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252B1 -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252B1
KR101786252B1 KR1020150183678A KR20150183678A KR101786252B1 KR 101786252 B1 KR101786252 B1 KR 101786252B1 KR 1020150183678 A KR1020150183678 A KR 1020150183678A KR 20150183678 A KR20150183678 A KR 20150183678A KR 101786252 B1 KR101786252 B1 KR 10178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moving plate
unit
apparatu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071A (ko
Inventor
김영균
백승래
윤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를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와 함께 배전반 내부에 삽입되게 제공되는 인출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입플레이트의 상면에 차단기가 놓인 탈거위치와, 상기 탈거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를 따라 상승한 상태인 슬라이딩 준비위치와, 상기 슬라이딩 준비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을 향하여 일부 이동한 상태인 시험 단로위치와, 상기 시험 단로위치에서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의 내부까지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차단기의 접점체결부가 상기 배전반에 체결된 상태인 접속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Apparatus for moving having integrated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는 전기회로에서 과부하 또는 단락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자동으로 회로를 정지시키는 장치로서, 회로차단기의 신뢰성은 계통 전체의 신뢰성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예로, 배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회로차단기는 차단성능, 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 위주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차단기는 회로의 개폐나 고장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진공상태에서 소호시키는 차단기이다.
도 1에서 보이듯이, 진공차단기(10)는 배전반(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배전반(2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진공차단기(10)의 인입 또는 인출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성되는데, 진공차단기(10)의 인입 또는 인출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동작레버(30)를 이동시켜 진공차단기의 락킹(Locking) 상태를 변경해 주어야 한다.
일예로, 동작레버(30)를 밀면 락킹이 해제되어 배전반(20)의 내부에서 진공차단기(10)를 인출할 수 있고, 동작레버(30)를 당기면 락킹이 유지되어 진공차단기(10)는 배전반(2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진공차단기(10)의 인입 또는 인출작업은 통상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는데 과전류, 아크(Arc) 발생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 내부에 차단기를 인입하거나, 배전반 내부로부터 차단기를 인출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 없이 전력을 조달할 수 있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관련 설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를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와 함께 배전반 내부에 삽입되게 제공되는 인출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입플레이트의 상면에 차단기가 놓인 탈거위치와, 상기 탈거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를 따라 상승한 상태인 슬라이딩 준비위치와, 상기 슬라이딩 준비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을 향하여 일부 이동한 상태인 시험 단로위치와, 상기 시험 단로위치에서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의 내부까지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차단기의 접점체결부가 상기 배전반에 체결된 상태인 접속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를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와 함께 배전반 내부에 삽입되게 제공되는 인출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중력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유닛; 및 상기 제1이동유닛의 동작 완료 이후에, 상기 인출입플레이트를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이동유닛은,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는 스프로킷부재; 및 상기 스프로킷부재에 맞물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된 체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인출입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리게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식 배터리유닛은, 상기 장치몸체에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하되, 리튬폴리머전지(lithium polymer battery)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로킷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회전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 장치.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장치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 내부에 차단기를 인입하거나, 배전반 내부로부터 차단기를 인출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 없이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조달할 수 있어 관련 부품 또는 설비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차단기와 배전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의 탈거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의 슬라이딩 준비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의 접속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는 도 2에서 보이듯이, 장치몸체(110)와, 상기 장치몸체(110)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120) 장치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몸체(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는 상기 장치몸체(11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에서 이동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는 인출입플레이트(121)가 구비된다.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차단기(10)가 놓일 수 있고, 상기 인출입플레이트(121)는 이동플레이트(120) 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됨에 따라, 차단기(10)를 배전반(20) 내부에 인입할 때, 상기 차단기(10)와 함께 배전반(20)의 내부로 함께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에 의하면 차단기(10)를 4개의 위치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먼저,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상면에 차단기(10)가 놓인 탈거위치와, 상기 탈거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를 따라 상승한 상태인 슬라이딩 준비위치와, 상기 슬라이딩 준비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인출입플레이트(121)가 배전반(20)을 향하여 일부 이동한 상태인 시험 단로위치와, 상기 시험 단로위치에서 상기 인출입플레이트(121)가 배전반(20)의 내부까지 완전히 이동하여 차단기(10)가 배전반(2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고, 차단기(10)의 접점체결부(11)가 배전반에 체결된 상태인 접속위치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플레이트(120) 및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유닛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유닛(130)은 장치몸체(110)에 설치되며, 그 이외에도 상기 이동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120) 및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40) 및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유닛(150)이 장치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유닛(130)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20)를 중력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유닛(131) 및 상기 제1이동유닛(131)의 동작 완료 이후에, 상기 인출입플레이트(121)를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유닛(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상기 장치몸체(110)의 길이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일치할 수 있고, 상기 장치몸체(1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은 상기 제2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스프로킷부재(도 4의 132)와 상기 스프로킷부재에 감기는 체인부재(133)를 포함하는 제1이동유닛(131)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는 장치몸체(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동력은 장치몸체(110)에 구비되는 충전식 배터리유닛(15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충전식 배터리유닛(150)은 충전을 위해 장치몸체(110)에서 분리될 수 있고, 충전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장치몸체(110)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식 배터리유닛은 리튬폴리머전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리튬폴리머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액체가 아닌 고체나 겔 형태의 폴리머 재료로 된 전해질을 사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안정성이 높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유닛(150)에 의하면 전선 등에 의해 장치몸체(110)를 외부 설비와 연결할 필요가 없고, 장치몸체(110)의 이동성이 확보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차단기(10) 인출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장치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이동핸들(170)과, 상기 장치몸체(110)의 하방에 설치된 이동바퀴(160)에 의하면 장치몸체(110)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유닛(136)은 이동플레이트(120) 상에서 인출입플레이트(121)를 이동시켜 배전반 내부로 인입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이동유닛(132)은 상기 이동플레이트(120)의 일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34)과 상기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이동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롤러 이외에도 다른 어떠한 가이드 수단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제1이동유닛(131)과 제2이동유닛(136)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유닛(140)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유닛(140)은 상기 제1이동유닛(131)과 상기 제2이동유닛(132)을 포함하는 이동유닛(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버튼식, 핸들식 등 어떠한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의 제어유닛(140)을 통해 상기 제1이동유닛(131) 및 상기 제2이동유닛(132)을 단계적으로 구동시켜, 전술한 차단기의 4개의 위치 중 ㅇ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먼저, 도 4에는 탈거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탈거위치는 스프로킷부재(132)가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체인부재(133)에 연결된 브라켓부재(123)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브라켓부재(123)에 연결된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차단기(10)가 놓여있고, 이동플레이트(120)는 장치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다.
도 5에는 슬라이딩 준비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탈거위치에서 이동플레이트(120)가 장치몸체(110)를 따라 상승한 상태로서, 사용자는 제어유닛(도 3의 140)을 제어하여 스프로킷부재(13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체인부재(133)에 연결된 브라켓부재(123)가 상승하면서, 상기 브라켓부재(123)에 연결된 이동플레이트(120)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접속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접속위치에서 인출입플레이트(121)가 장치몸체(110) 방향으로 일부 후진 이동한 상태인 슬라이딩 준비위치(미도시)는 배전반(10)의 접점체결부(11)의 접속 상태를 테스트(test)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접속위치는 도 6에서 보이듯이, 이동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설치된 인출입플레이트(121)가 배전반(도 2의 20)의 내부까지 완전히 이동한 상태로서, 차단기(10)가 배전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이며, 접점체결부(11)가 배전반에 완전히 접속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인출입플레이트(121)의 이동은 전술한 것과 같이 가이드레일(134)을 포함하는 제2이동유닛(도 3의 136)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2이동유닛의 동작은 제어유닛(도 3의 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차단기 20 : 배전반
30 : 동작핸들 110 : 장치몸체
120 : 이동플레이트 121 : 인출입플레이트
130 : 이동유닛 140 : 제어유닛
150 : 배터리유닛 160 : 이동바퀴
170 : 이동핸들

Claims (5)

  1. 장치몸체;
    상기 장치몸체에서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
    상기 장치몸체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장치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배터리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를 지지하고, 상기 차단기와 함께 배전반 내부에 삽입되게 제공되는 인출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입플레이트의 상면에 차단기가 놓인 탈거위치와, 상기 탈거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장치몸체를 따라 상승한 상태인 슬라이딩 준비위치와, 상기 슬라이딩 준비위치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을 향하여 일부 이동한 상태인 시험 단로위치와, 상기 시험 단로위치에서 상기 인출입플레이트가 상기 배전반의 내부까지 완전히 이동하여 상기 차단기가 상기 배전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차단기의 접점체결부가 상기 배전반에 체결된 상태인 접속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중력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동유닛; 및
    상기 제1이동유닛의 동작 완료 이후에, 상기 인출입플레이트를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유닛은,
    상기 장치몸체에서 회전하게 구비되는 스프로킷부재; 및
    상기 스프로킷부재에 맞물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연결된 체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유닛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인출입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물리게 구비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배터리유닛은,
    상기 장치몸체에 장착되어 동력을 제공하되, 리튬폴리머전지(lithium polymer battery)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로킷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 연결된 회전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장치몸체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핸들;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KR1020150183678A 2015-12-22 2015-12-22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KR10178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678A KR101786252B1 (ko) 2015-12-22 2015-12-22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678A KR101786252B1 (ko) 2015-12-22 2015-12-22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71A KR20170075071A (ko) 2017-07-03
KR101786252B1 true KR101786252B1 (ko) 2017-10-18

Family

ID=5935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678A KR101786252B1 (ko) 2015-12-22 2015-12-22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608B2 (ja) * 1998-04-02 2005-03-2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電気式荷役車両
JP2005119764A (ja) 2003-10-14 2005-05-12 Atex Co Ltd 移動リフタ
JP2009012938A (ja) * 2007-07-05 2009-01-22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JP2010220422A (ja) * 2009-03-18 2010-09-3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引出機器用点検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608B2 (ja) * 1998-04-02 2005-03-2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電気式荷役車両
JP2005119764A (ja) 2003-10-14 2005-05-12 Atex Co Ltd 移動リフタ
JP2009012938A (ja) * 2007-07-05 2009-01-22 Nippon Yusoki Co Ltd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JP2010220422A (ja) * 2009-03-18 2010-09-3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引出機器用点検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071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955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150330B1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EP2267852A2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EP2498354B1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JP2010212242A (ja) 回路遮断器の台車引込及び引出防止装置
CN103594946A (zh) 电力高压开关柜高压手车电动操作装置
KR102574727B1 (ko) 배전반 방전 및 접지 장치
CN101764370B (zh) 一种抽出式断路器的解锁机构
KR20100081174A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KR101786252B1 (ko) 배터리 일체형 인출입장치
CN208723355U (zh) 一种电力开关柜远程控制装置
KR101148797B1 (ko)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20160109267A (ko) 차단기 인입출용 이송대차
CN109036886A (zh) 一种10kV开关柜分闸结构
CN216879918U (zh) 一种导电液喷涂遥控装置
CN209282702U (zh) 一种低压配电模块与系统
CN210838682U (zh) 一种远程遥控可视电缆切割装置
CN107248680A (zh) 一种电动遥控接地装置的驱动结构及其接地装置
KR101251604B1 (ko) 전원차폐형 자동 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CN209486195U (zh) 一种高压开关柜一次核相辅助装置
KR20190017535A (ko) 자동인출 고전압 차단기
CN110943401B (zh) 一种远程遥控可视电缆切割装置
KR101132290B1 (ko) 배전반용 차단기의 자동 인입/인출 장치
CN111446133A (zh) 柜式断路器远程遥控分闸装置
JP2009011070A (ja) インター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