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922B1 -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922B1
KR101785922B1 KR1020150127966A KR20150127966A KR101785922B1 KR 101785922 B1 KR101785922 B1 KR 101785922B1 KR 1020150127966 A KR1020150127966 A KR 1020150127966A KR 20150127966 A KR20150127966 A KR 20150127966A KR 101785922 B1 KR101785922 B1 KR 10178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bic
tank
anaerobic digestion
anaerobic
diges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404A (ko
Inventor
김진우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102015012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9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0Energy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기성 산화조에서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이 산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혐기성 소화조로 전달하여,
별도 외부 열원 없이 자체 발열 에너지로 고온 혐기성 소화조의 적정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유기물의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호기성 산화조 내 가스 용해장치의 순환 펌프의 압력을 대기압의 2배 정도로 유지시켜 호기성 산화조 내부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세포벽을 취약하게 하고, 호기성 산화조 내부가 고온 상태에서 미생물의 세포벽의 강도를 약화시켜 쉽게 파괴되게 하며,
혐기성 소화조 내부 또는 외부에 고액 분리를 위한 부상 농축장치를 설치하여,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미생물의 농도가 항상 높게 유지되게 하여 처리 효율이 증대되게 한 것으로서,
중온 혐기성 소화에 비해 체류 시간이 50% 정도 단축되어 소화조의 용적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소화 효율 역시 크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가동 시간 단축으로 가동비 및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METHOD FOR REDUCTION AND HIGH TEMPERATURE DIGESTION OF EXCESS SLUDGE AND HIGH DENSITY ORGANIC WASTE WATER BY AEROBIC AND ANAEROBIC, COMPLEX DIGESTION TANK AND ITS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혐기성 소화의 소화 효율을 향상시켜 소화조의 용적과 운전 시간을 줄여,
초기 설비 투자비와 가동 및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폐수 처리에는 필연적으로 잉여 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슬러지 처리란 슬러지의 감량화를 의미하며,
감량화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되고 있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처리 방법이 혐기성 소화에 의한 슬러지의 감량화 이다.
이와 같은 혐기성 소화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35OC 부근 온도에서 대상물질의 고농도 유기물을 혐기 상태에서 소화 부산물로 메탄 가스를 얻어 혐기성 소화조 온도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 일부를 보충하는 방식의 중온 혐기성 소화 방법이 있으나, 이보다는 55OC 부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고온 혐기성 소화가 체류 시간을 단축하여 혐기 소화조의 용적을 50% 정도 절감할 수 있고, 운전 시간 또한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혐기성 소화의 대상물인 잉여 슬러지는 그 성분이 대부분 미생물로서,
미생물은 세포 내부에 고농도의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세포액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 세포벽이 파괴되면, 높은 농도의 유기물이 세포벽 외부로 유출되어 소화 속도를 증가시켜 소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포벽 파괴를 위한 방법으로는 대상 물질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초음파 조사법(ULTRASONIC)과,
대상 물질에 알카리(주로 가성소다)를 주입하여 세포벽을 취약해지게 하여 세포벽을 파괴하는 알카리법(ALKALINE)과,
기계적 방법으로 세포벽을 파괴하는 셀 파괴법(BEADS MILL)과,
효소를 첨가하여 세포벽을 녹이는 방법과,
오존(O3)을 조사하여 셀을 산화하는 방법과,
열을 가하여 세포벽을 취약하게 하여 파괴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의 감량화 처리에 있어서, 혐기성 소화에 의한 고온 혐기성 소화의 경우,
체류 시간을 단축하여 소화조의 용적과 운전 시간을 줄임으로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효과가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소화조의 온도를 55OC 부근의 고온으로 유지해야 하고,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고농도의 유기물질을 세포벽 외부로 유출시켜 소화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상 물질에 열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설비가 요구되고, 가동 및 유지 관리비 역시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수반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40216 (2013.03.07 공고) 국내등록특허 제10-1426440 (2014.08.05 공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혐기성 소화에 의한 슬러지의 감량 처리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혐기성 소화의 처리 방식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대상 물질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 혐기성 소화의 적정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고농도의 유기물질을 유지하여 소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류 시간을 단축하여 소화조의 용적과 운전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가 대폭 절감되게 하고, 가동 시간을 단축시켜, 가동비 및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호기성 산화조에서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이 산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혐기성 소화조로 전달하여,
별도 외부 열원 없이 자체 발열 에너지로 고온 혐기성 소화조의 적정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유기물의 분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호기성 산화조 내 가스 용해 장치의 순환 펌프의 압력을 대기압의 2배 정도로 유지시켜 호기성 산화조 내부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호기성 산화조 내부가 고온을 유지하게 하고, 호기성 산화조 내부에 설치된 가스 용해 장치에서 분사시, 대기압 2배 정도의 고압 상태에서 분사하여 미생물의 세포벽의 강도를 약화시켜 쉽게 파괴되게 하며,
혐기성 소화조 내부 또는 외부에 고액 분리를 위한 부상 농축장치를 설치하여, 혐기성 소화조 내부의 미생물의 농도가 항상 높게 유지되게 하여 처리 효율이 증대되게 한 것으로서,
35OC 부근에서 이루어지는 중온 혐기성 소화에 비해 체류 시간이 50% 정도 단축되어 소화조의 용적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소화 효율 역시 크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가동 시간 단축으로 가동비 및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는 중온 혐기성 소화에 비해 체류 시간이 50% 정도 단축되어 소화조의 용적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소화 효율 역시 크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가동 시간 단축으로 가동비 및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호기성 산화조의 분리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부상 농축장치의 분리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호기성 산화조의 분리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부상 농축장치의 분리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는,
혐기성 소화조(1)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호기성 산화조(3)와 부상 농축장치(5)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호기성 산화조(3)의 상측부에는 처리할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7)가 형성되어, 가스 용해장치(9)와 하단부에 형성된 원수 배출구(11)를 거쳐 압력이 대기압의 2배로 설정된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스 용해장치(9)의 상단부에는 송풍기(1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기성 산화조(3)와 혐기성 소화조(1) 사이에는 하측부와 상측부에 상징수 유입통로(17)(17')가 형성되어, 호기성 산화조(3)에서 산화 과정을 거쳐 고온 처리된 상징수가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호기성 산화조(3)와 혐기성 소화조(1)의 상단부에는 가스 배기공(19)(19')이 형성되어 소화시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고, 혐기성 소화조(1)에는 소화조 교반을 위한 교반기(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상 농축장치(5)의 상측부에는 슬러지 유입통로(21)가 형성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는 슬러지가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부상 농축장치(5)의 상부에는 상징수 유입구(23)가 구비된 유도관(25)이 설치되어, 혐기성 소화가 끝난 상징수와 함께,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이 포함된 가스가 순환펌프(26)에 의한 순환수의 순환에 의하여 음압이 형성되면서 유도관(25) 내부로 흡입되며, 이때 생성된 미세 기포가 슬러지와 접촉되면서 슬러지는 가스방울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다시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유입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부상 농축장치(5)의 하측부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구(2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외부에 구획된 방류 챔버(29)의 상부로 이동하여 처리수 방류구(31)를 통하여 외부로 방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가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에 의하여 원수 유입구(7)를 통하여 호기성 산화조(3)의 가스 용해장치(9)로 유입되면,
송풍기(15)에서 공급된 공기와 접촉하여 호기성 소화가 이루어지면서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산화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산화열에 의해 호기성 산화조(3)의 원수는 65oC 정도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징수 유입통로(17)(1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원수는 55OC 부근에서 고온 혐기성 소화가 진행된다. 이 때 필요할 경우, 온도 조절을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 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혐기성 소화가 이루어진 처리수(유출수)는 부상 농축장치(5)를 통과하면서 고액 분리가 이루어져 슬러지가 제거된 낮은 농도의 처리수는 부상 농축장치(5)의 하측부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구(2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외부에 구획된 방류 챔버(29)의 상부로 이동하여 처리수 방류구(31)를 통하여 외부로 방류되게 되고,
부상 농축장치(5)의 상부에 설치된 유도관(25) 내부로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이 포함된 가스가 순환펌프(26)에 의한 순환수의 순환에 의하여 음압이 형성되면서 흡입되어, 생성된 미세 기포가 슬러지와 접촉되면서 슬러지는 가스방울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여 부상 농축장치(5)의 상측부에 형성된 슬러지 유입통로(21)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다시 재투입되어 혐기성 소화조(1)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혐기성 소화조(1)의 외부에 호기성 산화조(3)와 부상 농축장치(5)가 위치해 있는 구조로, 혐기성 소화조(1)의 내부에 호기성 산화조(3)와 부상 농축장치(5)가 설치된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제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조 공정
원수 유입 공정
처리하고자 하는 원수를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에 의하여 원수 유입구(7)를 통하여 호기성 산화조(3)의 가스 용해장치(9) 내부로 유입시킨다.
호기성 산화 공정
상기 유입된 원수가 송풍기(15)에서 공급된 공기와 접촉하면서 호기성 산화가 이루어져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산화 분해되어, 산화열에 의해 호기성 산화조(3)의 원수가 65oC 정도로 상승한 상태에서 대기압의 2배로 설정된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에 의하여 높은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호기성 산화조(3) 내부로 분사된다.
상징수 유입 공정
상기 65oC 의 상징수가 상징수 유입통로(17)(1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로 이송된다.
혐기성 소화 공정
상기 이송된 상징수는 55OC 부근의 온도에서 고온 혐기성 소화가 진행되고,
교반기(20)에 의해 내부 교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이때 필요할 경우, 온도 조절을 위한 열교환기가 설치 가동될 수 있다.
고액 분리 공정
상기 혐기성 소화가 이루어진 처리수는 부상 농축장치(5)를 통과하면서 고액 분리가 이루어져 슬러지가 제거된 낮은 농도의 처리수는 부상 농축장치(5)의 하측부에 형성된 처리수 배출구(2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외부에 구획된 방류 챔버(29)의 상부로 이동하여 처리수 방류구(31)를 통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한편,
부상 농축장치(5)의 상부에 설치된 유도관(25) 내부로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이 포함된 가스가 순환펌프(26)에 의한 순환수의 순환에 의하여 음압이 형성되면서 흡입되어, 생성된 미세 기포가 슬러지와 접촉되면서 슬러지는 가스방울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여 부상 농축장치(5)의 상측부에 형성된 슬러지 유입통로(21)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다시 재투입된다.
재처리 공정
상기 혐기성 소화조(1)로 재투입된 슬러지는 혐기성 소화조(1) 내의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한 상태에서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며,
혐기성 소화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고액 분리 공정을 반복 순환하면서 혐기성 소화가 진행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에 의하면,
중온 혐기성 소화에 비해 체류 시간이 50% 정도 단축되어 혐기성 소화조의 용적을 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소화 효율 역시 크게 증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가동 시간 단축으로 가동비 및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1 : 혐기성 소화조
3 : 호기성 산화조
5 : 부상 농축장치
7 : 원수 유입구
9 : 가스 용해장치
11 : 원수 배출구
13 :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
15 : 송풍기
17, 17' : 상징수 유입통로
19, 19' : 가스 배기공
20 : 교반기
21 : 슬러지 유입통로
23 : 상징수 유입구
25 : 유도관
26 : 순환펌프
27 : 처리수 배출구
29 : 방류 챔버
31 : 처리수 방류구

Claims (3)

  1. 혐기성 소화조(1)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호기성 산화조(3)와 부상 농축장치(5)가 설치되고,
    상기 호기성 산화조(3)의 상측부에 원수 유입구(7)가 형성되어, 가스 용해장치(9)와, 하단부에 형성된 원수 배출구(11)를 거쳐 압력이 대기압의 2배로 설정된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 용해장치(9)의 상단부에 송풍기(15)가 연결되고,
    상기 호기성 산화조(3)와 혐기성 소화조(1) 사이에 상징수 유입통로(17)(17')가 형성되며,
    상기 부상 농축장치(5)의 상측부에 슬러지 유입통로(21)가 형성되고, 부상 농축장치(5)의 상부에 상징수 유입구(23)가 구비된 유도관(25)이 설치되어 순환펌프(26)와 연결되며,
    상기 부상 농축장치(5)의 하측부에 처리수 배출구(27)가 형성되어, 혐기성 소화조(1) 외부에 구획된 방류 챔버(29)를 거쳐 처리수 방류구(31)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성 산화조(3)의 상단부에 가스 배기공(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장치.
  3. 호기성 산화조(3)의 상측부에 형성된 원수 유입구(7)를 통하여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에 의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공정과,
    상기 유입된 원수가 송풍기(15)에서 공급된 공기와 접촉하면서 호기성 산화가 이루어져 원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산화 분해되어, 산화열에 의해 호기성 산화조(3)의 원수가 65oC 정도로 상승한 상태에서 대기압의 2배로 설정된 호기성 산화조 순환펌프(13)에 의하여 높은 압력을 유지한 상태가 되는 호기성 산화 공정과,
    상기 65oC 의 상징수가 상징수 유입통로(17)(17')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로 이송되는 상징수 유입 공정과,
    상기 이송된 상징수가 55OC 부근의 온도에서 교반기(20)에 의해 균일한 내부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고온 혐기성 소화가 진행되는 혐기성 소화 공정과,
    상기 혐기성 소화가 이루어진 처리수가 부상 농축장치(5)를 통과하면서 고액 분리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낮은 농도의 처리수는 방류되고,
    미처리된 슬러지는 유도관(25) 내부로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이 포함된 가스와 함께 순환수의 순환에 의하여 흡입되어, 생성된 미세 기포와 접촉되면서 가스방울의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여 부상 농축장치(5)의 상측부에 형성된 슬러지 유입통로(21)를 통하여 혐기성 소화조(1) 내부로 다시 재투입되는 고액 분리 공정과,
    상기 혐기성 소화조(1)로 재투입된 슬러지에 의해 혐기성 소화조(1) 내의 미생물 농도가 높게 유지된 상태에서 혐기성 소화의 완료시까지 상기 고액 분리 공정을 반복 순환하면서 혐기성 소화가 진행되는 재처리 공정,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
KR1020150127966A 2015-09-09 2015-09-09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78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66A KR101785922B1 (ko) 2015-09-09 2015-09-09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66A KR101785922B1 (ko) 2015-09-09 2015-09-09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404A KR20170030404A (ko) 2017-03-17
KR101785922B1 true KR101785922B1 (ko) 2017-10-17

Family

ID=585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966A KR101785922B1 (ko) 2015-09-09 2015-09-09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281B1 (ko) 2018-12-12 2019-05-14 김일도 고효율 혐기성 소화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140241B1 (ko) * 2019-11-08 2020-08-03 주식회사바론 복합발효미생물과 복합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소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74B1 (ko) 2010-07-15 2010-09-17 금호산업주식회사 고효율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KR100991250B1 (ko) 2010-08-23 2010-11-01 권혁성 고효율 자체발열 중, 고온 호기성 소화장치
KR101040282B1 (ko) 2010-09-14 2011-06-10 이진석 하이브리드 바이오가스-액비화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074B1 (ko) 2010-07-15 2010-09-17 금호산업주식회사 고효율 바이오가스 생산장치
KR100991250B1 (ko) 2010-08-23 2010-11-01 권혁성 고효율 자체발열 중, 고온 호기성 소화장치
KR101040282B1 (ko) 2010-09-14 2011-06-10 이진석 하이브리드 바이오가스-액비화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404A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6756B (zh) 一种处理生化难降解有机废水的工艺方法
KR101634774B1 (ko) 펜톤산화반응 효율이 향상된 제트루프 유동층 펜톤 반응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13693B (zh) 利用电催化激活分子氧处理难降解有机废水的装置和方法
CN104496008B (zh) 一种电化学-生物耦合处理有机废水的设备及方法
KR101742557B1 (ko) 오존 반응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72685B1 (ko) 정체 수역에서 녹조제거 및 수질 개선장치
KR101785922B1 (ko) 호기성 및 혐기성 복합 소화조에 의한 잉여 슬러지와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감량화 및 고온 소화 방법과 그 장치
CN204211537U (zh) 一体化兼氧mbr膜生物反应器
KR101980011B1 (ko) 슬러지 전처리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
JP2006320778A (ja) 膜分離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KR20100052232A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84299B1 (ko) 전기분해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0461827Y1 (ko) 난분해성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폐수 처리장치
CN102795750A (zh) 有机污泥深井好氧消化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1163097B1 (ko) 상수 및 하폐수 처리용 틈새구조형 가스용해장치
CN216106477U (zh) 一种用于有机废液的高级氧化反应处理装置
CN108423795A (zh) 高效催化氧化装置
KR100885540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무슬러지화 장치 및 방법
KR100709983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선택적 난분해성 염색폐수 정화장치
CN105692951A (zh) 一种铁泥循环利用的废水铁炭还原处理方法及其装置
CN104671389B (zh) 废水的臭氧氧化处理装置
KR20020075635A (ko) 슬러지 무배출형 하폐수의 처리 공정 및 그 장치
KR101095595B1 (ko) 유기성 슬러지를 함유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초음파 동공을 구비한 폐수 처리장치
KR20010088986A (ko)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4743A (ko) 적층형 고도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