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762B1 -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762B1
KR101788762B1 KR1020160077210A KR20160077210A KR101788762B1 KR 101788762 B1 KR101788762 B1 KR 101788762B1 KR 1020160077210 A KR1020160077210 A KR 1020160077210A KR 20160077210 A KR20160077210 A KR 20160077210A KR 101788762 B1 KR101788762 B1 KR 10178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cargo hold
pipe member
sloshing
pump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양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의 화물창 내 유동을 모사하여 펌프 타워를 이루는 파이프 부재에 설치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하중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복수개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LOSHING WEIGHT OF PUMP TOWER}
본 발명은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하중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상태로 운반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이산화탄소,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있다.
생산지와 소비처가 달라 운송이 필요한 경우, 대상물이 상온에서 원래 액상인 경우도 있으나, 운송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액화시켜 운송하기도 한다.
특히,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약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드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마찬가지로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 탱크(흔히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화물창이 포함된다.
슬로싱이란, 선박이 다양한 해상 상태에서 운동할 때 화물창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슬로싱에 의해 화물창의 벽면은 심한 충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부분적재시에 더 심하게 발생한다. 화물창에 액체화물이 약 30 내지 50 % 내외로 부분 적재된 경우, 슬로싱 하중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슬로싱 현상은 선박의 운항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므로, 해양 구조물 화물창 펌프 타워 설계시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 산정이 필요하다.
종래에 화물창 내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은 수치해석(CFD)을 통해 산정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수치해석은 6자유도 운동 모사시 일반 컴퓨터로 약 2-3달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선급에서 보다 다양한 조건(예를 들면, 파이프에 10개의 센서를 설치)에서 보다 긴 수치해석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수치해석이 아닌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5736호(2014.04.17)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모형의 화물창 내 유동을 모사하여 펌프 타워를 이루는 파이프 부재에 설치된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하중 계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복수개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부러지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나눈 복수의 세그먼트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상기 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모형의 화물창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부와, 상기 모형의 화물창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제 3 및 제 4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과 각 세그먼트별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곱하여 각 세그먼트별 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모형의 화물창은 아크릴이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리지드(rigid)한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및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나눠진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각 세그먼트별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을 모사하는 모션 플랫폼과, 상기 모션 플랫폼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각 세그먼트별 압력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및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는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압력 또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의해 계산된 하중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형의 화물창 내의 유동을 모사하여 모형의 화물창이 내부 운동으로부터 받는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을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수치해석이 아닌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펌프 타워가 받는 하중의 계산시간이 짧아져 해양 구조물 프로젝트별 대응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타워를 이루는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에 구부러지는 특성을 갖는 압력센서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형의 화물창 내에 설치된 펌프 타워를 이루는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하나의 파이프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파이프 부재의 i번째 세그먼트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형의 화물창 내에 설치된 펌프 타워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펌프 타워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는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는 장치이다. 슬로싱 모형 실험은 예를 들면 LNGC 화물창 내의 유동을 모사하여 화물창이 내부 유동으로부터 받는 압력을 계측하는 실험이다.
이러한 펌프 타워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는 모형의 화물창(10), 모형의 화물창(10)을 선박의 해상조건처럼 유동시키는 구동부(20), 모형의 화물창(10)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151)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15),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151)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설치된 감지부(152)를 포함하는 모형 장치(1)와, 모형 장치(1)내 감지부(152)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50)를 포함한다.
모형의 화물창(10)은 아크릴로 제작된다.
모형의 화물창(10)은 구동부(20)에 의해 선박의 6자유도 운동이 모사된다.
구동부(20)는 모형의 화물창(10)내의 유체 유동을 모사하기 위한 모션 플랫폼(21)과, 모션 플랫폼(21)을 원하는 모션대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20)에 의해 모형의 화물창(10)내에 슬로싱으로 인해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하중을 수치해석이 아닌, 슬로싱 모형 실험을 통해 계측할 수 있다.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슬로싱 하중은 모형의 화물창(10) 내에 위치하는 모형의 펌프 타워(15)를 이루는 파이프 부재(151)에 설치된 감지부(152)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근거로 하여 계산된다.
상술된 모형의 화물창(10) 내에 설치되는 모형의 펌프 타워(15)는 모형의 화물창(10) 내부의 화물, 예를 들면 LNG를 뽑아 올리고 내리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파이프 부재(1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3개의 파이프 부재(151)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파이프 부재(151) 중 가장 직경이 큰 파이프 부재를 감싸도록 감지부(152)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3개의 파이프 부재(151)에 감지부(152)가 설치되어 3개의 파이프 부재(151)에 설치된 감지부(152)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개의 파이프 부재(151)에 설치된 감지부(152)를 통하여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것은 신속하게 계산된 슬로싱 하중을 제공하지만, 3개의 파이프 부재(151)에 설치된 감지부(152)를 통하여 모형의 펌프 타워(15)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므로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151)에 설치되는 감지부(152)는 해당 파이프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부러지는(Flexbile) 압력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이프 부재(151)에 감지부(152)의 설치가 용이하다.
감지부(152)는 각 세그먼트 내부에 복수개 설치된다.
감지부(152)가 설치된 파이프 부재(151)는 이웃하는 파이프 부재보다 직경이 큰 파이프 부재이다.
이러한 감지부(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부재(15)를 수직방향으로 나눈 가상의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i -1, segmenti, segmenti + 1)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의 세그먼트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감지부(151)가 복수개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52)는 모형의 화물창(10)의 좌우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감지부(Pi,x,-, Pi,x)와, 모형의 화물창(10)의 전후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3 및 제 4 감지부(Pi,y,-, Pi,y,+ )를 포함한다.
중공의 파이프 부재(151) 내부는 제 1 내지 제 4 감지부(Pi,x ,-, Pi,x,+, Pi,y ,-, Pi,y,+)와 연결된 케이블의 통로이다.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내지 제 4 감지부(Pi,x ,-, Pi,x,+, Pi,y,-, Pi,y ,+)를 통해 모형의 화물창(10)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압력, 즉 파이프 부재(151)의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계측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의 화물창(10)의 상부에 고정된 파이프 부재(151)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눠진다. 여기서는 선급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파이프 부재(151)를 10개의 세그먼트로 나누고, 각 세그먼트별로 제 1 내지 제 4 감지부(Pi,x ,-, Pi,x,+, Pi,y ,-, Pi,y ,+)가 설치된다.
도 4에서는 파이프 부재(151)의 상단이 모형의 화물창(10) 천장에 고정되고, 파이프 부재(151)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지만, 미도시된 지지구조물이 파이프 부재(151)의 하단이 모형의 화물창(10)의 내벽면에 닿지 않도록 잡아준다.
파이프 부재(151)는 stainless, steel 등 리지드(rigid)한 재질일 수 있다.
도 4에는 3개의 파이프 부재 중에서 2개의 파이프 부재를 도시하고 있고, 2개의 파이프 부재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직경이 큰 파이프 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나눈 복수의 가상 세그먼트, 즉 제 1 내지 제 10 세그먼트(m1~m10)를 도시하고 있다.
시뮬레이터(50)는 이와 같은 제 1 내지 제 10 세그먼트(m1~m10)별로 각각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감지부(Pi,x ,-, Pi,x,+, Pi,y ,-, Pi,y ,+)를 통하여 감지된 세그먼트별 압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을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각 세그먼트가 받는 x축방향 및 y축 방향(평면)의 하중을 계산한다.
Figure 112016059763809-pat00001
Figure 112016059763809-pat00002
여기서, r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부재의 반지름이고, h는 해당 세그먼트의 높이이다. 파이프 부재의 반지름 및 세그먼트별 높이는 미리 설정된다. 설정된 파이프 부재의 반지름 및 세그먼트별 높이는 시뮬레이터(50)의 메모리(미도시) 또는 저장 모듈(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50)는 각 세그먼트가 받는 하중과 각 세그먼트의 거리, 즉 모형의 화물창(10)의 천장에 고정된 파이프 부재(151)의 위치로부터 각 세그먼트의 거리를 곱하여 각 세그먼트별 모멘트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 및 모멘트를 파이프 부재(151)의 강도 설계시 사용된다.
한편, 파이프 부재(15)에 설치된 감지부(152)를 통해 감지된 압력은 케이블(C)을 통해 데이터 수집 모듈(30)에서 수집되어 모니터링 장치(40) 및 시뮬레이터(50)에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0)는 각 세그먼트별로 감지된 압력, 시뮬레이터(50)로부터 수신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 및 모멘트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술된 시뮬레이터(50)는 상술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각 세그먼트별로 슬로싱으로 인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하중을 계산하여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을 모니터링 장치(40)에 보내어 화면상에 가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50)는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과 각 세그먼트별 거리를 이용하여 각 세그먼트별 모멘트를 계산하여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을 모니터링 장치(40)에 보내어 화면상에 가시화시킬 수 있다.
각 세그먼트별 거리는 모형의 화물창(10)의 천장에 고정된 파이프 부재(151)의 상단으로부터 각 세그먼트까지의 거리로, 미리 측정하여 메모리(미도시) 또는 저장 모듈(60)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터(50)를 통해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 및 모멘트를 모니터링 장치(40)에 가시화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시뮬레이터(5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가시화시킬 수도 있다.
저장 모듈(60)은 각 세그먼트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감지부(Pi,x ,-, Pi,x,+, Pi,y,-, Pi,y ,+)로부터 감지된 압력을 저장하고, 시뮬레이터(50)를 통해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 및 모멘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모형의 화물창 15 : 모형의 펌프 타워
151 : 파이프 부재 152 : 감지부
20 : 구동부 21 : 모션 플랫폼
25 : 모션 컨트롤러 30 : 데이터 수집모듈
40 : 모니터링 장치 50 : 시뮬레이터
60 : 저장 모듈

Claims (11)

  1.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복수개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나눈 복수의 세그먼트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파이프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구부러지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3. 삭제
  4.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복수개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상기 파이프 부재의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나눈 복수의 세그먼트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상기 감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모형의 화물창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감지부와, 상기 모형의 화물창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제 3 및 제 4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압력을 이용하여 계산된 각 세그먼트별 하중과 각 세그먼트별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곱하여 각 세그먼트별 모멘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형의 화물창은 아크릴이고, 상기 파이프 부재는 리지드(rigid)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8. 모형의 화물창;
    상기 모형의 화물창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형의 화물창을 유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모형의 화물창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로 이루어진 모형의 펌프 타워; 및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나눠진 복수개의 세그먼트를 각각 감싸도록 설치되어, 슬로싱으로 인해 각 세그먼트별 수평면 방향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선박의 6자유도 운동을 모사하는 모션 플랫폼과, 상기 모션 플랫폼을 제어하는 모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각 세그먼트별 압력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및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펌프 타워가 받는 슬로싱 하중을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을 통해 수집된 압력 또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의해 계산된 하중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하중을 계측하기 위한 모형 장치.
KR1020160077210A 2016-06-21 2016-06-21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KR10178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10A KR101788762B1 (ko) 2016-06-21 2016-06-21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210A KR101788762B1 (ko) 2016-06-21 2016-06-21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762B1 true KR101788762B1 (ko) 2017-11-15

Family

ID=6038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10A KR101788762B1 (ko) 2016-06-21 2016-06-21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762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Volume-of-Fluid based simulation method for wave impact problem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기체-액체 밀도차에 대한 슬로싱 충격압력의 실험적 고찰
독립형 화물창 내부의 슬로싱 하중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조선학회논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6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fuel savings, safe operation, and maintenance by real-time predictive monitoring and predictive controlling of aerodynamic and hydrodynamic environmental internal/external forces, hull stresses, motion with six degrees of freedom, and the location of marine structure
JP4221054B2 (ja) 操船および船舶係留支援方法並びにそのシステム
KR101529378B1 (ko)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운용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KR101529377B1 (ko) 실시간 해양 구조물에 대한 기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 운동 및 위치를 예측 모니터링 및 예측 제어함을 통한 연료절감, 안전운용 및 유지보수정보 제공 방법
Wang et al. Dynamic simulation of installation of the subsea cluster manifold by drilling pipe in deep water based on OrcaFlex
Ge et al. Experimental device for the study of liquid–solid coupled flutter instability of salt cavern leaching tubing
KR20130135721A (ko) 항해 또는 계류 중인 선박의 유체역학적 환경 내-외력, 선체 응력, 6자유도운동 및 표류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함을 통한 선박의 연료절감 및 안전운항 방법
US10974791B2 (en) Mooring line and riser stress and motion monitoring using platform-mounted motion sensors
KR101788762B1 (ko)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KR101884759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펌프 타워의 슬로싱 하중 계측 장치
W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dynamic responses of a deep-sea mining system
KR101623111B1 (ko) 시추장비 시뮬레이터 및 그의 시뮬레이션 방법
Kim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loshing load on LNG tanks for unrestricted filling operation
Kwon et al. Sloshing load assessments for a midscale single-row FLNG
Porter et al. Fluid-Pipe Interaction in Horizontal Gas-Liquid Flow
Eiken Pre-commissioning hose operations on the Valemon field in the North sea
RU2232344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течи жидкости или газа на участке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2522230U (zh) 一种液体连通水平测微器
Kim et al. A finite-element computation for three-dimensional problems of sloshing in LNG tank
Porciuncula et al. New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vertical center of gravity of in-service semisubmersibles: proposal and numerical assessment
Baek et al. Experimental approach to suppress two-phase flow in cryogenic liquid transfer process with the inverted U-bend pipe
Liang et al. Identification of slug flow in underwater compressed gas energy storage pipeline using pressure signals
KR20240042836A (ko) 선박용 액화가스 탱크 상태 모니터링 및 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ABD JALIL NUMERICAL STUDIES ON THE GAP RESONANCE OF FPSO AND SHUTTLE TANK SIDE BY SIDE DUE TO OCEAN EXCITING WAVES
Lu et al. A Practical Prediction Method of Sloshing Induced Impact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