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367B1 -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367B1
KR101783367B1 KR1020160117177A KR20160117177A KR101783367B1 KR 101783367 B1 KR101783367 B1 KR 101783367B1 KR 1020160117177 A KR1020160117177 A KR 1020160117177A KR 20160117177 A KR20160117177 A KR 20160117177A KR 101783367 B1 KR101783367 B1 KR 10178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unit
pressu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명
이기중
Original Assignee
김종명
이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이기중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16011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3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22Pressure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discharging the beverage to the outside by pressing a container containing the beverage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n accommodation container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opening/clos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t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so as to discharge the beverage; and a pressure regulating unit that selectively ascends and descends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presses the accommodation container so as to maintain an internal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controller is opened by a users control,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pressure.

Description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a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가압부를 이용하여 수용용기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for discharging a beverage by chang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using a separate pressurizing unit and a dispense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즐겨 마시는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 맥주가 있으며, 맥주의 역사는 나라, 학자마다 주장이 다를 정도로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나라에서 사랑 받으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되어 왔다. As a typical example of beverages, beer is a typical example of beverages, and the history of beer has been loved by many countries for many years and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history of mankind so that the claims of each country and scholar are different.

이러한 맥주 맛의 발전에 따라서 맥주를 보관하는 용기 또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특히 19세기 중기 유럽에서는 맥주를 보관하기 위해 나무재질의 `오크통` 에 보관하였다. As a result of these beer tastes, the container for storing beer has been developed. Especially in the mid-19th century, it was stored in an oak barrel made of wood to store beer.

그러나 오크의 경우 운반하기는 쉬우나, 유통기한이 짧은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keg형태의 수용용기가 개발되었다. However, in case of orc, it is easy to carry, but the shelf life is short. In order to improve it, a stainless steel keg type receptacle was developed.

스테인레스 keg형태의 수용용기는 맥주를 담는 스테인레스 통에 질소 또는 Co2가스를 keg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관이 있고, 주입되는 gas의 압력에 의해 keg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맥주가 나오는 또 하나의 관으로 맥주가 나오게 된다. The stainless steel keg-type container is a stainless steel tube containing beer, and there is a tube that can inject nitrogen or Co2 gas into the keg. The pressure of the injected gas increases the pressure inside the keg. Beer comes out.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맥주에 gas가 삽입되어 맥주 본연의 맛을 헤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when the beer is supplied in this manner, the gas is inserted into the beer, which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beer can taste the original taste.

또한 무게가 무거워 운반비용도 많이 들뿐 아니라 사람이 직접 운반하기에도 힘들다. In addition, it is not only expensive to carry because it is heavy, but also difficult to transport by person.

이러한 무게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최근 외형이 플라스틱으로 된 pub keg가 개발되었으나 기존 기술과 마찬가지로 배출용 가스를 이용하여 맥주를 배출하기 때문에 맥주에 Co2와 질소 등이 맥주에 삽입되어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ecure the disadvantage of this weight, recently developed pub keg made of plastic has been developed. However, like the existing technology, since the beer is discharged using the exhaust gas, Co2 and nitrogen are inserted into beer in beer and enjoy the original taste There is no problem.

그래서 최근 맥주에 Co2와 질소 등이 맥주에 삽입되지 않도록 만들어진 key keg가 개발되었으나 기존 기술과 마찬가지로 Co2와 질소 등의 가스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a key keg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the introduction of Co2 and nitrogen into beer in beer, but it requires Co2 and nitrogen gas as well as existing technologies.

뿐만 아니라, draft 맥주를 마시기 위해서는 keg형태의 수용용기와 함께 배출용 가스를 수용하는 가스용기도 함께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음식점이나 펍 등에서 가스용기를 대여 혹은 구매해야 하고 수용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drink draft beer, it is necessary to have a keg-shaped receptacle together with a gas container that accommodates the exhaust gas. As a result, the gas container must be rented or purchased in a restaurant or a pub,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음료 배출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용기의 내부 압력을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discharge a beverage contained therein by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above a predetermined lev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and a dispenser for supplying a drink using the contain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가 기 설정된 높이에서 안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음료를 배출하는 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수용용기의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수용용기의 내부 압력을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주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조절부가 개방되며 상기 수용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beverage, the dispens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containing a beverage therein, A main body including a receiving space and an opening / closing regul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ort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to discharge the beverage, and a main body including a main body which is selectively raised and lower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to pressurize the receiving container, The control unit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by a user's operation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수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용기의 하부로 삽입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부를 선택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수용용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리프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ing unit may include a pressurizing unit that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with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moves upward an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and a pressurizing unit that selectively lifts the pressurizing unit from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izing uni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pressing por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리프팅부 또는 상기 가압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자중과 상기 가압부의 승강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 regul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part provided in any one of the lift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to sense a self weight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a pressure acting on the accommodation container by lifting the pressure part .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용기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가압부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may raise and lower the pressing unit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is maintained,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또한, 상기 압력조절유닛은 상기 개폐조절부와 연동되어 상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부가 상기 가압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may interlock with the opening / closing regulating unit so that the lifting unit lifts the pressing unit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수용용기와 접촉하는 상면에 별도의 제1냉각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용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may have a separate first cooling portion on an upper surface contacting with the receiving container to cool the receiving container.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수용용기를 지지하며, 중앙에서 상기 가압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획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support the accommodation containe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artition supporting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can penetrate through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료를 냉각시키는 별도의 냉각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ol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cool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또한, 상기 본체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용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b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ody is openable to allow the accommodating container to be replaced.

또한, 상기 본체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별도의 제2냉각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second cooling unit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cool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디스펜서에 수용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수용용기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며 상측에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부 및 측부에서 상기 수용부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하여 이를 지지하는 케이스 및 판상으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캡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for receiving a beverage contained in a dispenser, the container being made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A case for supporting the receiving part and a supporting cap for supporting the receiving part and forming a bottom at the lower part of the case and supporting the receiving part, .

또한, 상기 케이스는 하부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캡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의 상대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has at least one protru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inner side surface, the supporting cap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and being insertable into the case according to a relative rotation state with the case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penser for supplying the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음료가 수용된 수용용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및 본체의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승강하며 수용용기를 가압하여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유닛을 포함하며, 별도의 음료 배출용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수용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that houses therein a receptacle containing a beverage therein, and a pressure regulating unit that selectively lifts up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presses the receptacle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discharged without using it.

둘째, 본체 내부의 수용공간 내측면중 적어도 일부에 별도의 제2냉각부가 구비됨으로써 본체 내부에 수용된 수용용기를 냉각하여 음료를 냉각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Second, a separate second cooling unit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in a cooled state by cooling the accommodation vessel contained in the main body.

셋째, 압력조절유닛은 수용용기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별도의 압력감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감지된 압력에 대응하여 압력조절유닛이 구동하며 수용용기에 작용하는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since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ncludes a separate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acting on the container,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sensed pressure, and the advantage that the pressure acting on the container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가압부의 승강에 의해 수용용기에 작용하는 압력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압력조절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pressure change acting on a container by a lifting / lowering of a pressure portion in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n the dispenser for supplying the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와 이를 이용하는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and a dispenser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가압부의 승강에 의해 수용용기에 작용하는 압력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FIG. 2. FIG. 4 is a cross- Fig. 3 is a view showing a pressure change acting on the container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ressurizing portio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음료가 수용된 수용용기(400)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별도의 배출용 가스 없이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structure and accommodates a container 400 in which a beverage is contained and presses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400 so that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without a separate discharge gas Device.

여기서 상기 수용용기(400)는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스(410),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부에 배출구(4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420) 및 판상으로 구성되어 수용부(420)의 하부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부(420)를 가압하는 지지캡(430)을 포함한다.The container 400 includes a case 410 made of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a flexible material having an outlet 422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receiving portion 420 for receiving the beverage therein, And a support cap 430 which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case 420 an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ase 410 by an external force to press the accommodation part 420.

여기서, 상기 케이스(410)는 상기 수용용기(400)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420)를 보호하는 형태로 형성된다.Here, the case 410 forms an outer shape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and protects the accommodating part 4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410)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상기 배출구(42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사각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4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42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수용부(420)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며, 상기 배출구(4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420)는 유연한 재질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422)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receiving part 420 is provided in the case 410 to receive the beverage therein, and the outlet 422 is formed.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ortion 4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losed with a flexible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able through the outlet 422.

한편, 상기 지지캡(430)은 상기 케이스(410) 하부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42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판상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support cap 430 is formed of a plate-like metal or a synthetic resin so as to support the receiving part 420 at the bottom of the case 410.

그리고 후술하는 디스펜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밀려 올려지도록 구성된다.And is pushed up into the case 410 by the dispenser to be described later.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430)이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하며, 상기 수용부(420)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cap 430 is inserted into the case 410 and simultaneously pressurizes the receiving part 420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420 can be discharg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캡(430)은 상기 케이스(41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cap 4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shape of the case 410 and is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이와 달리 상기 지지캡(430)이 상기 수용부(42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지지캡(430)을 분리하여 상기 디스펜서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upport cap 430 may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cap 430 and installed in the dispenser 420, rather than be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4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용기(400)는 상기 케이스(410)와 상기 수용부(420)의 이중구조로 구성되며, 후술하는 디스펜서에 의해 상기 지지캡(430)이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됨으로써 상기 음료를 배출할 수 있다.The support cap 43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420 by the dispens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이어서, 상기 수용용기(400)를 이용하는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enser using the container 400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크게 본체(100), 압력조절유닛(200) 및 냉각유닛(300)을 포함한다.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and a cooling unit 300.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4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5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상기 수용용기(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150 for receiving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fix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50 so as not to be detached.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400) 및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이 구비되며, 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용기(4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and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50, and part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and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can be opened, Lt; / RTI >

그리고 상기 본 체는 상부에 별도의 개폐조절부(130)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400)가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422)와 연결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eparate opening / closing part 130 at the upper part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22 whe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50.

여기서 상기 개폐조절부(130)는 일반적인 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가 조절된다.Here,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30 is formed in a general valve shape and is selectively opened / closed by a user's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용기(4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here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50)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용기(400)가 안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ccommodating space 150 form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inside thereof,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seated and fixed on the upper part.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용기(400)가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기 설정된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별도의 구획지지부(14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mpartment support 140 so as to be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accommodation contain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0.

상기 구획지지부(140)는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50)에서 상기 수용용기(400)를 지지한다.At least one or more of the partition supporting portions 140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50 to support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n the receiving space 150.

이때, 상기 구획지지부(140)는 상기 수용공간(150)의 중앙에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의 상승 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supporting part 1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150 so as to pass through the pressure adjusting unit 200 when the pressure adjusting unit 200 is lif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지지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두 개의 상하 공간으로 분할하며, 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돌기 형태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tition support part 140 is divided into two upper and lower space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50 and is formed to have a ring shap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otrusions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상기 구획지지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용기(40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Sinc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the partition supporting portion 140 therei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can be stably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dropping down due to its own weight.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용기(400)의 교체를 위한 별도의 도어(1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oor 120 for replacing the receiving container 400.

상기 도어(1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 또는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이 힌지 회전하며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door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hinged and openable.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도어(120)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개폐조절부(130)는 상기 도어(120)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20)가 닫히는 형우 상기 개폐조절부(130)와 상기 수용용기(400)에 형성된 배출구(422)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When the door 1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 closing part 130 may be provided on the door 120. When the door 120 is closed And the discharge port 422 form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물론, 상기 도어(120)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어(120)에는 상기 개폐조절부(130)가 구비되지 않는다.Of course, when the door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door 120 is not provided wit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ler 1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50)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and a receiving space 150 is formed therein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그리고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400)를 기 설정된 높이에서 안착되도록 지지하며 수용할 수 있다.And the receiving container 400 can be received and supported so as to be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용공간(150)에 수용된 상기 수용용기(400)를 냉각시키는 제2냉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oling unit (not shown),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oling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50.

상기 제2냉각부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400)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킨다.The second cooling unit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cool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때, 상기 제2냉각부는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상기 수용용기(400)가 안착된 영역에서 내측면 및 도어(12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4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20 in the receiving space 150.

즉, 상기 제2냉각부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냉장고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가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main body 100 may perform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refrigerator by the second cooling unit, and the main body 1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hermetically encl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0. [

또한, 상기 본체(100) 외부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의 온도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display (not show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50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50)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용기(400) 하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부가 선택적으로 승하강하여 상기 수용용기(400)를 가압한다.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n the receiving space 150 and selectively moves up and down by a user's operation to pressurize the receiving container 400, do.

이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수용용기(400)는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수준으로 가압되며, 상기 수용용기(400) 내부에서 음료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수용용기(400)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이 상승한다.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400 pressurized by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s pressurized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400,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s lifted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maintained.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상기 지지캡(430)의 하면에 접촉하여 승하강하는 가압부(210) 및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에서 이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부(2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ap 430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50 and moves up and down the pressurizing unit 210 and the pressurizing unit 210, (Not shown).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상기 지지캡(430)을 가압하고, 상기 지지캡(430)과 함께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된다.The pressing part 210 moves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o press the supporting cap 430 and is inserted into the case 410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cap 430.

이때, 상기 지지캡(430)은 상기 수용부(420)와 상기 가압부(210)의 사이에서 댐퍼 역할을 하며, 상기 가압부(210)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 cap 430 acts as a damper between the receiving part 420 and the pressing part 210, and prevents the pressing part 210 from being directly impac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부(220)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lifted by the lifting portion 220 to press the receiving portion 420.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420)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개폐조절부(1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420) 내부에 수용된 음료는 상기 배출구(4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130 is opene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4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422

여기서, 상기 가압부(210)는 둘레가 상기 케이스(41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상승 시 상기 구획지지부(14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된다.The pressing portion 210 is formed so as to be relatively smaller in circumferenc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410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rtition supporting portion 140 when the pressing portion 210 rises in the receiving space 150.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부(210)는 상면에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sing portion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한편,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수용용기(400)와 접촉하는 상면에 별도의 제1냉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ling unit (not shown)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210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400.

상기 제1냉각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전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캡(430)과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2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ooling un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not shown), and may be formed on a surface contacting the support cap 430 to cool the receiving unit 420.

이때, 상기 지지캡(430)은 상기 제1냉각부에 의한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전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pport cap 430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by the first cooling unit.

한편, 상기 리프팅부(220)는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부(210)를 선택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기 수용용기(4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The lifting unit 220 selectively lifts the pressing unit 21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unit 210 and inserts the pressing unit 210 into the container 400.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부(220)는 상기 수용공간(150)의 바닥면과 상기 가압부(2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part 220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50 and the pressing part 210 so as to be stret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220)가 액츄에이터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1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ing part 220 is formed in an actuator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pressing part 210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리프팅부(220)가 복수 개로 구성되거나, 액츄에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lifting portions 220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ctuators.

이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이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수용부(420)에 작용하는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부(210)가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s constituted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acting on the receiving portion 420 by the user's operation and presses the receiving portion 42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별도의 압력감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ing unit 230.

상기 압력감지부(230)는 상기 리프팅부(220) 또는 상기 가압부(2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400)의 자중과 상기 가압부(210)의 상강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4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한다.The pressure sensing part 23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lifting part 220 and the pressing part 210 so that the weight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nd the upper part of the pressing part 210, 400).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감지부(230)는 상기 가압부(210)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210) 또는 상기 리프팅부(22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상기 수용부(420)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알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senses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unit 210 or the lifting unit 220 when the pressing unit 210 presses the receiving unit 420 provided in the case 410 A pressure acting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20 can be known through the configura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감지부(230)는 상기 리프팅부(220)상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420)의 가압 시 상기 가압부(210)에 작용하는 반발 압력을 감지한다.The pressure sensing part 230 is provided on the lifting part 220 to sense a repulsive pressure acting on the pressing part 210 when the receiving part 420 is pressed.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압력을 통해 상기 가압부(210)의 승하강이 조절될 수 있다.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21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이에 따라,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설정압력(R)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가압부(210)가 승강하여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become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et pressure R, the pressurization unit 210 is configured to ascend and descend to press the accommodating unit 420.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수용부(420)에 작용해 상기 음료를 적절히 배출하기 위해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어야 하는 설정압력(R) 구간이 R구간이다.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In order to properly discharge the beverage in the accommodating unit 420,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R) is the R section.

그리고 처음에는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R) 내에 있지만, 사용자가 상기 개폐조절부(130)를 통해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is within the set pressure R but the user discharges the bever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130,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sensed by the sensor.

이때,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R)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리프팅부(220)가 구동하여 상기 가압부(210)를 승강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falls below the set pressure R, the lifting unit 220 is driven to move the pressing unit 210 up and down.

또한,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R) 구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리프팅부(220)의 구동이 멈추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is within the set pressure R, the lifting unit 220 is stopped.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상기 설정구간 이하로 떨어지는 A영역에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이 구동하며, 상기 가압부(210)가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s driven in a region A where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falls below the setting period, ).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420)에 작용하는 압력은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음료의 잔여 량에 상관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음료를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ure acting on the receiving part 420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and the beverage can be stably discharged regardless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물론,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리프팅부(220)가 상기 개폐조절부(130)와 연동되어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함께 구동하여 상기 가압부(210)를 실시간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terlocking wit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30, the lifting part 220 is driven together to elevate the pressing part 210 in real time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가압부(210), 리프팅부(220) 및 압력감지부(230)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조절부(130)로 상기 음료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210)가 승강하여 상기 수용부(4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유지시킨다.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essing unit 210, the lifting unit 220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30,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e pressing portion 210 moves up and down to maintain the pressure acting on the receiving portion 4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별도의 냉각유닛(300)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oling unit 300.

상기 냉각유닛(3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장치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42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료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The cooling unit 300 is a generally used cooling device,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cools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유닛(300)은 상기 배출구(422)와 상기 개폐조절부(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422)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상기 냉각유닛(300) 내부를 경유한 후 상기 개폐조절부(130)를 통해 배출된다.The cooling unit 3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42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2 flows into the cooling unit 300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30. [

이에 따라 상기 개폐조절부(13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료를 차가운 상태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ler 130 can be consumed by the user in a cold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상기 수용용기(400)를 기 설정된 높이에서 수용하며 고정하는 상기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부(420)에 작용하는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압력조절유닛(200) 및 배출되는 상기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300)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in body 100, which receives and fixes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pressure sensor (not shown) that ascends and descends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a cooling unit 300 for cool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구비됨으로써, 기존에 음료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던 별도의 배출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수용용기(400)에 수용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ischarge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400 without using any separate discharge gas used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부(22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modified form of the lift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400)를 이용해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에서 압력조절유닛(2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in a dispenser for supplying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서 상기 리프팅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unit 2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살펴보면 상기 리프팅부(220)가 상술한 바와 달리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회전 상태에 따라 신축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A, the lifting unit 220 is formed in a bolt shape to rotate,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리프팅부(2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10)의 승강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fting height of the pressing portion 210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ifting portion 220.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220)가 액츄에이터 형태가 아닌 링크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the lifting unit 220 may have a link structure instead of an actuator structure.

구체적으로 두 개의 링크가 교차되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결합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가압부(210)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wo link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the angle of mutual coupling is adjusted, so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pressing portion 210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부(220)는 앞서 설명한 액츄에이터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unit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well as the actuator type described abov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또한, 상기 리프팅부(220)는 상기 가압부(210) 또는 상기 수용용기(400)의 크기나 하중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Also, the lifting unit 220 may have a plurality of lif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size or the load of the pressing unit 210 or the receiving container 40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4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수용용기(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캡(430)이 삽입 가능한 상태로 조절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케이스(410)는 하부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412)가 형성된다.The case 4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412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inner side surface of the case 410. The case 41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

그리고 상기 지지캡(430)은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412)에 대응하는 홈(432)이 형성된다.The support cap 430 is formed with a groove 432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412.

이때, 상기 돌출부(412)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캡(430)의 둘레 형상과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 내측면 형상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412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support cap 430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shape of the case 410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 내측면에 상기 돌출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캡(430)이 상기 돌출부(412)를 포함한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410)와 상기 지지캡(430)의 회전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캡(430)의 상기 케이스(410) 내부 삽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The protrusion 412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ase 410 and the support cap 43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case 410 including the protrusion 412, The support cap 430 can be inserted into the case 41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se 410 and the support cap 430.

즉 상기 수용용기(400)를 상기 수용공간(150)에 삽입하지 않고 외부에 비치하거나 이송시키는 경우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지지캡(430)에 형성된 홈(432)과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412)가 어긋나도록 배치한다.That is, when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is not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50 and is supplied or transport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6 (a), the groove 432 formed in the support cap 430 and the case 410 Are arranged so as to be shifted.

이에 따라, 상기 수용용기(4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돌출부(412)의 간섭에 의해 상기 지지캡(430)이 상기 수용부(420)를 가압하지 않고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receptacle 400 receives an impact from the outside, the support cap 430 can protect the receptacle 420 without pressing it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rotrusion 412.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수용용기(400)를 상기 수용공간(150)에 삽입하기 전에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412)와 상기 지지캡(430)의 둘레에 형성된 홈(432)이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캡(430)을 회전시킨다.6 (b), before the user inserts the receptacle 400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50, the protrusion 412 formed on the case 410 and the support cap 430 The support cap 430 is rotated so that the formed groove 432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이후, 사용자가 상기 수용용기(400)를 상기 수용공간(150)내부에서 상기 구획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삽입한다.Thereafter, the user inserts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50 to be supported by the partition supporting portion 140.

이에 따라 상기 지지캡(430)은 도 6의 (c)와 같이 가압부(2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support cap 430 is slidable upward in the case 41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ortion 210 as shown in FIG. 6C.

이와 같이 상기 수용용기(400)에서 상기 돌출부(412)에 의해 상기 지지캡(430)이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410)와의 고정상태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수용용기(400)가 외부에 비치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42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holding cap 430 is selectively fixed to the case 410 by the protrusion 412 i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so that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provided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portion 4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본체
120: 도어
130: 개폐조절부
140: 구획지지부
150: 수용공간
200: 압력조절유닛
210: 가압부
220: 리프팅부
230: 압력감지부
300: 냉각유닛
400: 수용용기
410: 케이스
420: 수용부
430: 지지캡
100:
120: Door
130:
140:
150: accommodation space
200: Pressure regulating unit
210:
220: lifting part
230: Pressure sensing unit
300: cooling unit
400: receptacle container
410: Case
420:
430: Support cap

Claims (13)

상부에 배출구(422)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가 수용된 수용용기(400)를 가압하여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수용용기(400)가 기 설정된 높이에서 안착되는 수용공간(150) 및 상기 수용용기(400)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422)와 연결되어 상기 음료를 배출하는 개폐조절부(13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용기(400)를 가압하여 상기 수용용기(400)의 내부 압력을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주며,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하강하며 상기 수용용기(400)의 하부로 삽입되는 가압부(210)와, 상기 가압부(210)의 하부에서 상기 가압부(210)를 선택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수용용기(4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리프팅부(220)와, 상기 가압부(210) 또는 상기 리프팅부(220)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400)의 자중과 상기 가압부(21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수용용기(4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230)를 구비하는 압력조절유닛(200);
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조절부(130)가 개방되며 상기 수용용기(4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용기(400)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가압부(210)를 승하강시키며,
상기 압력감지부(230)에서 감지되는 압력이 설정압력(R)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상기 리프팅부(220)가 구동하여 상기 가압부(210)를 승강시키는 디스펜서.
A dispenser for dispensing the beverage to the outside by pressing a container 400 having an outlet 422 formed therein and containing a beverage therein,
A receiving space 150 in which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ling unit 130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hole 422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o discharge the beverage (100); And
And selectively pressurizes the container 400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400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nside the container 150, A pressing portion 21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nd rising and lowering and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nd a pressing portion 210 selectivel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210, And a lifting unit 220 installed in one of the pressing unit 210 and the lifting unit 220 to lift the weight of the receiving container 400 and the pressing force A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having a pressure sensing part (230) for sensing a pressure acting o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by lifting the part (210);
/ RTI >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part 130 is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Up and down the pressure unit 210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400 is maintained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30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R, the lifting unit 220 drives the pressure unit 210 to move up and dow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220)는,
상기 수용공간(150)의 바닥면과 상기 가압부(2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220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50) and the press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유닛(200)은,
상기 개폐조절부(130)와 연동되어 상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리프팅부(220)가 상기 가압부(210)를 승강시키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200)
Wherein the lifting unit (220) lifts the pushing part (210)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part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10)는,
상기 수용용기(400)와 접촉하는 상면에 별도의 제1냉각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용기(400)를 냉각시키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izing portion 210,
And a separate first cooling uni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contacting with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o cool the receiving container (4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용공간(15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50)에서 상기 수용용기(400)를 지지하며, 중앙에서 상기 가압부(2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획지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artments 150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50 to support the accommodation container 400 in the accommodation space 150,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42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료를 냉각시키는 별도의 냉각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cooling unit (30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for cooling the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용용기(4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And at least a part of which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so that the accommodating container (400) can be repla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별도의 제2냉각부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400)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ide surfa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econd cooling part to cool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receiving container (40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펜서에 수용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수용용기(400)에 있어서,
연질의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며 상측에 상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구(422)가 형성된 수용부(420);
상부 및 측부에서 상기 수용부(420)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하여 이를 지지하는 케이스(410); 및
판상으로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에서 바닥을 이루며 상기 수용부(420)를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캡(430);
을 포함하는 수용용기(400).
12. A receptacle (400) for receiving a beverage contained in a dispens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6 to 11,
A receiving part 420 formed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and having a discharge port 422 for receiving the beverage therein and discharging the beverage on the upper side;
A case 410 surrounding and enclosing the receiving part 420 at the upper and side parts and supporting the receiving part 420; And
A support cap 430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bottom of the case 410 to support the receiving part 420 and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case 410;
(4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0)는, 하부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캡(430)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10)와의 상대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수용용기(400).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se 4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along a circumference at a lower inner surface,
The support cap (43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410) in accordance with a state of relative rotation with the case (410), wherein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KR1020160117177A 2016-09-12 2016-09-12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KR101783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77A KR101783367B1 (en) 2016-09-12 2016-09-12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177A KR101783367B1 (en) 2016-09-12 2016-09-12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367B1 true KR101783367B1 (en) 2017-09-29

Family

ID=6003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177A KR101783367B1 (en) 2016-09-12 2016-09-12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3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2333A1 (en) * 1999-12-07 2003-06-05 Richard Wright Storage and dispensing of carbonated beverages
KR100532205B1 (en) * 1997-09-04 2005-11-30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JP2010527862A (en) 2007-05-30 2010-08-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Beverage rotating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apping multiple self-draining beverage containers
KR101597184B1 (en) 2013-10-04 2016-02-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suppling W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05B1 (en) * 1997-09-04 2005-11-30 하이네켄 테크니컬 서비시스 비. 브이.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US20030102333A1 (en) * 1999-12-07 2003-06-05 Richard Wright Storage and dispensing of carbonated beverages
JP2010527862A (en) 2007-05-30 2010-08-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Beverage rotating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tapping multiple self-draining beverage containers
KR101597184B1 (en) 2013-10-04 2016-02-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suppling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7612B (en) For removing the head room modified method of vacuum pressure and the equipment for the method
ES2231622T3 (en) DRINK DISPENSER DEVICE.
US6405557B1 (en) Cooler floor support tray
CN101801246B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EP2504272B1 (en) A method for installing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NO317418B1 (en) Piston coffee maker for making small amounts of coffee
BG104277A (en) Device for storing and pouring of beer and other fizzy drinks
HK1042885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verage, in particular beer
EP1580502B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carbonated water fabricating unit
KR101711103B1 (en) Apparatus for Mounting Gas Storage Tank
KR101783367B1 (en) Beverage storage Keg and Beverage Supply Dispenser Using The Same
RU2518800C2 (en) Device and method for beverage extrusion from container
JP2020509975A (en) Pressure regulator valve
KR102410835B1 (en) Mini liquid nitrogen doser
KR20200127605A (en) Can up and down device for can seaming equipment
EP3738935B1 (en) Hydrogen water generator
US34554A (en) Improvement in drawing apparatus for portable vessels
KR100829021B1 (en) Bottle Cap for carbon dioxide effluent prevention
KR102141999B1 (en) Ice table
CN207627064U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JP6991571B2 (en) server
CN219340263U (en) Rescue medicine ampoule bottle storage box
CN105015917A (en) Dump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closed when being horizontally placed
KR20090009584U (en) Check Valve
US11352192B2 (en) Device for serving by single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