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94B1 -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94B1
KR101787394B1 KR1020170031270A KR20170031270A KR101787394B1 KR 101787394 B1 KR101787394 B1 KR 101787394B1 KR 1020170031270 A KR1020170031270 A KR 1020170031270A KR 20170031270 A KR20170031270 A KR 20170031270A KR 101787394 B1 KR101787394 B1 KR 10178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am
upper sheet
flame
gener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식
박민아
Original Assignee
박윤식
박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박민아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17003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4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32B2310/0445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폼이 적재되는 가공테이블과; 상기 가공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시트를 상기 폼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공급경로를 안내하는 시트안내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전방에서 상기 폼과 상기 상부시트의 결합면으로 화염을 가하는 화염발생파이프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여,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해 결합면이 용융된 상부시트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폼을 열융착시키는 시트가압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가공테이블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형성하는 이동프레임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HEAT PLATE BONDING APPARATUS FOR ELECTRIC MAT}
본 발명은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제조 후 A/S가 가능하도록 폼과 상부시트를 열융착에 의해 결합시키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판은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의 전기가 공급되는 어느 곳에서나 난방을 위해 사용된다. 전기장판은 거실이나, 침대 위에 펴서, 전기를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바닥을 따뜻하게 데운다. 전기장판은 기름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저렴한 에너지인 전기를 사용하므로 가정에서 난방보조기구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종래 전기장판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11-0080531호 "전기장판용 상부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장판,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전기장판은 부직포 망에 전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하고, 전선의 전면과 배면에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부시트와 전선 사이에는 쿠션을 위한 쿠션재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시트와 전선이 결합된 부직포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이렇게 접착제에 의해 상부시트와 부직포가 부착되면, 전기장판의 사용 중 전선에 문제가 생겨 상부시트와 부직포를 분리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즉, A/S를 위해 상부시트와 부직포를 분리하게 되면, 접착제의 접합력에 의해 분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제로 분리할 경우 전선에 손상을 입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전기장판은 A/S가 어려워 사용 과정에서 내부 전선 등에 문제가 발생되면, 새로운 전기장판으로 재구매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과정에서 내부 전선 등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상부시트와 폼을 분리하여 A/S가 가능하도록 상부시트와 폼을 열융착시킬 수 있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이 폼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되어 상부시트와 폼을 분리하더라도 전선이 손상을 입지 않게 되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장판용 폼에 상부시트를 열융착시키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는, 상기 폼이 적재되는 가공테이블과; 상기 가공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시트를 상기 폼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공급경로를 안내하는 시트안내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전방에서 상기 폼과 상기 상부시트의 결합면으로 화염을 가하는 화염발생파이프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여,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해 결합면이 용융된 상부시트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폼을 열융착시키는 시트가압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가공테이블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형성하는 이동프레임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의 표면에는 가스 방출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는 화염발생구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파이프지지레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화염발생파이프는 가스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와 상기 가스공급관 사이에는 가스 공급을 단속하는 가스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안내롤러는 상기 시트가압롤러와 상기 화염발생파이프 사이에서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시트는 일단은 상기 시트가압롤러의 하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안내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시트가압롤러의 상면으로 절곡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시트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시트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폼과 열융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는 화염발생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폼과 상부시트의 결합면이 용융되고, 이동되는 시트가압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열융착된다.
폼과 상부시트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므로, 종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제조된 전기장판과 비교할 때 사용 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후 내부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폼과 상부시트를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분리하더라도 전선이 폼 내부에 매립되므로 전선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의 구성 중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의 열융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에 의해 열융착되어 제조된 전기장판은 폼과, 폼의 내부에 매립되게 삽입된 전선과, 폼의 하부에 결합된 미끄럼방지부재와, 폼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폼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선은 폼의 내부에 전 영역이 매립되게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는 전선이 매립된 폼(11)과, 상부시트(17)의 결합영역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열융착시킨다. 합성수지재질의 폼(11)과 상부시트(17)는 열에 의해 결합면이 용융되어 압력이 가해지면 열융착된다.
이렇게 제조된 전기장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도중에 전선 등에 문제가 생길 경우, 폼(11)과 상부시트(17)의 분리가 가능하다. 특히, 전선이 폼(11)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되므로 상부시트(17)와 전선을 분리하더라도 전선이 손상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장판의 A/S가 가능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는 전선이 매립된 폼(11)이 적재되는 가공테이블(110)과, 가공테이블(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이동프레임(120)과 함께 이동되며 폼(11)과 상부시트(17) 사이의 결합영역으로 화염(F)을 분출하는 화염발생파이프(130)와, 화염발생파이프(130)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부시트(17)를 안내하는 시트안내롤러(140)와, 화염(F)에 노출된 폼(11)과 상부시트(17)를 가압하여 폼(11)과 상부시트(17)가 열융착되도록 하는 시트가압롤러(150)와, 이동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이동프레임이동수단(160)을 포함한다.
가공테이블(110)은 상면에 폼(11)이 적재되며, 상부시트(17)와 폼(11)이 열융착되도록 지지한다. 가공테이블(110)은 전기장판(10)에 사용되는 폼(11)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동프레임(120)은 가공테이블(110)을 따라 이동되며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 및 시트가압롤러(150)가 폼(11)을 지지한다. 이동프레임(120)의 이동에 의해 화염발생파이프(130)가 폼(11)과 상부시트(17)의 결합면에 순차적으로 화염(F)을 인가하여 폼(11)과 상부시트(17)가 열융착되도록 한다.
이동프레임(120)은 가공테이블(110)의 양측면에 한 쌍이 구비된다. 이동프레임(120)의 폭은 가공테이블(110)에 폼(11)이 적재되었을 때, 폼(11)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된다. 각각의 이동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121)와 보조바퀴(122)가 구비된다.
이동바퀴(121)는 각 이동프레임(120)의 전후에 한 쌍이 구비된다. 이동바퀴(121)는 이동프레임이동수단(16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가공테이블(110)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여 이동프레임(120)이 이동되도록 한다.
보조바퀴(122)는 이동프레임(120)에 일정길이 수직하게 연장되며, 가공테이블(110)의 측면과 접촉 회전된다. 한 쌍의 이동바퀴(121)에 결합된 보조바퀴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이 가공테이블(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가공테이블(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각 이동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롤러지지프레임(123)과, 한 쌍의 프레임승강레일(125)과, 한 쌍의 프레임승강레일(125)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이 구비된다.
롤러지지프레임(123)은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롤러지지프레임(123)은 이동프레임(120)의 전방에 수직하게 일정 면적 형성된다. 롤러지지프레임(123)에 화염발생파이프(130)의 파이프지지레버(133) 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가 롤러지지프레임(123)에 대해 상방향으로 회동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가 가공테이블(110)의 상면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승강레일(125)은 이동프레임(1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프레임승강레일(125)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레일이 형성되고,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이 삽입된다.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은 시트가압롤러(15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의 가운데 영역에는 가압롤러회전축(151)이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은 한 쌍의 프레임승강레일(125) 사이에 삽입된다. 가공테이블(110)의 상면에 폼(11)이 적재되면,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은 폼(11)의 두께만큼 프레임승강레일(125)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전기장판(10)에 사용되는 폼(11)의 두께가 다양하게 구비되므로, 폼(11)의 두께에 따라 가압롤러지지프레임(127)은 프레임승강레일(12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화염발생파이프(130)는 폼(11)과 상부시트(17)의 결합면에 화염(F)을 가하여 결합면이 용융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폼(11)과 상부시트(17)가 열융착될 수 있다.
화염발생파이프(130)는 가공테이블(110)에 가로방향으로 구비된다. 화염발생파이프(130)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120)에 파이프지지레버(13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화염발생파이프(130)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발생구(131)가 복수개 관통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가스공급관(137)이 연결된다. 가스공급관(137)과 화염발생파이프(130) 사이에는 가스밸브(135)가 구비된다.
작업자가 가스밸브(135)를 개방하면 가스가 화염발생파이프(130)로 공급되고, 복수개의 화염발생구(131)로 가스가 배출된다. 이 때, 작업자가 일측 단부의 화염발생구(131)로 불을 붙이면 전체 화염발생파이프(130)의 화염발생구(131)에 화염(F)이 발생하게 된다.
화염발생구(131)는 폼(11)의 상면과 상부시트(17)의 배면으로 화염(F)이 발생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F)이 폼(11)의 상면과 상부시트(17)의 배면으로 인가되고, 합성수지 재질의 폼(11)과 상부시트(17)의 배면이 일정범위 용융된다.
파이프지지레버(133)는 제1회동축(133a)에 의해 롤러지지프레임(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업자는 대기상태에서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지지레버(133)를 상부로 회동시켜 위치시키고, 폼(11)과 상부시트(17)의 융착을 위해서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지지레버(133)를 하부로 회동시켜 위치시킨다.
시트안내롤러(140)는 화염발생파이프(1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부시트(17)가 일정길이만큼만 화염(F)과 접촉되도록 상부시트(17)를 공급경로를 안내한다.
시트안내롤러(140)는 상부시트(17)가 폼(11)의 상부로 공급될 때, 상부시트(17)의 끝단부터 선단으로 이동프레임(120)이 이동되는 거리만큼만 공급되도록 상부시트(17)의 공급길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시트안내롤러(140)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가압롤러(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시트(17)의 하부를 지지한다.
시트안내롤러(1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조롤러(141)가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복수개의 보조롤러(1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안내롤러(140)와 함께 상부시트(17)의 공급경로를 형성하여, 상부시트(17) 전체가 한꺼번에 폼(11)의 상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트안내롤러(140)와 보조롤러(141)는 시트가압롤러(150)의 하부로 이미 공급되어 폼(11)과 결합된 상부시트(17)의 결합영역과, 상부시트(17)에서 아직 공급되지 않는 미공급 영역을 "C"자 형태로 절곡되도록 상부시트(17)의 배면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이 이동된 만큼의 상부시트(17)만 시트가압롤러(150)의 가압력에 의해 공급되면서 폼(11)과 결합될 수 있다.
시트안내롤러(140)는 안내롤러지지레버(143)에 의해 롤러지지프레임(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안내롤러지지레버(143)는 제2회동축(143a)에 의해 롤러지지프레임(1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프레임이동수단(160)은 이동프레임(120)을 가공테이블(110)을 따라 이동시켜 시트가압롤러(150)가 상부시트(17)를 가압하며 회전되도록 한다. 이동프레임(120)의 이동속도에 의해 시트가압롤러(150)가 회전하며 이동되고, 시트가압롤러(150)의 회전압력에 의해 상부시트(17)가 폼(11)과 압착되며 열융착된다.
이동프레임이동수단(16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이동수단(160)은 가공테이블(11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이송체인(161)과, 한 쌍의 이송체인(161)이 회전되도록 가공테이블(110)의 양단에 구비된 체인구동롤러(163)와, 체인구동롤러(163)에 결합되어 체인구동롤러(163)를 구동시키는 체인구동모터(165)를 포함한다.
이송체인(161)의 양단(161a,161b)은 이동프레임(12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이송체인(161)이 체인구동롤러(163)에 의해 회전되면, 이송체인(161)에 결합된 이동프레임(120)이 가공테이블(1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부시트(17)와 폼(11)을 열융착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100)는 도 2 및 도 3의 상태로 유지된다. 즉, 가공테이블(110)의 상면에 폼(11)이 적재되지 않으면,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는 롤러지지프레임(123)에 대해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가공테이블(110)의 상부에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폼(11)을 적재한다. 그리고, 상부시트(17)이 후단을 시트가압롤러(150)의 하부로 삽입하고, 상부시트(17)의 나머지 영역을 시트안내롤러(140)의 내측으로부터 시트가압롤러(150)의 상방향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화염발생파이프(130)를 가공테이블(110)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가스밸브(135)를 개방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발생구(131)로 불을 붙여 복수개의 화염발생구(131)에서 화염(F)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시트안내롤러(140)를 하부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화염(F)이 폼(11)의 상면과 상부시트(17)의 배면으로 열을 가한다. 열에 의해 폼(11)의 상면과 상부시트(17)의 배면이 열에 의해 일정 부분 용융된다.
체인구동모터(165)가 구동되면서 이송체인(161)이 이동되고, 이송체인(161)에 결합된 이동프레임(120)이 가공테이블(110)의 선단으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120)의 이동에 의해 시트가압롤러(150)가 회전하며 가공테이블(110)의 선단으로 이동된다. 시트가압롤러(150)의 회전하면서 상부시트(17)를 가압하고, 용융된 상부시트(17)와 폼(11)은 서로 열융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동프레임(120)이 가공테이블(110)의 선단으로 조금씩 움직이고, 상부시트(17)와 폼(11)이 천천히 열융착된다. 이 때, 상부시트(17)는 시트안내롤러(140)와 보조롤러(141)에 의해 절곡되어 한꺼번에 폼(11)으로 공급되지 않고 시트가압롤러(150)가 회전하는 만큼만 공급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17)의 선단(17a)까지 보조롤러(141)에 의해 지지되어 폼(11)에 완전히 융착될 수 있다.
폼(11)과 상부시트(17)의 열융착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가스밸브(135)를 닫아 화염(F)을 끈다. 그리고, 화염발생파이프(130)와 시트안내롤러(140)를 다시 도 2와 같이 상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열융착된 폼(11)과 상부시트(17)를 가공테이블(110)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폼(11)과 상부시트(17)를 각각 공급한다.
이렇게 열융착된 폼(11)과 상부시트(17)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므로, 추후 전기장판의 사용 중에 고장이 발생되어 폼(11)과 상부시트(17)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결합영역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폼(11) 내부에 전선이 매립되게 형성되므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는 화염발생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폼과 상부시트의 결합면이 용융되고, 이동되는 시트가압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열융착된다.
폼과 상부시트가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므로, 종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제조된 전기장판과 비교할 때 사용 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후 내부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폼과 상부시트를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분리하더라도 전선이 폼 내부에 매립되므로 전선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110 : 가공테이블
120 : 이동프레임 121 : 이동바퀴
122 : 보조바퀴 123 : 롤러지지프레임
125 : 프레임승강레일 127 : 가압롤러지지프레임
130 : 화염발생파이프 131 : 화염발생구
133 : 파이프지지레버 133a : 제1회동축
135 : 가스밸브 137 : 가스공급관
140 : 시트안내롤러 141 : 보조롤러
143 : 안내롤러지지레버 143a : 제2회동축
150 : 시트가압롤러 151 : 가압롤러회전축
160 : 이동프레임이동수단 161 : 이송체인
163 : 체인구동롤러 165 : 체인구동모터

Claims (3)

  1. 전기장판용 폼에 상부시트를 열융착시키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폼이 적재되는 가공테이블과;
    상기 가공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시트를 상기 폼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시트의 공급경로를 안내하는 시트안내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하 회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전방에서 상기 폼과 상기 상부시트의 결합면으로 화염을 가하는 화염발생파이프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기 시트안내롤러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여,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해 결합면이 용융된 상부시트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폼을 열융착시키는 시트가압롤러와;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가공테이블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형성하는 이동프레임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안내롤러는 상기 시트가압롤러와 상기 화염발생파이프 사이에서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시트는 일단은 상기 시트가압롤러의 하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안내롤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시트가압롤러의 상면으로 절곡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시트가압롤러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시트는 후단에서 선단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폼과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의 표면에는 가스 방출에 의해 화염이 발생되는 화염발생구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의 양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파이프지지레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화염발생파이프는 가스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화염발생파이프와 상기 가스공급관 사이에는 가스 공급을 단속하는 가스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3. 삭제
KR1020170031270A 2017-03-13 2017-03-13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KR10178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70A KR101787394B1 (ko) 2017-03-13 2017-03-13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70A KR101787394B1 (ko) 2017-03-13 2017-03-13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94B1 true KR101787394B1 (ko) 2017-10-19

Family

ID=6029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70A KR101787394B1 (ko) 2017-03-13 2017-03-13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3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88B1 (ko) * 2016-04-07 2016-07-20 원진산업 주식회사 쿠션 카페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288B1 (ko) * 2016-04-07 2016-07-20 원진산업 주식회사 쿠션 카페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95B1 (ko) 전선매립형 전기장판 제조방법
US20110083787A1 (en) Method of impulse welding non-waterproof, digitally printable fabrics
US44901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polymeric webs
CN102917861A (zh) 热塑性合成树脂制立体装饰片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EP257838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multilayer plastic-material insulating boards with high thickness
JP5743884B2 (ja) 伸張されたプラスチック小バンドからなる織物を有する、袋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9202455A (ja) 断熱材表皮被覆装置
KR101787394B1 (ko) 전기장판용 열융착장치
JP417195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イルムと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の複合フイルムを被融着板材に熱融着する融着方法及びその熱融着機
JP3789908B2 (ja) シート様プラスチック材料のオーバーラップ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CN215034274U (zh) 一种叠瓦电池串汇流条焊接装置
KR101447350B1 (ko)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US3796625A (en) Butt splicing thermoplastic sheeting
JP3763015B2 (ja) 折畳箱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製造装置
KR101270720B1 (ko)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JP5834013B2 (ja) 電磁誘導加熱接着装置
JP2011101966A (ja) 合成樹脂シートのシール加工方法、袋の製造方法、シール加工装置、及び袋製造設備
JPH03266630A (ja) 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の接合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段ボールの接合装置
US69079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joining sections of thermoplastic continuous web material
KR101484672B1 (ko) 근적외선 히터를 적용한 가죽 라미네이팅 장치
KR20110087120A (ko) 롤형 종이백 제조 방법
JPH0511749B2 (ko)
JP2000158538A (ja) 樹脂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14820964U (zh) 一种热熔压膜机
JP3921632B2 (ja) シート材の接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