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58B1 -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58B1
KR101785058B1 KR1020150154696A KR20150154696A KR101785058B1 KR 101785058 B1 KR101785058 B1 KR 101785058B1 KR 1020150154696 A KR1020150154696 A KR 1020150154696A KR 20150154696 A KR20150154696 A KR 20150154696A KR 101785058 B1 KR101785058 B1 KR 10178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lass plate
frame
insertion groov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746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ublication of KR20170034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8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discrete fixing elements, e.g. glazing clips, glaziers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유리고정용 창호구조(1)는 각각의 프레임 몸체(50)의 상기 창호공간(S)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0)이 형성되는 횡프레임(20); 상기 횡프레임(20)의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프레임 몸체(51)의 상기 창호공간(S)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종프레임(30); 상기 창호공간(S)에 설치되는 유리판(G)의 모서리(E)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받이구(3); 및 상기 받이구(3)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고정하여 상기 받이구(3)를 마감하는 마감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프레임 몸체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유리판을 받이구와 이 받이구에 부착되는 마감구에 의해 지지하므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해 유리판을 고정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Fitting Structure For Fixing Door Glass and Fixing Method Of Door Glass Thereby}
본 발명은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재로 제작된 중공의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을 이용해 문짝을 제작함에 있어,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을 조립할 때 중간에 발생하는 창호공간에 유리판을 끼우고, 끼운 유리판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중공문짝은 금속 박판재를 통상 직사각형 기둥 모양으로 이어 붙인 또는 압출에 의해 뽑아낸 중공 블럭 형태의 프레임 몸체를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으로서 조립하여 제작되는 바, 횡프레임을 상하로 배치하고 종프레임을 좌우로 배치할 때 중간에 발생하는 사각 공간 즉, 창호공간에 유리판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판재를 끼움으로써 일종의 창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중공문짝은 문짝을 구성하는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의 프레임 몸체 삽입홈에 지지블럭을 끼우고, 그 위에 유리판을 얹은 다음, 쫄대로 유리판 모서리를 파지하여 유리판을 고정함으로써 유리창을 만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문짝의 창호공간에 유리판을 고정하는 종래의 쫄대와 지지블럭은 가늘고 길기 때문에 지지블럭 위에 유리판을 얹은 상태에서 유리판 모서리에 쫄대를 대고, 체결핀 등을 쫄대에 박아 지지블럭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쫄대를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따라서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며, 결과적으로 문짝의 마감작업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쫄대를 지지블럭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결핀이 쫄대 표면으로 노출되므로, 문짝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유리판과 쫄대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 틈새에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채우는 바, 조립 전 쫄대 내벽면에 도포된 충진재가 쫄대 부착 도중에 유리판 벽면과 사이에서 압출되어 틈새 밖으로 밀려나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유리판 고정구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에 의해 조립되는 중공문짝 중앙의 창호공간에 유리판을 끼워 고정함에 있어, 유리판을 지지, 고정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문짝의 창호공간에 유리판을 끼우고, 고정하는 유리창 설치 및 문짝의 조립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횡프레임이나 종프레임에 적용함에 있어 고정에 사용되는 체결구나 프레임 몸체의 삽입홈 내부가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 몸체의 삽입홈과, 유리판을 지지하는 받이구를 결합하는 조립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함으로써, 유리창 더 나아가 문짝의 조립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 몸체의 삽입홈과 받이구의 지지대 사이의 틈새에 또는 받이구 및 마감구와 유리판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조립 시 이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간에 창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프레임 몸체의 상기 창호공간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횡프레임; 상기 횡프레임과 함께 상기 창호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횡프레임의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프레임 몸체의 상기 창호공간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종프레임;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창호공간에 설치되는 유리판의 모서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받이구; 및 상기 받이구 위에 부착되어, 상기 받이구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기 유리판의 상기 모서리를 고정하여 상기 받이구를 마감하는 마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이구는, 상면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는 받이부; 및 상기 마감구와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기 모서리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의 상기 상면 일측에 상기 마감구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이구는 상기 삽입홈에 각각 끼워지는 지지대의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몸체는 상기 받이측 돌기와 정합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상기 프레임 몸체는 상기 받이측 돌기와 정합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 몸체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받이구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과 상기 받이구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와 상기 삽입홈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받이구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이구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받이구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과 상기 받이구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받이구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 몸체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받이구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과 상기 받이구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개구단 모서리면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측 돌기와, 상기 개구단 모서리면에 접하는 상기 받이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받이구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이구는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부분적으로 수용한 때, 상기 파지부와 상기 유리판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지부 내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리판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구는 상기 유리판의 상기 모서리를 고정한 때, 상기 유리판과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유리판 릴리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하로 배치한 횡프레임과 좌우로 배치한 종프레임을 결합하여 문짝을 조립하는 문짝 조립단계; 상기 문짝 조립단계에서 상기 횡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의 중간에 형성되는 창호공간으로 면한 상기 횡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각각의 프레임 몸체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받이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방향으로 억지끼움하는 받이구 삽입단계;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에서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움된 상기 받이구 위에 유리판을 끼우는 유리판 조립단계; 및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에서 상기 유리판이 끼워진 상기 받이구에 마감구를 결합하여 상기 유리판을 고정하는 마감구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구는, 상면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횡방향으로 억지끼움되는 받이부; 및 상기 마감구와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기 모서리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의 상기 상면 일측에 상기 마감구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지지대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를,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받이측 돌기와 정합되도록,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한 유리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되는 횡프레임과 좌우로 배치되는 종프레임을 결합하여 중간에 창호공간이 형성되는 문짝으로 조립하기 전에, 상기 횡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각각의 프레임 몸체의 상기 창호공간으로 면한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에 받이구를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받이구 삽입단계;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에서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받이구가 삽입된 상기 횡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을 결합하여 상기 문짝을 조립하는 문짝 조립단계; 상기 문짝 조립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횡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 각각의 상기 받이구 위에 유리판을 끼우는 유리판 조립단계; 및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에서 상기 유리판이 끼워진 상기 받이구에 마감구를 결합하여 상기 유리판을 고정하는 마감구 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구는, 상면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되는 받이부; 및 상기 마감구와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기 모서리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의 상기 상면 일측에 상기 마감구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지지대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를, 상기 삽입홈은 상기 받이측 돌기와 정합되도록,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한 유리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문짝의 횡프레임 또는 종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 몸체 내측 모서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창호공간에 끼워지는 유리판을 지지하는 받이구가, 마감구와 함께 유리판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부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해 유리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받이구의 받이부와 파지부를 부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따라서 유리판 고정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받이구의 받이부와 파지부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받이부와 파지부 상호 간에 오정렬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고, 따라서 유리판의 조립품질 및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이구를 삽입홈에 고정하는 체결수단과 마감구를 받이구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은 물론, 삽입홈의 내측단 모서리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이들의 노출로 인해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더 나아가 문짝의 외관이 훼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받이구의 지지대 외벽면과 삽입홈의 내벽면에 각각 요철을 형성하여 삽입홈에 대해 받이구를 결합할 수 있으면서, 문짝과 받이구의 조립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받이구를 삽입홈에 대해 횡방향으로 억지끼우거나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유리판에 대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의 조립품질은 물론이고, 조립 작업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홈 내벽의 프레임측 돌기 아래에 및/또는 받이구 지지대의 외벽 구석에 및/또는 프레임측 돌기와 받이구 받이부 사이의 틈새에 받이구 릴리프홈을 형성하거나, 받이구 파지부 및/또는 마감구와 유리판 사이의 틈새에 유리판 릴리프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받이구를 삽입홈에 조립할 때 또는 유리판을 받이구 위에 얹을 때 또는 유리판을 얹은 받이구 위에 마감구를 부착할 때, 위 틈새에 개재되는 충진재가 위 릴리프홈으로 옮겨 가게 됨으로써 틈새 외부로 압출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쫄대 조립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용 창호구조가 적용된 중공문짝을 횡프레임과 종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공문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받이구와 삽입홈을 조립 상태로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횡프레임의 프레임 몸체 삽입홈 내벽에 충진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충진재가 도포된 삽입홈에 받이구를 종방향으로 밀어넣어 미끄럼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받이구와 삽입홈을 조립 상태로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10은 9는 도 4에 도시된 받이구의 파지부 내벽에 충진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마감구를 유리판과 함께 조립 상태로 도시한 부분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리고정용 창호구조는 도 1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문짝(10)의 중앙에 형성된 창호공간(S)에 끼워지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판체 즉,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유리판(G)을 그 모서리(E)에서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횡프레임(20), 종프레임(30), 받이구(3)와 마감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횡프레임(20)은 중공문짝(10)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사각통체의 형태로 제작되는 바, 중간에 도 1에 도시된 창호공간(S)을 형성하면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창호공간(S)을 향하는 각각의 프레임 몸체(50)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0)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40)이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몸체(50) 내측 모서리에 유리판(G)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오목한 홈으로서, 받이구(3)를 끼우기에 적합한 깊이로 바닥(18)을 형성한다.
상기 종프레임(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횡프레임(20)과 함께 중공문짝(10)을 구성하는 바,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에 의해 사각통체의 형태로 제작되며, 횡프레임(20)과 함께 중간에 창호공간(S)을 형성하도록 횡프레임(20) 좌우에 쌍을 이루어 배치될 뿐 아니라, 창호공간(S)을 향하는 각각의 프레임 몸체(51)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41)은 프레임 몸체(51) 내측 모서리에 유리판(G)을 끼우기 위해 형성한 오목한 홈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는 도 4 내지 도 6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가 삽입되는 삽입홈(40)의 내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또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프레임측 돌기(29)가 프레임 몸체(5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홈(40)은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가 삽입된 때, 프레임측 돌기(29)가 지지대(19)의 받이측 돌기(27)에 걸리면서 받이구(3)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삽입홈(40)은 받이구(3)를 억지끼움에 의해 스냅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측 돌기(29)의 입구모서리(16)를 모따기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측 돌기(29)와 삽입홈(40)의 바닥(18) 사이에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 이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 삽입홈(40)과 받이구(3) 사이에 발생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삽입홈(40)의 내벽과 지지대(19) 외벽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메우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 전에 삽입홈(40)의 내벽 및/또는 지지대(19) 외벽에 도포될 수 있는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가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위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즉, 조립 전 삽입홈(40)의 내벽 및/또는 지지대(19) 외벽에 충진재가 도포되었다면, 이 충진재는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삽입할 때 압착되더라도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으로 옮겨감으로써 틈새를 통해 외부로 짜내어지지 않는다.
또한,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측 돌기(27)와 받이구(3)의 받이부(11) 사이에 제3 받이구 릴리프홈(33)을 형성하는 바, 이 제3 받이구 릴리프홈(33)은 받이측 돌기(27)를 삽입홈(40)의 개구단 모서리면(35)보다 안쪽에 배치함으로써, 조립 시 받이구(3)의 받이부(11)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개구단 모서리면(35) 위에 얹힐 때 받이부(11)와 받이측 돌기(27)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제3 받이구 릴리프홈(33)은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과 마찬가지로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충진재가 위 틈새로부터 압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종프레임(30)의 프레임 몸체(51)도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가 삽입되는 삽입홈(41)의 내벽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측 돌기가 프레임 몸체(5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이 프레임측 돌기는 프레임 몸체(50)의 프레임측 돌기(29)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받이구(3)는 중공문짝(10)의 창호공간(S)에 설치되는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10)의 창호공간(S)에 끼워지는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일측 예컨대, 도면 상 좌측으로 표시된 후방에서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문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에 창호공간(S)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횡프레임(20)과, 이 횡프레임(20) 사이에 끼워져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종프레임(30)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바,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각각의 프레임 몸체(50,51) 내측 모서리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40,41)이 형성되어, 받이구(3)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받이구(3)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각각 삽입되어, 창호공간(S)에 끼워지는 유리판(G)의 모서리면과 접촉하는 동시에,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전면 또는 후면 일측에서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이를 위해, 받이구(3)는 다시 받이부(11)와 파지부(1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받이부(11)는 받이구(3)의 몸체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또는 도 1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종프레임(30)의 프레임 몸체(51)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받이부(11)는 창호공간(S)으로 면한 내측면 즉, 도면 상 상단에 위치하는 상판(15)의 상면(17)이 유리판(G)의 모서리면에 접촉하여 유리판(G)을 지지한다. 뿐만 아니라, 받이부(1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5)의 저면에 한 쌍의 지지대(19)가 돌출되는 바, 삽입홈(40)의 저면보다 상판(15) 즉, 상면(17)이 더 높이 유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받이부(11)는 상면(17)을 이루는 상판(15)이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판(15)의 저면 전후방 양단에 걸림턱(21)을 형성함으로써, 받이구(3)가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끼워질 때, 삽입홈(40)의 내측단 모서리면(25)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13)는 받이구(3)가 유리판(G)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부(11)의 상면(17)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돌출되는데, 아래 설명되는 마감구(5)와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마감구(5)와 함께 받이부(11) 상면(17)에 파지홈(23)을 형성한다. 따라서, 파지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구(5)와 함께 유리판(G)의 모서리(E)를 파지하여 유리판(G)을 고정한다.
상기 마감구(5)는 받이구(3) 특히, 받이구(3)의 파지부(13)와 함께 창호공간(S)의 유리판(G)을 앞뒤로 지지하는 마감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긴 막대의 형태로 제작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받이구(3)의 파지부(13)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유리판(G)에 대한 상대 위치도 파지부(13)와 동일하다. 따라서, 마감구(5)는 받이구(3)의 받이부(11) 상면(17)에 체결핀 등으로 부착됨으로써, 파지부(13)와 함께 파지홈(23)을 완성하여 받이구(3)를 마감하며, 받이구(3)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완전하게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받이구(3)는 받이측 돌기(27)를, 횡프레임(20)은 프레임측 돌기(29)를 포함하는 바, 받이측 돌기(27)와 프레임측 돌기(29)는 공히 횡프레임(20)의 삽입홈(40)에 대해 받이구(3)를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도 6 및 도 9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받이측 돌기(27)는 받이부(11)의 지지대(19) 전후방 외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측 돌기(29)는 받이측 돌기(27)에 걸려 고정되도록 삽입홈(40)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는 바, 받이측 돌기(27)와 프레임측 돌기(29)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받이구(3)는 위에서 언급한 데로, 지지대(19)의 받이측 돌기(27)가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홈(40)의 프레임측 돌기(29)에 스냅식으로 탄력을 갖고 결합됨으로써, 프레임 몸체(50)의 내측 모서리에 고정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받이구(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전에 예컨대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 내벽 및/또는 지지대(19) 외벽에 충진재가 도포되는 경우, 이 충진재가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삽입한 때,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받이측 돌기(27)와 지지대(19) 사이에 제2 받이구 릴리프홈(32)을 형성한다. 즉, 조립 전 삽입홈(40)의 내벽 및/또는 지지대(19) 외벽에 도포된 때, 이 충진재는 삽입홈(40)과 받이구(3)를 결합할 때 압착되더라도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 및/또는 제2 받이구 릴리프홈(32)으로 옮겨감으로써 틈새에서 외부로 압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받이구(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 내벽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받이부(11)와 파지부(13)의 경계를 이루는 구석 부분에 제1 유리판 릴리프홈(42)이 형성되는 바, 제1 유리판 릴리프홈(42)은 조립 후 파지부(13)와 유리판(G)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메우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 전에 파지부(13) 내벽과 받이부(11)가 만나는 구석에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가 도포되는 경우, 이 충진재는 받이부(11) 상면(17)에 유리판(G)을 얹을 때 위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즉, 조립 전 파지부(13) 내벽과 받이부(11)가 만나는 구석에 도포된 충진재는 받이부(11) 위에 유리판(G)을 얹을 때 압착되더라도 제1 유리판 릴리프홈(42)으로 옮겨감으로써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마감구(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전에 마감구(5) 내벽에 도포된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가 마감구(5)를 파지부(13) 반대쪽에서 유리판(G)에 밀착될 때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지 않도록,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내벽면 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 유리판 릴리프홈(43)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 조립 전에 마감구(5) 내벽에 충진재가 도포된 경우, 이 충진재는 마감구(5)가 최종적으로 파지홈(23)을 완성하면서 받이구(3) 위에 부착될 때 유리판(G)과 사이에서 압착되더라도 제2 유리판 릴리프홈(43)으로 옮겨감으로써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리고정방법은 조립 순서에 따라 두 가지로 대별되는 바, 그 한 가지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의 프레임 몸체(50,51)를 조립하여 문짝(10)의 창호공간(S)을 먼저 만든 다음 각각의 삽입홈(40,41)에 받이구(3)를 삽입하는 것으로, 문짝 조립단계(S10), 받이구 삽입단계(S20), 유리판 조립단계(S30), 및 마감구 결합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문짝 조립단계(S10)는 문짝(10)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도 1과 같이, 한 쌍의 횡프레임(20)을 상하로, 한 쌍의 종프레임(30)을 좌우로 배치한 다음 상호 결합하여 문짝(10)을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문짝(10)의 조립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가능하며, 예컨대 체결볼트 등으로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을 체결함으로써 완료된다.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S20)는 조립이 완료된 창호공간(S)에 받이구(3)를 억지끼움하는 단계로서, 위 문짝 조립단계(S10)에서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을 조립한 때 형성되는 창호공간(S)에 받이구(3)를 횡방향으로 억지끼움하여 삽입하는 바, 이때, 횡방향으로 삽입한다는 것은 받이구(3)를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공간(S)으로 면하는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내측 모서리의 삽입홈(40)에 대해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직각방향으로 끼워 넣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받이구(3)와 삽입홈(40)은 도 4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의 지지대(19)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27)와, 삽입홈(40,41)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29)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때 받이측 돌기(27)는 지지대(19)의 탄력에 의해 프레임측 돌기(29)에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받이구(3)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파지부(13)가 문짝(1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상태로 예컨대,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삽입되며, 지지대(19)에 의해 삽입홈(40) 바닥(18)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삽입홈(40)에 삽입된 받이구(3)의 받이부(1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턱(21)에 의해 삽입홈(40) 전후방 내측단 모서리면(25)을 덮게 된다. 다만, 이때 횡프레임(20)에 끼워지는 받이구(3)와 종프레임(30)에 끼워지는 받이구(3)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접촉면을 45도 각도로 가공하여 밀착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각으로 접촉하면서 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S30)는 위 받이구 삽입단계(S20)에서 삽입홈(40,41)에 억지끼움된 받이구(3) 위에 유리판(G)을 끼우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횡프레임(20)의 경우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삽입된 받이구(3) 위에 유리판(G)을 얹어 유리판(G)이 파지부(13)에 걸려 일시적으로 가수용되도록 한다.
끝으로, 상기 마감구 결합단계(S40)는 위 유리판 조립단계(S30)에서 유리판(G)이 끼워진 받이구(3)를 마감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G)이 놓인 받이구(3)의 파지부(13) 대향측에 마감구(5)를 부착하여, 유리고정용 창호구조(1)를 마감함으로써 유리판(G) 설치를 마무리한다. 이를 위해, 마감구(5)는 파지부(13) 반대쪽에서 받이구(3)의 상판(15)에 부착되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체결핀 등의 다양한 체결수단이 마감구(5)의 부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판(15)에 부착된 마감구(5)는 파지부(13)와 함께 파지홈(23)을 형성함으로써 유리판(G)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고정방법의 또 다른 형태는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을 조립하기 전에 각각의 프레임 몸체(50,51) 삽입홈(40,41)에 받이구(3)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 삽입단계(S110), 문짝 조립단계(S120), 유리판 조립단계(S130), 및 마감구 결합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S11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중간에 창호공간(S)이 형성되는 문짝(10)을 조립하기 전에,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 각각의 프레임 몸체(50,51) 삽입홈(40,41)에 받이구(3)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도 2와 같이 분해된 상태의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의 프레임 몸체(50,51) 삽입홈(40,41)에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를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한다. 이때, 종방향으로 결합하다는 것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구(3)를 삽입홈(40,41)에 나란한 방향으로 끼워 넣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받이부(11)의 지지대(19) 전후방 외면에 받이측 돌기(27)가 형성되고, 삽입홈(40,41)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프레임측 돌기(29)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받이구(3)를 횡프레임(20)의 측면에서 프레임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홈(40)에 삽입하므로, 받이측 돌기(27)와 프레임측 돌기(29)가 정합되는 상태로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종프레임(30)도 받이구(3)를 삽입홈(40)에 프레임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여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문짝 조립단계(S120)는 위 받이구 삽입단계(S110)에서 삽입홈(40,41)에 받이구(3)가 삽입된 횡프레임(20)과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문짝(10)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401)에 받이구(3)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 횡프레임(20)과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삽입홈(41)에 받이구(3)가 삽입된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10)을 조립하게 된다.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S130)와 상기 마감구 결합단계(S140)는 위 유리판 조립단계(S30) 및 마감구 결합단계(S40)와 각각 동일한 단계로서, 받이구(3) 위에 유리판(G)을 얹은 후 마감구(5)를 결합하는 것으로 유리판(G)을 고정하게 되는 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어느 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방법이든 프레임 몸체(50,51)의 삽입홈(40,41)에 받이구(3)를 삽입하기 전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40,41)의 내벽에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도포하거나, 삽입홈(40) 대신 또는 삽입홈(40)과 동시에 받이구(3)의 지지대(19) 외벽에 충진재를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직각방향으로 억지끼움하여 삽입하든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 삽입홈(40)에 받이구(3)를 종방향으로 밀어넣어 미끄럼 결합하든, 삽입홈(40) 내벽과 지지대(19) 외벽 사이에 개재되는 충진재가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 및/또는 제2 받이구 릴리프홈(32)으로 충진되면서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 몸체(50,51)에 대한 받이구(3)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받이구(3) 상에 유리판(G)을 끼우게 되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받이구(3)의 파지부(13)에 유리판(G)을 거치하기 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13) 내벽과 받이부(11)가 만나는 구석 부분에 마찬가지로 충진재와 같은 실리콘을 도포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이구(3)의 받이부(11)와 파지부(13)가 만나는 구석 부분에 유리판(G)을 얹은 때, 파지부(13) 내벽과 유리판(G) 사이에 개재되는 충진재가 구석 부분의 제1 유리판 릴리프홈(42)으로 충진되면서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받이구(3)를 마감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유리판(G) 반대쪽에서 받이부(11) 면에 마감구(5)를 부착하기 전에도, 마감구(5)의 내벽에 실리콘과 같은 충진재를 도포하는 바, 유리판(G)과 받이부(11)가 만나는 구석 부분에 마감구(5)를 부착함으로써 파지홈(23)을 완성할 때, 마감구(5)는 마감구(5) 내벽과 유리판(G) 사이에 개재되는 충진재가 마감구(5) 내벽의 제2 유리판 릴리프홈(43)으로 충진되므로, 충진재가 틈새를 통해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리판(G)을 고정하게 된다.
1 :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3 : 받이구
5 : 마감구 10 : 문짝
11 : 받이부 13 : 파지부
15 : 상판 17 : 상면
19 : 지지대 20 : 횡프레임
21 : 걸림턱 23 : 파지홈
25 : 모서리 30 : 종프레임
40, 41 : 삽입홈 50, 51 : 프레임 몸체
E : 모서리 G : 유리판
S : 창호공간

Claims (10)

  1. 중간에 창호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하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프레임 몸체(50)의 상기 창호공간(S)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0)이 형성되는 횡프레임(20);
    상기 횡프레임(20)과 함께 상기 창호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횡프레임(20)의 좌우로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각의 프레임 몸체(51)의 상기 창호공간(S)을 향하는 내측 모서리에 삽입홈(41)이 형성되는 종프레임(30);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40,41)에 삽입되어, 상기 창호공간(S)에 설치되는 유리판(G)의 모서리(E)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받이구(3); 및
    상기 받이구(3) 위에 부착되어, 상기 받이구(3)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고정하여 상기 받이구(3)를 마감하는 마감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구(3)는 상기 삽입홈(40,41)에 각각 끼워지는 지지대(19)의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27)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몸체(50)는 상기 받이측 돌기(27)와 정합되도록 상기 삽입홈(40)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상기 프레임 몸체(51)는 상기 받이측 돌기(27)와 정합되도록 상기 삽입홈(41)의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29)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몸체(50)는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40)과 상기 받이구(3)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29)와 상기 삽입홈(40) 바닥(18)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이구(3)는,
    상면(17)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40)에 삽입되는 받이부(11); 및
    상기 마감구(5)와 함께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G)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11)의 상기 상면(17) 일측에 상기 마감구(5)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이구(3)는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40)과 상기 받이구(3)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29)와 상기 지지대(19) 사이에 형성되는 제2 받이구 릴리프홈(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몸체(50)는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40)과 상기 받이구(3)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홈(40)의 개구단 모서리면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프레임측 돌기(29)와, 상기 개구단 모서리면(35)에 접하는 상기 받이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제3 받이구 릴리프홈(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이구(3)는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부분적으로 수용한 때, 상기 파지부(13)와 상기 유리판(G)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지부(13) 내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리판 릴리프홈(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5)는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를 고정한 때, 상기 유리판(G)과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벽면 상에 형성되는 제2 유리판 릴리프홈(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9. 상하로 배치한 횡프레임(20)과 좌우로 배치한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문짝(10)을 조립하는 문짝 조립단계(S10);
    상기 문짝 조립단계(S10)에서 상기 횡프레임(20)과 상기 종프레임(30)의 중간에 형성되는 창호공간(S)으로 면한 상기 횡프레임(20)과 상기 종프레임(30) 각각의 프레임 몸체(50,51)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40,41)에 받이구(3)의 적어도 일부분을 횡방향으로 억지끼움하는 받이구 삽입단계(S20);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S20)에서 상기 삽입홈(40)에 억지끼움된 상기 받이구(3) 위에 유리판(G)을 끼우는 유리판 조립단계(S30); 및
    상기 유리판 조립단계(S30)에서 상기 유리판(G)이 끼워진 상기 받이구(3)에 마감구(5)를 결합하여 상기 유리판(G)을 고정하는 마감구 결합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구(3)는,
    상면(17)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40)에 횡방향으로 억지끼움되는 받이부(11); 및
    상기 마감구(5)와 함께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G)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11)의 상기 상면(17) 일측에 상기 마감구(5)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부(11)는 상기 삽입홈(40)에 끼워지는 지지대(19)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27)를, 상기 삽입홈(40)은 상기 받이측 돌기(27)와 정합되도록,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29)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는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40)과 상기 받이구(3)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29)와 상기 삽입홈(40) 바닥(18)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10. 상하로 배치되는 횡프레임(20)과 좌우로 배치되는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중간에 창호공간(S)이 형성되는 문짝(10)으로 조립하기 전에, 상기 횡프레임(20)과 상기 종프레임(30) 각각의 프레임 몸체(50,51)의 상기 창호공간(S)으로 면한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40,41)에 받이구(3)를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는 받이구 삽입단계(S20);
    상기 받이구 삽입단계(S20)에서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가 삽입된 상기 횡프레임(20)과 상기 종프레임(30)을 결합하여 상기 문짝(10)을 조립하는 문짝 조립단계(S10);
    상기 문짝 조립단계(S10)에서 조립된 상기 횡프레임(20)과 상기 종프레임(30) 각각의 상기 받이구(3) 위에 유리판(G)을 끼우는 유리판 조립단계(S30); 및
    상기 유리판(G) 조립단계(S30)에서 상기 유리판(G)이 끼워진 상기 받이구(3)에 마감구(5)를 결합하여 상기 유리판(G)을 고정하는 마감구 결합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구(3)는,
    상면(17)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유리판(G)의 모서리(E)를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40)에 종방향으로 미끄럼 결합되는 받이부(11); 및
    상기 마감구(5)와 함께 상기 유리판(G)의 상기 모서리(E)를 파지하여 상기 유리판(G)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이부(11)의 상기 상면(17) 일측에 상기 마감구(5)와 대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부(11)는 상기 삽입홈(40)에 끼워지는 지지대(19) 전후방 외면에 형성된 받이측 돌기(27)를, 상기 삽입홈(40)은 상기 받이측 돌기(27)와 정합되도록, 전후방측 내벽면에 형성된 프레임측 돌기(29)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횡프레임(20)의 프레임 몸체(50)는 상기 삽입홈(40)에 상기 받이구(3)를 삽입한 때, 상기 삽입홈(40)과 상기 받이구(3)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충진재가 상기 틈새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측 돌기(29)와 상기 삽입홈(40) 바닥(18)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받이구 릴리프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정용 창호구조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KR1020150154696A 2015-09-21 2015-11-04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KR101785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13 2015-09-21
KR20150133413 2015-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46A KR20170034746A (ko) 2017-03-29
KR101785058B1 true KR101785058B1 (ko) 2017-10-12

Family

ID=5849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696A KR101785058B1 (ko) 2015-09-21 2015-11-04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5829A (zh) * 2018-03-23 2019-10-01 吉田建材(苏州)有限公司 窗用型材的辅助支撑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48Y1 (ko) * 2001-11-20 2002-07-27 강응률 복층유리 설치 기능을 가진 창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48Y1 (ko) * 2001-11-20 2002-07-27 강응률 복층유리 설치 기능을 가진 창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746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2566C (en) Shower door assembly
CA2573823A1 (en) Connecting corner for screens
CA2812508A1 (en) Shower door assembly
US9995081B1 (en) Spacer element for a double glazed article
KR101785058B1 (ko) 유리고정용 창호구조 및 그에 의한 유리고정방법
KR102433888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KR20170008414A (ko) 중간대를 구비한 중공문짝
KR20160002338A (ko) 이형재질의 프레임을 조립시킨 창틀프레임
JP7162184B2 (ja) 框組パネル組立て用治具、框組パネル組立て用治具セットおよび框組パネル組立て用治具方法
KR102093486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40106319A (ko) 지그용 클립
KR200384122Y1 (ko) 유리문 장식샤시 연결구조
KR101878166B1 (ko)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
KR20180057175A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KR101826418B1 (ko) 창호 제작용 몰드바아
JP2021095726A (ja) 引手
KR20190004886A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CN211397254U (zh) 一种门窗用组角件及门窗
KR20160127505A (ko) 도어의 하판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CN213115297U (zh) 一种便于安装的轻量化保温一体铝板
US6948809B2 (en) Interconnecting assembly in combination with primary and auxiliary eyeglasses
KR20170028076A (ko) 창틀쫄대 고정편
CN214673099U (zh) 一种插座的双片保护门结构
KR1003896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론트 케이스 조립체
KR101923264B1 (ko) 창유리 지지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