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69B1 -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9169B1 KR101789169B1 KR1020160045684A KR20160045684A KR101789169B1 KR 101789169 B1 KR101789169 B1 KR 101789169B1 KR 1020160045684 A KR1020160045684 A KR 1020160045684A KR 20160045684 A KR20160045684 A KR 20160045684A KR 101789169 B1 KR101789169 B1 KR 1017891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ght
- image
- light source
- targe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38—Optical sens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transmission measurements on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부, 상기 광 조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가시광선이 비투과되는 촬영 목표부를 포함하는 촬영 대상부, 상기 촬영 목표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상기 촬영 목표부에 조사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얻은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 대신 안전한 가시광선을 사용하여 치아 및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을 촬영하기 위한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방사선 촬영장치는 치과에 내원한 환자의 구강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진단장비 중 하나이다.
이러한 치과용 방사선 촬영장치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장비이므로 치아 진단이나 치료를 위한 교육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촬영장치에 사용되는 X선 등의 방사선은 고속으로 운동하는 입자의 흐름과 파장이 짧은 전자파에 해당하여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소량이나 적은 횟수로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교육 환경에서는 반복 촬영이 필수적이기에 교육생들의 방사선 노출에 의한 위해 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강화된 원자력법에 따라 교육용 방사선 발생장치 및 교육생들의 방사선 노출을 법적으로 제재하고 있으므로 치과 방사선 실습이 필요한 보건의료인력 관련 기관에서 방사선 실습에 많은 어려움과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치과 방사선 교육 시에 방사선 유해성을 피해서 안전하게 치과 방사선 촬영 장비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관련 장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359호(2015년 1월 2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치아촬영용 3면 스캐너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치과방사선 교육 시에 사용하는 X선 촬영장치의 반복 사용에 대한 방사선 유해성 우려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하게 치과실습용 촬영장치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부, 상기 광 조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가시광선이 비투과되는 촬영 목표부를 포함하는 촬영 대상부, 상기 촬영 목표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상기 촬영 목표부에 조사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얻은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 조사부는 광원을 포함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광 방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촬영 목표부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은 LED 또는 할로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 방향 조절부는 상기 광원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광원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목 거울 또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는 볼록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열부는 방열판 또는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촬영 대상부는 사람의 머리 형상을 가진 인체 모형이며, 상기 촬영 목표부는 상기 인체 모형에 장착된 치아 모형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촬영 대상부 또는 상기 촬영 목표부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촬영 목표부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 영상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획득부는 감광판 및 상기 감광판에 감지된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디지털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획득부는 반투막판 및 상기 반투막판의 후면에 비치는 그림자 영상을 얻기 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얻은 그림자 영상 정보를 반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상기 반전 처리된 영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방사선 노출로 인해 방사선 실습이 필요한 보건의료인력 관련 기관에서 방사선 실습에 많은 어려움과 제약을 받고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고 가시광선을 이용함에 따라 종래 치과방사선 교육 시에 사용하는 X선 촬영장치의 반복 사용에 대한 방사선 유해성 우려 및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거의 점광원에 해당하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x선에 비해서 비교적 크기가 큰 LED 또는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지만 오목 거울이나 볼록 렌즈로 강한 빛을 모아서 평행 광선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치아 영상을 비롯하여, 악관절, 두부규격(Cephalogram) 및 상하악 파노라마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대상부는 지지대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는 높이 조절부가 장착되어 촬영 대상부의 수직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촬영 대상부 또는 촬영 목표부는 탈착식 구조를 채용하여 실습 목표에 따라 성인용이나 소아용 등으로 구분해서 교환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대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대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130)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부(100), 상기 광 조사부(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베이스부(210)와 촬영 목표부(220)를 포함하는 촬영 대상부(200), 상기 촬영 목표부(2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영상 획득부(300), 상기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전방과 후방은 가시광선(130)의 진행 경로를 기준으로 하는 각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조사부(100)는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130)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이고, 광원(120)을 포함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내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선(130)이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광 방향 조절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원(120)은 가시광선(130)을 방출하는 장치로, 약 3000 Lux 이상의 강한 빛을 발생시키는 가시광선(130)을 방출할 수 있으며, 광원(120)의 크기가 작은 점 광원에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 LED 또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시광선(130) 중에서 투과성이 큰 600~700nm 파장의 적색광은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촬영 목표부(220)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시광선(130)의 조사시간은 다양하게 선택하여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에는 촬영 목표부(220)에 대한 그림자를 확인하기 위해 가시광선(130)이 계속적으로 켜져 있도록 선택하고, 치과용 촬영의 실습을 위해서는 가시광선(130)의 조사시간을 0.1~1초 사이에서 원활하게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광 조사부(100)는 가시광선(130)을 방출하는 광원(120)을 포함함에 따라 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가시광선(130) 조사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광 조사부(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에 장착되며 광원(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부는 방열판(150)이나 팬(151)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가시광선(130)은 촬영 대상부(200)를 지나 그림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림자를 더욱 선명하게 얻기 위해 5 Lux 이하의 비교적 어두운 실내에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 조사부(100)는 일반적인 방사선 발생 장치와 유사하게 이동이 용이한 기계식 구조물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광 방향 조절부(140)는 광원(120)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목 거울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20)의 전방에 위치하는 볼록 렌즈일 수 있다.
광 방향 조절부(140)가 오목 거울인 경우 광원(120)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방사되는 가시광선(130)은 오목 거울에 의해 반사되어 몸체부(110)의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조사될 수 있다.
광 방향 조절부(140)가 볼록 렌즈인 경우 광원(12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방사되는 가시광선(130)은 볼록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몸체부(110)의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오목 거울이나 볼록 렌즈는 가시광선(130)이 평행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광원(120)으로부터 적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적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의 점광원에 해당하는 광원(120)에서 발생하는 x선에 비해서 비교적 크기가 큰 LED 또는 할로겐 광원을 사용하지만 오목 거울이나 볼록 렌즈로 강한 빛을 모아서 평행 광선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치아 영상을 비롯하여, 악관절, 두부규격(Cephalogram) 및 상하악 파노라마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
촬영 대상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시광선(130)이 투과되는 베이스부(210)와 가시광선(130)이 비투과되는 촬영 목표부(220)를 포함하는데, 가시광선(130)이 촬영 목표부(220)를 비투과함에 따라 형성되는 그림자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평행하게 조사되는 가시광선(130)의 폭이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부(200)보다 약 1.5배 정도 클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광원(120)을 포함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의 내경(d)은 촬영 목표부(220)의 높이(h)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술한 파노라마 영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대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대상부(200)는 치과실습에 사용하기 위해 사람의 머리 형상을 가진 인체 모형 즉 마네킹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부(100)는 투과성이 높은 x선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가시광선(130)을 조사하므로 촬영 대상부(200)의 기질(matrix)에 해당하는 베이스부(210)는 가시광선(130)이 투과하는 투명 소재나 투과성 물질을 사용하며 목표 물체에 해당하는 촬영 목표부(220)는 가시광선(130)이 비투과되는 불투명 소재나 비투과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10)는 투명 소재로서 주물 제작이 용이하고 가벼운 아크릴이나 폴리스티렌 등의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고 치과방사선 실습에 필요한 촬영 목표부(220)는 불투명한 염료를 함유한 고분자나 금속 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210)는 비교적 빛의 굴절률이 낮은 소재를 사용하여 빛이 통과함에 따라 생성되는 그림자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에 필요한 촬영 목표부(220)는 치아뿐만 아니라 치근단 병소, 낭종, 종양, 골수염 등의 병소에서 나타나는 방사선 소견들과 유사한 그림자를 만드는 소재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악관절, 두부규격 및 상하악 파노라마 등의 비교적 큰 영상을 얻기 위한 마네킹에 해당하는 촬영 대상부(200)는 인체 구조와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바탕 기질에 해당하는 베이스부(210)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하고 촬영 목표부(220)에 해당하는 주요 해부학적 구조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하여 상기 촬영 목표부(220)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영상이 실제 방사선 촬영 영상과 유사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촬영 대상부(200)는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조각, 캐스팅, 부분 조합 또는 3차원 인쇄 등의 기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 대상부(200)의 표면은 빛의 반사를 최소로 하는 무광택 처리를 실시하여 빛의 반사에 의한 그림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촬영 대상부(200)는 목표 물체 혹은 목표 부위에 해당하는 촬영 목표부(2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투명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습 시에 현실감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가발이나 인공 피부 등의 인체 외부 형태를 재현하기 위한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영상 촬영 시 상기 부착물을 제거한 후에 촬영 목표부(220)의 영상을 얻을 필요가 있다.
사람의 머리 형상을 가진 인체 모형에 해당하는 촬영 대상부(200)와, 상기 인체 모형에 장착된 치아 모형에 해당하는 촬영 목표부(220)는 실제 방사선 촬영 시의 인체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기계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실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촬영 대상부(200)와 촬영 목표부(220)는 대부분 고정형으로 장착하므로 실습자가 상기 촬영 대상부(200)나 상기 촬영 목표부(220)의 위치를 바꾸거나 계측 시 압착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이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견고한 소재로 제조할 필요가 있다.
촬영 대상부(200)는 지지대(2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30)에는 높이 조절부(240)가 장착되어 촬영 대상부(200)의 수직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대상부(200) 또는 촬영 목표부(220)는 실습 목표에 따라 성인용이나 소아용 등으로 구분해서 교환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부(300)는 가시광선(130)이 촬영 대상부(200)에 조사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장치로, 기존 방사선 촬영장치가 감광 필름을 사용하거나 디지털 감광센서를 사용하여 영상을 얻는 것과 달리 가시광선(130)을 조사하여 촬영 목표부(220)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 영상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300)는 감광판 및 상기 감광판에 감지된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디지털 스캐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광판에 비춰진 그림자 영상을 디지털 스캐닝 장치에 의한 스캐닝 처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치아, 악관절, 두개골 및 악골 등의 촬영 목표부(220)의 크기에 따라 감광판의 크기 또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감광판에 가시광선(130)이 조사되는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장치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x선이 아닌 가시광선(130)을 사용하므로 감광판의 고정은 실습자의 손을 이용하여 할 수 있지만 실제와 유사한 방사선 촬영 시뮬레이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별도의 기계적 감광판 고정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부(300)는 반투막판 및 상기 반투막판의 후면에 비치는 그림자 영상을 얻기 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의 영상을 얻기 위한 감광판은 비교적 크기가 작고 구강 내에 위치하므로 그림자 영상의 처리를 위해서는 디지털 스캐닝 영상을 얻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지만, 악관절, 두부규격 및 상하악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에는 그림자 영상이 커져서 요구되는 감광판의 크기도 커지므로 제작에 어려움이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림자 영상을 감광판에서 스캐닝하기보다는 반투막 재질의 반투막 판을 사용하여 상기 반투막판의 후면에 비치는 그림자 영상을 디지털 촬영장치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부(400)는 영상 획득부(300)에서 얻은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영상 획득부(300)에서 얻은 영상 정보는 그림자 영상에 해당하며 실제 방사선 촬영 영상과 명암이 반대이므로 상기 영상 처리부(400)는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기 영상 획득부(300)에서 얻은 그림자 영상 정보를 반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반전 처리된 영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컴퓨터 영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300)에 조사되는 가시광선(130)의 조사시간은 초기에는 영상 조절을 위해 계속 켜져 있을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대략 0.1~1초 동안 가시광선(130)이 조사될 수 있다.
가시광선(130)이 항시 켜져 있을 때에는 영상 획득부(300)에 감지되는 영상을 동작영상으로 디스플레이부(500)에 재생하고 가시광선(130)이 조사되는 시간에는 그림자 영상을 충분히 얻기 위해 순간 스캐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영상이나 순간 스캐닝에 의한 순간 영상들은 컴퓨터 그래픽 영상으로 저장, 재생 및 복사 등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하드웨어 장치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 촬영 시 획득 영상 및 반전 영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대상부(200)를 지지대(230)에 고정한 다음 광 조사부(10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을 조사한다.
상기 가시광선은 상기 촬영 목표부(220)에 조사됨에 따라 그림자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촬영 목표부(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영상 획득부(300)는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림자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영상 획득부(300)에서 얻은 그림자 영상 정보는 영상 처리부(400)를 통해 반전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반전 처리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00)에 의해 도 6b 및 도 7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 조사부
110: 몸체부
120: 광원
130: 가시광선
140: 광 방향 조절부
150: 방열판
151: 팬
200: 촬영 대상부
210: 베이스부
220: 촬영 목표부
230: 지지대
240: 높이 조절부
300: 영상 획득부
400: 영상 처리부
500: 디스플레이부
110: 몸체부
120: 광원
130: 가시광선
140: 광 방향 조절부
150: 방열판
151: 팬
200: 촬영 대상부
210: 베이스부
220: 촬영 목표부
230: 지지대
240: 높이 조절부
300: 영상 획득부
400: 영상 처리부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 전방을 향해 가시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 조사부;
상기 광 조사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가시광선이 비투과되는 촬영 목표부를 포함하는 촬영 대상부;
상기 촬영 목표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가시광선이 상기 촬영 목표부에 조사됨에 따라 형성되는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얻은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촬영 목표부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 영상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광원을 포함하며 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내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선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광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경은 상기 촬영 목표부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또는 할로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 방향 조절부는 상기 광원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광원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목 거울 또는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는 볼록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방열판 또는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부는 사람의 머리 형상을 가진 인체 모형이며,
상기 촬영 목표부는 상기 인체 모형에 장착된 치아 모형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부 또는 상기 촬영 목표부는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감광판 및 상기 감광판에 감지된 영상 정보를 얻기 위한 디지털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반투막판 및 상기 반투막판의 후면에 비치는 그림자 영상을 얻기 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서 얻은 그림자 영상 정보를 반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는,
상기 반전 처리된 영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684A KR101789169B1 (ko) | 2016-04-14 | 2016-04-14 |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5684A KR101789169B1 (ko) | 2016-04-14 | 2016-04-14 |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9169B1 true KR101789169B1 (ko) | 2017-10-25 |
Family
ID=602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5684A KR101789169B1 (ko) | 2016-04-14 | 2016-04-14 |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916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273A (ko) | 2018-01-12 | 2019-07-22 | 이규원 | 의료용 촬영장치 |
-
2016
- 2016-04-14 KR KR1020160045684A patent/KR10178916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6273A (ko) | 2018-01-12 | 2019-07-22 | 이규원 | 의료용 촬영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941344T3 (es) | Procedimiento y sistema de modelización de la cinemática mandibular de un paciente | |
JP5554248B2 (ja) | 断層写真の作成方法 | |
Ramiro et al. | Digitalization in restorative dentistry | |
Silva et al. | The evolution of cephalometric diagnosis in orthodontics | |
Chinem et al. | Digital orthodontic radiographic set versu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 dose | |
Różyło-Kalinowska | Panoramic radiography in dentistry | |
Rozylo-Kalinowska | Imaging techniques in dental radiology: acquisition, anatom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adiographic images | |
JP5259873B1 (ja) | 顔面写真撮影装置、顔面写真撮影を行う際の頭部傾き測定方法ならびに顔面写真撮影およびx線撮影装置 | |
Cen et al. |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technology in dentistry: a narrative review | |
KR101789169B1 (ko) | 치과실습용 가시광선 촬영장치 | |
JP2005021661A5 (ko) | ||
Inscoe et al. |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for dental imaging | |
Chaves et al. | Evaluation of two stereophotogrametry software for 3D reconstruction of virtual facial models | |
Rozylo-Kalinowska et al. | Technical Errors and Artefacts in Dental Radiography | |
Apostolakis et al. | Use of CBCT and Low-Cost Additive Manufacturing in Implant Surgical Guide Fabrication. | |
McNamara et al. | The current status of 3D imaging in dental practice | |
Smith et al. | A comprehensive review of normal anatomic landmarks and artifacts as visualized on Panorex radiographs | |
Aps | Ultrasonic Imaging in Comparison to Other Imaging Modalities | |
Kolokitha et al. | Digital Orthodontic Systems | |
Freezer et al. | 3D facial and dento-alveolar imaging | |
Weems | Forensic dental radiography | |
Angelino et al. | Digital reconstruction of teeth using near-infrared light | |
Valappila et al. | Panoramic radiography: A review | |
Sahoo et al. | Advances in Cephalometry in Relation to the Shift in Soft Tissue Paradigm for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 |
Randazzo et al. | Digital Imaging in Orthodont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