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597B1 -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 Google Patents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597B1
KR101783597B1 KR1020150176885A KR20150176885A KR101783597B1 KR 101783597 B1 KR101783597 B1 KR 101783597B1 KR 1020150176885 A KR1020150176885 A KR 1020150176885A KR 20150176885 A KR20150176885 A KR 20150176885A KR 101783597 B1 KR101783597 B1 KR 10178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facility house
tube
house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546A (ko
Inventor
나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Priority to KR102015017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5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 하우스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 솔라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 집열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편 온도 차이에 따른 제백 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솔라셀 및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축전지; 및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시설 하우스의 정전시 시설 하우스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Green house having emergency p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시설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비상전원으로 저장하였다가 비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화훼용 하우스 등의 시설 하우스는 원통형으로 구성된 강재 파이프를 이용하여 터널형(또는 아치형) 골조를 세우고, 이들을 다시 수평형 골조로 연결하여 시설 하우스 골조를 세운 다음, 그 위를 필름 등으로 덮어서 완성한다.
시설 하우스는 한 번 설치하면 철거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함으로써 특정 계절에 관계없이 4계절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농가 소득이 증대되고 농업 관련 기술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시설 하우스에서는 채소류, 화훼류, 과실류 등의 식용 또는 관상용 식물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식물 재배 이외에 축산 업계의 축사에 사용되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 하우스는 단열 기능이 미비하여 그 자체만으로는 적정한 내부 온도의 유지가 어렵다. 즉 시설 하우스의 내부 온도는 일조량이 많은 오후 시간대에는 높게 상승하는 반면, 야간 특히 심야 시간대에는 급격히 내려가게 되며, 이와 같은 심야 시간대의 온도 저하 현상은 동절기에 더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28827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는, 하우스본체; 상기 하우스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유체공급원; 및 상기 하우스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원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스본체 내부의 공기를 하측으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유체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유체와 열교환 되도록 하는 팬코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공급원은 지중의 시추홀에 설치되어 시추홀의 붕괴를 방지하며 일측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지하수 유입홀이 형성된 시추홀 보호부재와, 상기 시추홀 보호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시추홀 보호부재에 수용된 지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시추홀과 시추홀 보호부재의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부재를 구비하는 비닐하우스의 냉난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1은 팬코일유닛을 작동시켜 하우스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한 후 다시 하우스본체 내로 배출시켜 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균일하게 냉난방 할 수 있다.
한편, 시설 하우스에는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팬코일유닛 이외에도 별도의 난방장치나 하우스 내부의 압력을 부압으로 형성하여 풍해를 입지 않도록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배풍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작동된다.
따라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정전시에는 시설 하우스에 설치된 난방장치나 배풍장치들을 작동할 수 없게 되어 자연 재해로부터 시설 하우스를 보호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에는 시설 하우스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시설 하우스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288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생성하는 솔라셀에 세척수단을 구성하여 솔라셀을 세척 및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은, 시설 하우스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 솔라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 집열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편 온도 차이에 따른 제백 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솔라셀 및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축전지; 및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시설 하우스의 정전시 시설 하우스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솔라셀에는 세척수단이 구비되되, 세척수단은, 솔라셀의 측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측부 및 상부 분사관; 측부 및 상부 분사관에 구비되어 솔라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측부 및 상부 분사관 사이에 구비되어 양 분사관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신축관; 물탱크 내의 세척수를 압송하여 측부 및 상부 분사관으로 공급하는 펌프; 및 측부 및 상부 분사관을 회전시켜 각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수단은, 측부 분사관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 1 피동기어; 수평 분사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수직 분사관의 일측 제 1 피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제 2 피동기어; 수직 분사관의 타측 제 1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펌프와 물탱크 사이에는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에 따르면, 평상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하였다가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시설 하우스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자연 재해로 인한 시설 하우스를 보호할 수 있고, 시설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솔라셀에 태양광과 마주하는 솔라셀의 전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솔라셀을 세척 및 냉각시켜 줌으로써 솔라셀의 발전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장치에 구비되는 솔라셀과 열전소자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장치의 솔라셀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근거리 세척시의 작동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수단의 원거리 세척시의 작동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 하우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시설 하우스로 공급되던 상용전원의 정전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비상전원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설 하우스(1)는 통상의 비닐하우스로서,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대(10)와, 이러한 지지대(10)를 덮도록 지지대(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비닐(20)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대(10)는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자 형상의 프레임과, "∩"자 형상의 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 고정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10)는 외관(10b)과 내관(10a)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구비되어 지지대(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중관의 내관(10a)에는 온수가 유동되게 하여 시설 하우스(1)의 난방에 일조할 수 있으며, 내관(10a)과 외관(10b)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대(10)의 외측면에 덮어져 구비되는 비닐(20)은, 그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20c)이 형성되어 있어 시설 하우스(1) 내부를 단열하게 된다. 즉, 비닐(20)은 외피(20b)와 내피(20a)의 이중비닐로 형성되고, 외피(20b)와 내피(20a)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공기층(20c)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닐(20)은 공기층(20c)에 의해 시설 하우스(1)를 단열할 뿐 아니라 시설 하우스(1) 내.외부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현상 등을 방지하여 비닐(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상전원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 하우스(1)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100)과, 솔라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310)과, 집열판(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온도 차이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00)와, 솔라셀(100) 및 열전소자(30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축전지(200)와, 축전지(2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시설 하우스(1)의 정전시 시설 하우스(1)에 공급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솔라셀(100)은 다수의 셀이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행렬로 배치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솔라셀(100)은 시설 하우스(1)와 이격된 일측의 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시설 하우스(1)에 직접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집열판(310)은 솔라셀(100)에서 발생된 열을 집열하고, 열전소자(300)는 집열판(310) 측으로 구비된 일측면과 타측면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백 효과(seebeck effect)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생성하게 된다. 더욱이, 열전소자(300)의 하부에는 열전소자(300)에서 버려지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320)이 구비되어, 열전소자(300)에서의 온도 차이를 더욱 극명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열전소자(300)의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축전지(200)는 솔라셀(100) 및 열전소자(30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시키는 것으로, 통상의 축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평상시 시설 하우스(1)에 공급되던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정전시 시설 하우스(1)에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에 축전지(20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비상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시설 하우스(1)의 여러 장치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연 재해로 인한 시설 하우스(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시설 하우스(1) 내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비상전원장치는 평상시 솔라셀(100)에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솔라셀(100) 하부에 구비되는 집열판(310)은 솔라셀(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집열하고, 집열판(310) 하부에서 구비되는 열전소자(300)는 집열판(310) 측의 일측면과 방열판(320) 측의 타측면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백 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솔라셀(100) 및 열전소자(30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지(200)에 축전되고, 제어부(400)에 의해 시설 하우스(1)의 정전시 시설 하우스(1)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에 비상전원으로 공급됨으로써 시설 하우스(1)의 각종 장치들이 신속하게 정상 작동되므로 시설 하우스(1) 및 시설 하우스(1)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솔라셀(100)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그 표면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솔라셀(100)의 표면이 먼지나 각종 이물질로 덮어져 발전효율이 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솔라셀(100)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솔라셀(100)의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방지한다.
이러한 솔라셀(100)의 세척수단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집광하는 솔라셀(100)의 일측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편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131)(141)을 갖는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과, 측부 분사관(130)과 상부 분사관(140) 사이에 구비되어 양 분사관(130)(14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신축관(150)과,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물탱크(160)와, 물탱크(160)와 측부 분사관(130) 사이에 구비되어 물탱크(160) 내의 세척수를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170)와,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을 회전시켜 각 분사관(130)(1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솔라셀(100)은 사각틀의 프레임(110) 내에 다수의 셀이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되어 행렬로 배치되어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솔라셀(100)은 그 하면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바(111)에 의해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경사진 솔라셀(100)은 하루 중 태양광이 가장 강렬한 시간대에 위치되는 태양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예를 들면, 정오부터 해질 무렵 시의 태양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솔라셀(100)의 프레임(110)에는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다수의 베어링블록(120)이 구비된다.
한편, 측부 분사관(130)은 솔라셀(100)의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지만, 구조의 단순화 및 설치의 간편화를 위해, 일측의 측부에만 설치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키로 한다.
이와 같이 솔라셀(100)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는 측부 분사관(130)은 베어링블록(120)을 통해 솔라셀(100)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131)이 일렬로 나열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측부 분사관(130)에 구비되는 다수의 노즐(131)을 통해 솔라셀(100)의 측방에서 반대편 측으로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부 분사관(130)의 상,하부에는 제 1 피동기어(132)가 각각 설치되어 측부 분사관(130)과 같이 회전되고, 측부 분사관(130) 상부의 제 1 피동기어(132)는 베벨기어로 구비되는 한편 하부의 제 1 피동기어(132)는 평기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하부의 제 1 피동기어(132)를 동일한 부호로서 설명한다.
상부 분사관(140)은 솔라셀(100)의 상부에 베어링블록(120)을 매개로 하여 솔라셀(100)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141)이 일렬로 나열되어 구비됨으로써, 다수의 노즐(141)을 통해 솔라셀(100)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분사관(140)의 양단부에는 제 2 피동기어(142)가 각각 구비되어 상부 분사관(140)과 같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측부 분사관(130)과 상부 분사관(140)은 솔라셀(100)의 규격에 따라 각각 하나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관이 중공의 조인트로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측부 분사관(130)의 상단부와 상부 분사관(140)의 일단부는 신축관(150)으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바, 신축관(150)은 통상의 주름관 등으로 형성되어 굽힘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에 대해 손상이나 파손 없이 자유롭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측부 분사관(130)은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160)와 공급관(161)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공급관(161) 상에는 물탱크(160) 내의 세척수를 측부 분사관(130)으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170)가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170)는 워터펌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동펌프로도 구성될 수 있고, 물탱크(160)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상수도 또는 빗물 등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펌프(170)와 물탱크(160) 사이에는 물탱크(16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히터(190)는 주로 동절기에 사용되며, 히터(19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세척수를 각 분사관(130)(140)으로 공급하여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동절기에도 솔라셀(100)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을 회전시켜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은, 모터(180)와, 모터(18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181)를 포함하고, 구동기어(181)에는 측부 분사관(130)의 하부에 구비된 제 1 피동기어(132)가 치합되어 구비되며, 측부 분사관(130)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피동기어(132)는 상부 분사관(140)에 구비된 제 2 피동기어(142)와 치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결된 구동기어(181)와 제 1,2 피동기어(132)(142)에 의해서 측부 분사관(130)과 상부 분사관(14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모터(180)는 구동기어(181)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정.역회전 가능한 스텝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솔라셀(100)의 세척수단은, 펌프(170)가 작동되면, 물탱크(160) 내의 세척수가 공급관(161)을 통해 측부 분사관(130)으로 강제 압송되어 공급되고, 측부 분사관(130)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측부 분사관(130)의 상단부와 상부 분사관(140)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신축관(150)을 통해 상부 분사관(140)으로도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세척수는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의 노즐(131)(141)을 통해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고압으로 분사되어 솔라셀(100)의 표면을 세척하면서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척수가 분사되는 각 분사관(130)(140)은 조절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를 근거리 및 원거리로 넓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절수단의 모터(180)가 구동되면, 구동기어(181)가 회전되고, 구동기어(181)에 치합된 측부 분사관(130) 하부의 제 1 피동기어(132)가 측부 분사관(130)과 같이 회전되고, 측부 분사관(130)의 회전에 의해 상부의 제 1 피동기어(132)에 치합된 상부 분사관(140)의 제 2 피동기어(142)가 연동되어 상부 분사관(140)과 같이 회전된다.
따라서, 측부 및 상부 분사관(130)(140)은 모터(180)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정.역회전 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각 분사관(130)(140)과 근접한 솔라셀(100)의 일측부와 상부의 근거리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각 분사관(130)(140)과 멀리 떨어진 솔라셀(100)의 타측부와 하부의 원거리 영역에도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어, 솔라셀(100)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솔라셀(100)의 세척이 동절기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펌프(170)와 물탱크(160) 사이의 공급관(161)에 구비된 히터(190)를 작동시켜 고온의 세척수를 각 분사관(130)(140)으로 공급하여 상기와 같이 솔라셀(100)의 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솔라셀(100)의 세척 효율 향상은 물론 솔라셀(100)의 동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히터(190)에서 데워진 고온의 세척수를 시설 하우스(1)의 이중관으로 구비된 지지대(10) 내로 공급하여 시설 하우스(1)의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시설 하우스 10 : 지지대
10a : 내관 10b : 외관
20 : 비닐 20a : 내피
20b : 외피 20c : 공기층
100 : 솔라셀 110 : 프레임
111 : 지지바 120 : 베어링블록
130,140 : 분사관 131,141 : 노즐
132,142 : 피동기어 150 : 신축관
160 : 물탱크 161 : 공급관
170 : 펌프 180 : 모터
181 : 구동기어 190 : 히터
200 : 축전지 300 : 열전소자
310 : 집열판 320 : 방열판
400 : 제어부

Claims (4)

  1.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덮도록 지지대의 외측에 설치되는 비닐을 포함하는 시설 하우스에 있어서,
    시설 하우스의 지지대는 이중관으로 구성되고,
    시설 하우스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셀; 솔라셀의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열을 집열하는 집열판; 집열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편 온도 차이에 따른 제백 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솔라셀 및 열전소자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축전지; 및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시설 하우스의 정전시 시설 하우스에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솔라셀에는 세척수단이 구비되고,
    세척수단은, 솔라셀의 측부와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측부 및 상부 분사관; 측부 및 상부 분사관에 구비되어 솔라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측부 및 상부 분사관 사이에 구비되어 양 분사관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신축관; 물탱크 내의 세척수를 압송하여 측부 및 상부 분사관으로 공급하는 펌프; 및 측부 및 상부 분사관을 회전시켜 각 분사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조절수단은, 측부 분사관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제 1 피동기어; 수평 분사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수직 분사관의 일측 제 1 피동기어와 치합되어 연동되는 제 2 피동기어; 수직 분사관의 타측 제 1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함으로써, 측부 및 상부 분사관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펌프와 물탱크 사이에는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되고,
    히터에서 데워진 고온의 세척수를 시설 하우스의 이중관으로 구비된 지지대 내로 공급함으로써, 시설 하우스의 난방용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히터에서 데워진 고온의 세척수를 각 분사관으로 공급하여 솔라셀의 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솔라셀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76885A 2015-12-11 2015-12-11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KR10178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85A KR101783597B1 (ko) 2015-12-11 2015-12-11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85A KR101783597B1 (ko) 2015-12-11 2015-12-11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46A KR20170069546A (ko) 2017-06-21
KR101783597B1 true KR101783597B1 (ko) 2017-10-10

Family

ID=5928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885A KR101783597B1 (ko) 2015-12-11 2015-12-11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6030A (zh) * 2017-09-21 2018-01-23 苏州仁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育种温室
CN107360902A (zh) * 2017-09-21 2017-11-21 苏州仁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大棚种植用太阳能地热供暖系统
KR102202857B1 (ko) * 2018-05-31 2021-01-14 (주)엠아이티소프트 빅데이터 수집 기반의 사료 잔여랑 분석 기능 구축 및 태양광 에너지를 전원으로 한 피드 빈의 사료 관리 주문 시스템 및 사료 관리 주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28B1 (ko) 2012-06-15 2013-08-01 (주)환경개발시스템 온도조절 하이브리드 하우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628B1 (ko) 2012-06-15 2013-08-01 (주)환경개발시스템 온도조절 하이브리드 하우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46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00B2 (en) Photovoltaic greenhouse structure
JP2018509892A (ja) 環境に優しい屋内栽培
KR101478204B1 (ko) 태양열시스템을 이용한 유리온실
KR101783597B1 (ko) 비상전원장치를 갖는 시설 하우스
KR101603782B1 (ko) 냉각 및 융설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718682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
KR20150084103A (ko) 온실하우스의 하이브리드 냉난방시스템
KR20140001660A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실 자동난방시스템
JP5830211B2 (ja) 温室用栽培システム
KR100897740B1 (ko) 이중 온실의 안개분무식 난방장치
KR20190125729A (ko) 발열 필름 및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KR20180029864A (ko) 축사용 시설물에서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
KR101077414B1 (ko) 옥외 시설물
JP2004275119A (ja) 温室
KR20190039482A (ko)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CN205431264U (zh) 太阳能植物工厂温室
KR101652080B1 (ko) 축열식 냉난방시스템
KR10220953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어류 양식 및 버섯 재배설비
KR101363041B1 (ko) 에너지 절약형 비닐하우스
KR101818335B1 (ko) 이중 작물 하우스의 온습 공급시스템
KR20110131870A (ko) 옥외 시설물
KR20120063100A (ko) 무가온 온실시스템
RU1514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благоприятного микроклимата в теплице
KR200380285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KR101742979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을 위한 재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