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948B1 -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948B1
KR101785948B1 KR1020150135970A KR20150135970A KR101785948B1 KR 101785948 B1 KR101785948 B1 KR 101785948B1 KR 1020150135970 A KR1020150135970 A KR 1020150135970A KR 20150135970 A KR20150135970 A KR 20150135970A KR 101785948 B1 KR101785948 B1 KR 101785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lectrode
fluid pipe
flu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981A (ko
Inventor
장한호
Original Assignee
장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호 filed Critical 장한호
Priority to KR102015013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9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71Cylindrical or tubular 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배관을 이루는 플랜지의 설치공 내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소켓; 일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에 위치되고, 타측 끝단은 유체배관 내의 다른 한 측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절연튜브; 일측 끝단은 체결소켓의 안착홈 내에 안착되고, 타단은 절연튜브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된 전극봉;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에 체결되면서 상기 전극봉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보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유체배관에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극봉 어셈블리 내부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electrode ba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전극봉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배관에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극봉 어셈블리 내부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장치는 해수나 하수 혹은, 오염수 등의 다양한 유체를 정화시켜 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수처리장치에서 유체의 공급은 각종 유체배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배관 내부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스케일이 쌓이게 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
이로써, 종래에는 유체배관에 대한 스케일의 제거 및 방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화학 약품을 이용하는 방식 혹은, 전자장을 이용하는 방식을 통해 유체배관 내의 스케일 제거 및 방지를 이루고자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을 이용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식은 흐르는 물에 전자장을 걸어주는 방식으로써, 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바꾸어 줌으로써 유체배관 내의 금속계면에 발생하는 전기 이중층을 전기적으로 중화시켜서 계면의 정전인력을 해소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용수용 배관에서 성장되는 스케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1999-0046773호, 등록특허 제10-0839556호, 등록특허 제10-0910626호, 등록특허 제10-121658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전술된 종래의 각종 기술들은 유체배관의 내부에 전극봉을 설치하여 전술된 전자장을 이용한 유체배관 내벽의 스케일 제거 및 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의 설치 구조는 유체배관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의 누수로 인한 절연파괴 현상의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들은 전극봉을 유체배관의 플랜지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노력만 있었을 뿐 해당 부위로의 누수에 대한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적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들은 상기 전극봉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고려만 이루어짐에 따라 해당 전극봉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이로써 종래에는 전극봉의 교체시 유체배관의 플랜지 전체에 대한 분해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함에 따른 유지 보수 작업의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1999-0046773호 등록특허 제10-0839556호 등록특허 제10-0910626호 등록특허 제10-121658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배관에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전극봉 어셈블리 내부로의 누수 발생을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는 어느 한 측에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체배관과, 상기 설치공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유체배관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유체배관 내의 스케일 제거 혹은,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전극봉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어셈블리는 상기 유체배관을 이루는 플랜지의 설치공 내주면에 체결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 끝단면에는 상기 통과공에 비해 확장된 구조의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체결소켓; 일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의 통과공 내에 위치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유체배관 내의 다른 한 측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절연튜브; 일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 내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절연튜브 내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를 따라 도선이 설치되도록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진 전극봉;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에 체결되면서 상기 전극봉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보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봉은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보조소켓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결소켓 내의 안착홈 내벽면과 상기 보조소켓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안착지지단과, 상기 안착지지단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 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연장단과, 상기 연장단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 내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된 전극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지지단과 연장단은 단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단은 도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튜브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안착지지단과 상기 안착홈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절곡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튜브의 타측 끝단에는 개폐캡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개폐캡의 끝단은 상기 유체배관의 다른 일측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는 유체배관의 플랜지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플랜지로부터 전극봉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는 전극봉의 상단인 안착지지단이 체결소켓 내에서 보조소켓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절연튜브와 체결소켓 사이의 틈새를 통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는 상기 전극봉이 부도체로 이루어진 부위와 도체로 이루어진 부위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절연물질로 전극과 체결소켓 간을 절연하지 않고도 상기 전극봉과 체결소켓 간의 절연이 유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를 이루는 절연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가 서로 다른 유형의 유체배관에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수처리장치를 이루는 유체배관(100) 내의 유체 유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유체배관(100) 내의 스케일 제거 혹은,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부위이고, 이때 상기 유체배관(100)은 어느 한 측이 개방된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측은 설치공(111)이 관통 형성된 플랜지(110)로 폐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배관(100)의 둘레면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20) 및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관(130)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임을 그 예로 한다.
또한, 각 설명 중 방향에 대한 설명이나 지칭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이하, “전극봉 어셈블리”라 함)(200)는 크게 체결소켓(210)과, 절연튜브(220)와, 전극봉(230) 및 보조소켓(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전극봉(230)의 상단은 상기 체결소켓(210) 내에서 상기 보조소켓(240)에 의해 고정되면서 절연튜브(220)와 체결소켓(2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전극봉(230)은 부도체로 이루어진 부위와 도체로 이루어진 부위로 구분 형성하여 체결소켓(210)의 절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체결소켓(210)은 유체배관(100)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이다.
이러한 체결소켓(210)은 상기 유체배관(10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고 있는 플랜지(110)의 설치공(111) 내에 체결되는 체결단(211) 및 상기 플랜지(110)의 상면 외부로 노출되면서 렌치의 조작을 위한 렌치조작단(212)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소켓(210)의 내측 중앙으로는 통과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210)을 이루는 렌치조작단(212)의 외측 끝단면(플랜지 외부로 노출되는 상측 면)에는 상기 통과공(213)에 비해 더욱 넓게 확장된 구조의 안착홈(214)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214)은 후술될 보조소켓(240)의 체결을 위한 부위 및 전극봉(230)의 안착지지단(231)에 대한 안착 부위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체결소켓(210)에는 접지전극인 -극의 전원이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튜브(220)는 후술될 전극봉(230)을 상기 유체배관(100) 내로 유동되는 유체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절연튜브(220)는 내부가 빈 튜브로 형성되며, 그 상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210)의 통과공(213)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하측 끝단은 상기 유체배관(100) 내의 유체가 유동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튜브(220)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되, 얇은 박막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극봉(230)이 상기 유체배관(100) 내의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됨은 방지하면서도 전극봉(230)과 유체배관(100) 간의 절연파괴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전자장에 의한 스케일 제거 및 방지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연튜브(220)의 하측 끝단에는 해당 절연튜브(22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개폐캡(221)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극봉(230)은 도선(250)의 설치 부위로 제공되면서 상기 도선(250)으로부터 +극의 전원을 인가받아 유체배관(100)으로 제공되는 -극의 전원과 함께 전자장을 생성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전극봉(230)은 내부가 빈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 내에 안착되고, 하측 끝단은 상기 절연튜브(220) 내의 하측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전극봉(230)이 상기 절연튜브(220) 내의 하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유체배관(100) 내의 하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원활한 스케일의 방지 및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전극봉(230)은 안착지지단(231)과 연장단(232) 및 전극단(2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지지단(231)은 상기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보조소켓(24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결소켓(210) 내의 안착홈(214) 내벽면과 상기 보조소켓(240) 사이에 밀착 고정되도록 확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확장 구조로 인해 절연튜브(220)의 상측 끝단을 가로막으면서 상기 절연튜브(2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 및 상기 절연튜브(220)와 체결소켓(210)의 통과공(2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유체배관(100) 내의 유체가 누수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단(232)은 상기 안착지지단(231)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220) 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부위이고, 상기 전극단(233)은 상기 연장단(232)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220) 내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되는 부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지지단(231)과 연장단(232)은 단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단(233)은 도체로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안착지지단(231)이 접촉되는 부위인 체결소켓(210)이 접지전극인 -극의 전원을 인가받는 부위이기 때문에 +극의 전원을 인가받는 전극단(233)과의 절연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연장단(232)과 전극단(233)은 서로 개별 제조된 후 용접이나 여타 기구적 결합 혹은, 접착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서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연장단(232)과 전극단(233) 및 안착지지단(231) 모두가 단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소켓(240)은 상기 전극봉(230)을 이루는 안착지지단(231)이 상기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보조소켓(240)은 상기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보조체결단(241)과, 상기 보조체결단(241)의 상단에 형성되면서 렌치 조작을 위한 보조렌치조작단(2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튜브(220)에 전극봉(23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극봉(230)을 이루는 안착지지단(231)은 상기 절연튜브(220)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시키고 그 나머지 부위는 상기 절연튜브(220)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의 상태에서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봉(230)이 결합된 절연튜브(220)를 체결소켓(210)의 통과공(213)에 통과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절연튜브(220)에 결합된 전극봉(230)의 안착지지단(231)은 상기 통과공(213)을 통과하지 못하고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에 보조소켓(24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보조소켓(240)은 그의 보조체결단(241)을 상기 안착홈(214)에 체결하며, 이로써 상기 안착홈(214) 내에 위치되어 있던 전극봉(230)의 안착지지단(231)은 상기 보조소켓(240)의 보조체결단(241)과 상기 안착홈(214)의 내벽면 사이에 압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튜브(220)의 하측 끝단에 개폐캡(221)을 결합하여 상기 절연튜브(220) 내부를 외부 공간으로부터 폐쇄하고, 도선(250)을 상기 전극봉(230)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봉 어셈블리(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체결소켓(210)의 체결단(211)을 유체배관(100)의 플랜지(110)에 형성된 설치공(111)에 체결함으로써 그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배관(10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전극봉(230)으로 제공되는 +극의 전원과 상기 체결소켓(210)을 통해 유체배관(100)으로 제공되는 -극의 전원에 의해 상기 유체배관(100)과 전극봉(230) 사이에는 대전이 일어나 전자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전자장은 유체배관(1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전자를 공급하여 스케일 성분의 양이온을 전기적으로 중화시켜 반발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스케일의 생성이 방지됨과 더불어 유체배관(100) 내벽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절연튜브(220)의 상측 끝단에 안착지지단(231)과 안착홈(214)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절곡단(222)을 절곡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연튜브(220) 역시 상기 안착지지단(231)과 함께 체결소켓(210)의 안착홈(214)과 보조소켓(240)의 보조체결단(241) 사이에 압입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절연튜브(220)는 상기 체결소켓(2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절연튜브(220)의 유동에 따른 절연튜브(220)와 체결소켓(210) 간의 틈새를 통한 유체의 누수가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유체배관(100)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체배관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에 유입관(1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저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의 유체배관(100)에도 적용될 수 있고,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유입관(1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저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의 유체배관(1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유입관(1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저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구조의 유체배관(100)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유체배관의 형상이나 구조에 상관없이 그의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는 유체배관(100)의 플랜지(110)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상기 플랜지(110)로부터 전극봉 어셈블리(200)의 결합 및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전극봉(230)의 상단인 안착지지단(231)이 체결소켓(210) 내에서 보조소켓(2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절연튜브(220)와 체결소켓(2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여 절연 파괴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봉 어셈블리(200)는 상기 전극봉(230)이 부도체로 이루어진 부위와 도체로 이루어진 부위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절연물질로 전극과 체결소켓(210) 간을 절연하지 않고도 상기 전극봉(230)과 체결소켓(210) 간의 절연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0. 유체배관 110. 플랜지
111. 설치공 120. 유입관
130. 유출관 200. 전극봉 어셈블리
210. 체결소켓 211. 체결단
212. 렌치조작단 213. 통과공
220. 절연튜브 221. 개폐캡
222. 절곡단 230. 전극봉
231. 안착지지단 232. 연장단
233. 전극단 240. 보조소켓
241. 보조체결단 242. 보조렌치조작단
250. 도선

Claims (5)

  1. 어느 한 측에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체배관과, 상기 설치공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유체배관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유체배관 내의 스케일 제거 혹은,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전극봉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어셈블리는
    -극의 전원을 인가받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체배관의 설치공 내주면에 체결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외측 끝단면에는 상기 통과공에 비해 확장된 구조의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체결소켓;
    박막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내부가 빈 튜브로 형성되면서 일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의 통과공 내에 위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은 상기 유체배관 내의 다른 한 측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절연튜브;
    일측 끝단은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 내에 안착되고, 타단은 상기 절연튜브 내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됨과 더불어 내부를 따라 +극의 전원을 인가하는 도선이 설치되도록 중공의 관체로 이루어진 전극봉;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에 체결되면서 상기 전극봉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보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봉은
    상기 체결소켓의 안착홈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보조소켓의 결합에 의해 상기 체결소켓 내의 안착홈 내벽면과 상기 보조소켓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안착지지단과, 상기 안착지지단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 내의 일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연장단과, 상기 연장단으로부터 상기 절연튜브 내의 끝단에까지 이르도록 연장 형성된 전극단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지지단과 연장단은 단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부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단은 상기 안착지지단 및 연장단과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도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안착지지단과 상기 안착홈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절곡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의 타측 끝단에는 개폐캡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며,
    상기 개폐캡의 끝단은 상기 유체배관의 다른 일측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KR1020150135970A 2015-09-25 2015-09-25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KR101785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70A KR101785948B1 (ko) 2015-09-25 2015-09-25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70A KR101785948B1 (ko) 2015-09-25 2015-09-25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981A KR20170036981A (ko) 2017-04-04
KR101785948B1 true KR101785948B1 (ko) 2017-10-17

Family

ID=5858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70A KR101785948B1 (ko) 2015-09-25 2015-09-25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9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3A (ko) 1999-04-23 1999-07-05 이회성 전자식수처리장치
KR100839556B1 (ko) 2006-07-05 2008-06-19 이회성 전자식 활성수기
KR100910626B1 (ko) 2009-01-21 2009-08-05 심재문 전자장 수처리장치
KR101216584B1 (ko) 2012-07-30 2012-12-31 주식회사 비젼인텍 여과성능을 향상시킨 전자장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981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0043C1 (ru) Магнитно-индуктивный расходомер,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условиях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US8410378B1 (en) Grounding fitting
CN107208833A (zh) 管路保持连接结构以及具备所述结构的高频天线装置
JP2005295792A (ja) 流体が充填されたモータを貫通する電気導体と、そのシール方法
KR100949698B1 (ko) 회전식 플랜지를 갖는 이온 수처리기
US20080102660A1 (en) Arrangement for connection of pipes
KR101952136B1 (ko) 절연 밸브실
KR101785948B1 (ko) 수처리장치용 전극봉 어셈블리
WO2018040508A1 (zh) 直流输电换流阀冷却水路及其电极和金属电极体
US10173911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roducing activated water
US20220267922A1 (en) Surface treatment device
JP2009024242A (ja) 金属パイプのめっき装置および金属パイプのめっき方法
TW200949116A (en) A rubber unit and a cable connection using the same
TW200937493A (en) RPSC and RF feedthrough
SE0402641D0 (sv) Elektrisk genomföring och sätt att tillverka en elektrisk genomföring
RU254026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квозно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одвод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US6093917A (en) High frequency heating coil device
RU261143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коммут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17109945A (ru) Ввод герметичный силов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через защитную оболочку
US20220194828A1 (en) Ozone generator
US20120032772A1 (en) Joining a current limiting device and a fuse
JP2007159271A (ja)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装置
KR101898734B1 (ko) 원유 탈염 시스템
JP2016041974A (ja) 真空装置およびフィードスルー構造
KR101754391B1 (ko) 전기 집진기용 절연애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