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78B1 -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78B1
KR101787378B1 KR1020170062159A KR20170062159A KR101787378B1 KR 101787378 B1 KR101787378 B1 KR 101787378B1 KR 1020170062159 A KR1020170062159 A KR 1020170062159A KR 20170062159 A KR20170062159 A KR 20170062159A KR 101787378 B1 KR101787378 B1 KR 10178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gas
container
medicine
openin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기병윤
김슬지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06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78B1/ko
Priority to PCT/KR2018/003999 priority patent/WO2018212454A1/en
Priority to EP18801788.3A priority patent/EP3624881A1/en
Priority to CN201880033208.XA priority patent/CN110650765A/zh
Priority to JP2020514478A priority patent/JP2020520295A/ja
Priority to US16/614,759 priority patent/US202001796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3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 compressed gas container, e.g. a nitrogen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94Gun with a container which, in normal use, is located above the gu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18Gas operated
    • A61M2205/8225Gas operated using incorporated gas cartridges for the driv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압축가스를 약제용기에 공급하여 약제용기 내의 약제를 배출시키는 약제 분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가스가 수용된 압축가스용기가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가스용기로부터의 상기 압축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압축가스 게이트;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전달하는 압축가스 전달부; 및 약제용기가 결합되고, 상기 압축가스 전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약제용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압축가스와 상기 약제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적어도 일부를 약제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본 발명은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압축가스를 약제용기에 공급하여 약제용기 내의 약제를 배출시키는 약제 분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는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약제를 신체 부위에 분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례로, 수술부위나 환부에 약제를 도포하기 위한 약제 분사 장치가 있다.
약제 분사 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589호(2013.06.10 공개)는 약제 수용 공간의 약제를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약제 분사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5012호(2012.12.12. 공개)는 제어패널의 제어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압축기를 구비하여 약제를 상처 부위에 도포하는 의료용 약제 분사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종래 약제 분사 장치는 약제 배출구로 배출되는 약제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약제 분사 장치는 약제가 배출되는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약제 분사 장치는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배출부를 통해 분사되는 약제의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펜싱 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약제의 분사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축가스용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약제를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축가스가 수용된 압축가스용기가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가스용기로부터의 상기 압축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압축가스 게이트;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전달하는 압축가스 전달부; 및 약제용기가 결합되고, 상기 압축가스 전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약제용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압축가스와 상기 약제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적어도 일부를 약제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서 형성되고 상기 압축가스용기를 수용하는 가스용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는 수용부캡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캡은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 결합시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압축가스용기는 상기 수용부캡의 접촉에 따라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캡의 단부에는 캡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캡의 결합시 상기 캡후크를 고정시키는 수용부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의 용기결합면에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스유입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유입핀은 중심부에 상기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유입로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가스용기마개와 접촉하여 상기 가스용기마개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의 용기결합면과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가스용기마개 사이에 배치되는 유출방지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출방지실링은 압축가스가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로 공급될 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 내부에 형성되는 압축가스통로; 및 상기 누름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가스통로를 가로지르는 개폐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로드가 이동하여 상기 압축가스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로드는 상기 개폐로드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폐로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로드는 일단부에 계단형의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로드는 상기 다수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면서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로드와 접촉하는 조절캠; 및 상기 조절캠과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다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캠 및 상기 회전다이얼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식별표시를 구비하는 식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식별표시중 하나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의 일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약제용기와 연결되는 약제용기연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내측면이 상기 약제용기연결부 및 약제용기목부의 외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약제용기를 고정시키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의 형태는 상기 약제용기연결부 및 상기 약제용기목부의 형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약제 배출부 및 약제용기연결부의 형태가 각각 다른 복수의 상기 디스펜싱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회전방식의 회전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절장치는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가스 게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절부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분사되는 약제의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펜싱 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디스펜싱 유닛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약제 분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동작의 필요 없이 압축가스용기가 케이스에 결합하면서 압축가스가 압축가스 게이트에 공급되므로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용기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 게이트 및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 게이트 및 조절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회전다이얼의 회전에 따른 압축가스 게이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디스펜싱 유닛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100)는 케이스(110), 압축가스 게이트(120), 압축가스 전달부(140) 및 디스펜싱 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에는 압축가스용기(131)를 수용하기 위한 가스용기 수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압축가스 게이트(120) 및 압축가스 전달부(140)가 구비되고, 케이스(110)의 일측에서 가스용기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약제용기(163)와 연결되는 디스펜싱 유닛(160)은 케이스의 타측에서 결합된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압축가스용기(131)는 압축가스 게이트(120)에 결합되고, 압축가스 게이트(120)는 압축가스 전달부(140)와 연결되며, 압축가스 전달부(140)는 디스펜싱 유닛(160)과 연결된다.
약제 분사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가스용기(131) 내에 있는 압축가스는 압축가스 게이트(120) 내부로 공급된다. 압축가스 게이트(120)는 압축가스 게이트(120) 내부로 공급된 압축가스의 압축가스 전달부(140)를 향한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압축가스 게이트(120)가 압축가스 전달부(140)로 압축가스를 공급하면, 압축가스 전달부(140)는 압축가스를 디스펜싱 유닛(160)으로 공급한다. 디스펜싱 유닛(160)은 공급된 압축가스를 약제용기(163)로 공급하고, 공급된 압축가스에 의해 내부압력이 높아진 약제용기(163)는 약제와 압축가스를 약제 배출부(168)로 배출한다.
케이스(110)는 약제 분사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가 케이스(110)에 내장 또는 결합된다.
케이스(110)에는 가스용기 수용부(130), 손잡이부(111), 보호유닛(112)이 형성된다.
손잡이부(111)는 한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외부에 누름버튼(123)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보호유닛(112)은 손잡이부(111)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손잡이부(111)를 보호하여 누름버튼(123)이 외부 물체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용기 수용부(130)는 손잡이부(1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성형이 쉽고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가스 전달부(14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달호스(144)와 노즐(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호스(144)는 압축가스 게이트(120)의 상부 및 노즐(142)과 연결되고, 노즐(142)은 디스펜싱 유닛(160) 및 커넥터(166)와 결합한다.
압축가스 전달부(140)는 압축가스 게이트(120)로부터 공급된 압축가스를 디스펜싱 유닛(160)으로 공급한다. 전달호스(144)는 실리콘 재질의 호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용기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여 가스용기 수용부(130) 및 압축가스용기(131)의 결합을 설명한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에는 압축가스용기(131)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개방된 단부가 형성된다. 또한, 가스용기 수용부(130)는 수용부캡(1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용기 수용부(130)는 압축가스용기(131)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및 개방된 단부를 구비하여, 압축가스용기(131)의 수용 및 배출이 가능하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개방된 단부에는 수용부캡(132)이 결합할 수 있다. 수용부캡(132)은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개방된 단부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130)는 원통형이 될 수 있다. 수용부캡(132)은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와 수용부캡(132)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회전동작에 의한 결합에 적합할 수 있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길이는 압축가스용기(131)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에 수용부캡(132)이 결합되면 수용부캡(132)은 압축가스용기(131)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압축가스용기(131)를 밀어 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압축가스용기(131)는 압축가스 게이트(12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캡(132)을 가스용기 수용부(130)에 결합하는 동작으로 압축가스용기(13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길이는 압축가스 게이트(120)의 용기결합면(129)부터 수용부캡(132)이 압축가스용기(131)와 접촉하는 부분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수용부캡(132)의 단부에는 캡후크(134)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130)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캡(132)의 결합시 상기 캡후크(134)와 결합하는 수용부후크(136)가 구비된다.
캡후크(134)는 수용부캡(132)의 개구부에서 형성되고, 수용부후크(136)는 수용부캡(132)이 가스용기 수용부(130)와 결합을 완료 하였을 때 캡후크(134)의 하단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수용부캡(132)이 가스용기 수용부(130)와 결합을 완료할 때, 캡후크(134)는 수용부후크(136)의 측면에서 연장된 후크돌기(136a)를 넘어 수용부후크(136)와 결합한다. 수용부캡(132)이 가스용기 수용부(130)와 결합을 해제할 때, 캡후크(134)는 후크돌기(136a)를 넘어야 해제동작이 시작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따라, 수용부캡(132)의 결합 완료를 잘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수용부캡(132)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한다.
압축가스 게이트(120)의 일측에는 용기결합면(129)이 형성되고, 가스유입핀(121)은 용기결합면(129)에서 압축가스용기(131)를 향하여 연장하여 형성된다.
압축가스용기(131)가 용기결합면(129)에 결합하면, 가스유입핀(121)은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와 접촉하여 가스용기마개(131a)를 관통한다.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는 용기결합면(129)과 압축가스용기(131)가 결합되기 전에는 폐쇄된 상태이지만, 용기결합면(129)과 압축가스용기(131)가 결합하면서 가스유입핀(121)과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가 접촉하게 되고, 접촉에 따라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는 파쇄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가스유입핀(121)에는 중심부에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유입로(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압축가스용기(131) 내의 압축가스는 가스용기마개(131a)를 관통한 가스유입핀(121)의 유입로(121a)를 통하여 압축가스 게이트(120)의 압축가스통로(128)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스유입핀(121)은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를 파쇄하기 쉬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유입핀(121)은 원뿔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는 가스유입핀(121)과 접촉에 의해 파쇄되기 쉬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결합면(129)과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 사이에는 유출방지실링(122)이 배치된다. 유출방지실링(122)은 압축가스가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120)의 압축가스통로(128)로 공급될 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가스유입핀(121)과 접촉하면서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가 파쇄되면, 압축가스용기(131) 내의 압축가스는 가스유입핀(121)의 유입로(121a)로 유입될 뿐 아니라 가스유입핀(121)과 가스용기마개(131a)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 될 수 있다.
유출방지실링(122)은 가스유입핀(121)을 둘러싸는 고리형태를 가지고, 용기결합면(129)과 압축가스용기(131)의 가스용기마개(131a) 사이의 공간에 빈틈없이 형성 되면서, 가스유입핀(121)과 가스용기마개(131a)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된 압축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유출방지실링(122)은 탄성력이 큰 재질일 수 있고, 압축가스 게이트(120)와 압축가스용기(131)가 결합할 때 탄성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 게이트 및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압축가스 게이트 및 조절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회전다이얼의 회전에 따른 압축가스 게이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압축가스 게이트(120) 및 조절부(150)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가스 게이트(120)는 압축가스통로(128), 개폐로드(124), 누름버튼(123) 및 용기결합면(129)을 포함한다.
압축가스통로(128)는 압축가스 게이트(120) 내부에 형성된다. 압축가스통로(128)는 하부에서 가스유입핀(121)의 유입로(121a)와 연결되고, 상부에서 압축가스 전달부(140)와 연결된다. 가스유입핀(121)의 유입로(121a)로부터 공급된 압축가스는 압축가스통로(128)를 지나 압축가스 전달부(140)로 공급된다.
압축가스통로(128)는 로드배치부(125)에 의해 가로질러 질 수 있다. 로드배치부(125)에 가로질러지는 부분을 경계로 상부 및 하부 압축가스통로(128b, 128a)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가스통로(128)는 로드배치부(125)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축가스통로(128)가 좁아지는 구조는 압축가스 게이트(120)가 개폐로드(124)를 이동시키면서 상부 및 하부의 압축가스통로(128b, 128a)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못하게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로드배치부(125)는 개폐로드(124)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로드배치부(125)는 상부 및 하부 압축가스통로(128b, 128a)를 연결하는 연결통로(125a)를 구비하는데, 연결통로(125a)의 개폐에 따라 하부 압축가스통로(128a)로 유입된 압축가스가 상부 압축가스통로(128a)로 전달 여부가 결정된다.
누름버튼(123)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한 손으로 케이스(110)의 손잡이부(111)를 잡았을 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르기 편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버튼(123)은 케이스(110) 손잡이부(111)의 측면 또는 상부에 배치된다.
누름버튼(123)은 한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누름버튼(123)은 개폐로드(124)와 연결되고, 누름버튼(123)을 가압하여 개폐로드(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개폐로드(124)는 로드배치부(125)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로드(124)에는 차단부(124a) 및 통과부(124b)가 형성되고, 개폐스프링(124c) 및 개폐실링(124d)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압축가스통로(128a)로 유입된 압축가스가 상부 압축가스통로(128b)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부 및 하부 압축가스통로(128b, 128a)와 연결되는 로드배치부(125)내의 연결통로(125a)를 지나야 하는데, 개폐로드(124)의 차단부(124a)는 연결통로(125a)를 차단 하면서 압축가스가 통과하지 못하게 할 수 있고, 개폐로드(124)의 통과부(124b)는 연결통로(125a)를 차단하지 않으면서 압축가스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개폐로드(124)는 누름버튼(123)의 가압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누름버튼(123)의 가압에 의해 연결통로(125a)에 개폐로드(124)의 차단부(124a)가 위치되면 압축가스가 통과하지 못하고, 연결통로(125a)에 개폐로드(124)의 통과부(124b)가 위치되면 압축가스가 통과하게 된다.
연결통로(125a)에 개폐로드(124)의 차단부(124a) 일부 및 통과부(124b) 일부가 위치되면, 압축가스는 연결통로(125a)가 차단된 정도에 따라 통과하는 양이 달라질 수 있다.
개폐로드(124)의 차단부(124a)는 개폐로드(124)의 외주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실링(124d)을 구비한다. 개폐실링(124d)은 오링(O-ring)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스프링(124c)은 개폐로드(124)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누름버튼(123)의 가압에 따라 개폐로드(124)가 이동하게 되면 개폐스프링(124c)이 압축되고, 가압이 해제되면 개폐스프링(124c)이 회복되면서 누름버튼(123) 및 개폐로드(124)의 위치가 가압전의 상태로 복구된다.
조절부(150)는 회전다이얼(151), 조절캠(152) 및 조절로드(157)를 포함한다.
개폐로드(124)는 누름버튼(123)의 가압에 따라 이동하되, 누름버튼(123)의 반대편에서 개폐로드(124)와 접촉하는 부분에 의해 최대 이동거리가 제한되는데, 조절부(150)는 개폐로드(124)의 최대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로드(157)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에 따라 조절로드(157)의 적어도 일부가 개폐로드(124)와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로드(157)와 접촉하면 개폐로드(124)의 최대 이동거리는 작아질 수 있다.
조절로드(157)는 개폐로드(124)의 최대 이동거리를 조절하면서 누름버튼(123)을 최대로 가압했을 때의 개폐로드(124)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축가스가 연결통로(125a)를 통과하는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조절로드(157)는 조절스프링(156)을 구비한다. 조절스프링(156)은 조절로드(157)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압축되고, 외력이 없어지면 회복한다. 조절스프링(156)은 외력이 없어지면 조절로드(157)의 위치를 외력이 가해지기 전 상태로 복구시킨다.
조절로드(157)는 개폐로드(124)와 접촉하는 일단부에 다수의 스토퍼(155a, 155b, 155c)를 구비한다.
다수의 스토퍼(155a, 155b, 155c)는 계단형의 형태로 배치되고, 개폐로드(124)는 다수의 스토퍼(155a, 155b, 155c)중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다수의 스토퍼(155a, 155b, 155c)는 각각 개폐로드(124)와 접촉하는 위치가 다르게 구성된다. 따라서, 접촉하는 스토퍼(155a, 155b, 155c)를 달리하면 개폐로드(124)의 최대 이동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조절로드(157)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로드(124)와 접촉하는 스토퍼(155a, 155b, 155c)를 변경할 수 있고, 개폐로드(124)가 접촉하는 스토퍼(155a, 155b, 155c)에 따라 개폐로드(124)의 차단부(124a)가 연결통로(125a)를 막는 면적이 달라진다. 따라서, 스토퍼(155a, 155b, 155c)의 배치에 따라 연결통로(125a)를 통과하는 압축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절캠(152)은 조절로드(157)의 단부와 접촉하고, 회전축(154)에 의해 회전다이얼(151)과 연결된다.
조절캠(152)은 조절로드(157)와 접촉하는 높이가 다른 다수의 캠면(152a, 152b, 152c, 152d)을 구비하는데, 외부로 노출된 회전다이얼(151)을 회전시키면 조절캠(152)도 회전하게 된다. 조절캠(152)이 회전하면, 조절로드(157)와 접촉하는 캠면(152a, 152b, 152c, 152d)의 높이에 따라 조절로드(157)의 위치가 변경된다.
조절캠(152)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조절로드(157)는 개폐로드(124)와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고, 개폐로드(124)와 접촉하는 스토퍼(155a, 155b, 155c)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회전다이얼(151)은 케이스(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다이얼(151)을 회전시키면, 조절캠(152)이 회전하여 조절로드(157)의 위치가 변경되고, 개폐로드(124)의 최대 이동거리가 변경되어 연통되는 압축가스의 양이 조절된다.
회전다이얼(151)은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151a)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윈도우(151a)를 통해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를 인식할 수 있다.
회전다이얼(151)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151b)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걸림부(151b)에 힘을 가하여 회전다이얼(1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부(151b)는 회전다이얼(151)을 더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식별판(153)은 조절캠(152)과 회전다이얼(151) 사이에 위치하고, 케이스(11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식별판(153)은 상면에 다수의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를 구비한다.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는 압축가스 게이트(120)를 통과하는 압축가스의 양을 표시한 문자 또는 도형일 수 있다. 회전다이얼(151)을 회전시켜 특정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 노출된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에 대응되는 양의 압축가스가 압축가스 게이트(12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 중 "Lock"이 윈도우(151a)를 통해 노출되면, 조절로드(157)는 제 1 캠면(152a)과 접촉하고, 개폐로드(124)는 제 1 스토퍼(155a)에 의해 최대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누름버튼(123)을 가압 하여도 개폐실링(124d)이 연결통로(125a)를 차단한다. 따라서, 하부 압축가스통로(128a)에 공급된 압축가스는 연결통로(125a)를 통과하지 못한다.
또한,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 중 "LV.1"이 윈도우(151a)를 통해 노출되면, 조절로드(157)는 제 2 캠면(152b)과 접촉하고, 개폐로드(124)는 제 2 스토퍼(155b)에 의해 최대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누름버튼(123)을 가압하면 개폐실링(124d)이 연결통로(125a)의 일부만을 차단한다. 연결통로(125a)의 일부는 차단된 상태이므로, 하부 압축가스통로(128a)에 공급된 압축가스가 연결통로(125a)를 통과하는 양은 연결통로(125a)가 전혀 차단되지 않은 경우보다 적게 된다.
또한, 도 6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 중 "LV.3"이 윈도우(151a)를 통해 노출되면, 조절로드(157)는 제 4 캠면(152d)과 접촉하고, 개폐로드(124)는 스토퍼(155a, 155b, 155c)에 의해 최대 이동거리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누름버튼(123)을 가압하면 개폐실링(124d)이 연결통로(125a)를 전혀 차단하지 않는다. 연결통로(125a)는 전혀 차단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하부 압축가스통로(128a)에 공급된 압축가스가 연결통로(125a)를 통과하는 양은 최대가 된다.
사용자는 노출된 식별표시(153a, 153b, 153c, 153d)에 따라 통과하는 압축가스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에 있어서, 디스펜싱 유닛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디스펜싱 유닛(160)을 설명한다.
디스펜싱 유닛(160)은 케이스(110)에 결합되고 압축가스 전달부(140)와 연결된다.
디스펜싱 유닛(160)은 케이스연결부(167), 약제용기연결부(164) 및 약제 배출부(168)를 포함한다.
케이스연결부(167)는 노즐(142)과 결합하면서 케이스(11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연결부(167)는 케이스연결로(167a)를 구비하여 노즐(142)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를 제 1 약제용기연결로(164a)로 전달한다. 제 1 약제용기연결로(164a)는 전달된 압축가스를 약제용기(163) 내부로 공급하고, 약제용기(163) 내에서 혼합된 약제와 압축가스는 제 2 약제용기연결로(164b)를 통하여 약제 배출부(168)로 배출된다.
약제용기연결부(164)는 디스펜싱 유닛(160)의 일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약제용기목부(163a)와 접촉할 수 있다. 약제용기목부(163a)는 약제용기(163)의 하부에 형성되어, 약제 배출이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디스펜싱 유닛(160)에는 내측면이 약제용기연결부(164) 및 약제용기목부(163a)의 외측면과 결합하여 약제용기(163)를 고정시키는 조인트(16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인트(162)는 약제용기연결부(164) 및 약제용기목부(163a)와 결합하면서 약제용기(163)가 약제용기연결부(164)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조인트(162)는 약제용기연결부(164) 및 약제용기목부(163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약제용기연결부(164)와 약제용기(163)의 약제용기목부(163a)의 형태를 자유롭게 구성 하면서도 조인트(162)의 형태를 변경하여 약제용기연결부(164)와 약제용기(163)를 결합할 수 있다.
디스펜싱 유닛(160)의 케이스연결부(167)는 노즐(142)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디스펜싱 유닛(160)이 케이스(110)에 고정된다.
케이스연결부(167)가 노즐(142)에 탈부착 가능함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디스펜싱 유닛(16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케이스(110)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분사 장치(100) 전체를 변경할 필요 없이, 디스펜싱 유닛(160)만 변경하여 약제 배출부(168) 및 약제용기연결부(164)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약제가 배출되는 형태 또는 결합 가능한 약제용기(163)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분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약제 분사 장치(200)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약제 분사 장치(200)는 도 1, 도 2의 약제 분사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약제 분사 장치(200)는 케이스(210), 압축가스 게이트(220), 가스용기 수용부(230), 디스펜싱 유닛(260)을 포함한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압축가스 게이트(220)가 구비되고, 케이스(210)의 일측에 압축가스 수용부(230), 타측에 디스펜싱 유닛(260)이 형성되며, 압축가스 게이트(220)는 디스펜싱 유닛(260)과 연결된다.
약제 분사 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가스 게이트(220)는 압축가스 게이트(220) 내부로 공급된 압축가스의 디스펜싱 유닛(260)을 향한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압축가스 게이트(220)가 디스펜싱 유닛(260)로 압축가스를 공급하면, 디스펜싱 유닛(260)은 압축가스를 약제용기(263)로 공급한다. 공급된 압축가스에 의해 내부압력이 높아진 약제용기(263)는 약제와 압축가스를 약제 배출부(264)로 배출한다.
압축가스통로(228)는 상부에서 디스펜싱 유닛(260)와 연결된다. 가스유입핀(221)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가스는 압축가스통로(228)를 지나 디스펜싱 유닛(260)으로 공급된다.
누름버튼(223)은 케이스(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한 손으로 케이스(210)의 손잡이부(211)를 잡았을 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르기 편한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누름버튼(223)은 케이스(210) 손잡이부(2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싱 유닛(260)은 용기결합개구(265), 약제용기연결부(261), 제 1 연결로(266), 제 2 연결로(268), 회전조절장치(262) 및 약제 배출부(264)를 포함한다.
용기결합개구(265)는 케이스(210) 내부로 약제용기(263)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부를 향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약제용기연결부(261)는 삽입되는 약제용기목부(263a)와 연결된다.
압축가스 게이트(220)의 압축가스통로(228)에서 제 1 연결로(266)공급로로 압축가스가 공급되면, 제 1 연결로(266)는 약제용기(263) 내부로 압축가스를 공급한다. 압축가스의 공급으로 인하여 내부 압력이 높아진 약제용기(263)는 약제와 압축가스를 제 2 연결로(268)로 배출한다. 제 2 연결로(268)는 공급된 약제 및 압축가스를 약제 배출부(264)로 전달한다.
제 2 실시예의 약제 분사 장치(200)는 회전조절장치(262)가 배출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조절장치(262)는 약제 배출부(264)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구성된다. 회전조절장치(262)는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에 따라서 약제 배출부(264)의 약제가 통과할 수 있는 단면적을 변경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는 회전조절장치(262)를 회전 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약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약제 배출부(264)는 제 2 연결로(268)로부터 공급되는 약제 및 압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압축가스 게이트
121: 가스유입핀 122: 유출방지실링
123: 누름버튼 124: 개폐로드
130: 가스용기 수용부 132: 수용부캡
140: 압축가스 전달부 144: 전달호스
150: 조절부 151: 회전다이얼
152: 조절캠 153: 식별판
154: 회전축 157: 조절로드
160: 디스펜싱 유닛 162: 조인트
164: 약제용기연결부 166: 커넥터
210: 케이스 223: 누름버튼
230: 가스용기 수용부 232: 수용부캡
260: 디스펜싱 유닛 262: 회전조절장치

Claims (18)

  1. 압축가스가 수용된 압축가스용기가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가스용기로부터의 상기 압축가스의 공급을 개폐하는 압축가스 게이트;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전달하는 압축가스 전달부; 및
    약제용기가 결합되고, 상기 압축가스 전달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약제용기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압축가스와 상기 약제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적어도 일부를 약제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디스펜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 내부에 형성되는 압축가스통로; 및 상기 누름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가스통로를 가로지르는 개폐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에 따라 상기 개폐로드가 이동하여 상기 압축가스통로를 개폐하고,
    상기 개폐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서 형성되고 상기 압축가스용기를 수용하는 가스용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는 수용부캡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캡은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 결합시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압축가스용기는 상기 수용부캡의 접촉에 따라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캡의 단부에는 캡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용기 수용부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캡의 결합시 상기 캡후크를 고정시키는 수용부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의 용기결합면에서 연장하여 형성되는 가스유입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유입핀은 중심부에 상기 압축가스가 공급되는 유입로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가스용기마개와 접촉하여 상기 가스용기마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의 용기결합면과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가스용기마개 사이에 배치되는 유출방지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출방지실링은 압축가스가 상기 압축가스 게이트로 공급될 때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로드는 상기 개폐로드 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개폐로드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로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조절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는 일단부에 계단형의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로드는 상기 다수의 스토퍼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면서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로드와 접촉하는 조절캠; 및 상기 조절캠과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캠 및 상기 회전다이얼 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식별표시를 구비하는 식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식별표시중 하나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의 일부분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약제용기와 연결되는 약제용기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내측면이 상기 약제용기연결부 및 약제용기목부의 외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약제용기를 고정시키는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의 형태는 상기 약제용기연결부 및 상기 약제용기목부의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약제 배출부 및 약제용기연결부의 형태가 각각 다른 복수의 상기 디스펜싱 유닛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회전방식의 회전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절장치는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분사 장치.
KR1020170062159A 2017-05-19 2017-05-19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KR10178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59A KR101787378B1 (ko) 2017-05-19 2017-05-19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PCT/KR2018/003999 WO2018212454A1 (en) 2017-05-19 2018-04-05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EP18801788.3A EP3624881A1 (en) 2017-05-19 2018-04-05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CN201880033208.XA CN110650765A (zh) 2017-05-19 2018-04-05 利用压缩气体的药剂喷射装置
JP2020514478A JP2020520295A (ja) 2017-05-19 2018-04-05 圧縮ガスを用いた薬剤噴射装置{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US16/614,759 US20200179621A1 (en) 2017-05-19 2018-04-05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159A KR101787378B1 (ko) 2017-05-19 2017-05-19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78B1 true KR101787378B1 (ko) 2017-10-18

Family

ID=6029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159A KR101787378B1 (ko) 2017-05-19 2017-05-19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79621A1 (ko)
EP (1) EP3624881A1 (ko)
JP (1) JP2020520295A (ko)
KR (1) KR101787378B1 (ko)
CN (1) CN110650765A (ko)
WO (1) WO20182124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54A1 (en) * 2017-05-19 2018-11-22 Cg Bio Co., Ltd.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KR2023005519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8420B (zh) * 2021-10-19 2023-11-03 徐州市康农消毒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面积擦伤患者防感染伤口清洁消毒装置
CN113952603B (zh) * 2021-11-18 2024-05-03 南京鑫优伟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耳鼻口科用鼻腔内部给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667B2 (ja) * 2004-06-29 2010-12-01 株式会社ダイゾー 流体ブローガ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166A (en) * 1977-05-02 1979-04-03 American Cyanamid Company Oral inhalator powder dispenser
EP2481283A2 (en) * 2009-09-18 2012-08-01 Sung Soo Wui Ultra-low volume spraying device
KR101341821B1 (ko) * 2011-06-03 2013-12-17 (주)디앤케이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KR20140148209A (ko) * 2013-06-21 2014-12-31 (주)하배런메디엔뷰티 화장품 에어 브러쉬
KR101787378B1 (ko) * 2017-05-19 2017-10-18 (주)시지바이오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9667B2 (ja) * 2004-06-29 2010-12-01 株式会社ダイゾー 流体ブローガ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54A1 (en) * 2017-05-19 2018-11-22 Cg Bio Co., Ltd. Drug dispenser using compressed gas
KR2023005519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WO2023068431A1 (ko) * 2021-10-18 2023-04-2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102630826B1 (ko) 2021-10-18 2024-01-2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9621A1 (en) 2020-06-11
CN110650765A (zh) 2020-01-03
EP3624881A1 (en) 2020-03-25
JP2020520295A (ja) 2020-07-09
WO2018212454A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378B1 (ko) 압축가스를 이용한 약제 분사 장치
US9469453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flowable material
KR102382358B1 (ko) 분무기
KR100484364B1 (ko) 매질 디스펜서
US11160938B2 (en) Inhalant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RU2408438C2 (ru)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кра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6454185B2 (en) Discharge apparatus for media
US20130068790A1 (en) Secure liquid drug dispenser and method for delivering liquid medication
US3107670A (en) Actuator for aerosol medication spray dispensers
CN108348398B (zh) 计量装置
KR20080005992A (ko) 호흡 작동식 흡입기
ES2764415T3 (es) Disposición de tapa de dispensador
CZ298885B6 (cs) Inhalátor práškových léku
EA005752B1 (ru) Дозирующая головка с запорным клапаном
US20170119239A1 (en) Dental mirror device
CA2750800C (en) Medical fluid dispenser
JP6384834B2 (ja) 粉体投与容器
KR200302861Y1 (ko) 가스 충전 장치
KR20210092243A (ko) 물체 계수 및 분배를 위한 안전 장치
US20120193377A1 (en) Nasal spray pump
KR101098315B1 (ko) 주사기의 혼합 약액 토출장치
US11884458B2 (en) Liquid dispenser with securing mechanism
KR101817856B1 (ko) 화장수 분사장치
KR102642153B1 (ko) 양방향 회전 구조에 기인하여 조작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용 캡
JP2011101774A (ja) 噴霧機能を有するアンプル型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