한 다단 섬유여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96495B2 (ko)
KR (1) KR101789429B1 (ko)
CN (1) CN20754592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437B1 (ko) 2016-06-03 2017-10-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섬유여과장치
US11583788B1 (en) * 2022-01-18 2023-02-21 Theodore A. Kuepper Lightweight fibrous media (LFM) filter
CN114470891B (zh) * 2022-03-14 2023-05-23 厦门理工学院 变孔隙率滤芯过滤装置和基于该装置的过滤与反清洗方法
CN114797274A (zh) * 2022-06-27 2022-07-29 新乡市万和过滤技术股份公司 一种生活污水净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305A (ja) * 2005-10-05 2007-04-19 Japan Organo Co Ltd 浄水処理システム及び浄水処理方法
JP2013000629A (ja) * 2011-06-14 2013-01-07 Japan Organo Co Ltd 長繊維ろ過装置の逆洗方法および長繊維ろ過装置の逆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585A (en) * 1991-01-11 1993-09-14 Akitoshi Sugimoto Method of cleaning porous ceramic filters
KR100438460B1 (ko) 2003-08-30 2004-07-07 (주)성신엔지니어링 멀티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0813114B1 (ko) * 2007-12-13 2008-03-17 (주)성신엔지니어링 당김형 공극제어 섬유여과기
KR100898122B1 (ko) 2008-06-09 2009-05-15 (주)성신엔지니어링 일체형 수직 다단 섬유여과기
WO2010132859A1 (en) * 2009-05-14 2010-11-18 Omni Water Solutions Llc Self-contained portable multi-mod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WO2012133957A1 (ko) * 2011-03-25 2012-10-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KR101592329B1 (ko) 2013-12-31 2016-02-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섬유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305A (ja) * 2005-10-05 2007-04-19 Japan Organo Co Ltd 浄水処理システム及び浄水処理方法
JP2013000629A (ja) * 2011-06-14 2013-01-07 Japan Organo Co Ltd 長繊維ろ過装置の逆洗方法および長繊維ろ過装置の逆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92050B2 (en) 2021-12-07
US10596495B2 (en) 2020-03-24
US20200179838A1 (en) 2020-06-11
US20170368482A1 (en) 2017-12-28
CN207545923U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070B1 (en) Hybrid type fiber filtering apparatus
US11192050B2 (en) Multistag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iltering
EP2690070B1 (en) Dissolved-air flotation-type pretreatment apparatus
US4547286A (en) Water filtration process and apparatus having upflow filter with buoyant filter media and downflow filter with nonbuoyant filter media
KR101130521B1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397209B1 (en) Filte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679231B1 (ko) 3 fm 정밀여과장치
KR102532113B1 (ko) 물놀이장, 바닥분수, 계류에 적용되는 수처리용 정화시스템
KR101742563B1 (ko) 친환경 간이 하수종말처리장 구조
US11000787B2 (en) Fiber filtering apparatus
CN104755156B (zh) 除污膜组件的运转方法
KR100681715B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1913967B1 (ko) 섬유여과장치
KR100949058B1 (ko) 여과장치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623039B1 (ko) 다중 여과 장치
JP6692702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606917B1 (ko) 2단 압력 분배구조 및 비정형 다공성 플레이트 필터를 이용한 정밀여과장치
KR100592083B1 (ko) 가변 필터 여과장치
KR101582582B1 (ko) 수직형 완속여사실을 가지는 여과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395995Y1 (ko) 사이폰 원리를 이용한 역세정 방식의 정수 장치
KR20030076527A (ko)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진행되는 연속형 여과기
EP2915781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a saturator
WO2015092950A1 (ja) 上向流式濾過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