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539B1 -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539B1
KR101788539B1 KR1020170006315A KR20170006315A KR101788539B1 KR 101788539 B1 KR101788539 B1 KR 101788539B1 KR 1020170006315 A KR1020170006315 A KR 1020170006315A KR 20170006315 A KR20170006315 A KR 20170006315A KR 101788539 B1 KR101788539 B1 KR 10178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ss prevention
loss
communication unit
electronic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석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근석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석, 김호영 filed Critical 김근석
Priority to KR102017000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전자 태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전자 태그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 및 인출된 전자 태그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일체로 결합되며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Loss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분실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개인 물품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585호에는 물품 분실방지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스마트폰은 거리측정모듈과 개별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한다. 거리측정모듈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각각이 다른 물품에 부착된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스티커와 데이터 세션을 연결하고, 스티커의 블루투스 칩 상호간의 거리를 결정하며, 스티커의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된 스티커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개별정보표시모듈은 스티커의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된 스티커가 존재하는 경우 알림통지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 뒤,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된 스티커에 해당하는 물품에 대한 분실 및 이격 상태인 이격 거리를 알림통지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를 통해 물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585호 (2013년 7월 22일 공개)
본 발명은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모바일 단말의 통신 자원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해 소지품에 부착되는 전자 태그가 모바일 단말의 통신 규격에 종속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소지품에 분실 방지용 전자 태그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자 태그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지품뿐만 아니라 소지품의 분실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모바일 단말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전자 태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전자 태그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 및 인출된 전자 태그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일체로 결합되며 분리 가능하다.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슬롯에 전자 태그의 삽입과 인출을 감지하는 슬롯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어부는 슬롯 감지부에 의해 전자 태그의 삽입이 감지되면 제 2 통신부를 비활성화하며, 전자 태그의 인출이 감지되면 제 2 통신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의 통신 및 충전용 단자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단말 커넥터일 수 있다. 또는 제 1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 2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와도 통신하고, 제어부는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하나 이상의 전자 태그, 및 모바일 단말에 일체로 결합되고 분리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 및 전자 태그와 각각 통신하는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전자 태그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 슬롯에 전자 태그의 삽입과 인출을 감지하는 슬롯 감지부,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전자 태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슬롯에서 인출된 전자 태그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로부터 통지된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분실 방지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어부는 분실방지 기능이 활성화된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 1 통신부와 물리적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제 1 통신부와의 무선 통신 세션이 형성되면 웨어러블 기기의 분실방지 기능을 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해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를 이용하므로 모바일 단말의 통신 자원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바, 소지가 용이하다.
또한, 소지품에 부착되는 전자 태그는 모바일 단말의 통신 규격에 종속될 필요가 없으며, 미사용할 경우에는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에 마련된 슬롯에 삽입하여 보관하면 되므로,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소지품뿐만 아니라 소지품의 분실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모바일 단말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 태그의 삽입 및 인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유선 케이블 연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전자 태그의 삽입 및 인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와 모바일 단말의 유선 케이블 연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이하에서는 ‘분실 방지 장치’라 한다)는 모바일 단말(3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실 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의 뒷면에 결합되는데, 양면 접착 스티커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분실 방지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슬롯(19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190)에는 전자 태그(200)가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분실 방지 장치(100)에는 네 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바, 네 개의 전자 태그(200)가 슬롯(190)들에 삽입 가능하다. 전자 태그(200)는 링 형태 또는 코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질 경우, 전자 태그(200)를 스마트 코인 또는 스마트 링이라 명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코인(또는 스마트 링)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홀은 고리용으로 이용가능하다. 전자 태그(200)는 슬롯(190)으로부터 인출도 가능하며, 인출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소지품에 부착 또는 부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부가라 함은 사용자의 지갑이나 핸드백 등에 단순히 넣어진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소지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분실 방지 장치(100)는 슬롯(190)에서 인출된 전자 태그(200)와 통신하고,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소지품의 분실 위험 여부를 판단하며, 분실 위험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단말(300)로 분실 위험이 있음을 통지한다. 이에, 모바일 단말(300)은 분실 위험을 통지받아 사용자에게 분실 위험 사실을 알린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300)은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 위험 사실을 알린다. 또한, 진동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분실 위험 사실을 알릴 수도 있다.
한편, 분실 방지 장치(100)는 슬롯(190)에 전자 태그(200)의 삽입 또는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는 슬롯(190)마다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 센서로는 외부 압력에 의해 스위칭, 즉 전자 태그(200)의 삽입에 따른 압력에 의해 스위칭되는 접촉 스위치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분실 방지 장치(100)는 감지 센서를 통해 전자 태그(200)가 슬롯(190)에 삽입되었는지 아니면 인출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삽입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에는 분실 방지 기능을 비활성화하며, 인출되었을 경우에는 분실 방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분실 방지 장치(100)는 단말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커넥터(130)는 USB 커넥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커넥터(130)는 모바일 단말(300)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충전 단자로 불리는 충전 및 통신용 단자와 유선 케이블(9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분실 방지 장치(100)는 단말 커넥터(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모바일 단말(300)로 전원을 공급하여 모바일 단말(300)을 충전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 방지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자 태그(200)와 분실 방지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300) 및 웨어러블 기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분실 방지 시스템이 반드시 이들 모두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분실 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전자 태그(200) 및 모바일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전자 태그(200)와의 통신 방식과 모바일 단말(300)과의 통신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분실 방지 장치(100)는 웨어러블 기기(400)와도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방지 장치(100)는 전자 태그(200)와의 통신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웨어러블 기기(400)와 통신한다.
전자 태그(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서,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출하거나, 주파수는 동일하되 고유의 태그 식별 정보(고유 ID)를 담은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전자 태그(200)로는 비콘(Beacon)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아이비콘(iBeaco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태그(200)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전원 스위치 조작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된다. 그리고 미사용중에는 분실 방지 장치(100)의 슬롯(190)에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는 소지품에 부착 또는 부가되어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에는 분실 방지 장치(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 또한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300)은 분실 방지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 연결된 분실 방지 장치(100)로부터 소지품 분실 위험을 통지받으면, 사용자에게 소지품 분실 위험을 알린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400)는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기기로서, 스마트 미러와 스마트 글래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웨어러블 기기(400)는 모바일 단말(300)과 무선 연결되어 연동하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어링된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400)는 분실 방지 장치(100)와도 무선 통신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비콘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 방지 장치(100)는 제 1 통신부(110)와 제 2 통신부(120)와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300)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며, 제 2 통신부(120)는 전자 태그(200)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부(110)는 단말 커넥터(130)이다. 도 6에서 단말 커넥터(130)가 제 1 통신부(110)와는 별도인 것처럼 구성되어 있으나, 제 1 통신부(110)는 사실상 단말 커넥터(130)일 수 있다. 이 경우, 분실 방지 장치(100)가 모바일 단말(300)에 결합되면, 분실 방지 장치(100)의 단말 커넥터(130)는 모바일 단말(300)의 충전 단자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분실 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과 유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3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는 블루투스 모듈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통신부(110)는 모바일 단말(300)과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통신 세션을 형성함에 의해 모바일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통신부(120)는 전자 태그(200)와의 통신을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통신부(120)는 비콘 수신기이다.
제어부(140)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하드웨어와, 하드웨어 기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들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분실 판단부(141)와 분실 통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실 기능 제어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다. 분실 판단부(141)는 슬롯(190)에서 인출된 전자 태그(200)와 제 2 통신부(120)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전자 태그(200)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참고로, 전자 태그(200)는 소지품에 부착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소지품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분실 판단부(141)는 소지품의 분실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실 판단부(141)는 소정 시간 동안 전자 태그(200)로부터 신호가 미수신되거나 전자 태그(200)로부터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그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일 경우에 소지품 분실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분실 통지부(142)는 분실 판단부(141)의 판단 결과 소지품 분실 위험이 있을 경우에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로 분실 위험이 있음을 통지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300)은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분실 위험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소지품 분실 위험이 있음을 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300)은 스피커 출력이나 화면 출력 또는 진동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소지품 분실 위험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추가로, 모바일 단말(300)은 웨어러블 기기(400)와 통신 세션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400)로 소지품 분실 위험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웨어러블 기기(400) 역시 사용자에게 소지품 분실 위험을 알림할 수 있다.
추가로, 분실 방지 장치(100)는 슬롯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롯 감지부(150)는 슬롯(190)에 전자 태그(200)가 삽입되는지 아니면 인출되는지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 감지부(150)는 슬롯(190)별로 마련된 전자 태그(200)의 삽입과 인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들을 포함한다. 슬롯 감지부(150)에 의해 슬롯(190)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 태그(200)의 인출이 감지될 경우, 분실 기능 제어부(143)는 분실 기능을 활성화 제어한다. 분실 기능 활성화 제어에는 제 2 통신부(120)의 활성화도 포함된다. 즉, 분실 기능 제어부(143)는 전자 태그(200)가 슬롯(190)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 2 통신부(120)를 비활성화시키며, 전자 태그(200)가 슬롯(190)으로부터 인출된 경우에만 제 2 통신부(120)를 활성화시킨다. 슬롯(190)이 복수일 경우, 분실 기능 제어부(143)는 모든 슬롯(190)에 전자 태그(200)들이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만 제 2 통신부(120)를 비활성화시키며, 하나의 슬롯(190)에서라도 전자 태그(200)가 인출된 경우에는 제 2 통신부(120)를 활성화시킨다.
상술한 제 2 통신부(120)는 웨어러블 기기(400)와도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기기(400)는 전자 태그(200)와 동일한 통신 방식을 갖는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400)는 비콘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의 분실 판단부(141)는 웨어러블 기기(400)와 제 2 통신부(120)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400)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분실 판단부(141) 입장에서는 통신 상대가 전자 태그(200)인지 아니면 웨어러블 기기(400)인지를 구분할 필요 없이 동일하게 분실 판단을 수행한다. 그리고 분실 통지부(142)는 분실 판단부(141)의 판단 결과에 따라 분실 위험 사실을 모바일 단말(300)로 통지하게 되며,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 세션이 형성된 웨어러블 기기(400)로 분실 위험 사실 통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분실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웨어러블 기기(400)의 알림을 통해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300)은 분실 방지 장치(100)의 제 1 통신부(110)와 물리적으로 통신 연결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등을 통해 무선 통신 세션이 형성될 경우에 한해 웨어러블 기기(400)의 분실 방지 기능을 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40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분실 방지 기능 활성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한하여 비콘을 활성화시킨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400)의 통신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분실 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단말 커넥터(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0)와 충전 회로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회로부(17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 단말 커넥터(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160)를 충전할 수 있으며, 반대로 배터리(160)의 전원을 단말 커넥터(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로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 추가로, 분실 방지 장치(100)는 외부 커넥터(180)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외부 커넥터(180)는 별도의 충전기와 연결되는 커넥터이다. 충전 회로부(170)는 충전기로부터 외부 커넥터(180)를 통해 공급된 전원으로 배터리(160)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공급 전원을 단말 커넥터(130)로 바이패스시켜 모바일 단말(300)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충전 회로부(170)는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슬롯(190)에 삽입된 전자 태그(2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전자 태그(200)가 슬롯(190)에 삽입되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110 : 제 1 통신부
120 : 제 2 통신부 130 : 단말 커넥터
140 : 제어부 141 : 분실 판단부
142 : 분실 통지부 143 : 분실 기능 제어부
150 : 슬롯 감지부 160 : 배터리
170 : 충전 회로부 180 : 외부 커넥터
190 : 슬롯 200 : 전자 태그
300 : 모바일 단말 400 : 웨어러블 기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모바일 단말;
    복수의 전자 태그; 및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며,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
    모바일 단말의 뒷면에 일체로 결합되고 분리 가능하며, 모바일 단말 및 전자 태그와 각각 통신하는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를 포함하고,
    모바일 단말의 뒷면에 결합된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
    전자 태그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복수의 슬롯;
    모바일 단말과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슬롯에서 인출된 전자 태그 및 분실방지 기능이 활성화된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슬롯에서 인출된 전자 태그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소지품으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어부는 분실방지 기능이 활성화된 웨어러블 기기와 제 2 통신부의 통신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로부터 일정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로 분실 위험을 통지하고,
    모바일 단말은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 1 통신부와 물리적으로 통신 연결되거나 제 1 통신부와의 무선 통신 세션이 형성되면 웨어러블 기기의 분실방지 기능을 활성화 제어하고,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 1 통신부로부터 분실 위험이 통지되면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림 및 웨어러블 기기로 전달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모바일 단말의 분실방지 기능 활성화 제어에 따라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의 제 2 통신부와의 통신을 위한 비컨을 활성화시켜 분실방지 기능을 활성화하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달된 분실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제 1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의 통신 및 충전용 단자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단말 커넥터인 분실 방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는 :
    슬롯에 전자 태그의 삽입과 인출을 감지하는 슬롯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슬롯 감지부에 의해 전자 태그의 삽입이 감지되면 제 2 통신부를 비활성화하며, 전자 태그의 인출이 감지되면 제 2 통신부를 활성화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06315A 2017-01-13 2017-01-13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78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15A KR101788539B1 (ko) 2017-01-13 2017-01-13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315A KR101788539B1 (ko) 2017-01-13 2017-01-13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539B1 true KR101788539B1 (ko) 2017-10-20

Family

ID=602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315A KR101788539B1 (ko) 2017-01-13 2017-01-13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53B1 (ko) * 2014-12-19 2016-04-01 현태순 분실방지태그 시스템
KR101608409B1 (ko) * 2015-02-04 2016-04-04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53B1 (ko) * 2014-12-19 2016-04-01 현태순 분실방지태그 시스템
KR101608409B1 (ko) * 2015-02-04 2016-04-04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지품 분실 방지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8895B1 (ja) 防犯システム
US202303949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wireless security range
US20200312107A1 (en) Wireless merchandise security system
US20220028233A1 (en) Security system with kill switch functionality
CN103858154A (zh) 接近度标签
US9374137B2 (en) Communication partner appliance with automatic send mode activation
US2011009216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proximity of a subject
KR20200027318A (ko) 무선 청소기 충전 거치대 및 그 충전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1018028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5075064A (zh) 无线电力发送单元、无线电力接收单元、以及控制方法
CN104978834A (zh) 一种防止物品丢失的提醒器和方法
KR20130061470A (ko) 물품 분실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08718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rsonal belongings
KR10177339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카드 타입 소지품 분실 방지 경보카드 및 그 장치
KR101788539B1 (ko) 외장형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546346B1 (ko) 휴대품 분실 예방 시스템
KR101984562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0664726B1 (ko) 휴대품 분실방지 시스템
KR20180003007U (ko)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카드
KR102329860B1 (ko) 가방에 수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1819683B1 (ko) 귀중품 분실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00026420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휴대품 분실 알림장치
KR20160099446A (ko) 모바일 단말 충전 방법
IES20090323A2 (en) The memory minder
IES85692Y1 (en) The memory m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