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718B1 -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718B1
KR101786718B1 KR1020160106570A KR20160106570A KR101786718B1 KR 101786718 B1 KR101786718 B1 KR 101786718B1 KR 1020160106570 A KR1020160106570 A KR 1020160106570A KR 20160106570 A KR20160106570 A KR 20160106570A KR 101786718 B1 KR101786718 B1 KR 10178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fraudulent
terminal
server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952A (ko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주)창조인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조인프라 filed Critical (주)창조인프라
Priority to KR102016010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7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Abstract

본 발명은 범죄취약자가 단말을 이용해 서버를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서버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가 드론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범죄취약자, 즉 휴대폰의 이동에 따라 드론은 비행하면서 범죄취약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영상은 서버의 모니터로 전송하고 동시에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은 드론계류장치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범죄취약자는 서버의 호출과 휴대폰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경찰 및 보호자의 관찰을 받는 상태에서 이동 및 귀가가 가능하게 되어 범죄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며, 혹시라도 범죄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하게 경찰이 출동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Drone with self camera and photographer chasing function}
본 발명은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론이 피사체(범죄취약자)가 소유한 단말(리모컨 및 휴대폰을 비롯 모든 무선단말기 포함)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간격 및 위치 등을 유지한 상태로 장애물을 피해가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해 범죄취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기술의 발달로 최근 군사용이 아닌 개인이 소장한 소형의 무선 정찰용 비행 물체인 드론(drone)이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드론은 화재 진압시 또는 재난 지역들에 접근하거나, 또는 지형 정보를 캡쳐하거나, 방송용, 군사용 등의 목적으로 카메라들이 장착되어 비행할 수 있도록 조작된다.
대개 드론은 GNS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조종장치에 의해 조작되며, 대개의 드론은 헬리콥터와 수평 회전익을 다수개 사용하여 위치 및 방향을 조절이 매우 용이한 구조이다.
특히 정지상태에서의 촬영도 가능하여 셀카용이나 방송을 위한 동영상 촬용 등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셀카 촬영은 사용자가 스스로 단말로 드론을 조작하여야하고, 동영상촬영은 별도의 드론조정자에 의해 촬영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물론 드론 스스로 촬영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아니면 드론에 진행경로를 미리 설정하고, 드론의 진행경로를 따라가면서 피사체가 촬영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이어서 비행체의 떨림과 속도로 인해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피사체와 카메라, 즉 드론 간에 정확한 간격과 위치의 설정이 곤란하며, 무엇보다 드론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는 속수무책인 단점을 갖는다.
또 드론을 이용하는 활용방법이 다양하지 못하고, 특히 범죄취약자들을 보호하는데에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있지 않다.
[관련기술문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iton)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8072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드론이 촬영하는 대상(이하 '피사체'라 한다)이 휴대한 단말(본 발명에서는 드론 조종 리모컨과 무선으로 드론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에 탑재된 센서 및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바탕으로 촬영자가 미리 정해둔 촬영조건, 즉 드론과 단말의 간격, 단말에 대한 드론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을 유지한 상태로 연속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되, 드론의 카메라가 장애물을 피하는 과정 중에도 항상 촬영자를 향하도록 제어되어야 하고, 또 장애물을 피하는 과정 중에 달라진 촬영조건에 대해 스스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수정하여 다시 최초로 설정된 촬영조건과 같은 조건이 되도록 비행 및 촬영조건을 재조정하게 하여 범죄에 노출되기 쉬운 범죄취약자들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죄취약자가 단말을 이용해 서버를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서버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가 드론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범죄취약자, 즉 휴대폰의 이동에 따라 드론은 비행하면서 범죄취약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된 영상은 서버의 모니터로 전송하고 동시에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은 드론계류장치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은, 드론이 피사체(범죄취약자)가 소유한 단말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피사체의 위치, 즉 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항상 동일한 간격 및 위치 등을 유지한 상태로 촬영할 수 있고, 심지어는 장애물을 피하는 순간에도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때 장애물을 피하는 과정 중에 달라진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 맞춰 스스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재조정함으로써 피사체가 이동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동일한 각도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촬영이 가능하게 하고, 촬영조건, 즉 카메라와 피사체간의 촬영각도, 카메라의 높이, 방향, 기타 촬영에 필요한 조건들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수행하도록 하면 드론은 피사체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을 기준으로 스스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므로 피사체는 촬영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장소의 위험 여부를 떠나서 어떠한 구속을 받지 않고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촬영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죄취약자는 서버의 호출과 휴대폰번호의 입력만으로도 경찰 및 보호자의 관찰을 받는 상태에서 이동 및 귀가가 가능하게 되어 범죄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으며, 혹시라도 범죄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하게 경찰이 출동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10)과 단말(100)을 보이기 위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운항기본센서부(11)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2)와,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도중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면서도 카메라(12a)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최단의 시간 내에 저장부(15)에 저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맞추기 위한 제어부(14)와,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10); 상기 드론(10)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고,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는 단말(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드론(10)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팬, 틸트, 요잉을 수행함으로써, 정지상태, 전후좌우상하 자유롭게 운항이 가능하다.
상기 촬영부(12)는 카메라(12a)는 물론 조명(12b), 마이크(12c)를 포함하는데, 상기 카메라(12a)와 조명(12b), 마이크(12c)도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촬영부(12)는 카메라(12a)와 조명(12b), 마이크(12c)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피사체, 즉 단말(100)를 향하도록 방향전환 및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은 드론 조종을 위한 무선조종장치 및 리모컨, 휴대폰(블루투스 기능 포함)은 물론 R/F 송신 및 수신장치는 물론 무선으로 드론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무선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기로써 블루투스 표준안(Bluetooth Protocol)에 기초한다. 상기 블루투스 표준안은 근거리에서 통신의 주체를 마스터로 하여 이의 요구를 수용하여 블루투스 표준안에 따라 다른 블루투스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드론(10)과 단말(100)은 무선통신부(13a, 13b)에 의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무선통신부(13a, 13b)에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를 구비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은 R/F 송수신 및 휴대폰의 블루투스 기능, 또 휴대폰이 기지국과 송신하는 자체 전파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제어부(14)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BT)을 이용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단말(100) 및 서버(200)에 의해 피사체추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4)는 드론(10)을 비행시키면서 동시에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을 제어하여 상기 단말(100), 즉 휴대폰과 드론(10)간의 컨넥션(Connection)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론(10)과 단말(110) 사이에 컨넥션이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4)는 단말(100)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에 의해 단말의 무선 주파수(RF) 전력레벨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상기 휴대폰과 드론(10)간의 컨넥션 설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죽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은 RF 송/수신부, 기저대역 처리부, 링크 제어부2 및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및 링크 제어부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휴대폰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HCI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서버(200)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HCI로는 RS232C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패킷은 커맨드(command), 이벤트(event), 데이터 패킷으로 구분된다.
상기 RF 송/수신부는 송신시 기저대역 처리부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하며, 수신시에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인가한다.
또 기저대역 처리부는 호스트인 휴대폰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액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패킷으로 변경하여 전송한다.
또 링크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의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커맨드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BT)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과 드론(10)간의 컨넥션(Connection)을 위해 단말(100)과 드론(10)에는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단말(100)의 무선주파수 전력레벨 측정 결과 상기 단말(100)의 전력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하가 되면 드론(10)을 단말(100)에 가깝게 비행시키고, 전력레벨이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드론(10)을 단말(100)로 부터 멀어지도록 비행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가 휴대폰이 기지국과 송신하는 자체 전파에 의해 드론(10)과 단말(100)의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는 휴대폰이 기지국으로 전파를 송신할 때 상기 기준이 되는 전파의 세기를 저장부(15)에 저장하였다가, 휴대폰으로 부터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가 기준 이하로 약해지면 이는 드론(10)과 휴대폰의 거리가 멀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드론(10)을 단말(100)에 가깝게 비행시키고, 기준 이상으로 강해지면 이는 드론(10)과 휴대폰의 거리가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하여 드론(10)을 단말(100)로 부터 멀어지도록 비행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4)는 단말(100)의 무선주파수의 방향을 측정하여 항상 촬영부(12)가 단말(100), 즉 피사체를 향하도록 드론(10)을 운항하는 기능도 구비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때 단말(100)의 방향 측정은 무선주파수가 아닌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측정하게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제어부(14)는 입력되는 모든 정보를 비교하여 항상 드론(10)이 단말(100)과 최초 설정된 간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 촬영부(12)는 피사체를 향하고 있는지를 수시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센싱정보에 의해 입력되는 모든 정보를 비교하여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 다르다면 이를 원상으로 복귀하기 위한 노력을 스스로 수행하게 된다.
즉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드론(10)과 단말(100)과의 간격을 3m로 하고, 드론(10)의 위치는 단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면 드론(10)은 단말(100)로 부터 3m 높이에서 위에서 아래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드론(10)이 비행하면서 이동하다 보면 대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드론(10)은 제어부(14)에 의해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를 이용해 피해가게 된다. 상기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는 제어부(14)에 내장된 장애물 회피모듈(14a)에 의해 결정된다.
또 상기 제어부(14)는 드론(10)의 진행방향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파악하여 최적의 장애물 회피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장애물 회피 모듈(14a)과, 상기 장애물 회피 모듈(14a)에 의해 장애물을 피함으로 인해 달라진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 비교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과 현재 비행 및 촬영상태의 비교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를 드론의 비행에 반영하여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15)에 저장하거나 휴대폰 또는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촬영모듈(14c);을 더 포함한다.
상기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은 드론(10)의 기본적인 운항 및 촬영을 가능하게 하고, 장애물 회피 모듈(14a)에 의해 전송된 장애물 정보를 파악하여 드론(10)이 최적의 경로로 피할 수 있도록 드론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며, 촬영부(12)의 방향이 항상 단말(100)을 향하도록 하되 드론이 장애물을 피하는 순간에도 촬영부(12)의 방향이 단말(100)을 향하도록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를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드론의 정렬 상태, 속도, 비행방향, 높이, 각도, 카메라의 방향 모든 것을 고려하여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는 촬영자의 초기 촬영조건 설정됨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이 모든 것은 기본은 피사체의 위치 및 속도를 기준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짐은 당연하다.
상기 저장부(15)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하며 삭제되지 않으며,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램),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감지센서부(16)는 공지된 수많은 센서들을 포함하며, 드론(10)이 설정된 촬영조건에 따른 촬영을 수행하면서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레이저빔을 발산하고 반사된 빔을 수신하여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레이저 센서, 열감지에 의해 동물 및 사람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는 적외선 및 열감지 센서,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영상분석방식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드론(10)의 운항에 필요한 기본적인 센서부, 즉 위치센서(16) 및 거리센서, GPS 위치 수신기, G-센서, 고도 센서, 자력센서, 고도센서, 속도센서, 각도센서, 가속도계, 레이트 센서, GNSS 모듈 들은 당연히 구비됨은 당연하다.
또한 단말(10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로도 대체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원격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드론에 모든 촬영조건은 다른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가능토록 하고, 단지 휴대폰은 드론과 무선통신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의 장애물 회피 모듈(14a)은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장애물의 크기, 높이, 방향 등을 인식하고, 이를 피할 수 있도록 비행 및 촬영조건을 바꾸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장애물감지센서부(16)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14)는 드론의 운항 조건을 바꾸게 된다.
이처럼 드론의 운항 방향이 바뀌게 되면 당연히 처음 설정된 촬영조건, 즉 드론과 휴대폰의 간격, 휴대폰에 대한 드론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달라진 비행 및 촬영조건과 처음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이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이다.
따라서 비교의 대상이 되는 것은 현재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상태와,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을 맞추기 위한 그 당시의 비행 및 촬영상태가 될 것이다.
이는 운항기본센서부(11)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에 의해 드론(10)의 운항 조건이 조절된다.
*결국 무엇보다 피사체를 촬영함에 있어 장애물을 피한 뒤 처음 설정한 촬영조건대로 다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본 발명의 핵심인바, 이를 위해 드론(10)의 경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드론(10)은 이를 피하면서 촬영은 계속하도록 하기 위하여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최적의 장애물 회피코스를 파악하여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14d)에 의해 드론의 운항 조건이 신속하게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드론(10)이 장애물에 의해 달라진 비행 및 촬영조건을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으로 복귀함에 있어 시간적인 딜레이는 불가피한 것이므로,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은 이 점도 감안하여 프로그래밍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는 드론의 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운항기본센서부(11)와, 입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2)와, 상기 촬영부(12)의 촬영 도중 드론(10)이 진행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이를 감지하여 최적의 방향으로 피하면서도 카메라(12a)는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고 최단의 시간 내에 저장부(15)에 저장된 비행 및 촬영조건을 맞추기 위한 제어부(14)와, 상기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는 정지상태 유지 및 상하전후좌우 비행이 가능한 드론(10); 상기 드론(10)이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되고 서버호출장치를 구비하는 드론계류장치(300); 상기 드론(10)과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3)를 구비하고,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의 기준점이 되는 단말(100); 상기 촬영부(12)가 습득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220)에 표시하고, 상기 드론의 운항과 사진촬영 조건 설정하고 드론계류장치(300)로의 드론 복귀를 지시하기 위한 운용사 서버(200);로 구성된다.
상기 운용사 서버(200)는 무선통신망에 의해 드론(10)과 정보를 주고 받게 되며, 모니터(220)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내오는 촬영부(12)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범죄취약자가 범죄에 노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촬영부(12)가 보내주는 정보, 즉 영상 및 소리는 DB(210)에 저장되어 범인의 범죄행위를 입증하는 증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드론계류장치(300)는 드론(10)이 보관되고, 충전을 하기 위한 곳으로, 경찰서의 옥상 등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대개 범죄취약지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지의 충전을 위해 충전지(32) 및 태양전지판(310) 및 충전접지(340) 등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330) 위에 드론(10)이 얹혀서 보관되도록 하되 상기 드론(10)의 촬영부(12)가 상시 작동하게 함으로써 방범카메라로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드론(10)은 이동이 가능한 방범카메라의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고정식 방범카메라가 갖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드론(10)을 드론계류장치(300)에서 부터 시작하여 비행경로을 설정해 주므로써 순찰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론계류장치(300)에는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보호서비스를 범죄취약자가 요청할 수 있는 서버호출장치(3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은 다음과 같다.
범죄취약자가 단말(100)을 이용해 운용사 서버(200)를 호출하는 단계(S1)와, 호출된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는 단계(S2)와, 상기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가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3)와, 상기 범죄취약자, 즉 휴대폰의 이동에 따라 드론(10)은 비행하면서 피사체, 즉 범죄취약자를 촬영하는 단계(S4)와, 상기 촬영된 영상은 서버(200)로 전송하여 모니터(220)에 출력하고 영상 및 소리는 DB(210)에 저장하는 단계(S5)와, 서버(200)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10)은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하는 단계(S6)로 이루어진다.
이때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수단이 될수도 있으나, 드론계류장치(300)에 설치된 서버호출장치(350)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이 서버(200)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듈이 제어부(14)에 구비되어짐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해 구동되는 드론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을 포함하는 입력수단에 의해 촬영자가 정한 최초 비행 및 촬영조건이 설정된다.
이때 가장 기본적인 비행 및 촬영조건은 촬영자(피사체)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100)을 기준으로 휴대폰과 드론(10)의 간격, 즉 이격거리 및 드론(카메라) 높이 및 방향 등이 될 것이다. 드론(10)의 이동속도는 휴대폰(100)의 이동속도와 동일하므로 이를 별도로 설정하지 않는 한 큰 의미 없다.
좀더 상세한 촬영조건으로는 카메라의 촬영 시간 가변적 거리 및 높이 조절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최초 촬영조건으로 휴대폰과 드론의 간격을 3m로 설정하고, 드론(카메라)의 위치는 피사체 전방 45°로 정했다고 하면, 드론은 항상 카메라를 피사체를 향한 체로 전방 45°위치에서 3m의 높이로 피사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처럼 전방 45°위치에서 3m의 높이로 피사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운항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본 발명 드론은 이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카메라의 방향은 피사체를 향하면서 지속적으로 촬영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드론(10)의 제어부(14)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휴대폰(100)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정보를 센서부(101)와 무선통신부(13a)로 부터 수신하여 이를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14b)에 의해 역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최초 설정된 비행 및 촬영조건에과 비교하고, 설정된 조건과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제어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범죄취약자, 예를 들면 범죄취약지구에 사는 여자 또는 현금을 운반하는 사람 등이 경찰 또는 보호자에게 보호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서버호출장치(350)를 누르게 되면 운용사의 서버(200)가 호출되고, 호출된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은 휴대폰의 전화번호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휴대폰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환경 및 상황에 맞게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이 끝나면 범죄취약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드론(10)이 설정된 위치에서 범죄취약자를 촬영하여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촬영된 영상은 서버(200)의 모니터로 전송되어 모니터로 전송된 정보에 의해 범죄취약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범죄취약자가 목표지에 도착하게 되면 서비스는 종료되고, 상기 서비스종료신호를 서버(200)가 전송하면 드론(10)은 자신이 머물렀던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드론
11: 운항 기본 센서부
12: 촬영부
13: 무선통신부
14: 제어부
14a: 장애물 회피 모듈
14b: 비행 및 촬영조건비교모듈
14c: 촬영모듈
14d: 비행 및 촬영관리모듈
15: 저장부
16: 장애물감지센서
100: 단말
200: 운용사 서버
300: 드론계류장치

Claims (1)

  1. 범죄취약자가 단말(100) 또는 서버호출장치(35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서버(200)를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서버(200)는 범죄취약자의 단말(100)과 드론(10) 사이에 컨넥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컨넥션이 설정되면 서버(200)가 드론(10)의 비행 및 촬영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100)의 이동에 따라 드론(10)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에 의해 단말(100)과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비행하면서 피사체추적모드에 의해 범죄취약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은 서버(200)의 모니터로 전송하고 영상 및 소리는 DB(210)에 저장하는 단계와,
    서버(200)의 서비스종료신호에 의해 드론(10)은 드론계류장치(300)로 복귀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KR1020160106570A 2016-08-22 2016-08-22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KR10178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570A KR101786718B1 (ko) 2016-08-22 2016-08-22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570A KR101786718B1 (ko) 2016-08-22 2016-08-22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919A Division KR101692018B1 (ko) 2015-01-02 2015-01-22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52A KR20160102952A (ko) 2016-08-31
KR101786718B1 true KR101786718B1 (ko) 2017-10-17

Family

ID=5687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570A KR101786718B1 (ko) 2016-08-22 2016-08-22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11A (ko) 2018-02-13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경찰 드론
KR20190097609A (ko) 2018-02-12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범죄자 무력화 드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351B1 (ko) 2021-12-14 2022-03-02 (주)에스엔디글로벌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드론의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609A (ko) 2018-02-12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범죄자 무력화 드론
KR20190097811A (ko) 2018-02-13 2019-08-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경찰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52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018B1 (ko)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
US11790741B2 (en) Drone based security system
KR101765480B1 (ko) 피사체 추적형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장치
US10642264B2 (en) Security drone system
KR101756603B1 (ko) 드론을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US20180067502A1 (en) Drone security system
JP6635529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装置
US96794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786718B1 (ko) 피사체 추적형 셀카용 드론을 이용한 범죄취약자 보호방법
KR101802669B1 (ko) 드론을 이용한 자율 방범 시스템
JP2015207149A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20160119956A (ko) 드론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
WO2019041633A1 (zh) 通信中继方法、中继飞行体、程序以及记录介质
US113733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moving platform to determine data associated with a target person or object
US201903244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a Position of a Drone
CN107067617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安全监控方法及安全监控系统
CN105161090A (zh) 球状传感器及应用该传感器的音频定向传播方法及系统
KR101746579B1 (ko) 드론을 이용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
KR102203292B1 (ko) Cctv 겸용 드론을 이용한 cctv 감시 시스템
CA3054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visual data using an augmented-reality application
TWI675680B (zh) 無人機滅火裝置及滅火方法
KR101933428B1 (ko) 드론의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사람인식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드론 시스템
KR20200084963A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 및 드론을 이용한 확장형 감시 시스템
KR20230090206A (ko)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드론의 운용 방법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