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89B1 -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3689B1 KR101783689B1 KR1020150086898A KR20150086898A KR101783689B1 KR 101783689 B1 KR101783689 B1 KR 101783689B1 KR 1020150086898 A KR1020150086898 A KR 1020150086898A KR 20150086898 A KR20150086898 A KR 20150086898A KR 101783689 B1 KR101783689 B1 KR 101783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disease
- clinical
- specific clinical
- v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9/706—
-
- G06F19/707—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Description
(여기서, ScoreDisease-Drug : 신약 재창출 지수,α: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보성 점수에 대한 가중 인자, C: 질병과 약 사이의 상보성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A: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에서는 UP 또는 DOWN에 해당하고,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에서는 ASSOCIATION 방향성 정보를 갖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CV: 임상학적 벡터, C(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와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상보성 점수, A(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ASSOCIATION 점수이다.)
또한,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는 t 검증(t-test)을 통하여 특정 질병 상태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있는 임상학적 변수를 찾아내어, 오류 발견률(FDR)이 5% 이하의 값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들만 선정하여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coreDisease-Drug : 신약 재창출 지수, α: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보성 점수에 대한 가중 인자, C: 질병과 약 사이의 상보성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A: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에서는 UP 또는 DOWN에 해당하고,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에서는 ASSOCIATION 방향성 정보를 갖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CV: 임상학적 벡터, C(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와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상보성 점수, A(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ASSOCIATION 점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와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를 생성하여 약물 재창출 스코어를 계산하는 프레임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약 재창출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과 약물과의 관계의 유의확률(P-Valu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약 재창출 지수를 계산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약 재창출 지수를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20 :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100 : 제 1 저장부 200: 제 2 저장부
300 : 비교부 400: 판단부
Claims (8)
- 질병 상태에서 임상학적 변수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1저장부(100);
약물 투여시 나타나는 임상학적 변수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 2저장부(200);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와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의 임상학적 변수가 가지는 방향성을 비교하는 비교부(300); 및
상기 비교부(300)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이 상기 질병에 대해 약효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400)는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와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 사이의 상보성을 활용하여 신약 재창출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신약 재창출 지수는 하기 수식으로 정의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에 대한 장치.
(여기서, ScoreDisease-Drug : 신약 재창출 지수,α: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보성 점수에 대한 가중 인자, C: 질병과 약 사이의 상보성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A: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에서는 UP 또는 DOWN에 해당하고,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에서는 ASSOCIATION 방향성 정보를 갖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CV: 임상학적 벡터, C(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와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상보성 점수, A(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ASSOCIATION 점수이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는 t 검증(t-test)을 통하여 특정 질병 상태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있는 임상학적 변수를 찾아내어, 오류 발견률(FDR)이 5% 이하의 값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들만 선정하여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에 대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는 약물과 관련 있는 임상학적 변수를 발견하여, 상기 약물과 상기 임상학적 변수 간의 방향성을 파악하여 저장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에 대한 장치.
- 삭제
- 제 1저장부(100)에 임상학적 변수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가 저장되는 단계(S100);
제 2저장부(200)에 약물 투여시 나타나는 임상학적 변수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가 저장되는 단계(S200);
비교부(300)가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와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의 임상학적 변수가 가지는 방향성을 비교하는 단계(S300); 및
판단부(400)가 상기 비교부(300)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이 상기 질병에 대해 약효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 단계(S400)는
상기 판단부(400)가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와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 사이의 상보성을 활용하여 신약 재창출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신약 재창출 지수는 하기 수식으로 정의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여기서, ScoreDisease-Drug : 신약 재창출 지수, α: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보성 점수에 대한 가중 인자, C: 질병과 약 사이의 상보성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A: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에서는 UP 또는 DOWN에 해당하고,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에서는 ASSOCIATION 방향성 정보를 갖는 임상학적 변수의 숫자, CV: 임상학적 벡터, C(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와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상보성 점수, A(CVDisease, CVDrug):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 사이의 ASSOCIATION 점수이다.)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특이적 임상학적 특징 벡터(10)는 t 검증(t-test)를 통하여 특정 질병 상태에서 유의미하게 증가되거나 감소되어 있는 임상학적 변수를 찾아내어, 오류 발견률(FDR)이 5% 이하의 값을 가지는 임상학적 변수들만 선정하여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특이적 임상학적 효과 벡터(20)는 약물과 관련있는 임상학적 변수를 발견하여, 상기 약물과 상기 임상학적 변수 간의 방향성을 파악하여 저장되는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898A KR101783689B1 (ko) | 2015-06-18 | 2015-06-18 |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898A KR101783689B1 (ko) | 2015-06-18 | 2015-06-18 |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620A KR20160149620A (ko) | 2016-12-28 |
KR101783689B1 true KR101783689B1 (ko) | 2017-10-10 |
Family
ID=5772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6898A Active KR101783689B1 (ko) | 2015-06-18 | 2015-06-18 |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368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91348A1 (ko) * | 2019-11-07 | 2021-05-14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약 재창출 후보 선정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5162B1 (ko) * | 2019-03-12 | 2019-11-08 | 한국과학기술원 | 질병 표적 대사 효소에 특이적인 인체 대사 물질을 이용하여 질병에 대한 약물 후보를 예측하는 방법 |
JP2021144615A (ja) * | 2020-03-13 | 2021-09-24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2319B1 (ko) | 2006-02-20 | 2007-03-1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질병관련유전자 선정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6554A (ko) | 2010-08-16 | 2012-02-24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전자 의무 기록 및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한 약물 또는 시술 부작용 감지 방법 |
-
2015
- 2015-06-18 KR KR1020150086898A patent/KR1017836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2319B1 (ko) | 2006-02-20 | 2007-03-1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질병관련유전자 선정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91348A1 (ko) * | 2019-11-07 | 2021-05-14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약 재창출 후보 선정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620A (ko) | 2016-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tanding | Understanding and applying pharmacometric modelling and simula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 |
CN108109700B (zh) | 一种慢性病药物疗效评价方法和装置 | |
AU2006210430B2 (en) | Method for defining virtual patient populations | |
Hajirasouliha et al. | Precision medicin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verview and relevance to reproductive medicine | |
JP2008502371A (ja) | 病状の始まりまたは変化を予測する方法 | |
US20090150134A1 (en) | Simulating Patient-Specific Outcomes | |
US11738340B2 (en) | Neurodegenerative target discovery platform | |
Hasanzad et al. | Artificial intelligence perspective in the future of endocrine diseases | |
KR101783689B1 (ko) | 질병 및 약물 특이적 임상 변수의 상보성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기법 및 장치 | |
Barh et al. | In silico disease model: from simple networks to complex diseases | |
CN112133367A (zh) | 药物与靶点间的相互作用关系预测方法及装置 | |
Han et al. | Risk prediction of diabetes and pre-diabetes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data | |
Collin et al. | EU-STANDS4PM consortium; et al. Computational models for clinical applications in personalized medicine—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data integration and model validation | |
CN116543867A (zh) | 基于预测模型指导t2dm患者mtm模式的方法及装置 | |
CN112071439B (zh) | 药物副作用关系预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Saab et al. |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classifying adverse-event related 30-day hospital readmissions: potential implications for patient safety | |
CN115035976A (zh) | 一种美洛西林的新生儿群体使用剂量优化方法及系统 | |
Debnath et al. | Wheat ergot fungus-derived and modified drug for inhibition of intracranial aneurysm rupture due to dysfunction of TLR-4 receptor in Alzheimer’s disease | |
CN114255878A (zh) | 一种疾病分型模型的训练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 |
Stein et al. | Baseline drug clearance predicts outcomes in childre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vedolizumab: results from the vedokids prospective multicentre study | |
CN118380163A (zh) | 一种用于预测药物耐药状态的方法、系统和设备 | |
Bangs | Predictive Biosimulation and Virtual Patients in Pharmaceutical RD | |
CN117711626A (zh) | 一种基于多维度因素的抑郁情绪评测方法 | |
Wosiak et al. | On integrating clustering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supporting cardiovascular disease diagnosis | |
US10083274B2 (en) | Non-hypergeometric overlap probab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