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006B1 -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006B1
KR101783006B1 KR1020160134151A KR20160134151A KR101783006B1 KR 101783006 B1 KR101783006 B1 KR 101783006B1 KR 1020160134151 A KR1020160134151 A KR 1020160134151A KR 20160134151 A KR20160134151 A KR 20160134151A KR 101783006 B1 KR101783006 B1 KR 101783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llumination
dynamic
ti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유선웅
Original Assignee
(주)이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닉스 filed Critical (주)이오닉스
Priority to KR102016013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05B33/0863
    • H05B37/028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인 씬(SCENE)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인 씬(SCENE)을 구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Illumin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씬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정보의 70%는 시각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각을 통해 인지된 각 물체의 색은 사람의 정서 및 경험에 큰 작용을 한다. 즉, 특정한 색을 통해서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거나 어떤 감정이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서 물체의 색을 결정할 수 있는 조명의 색상은 사람의 정서에 있어서 중요하다. 그리고 조명 환경은 작업자의 뇌파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색온도는 작업자의 피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사용자가 위치한 환경에 적합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색상 가변형 조명장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색상 가변형 조명장치는 빛의 3원색에 해당하는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색을 발광
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명장치의 색상을 조절한다.
한편, 감성 조명이란,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조명을 최대한 자연조명과 유사하게 만든 인간 친화적인 조명으로 인간의 감성에 적합한 정교한 조명 색상을 재현할 수 있는 조명이다.
이와 같은 감성 조명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예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있다. LED 조명장치는 예컨대, RGB 3원색의 청색LED, 적색 LED 및 녹색 LED를 함께 실장하여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또는 다양한 색온도를 가지는 백색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등이 있다.
한편, 소비 전력이 적고, 조명의 밝기 또는 색상의 제어가 용이한 다양한 감성 조명 장치들이 개발됨에 따라,단순히 정해진 밝기로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해주는 소극적인 기능만을 하던 종래의 조명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감성을 연출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최근 수년간 국내 캠핑인구의 규모가 크게 성장하면서 관련 시장의 규모도 매년30%이상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캠핑용품시장의 매출도 빠르게 증가 하고 있다.
또한, 캠핑 중 안전사고의 발생도 높아지고 있으며 안전을 고려한 캠핑용품의 필요성은 높으나 아직 제품들이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4795호 (명칭: 조명장치 및 조명 데이터 설정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씬(SCENE)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명장치로서,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씬(SCENE)을 구현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를 확장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부;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는 상기 동적타이밍에 따라 해당 동적타이밍에 따른 동적구동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의 N번째 타이밍 및 N+1번째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는, 상기 N번째 타이밍, 상기 N+1번째 타이밍, 상기 N번째 타이밍에서의 조명구동데이터, 및 상기 N+1번째 타이밍에서의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혹은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복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구동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 혹은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부로 하여금 씬(SCENE)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작동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되고, 씬(SCENE)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데이터를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조명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부; 및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인 씬(SCENE)을 구현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를 확장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부;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구동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서 동적인 씬을 구현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단계;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단계;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조명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작동시키는 조명부작동단계;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혹은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복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구동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씬을 구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씬을 구현함에 있어서 보다 부드러운 조명변화에 의한 동적인 씬에 의한 새로운 조명감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조명장치로 전송되는 조명데이터가 불연속적인 데이터이더라도, 연속적이고 동적인 씬을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종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조명데이터가 사용자단말기에서 조명정치로 전송됨에 있어서 통신부하가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풍부한 동적인 씬을 조명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생성부의 동작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의 동적데이터로의 변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생성부의 동작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의 동적데이터로의 변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의 조명구동신호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와 조명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 의하여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를 구현한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명부를 작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0) 및 조명장치(20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명장치(20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0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의 컴퓨팅 장치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는 무선적 통신 혹은 유선적 통신 방식에 의하여 상기 조명장치(2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2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서의 조명제어입력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2000)는 1 이상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조명부(25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2000)의 조명부(25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로부터 수신한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인 씬(SCENE)을 구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100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조명장치(2000)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조명장치(2000)의 메모리 등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로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1000)는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110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1100)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의 연산처리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1100)은 사용자에게 입력 등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입력수신부(1110); 및 사용자단말기(1000)에 저장되어 있고, 씬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인 조명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는 씬로딩부(1120); 상기 사용자입력수신부(111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혹은 상기 씬로딩부(1120)에 의하여 로딩되는 조명데이터를 상기 조명장치(2000)에 전송할 수 있는 조명데이터전송부(113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씬”은 기설정된 시간 구간동안 스케쥴링된 방식으로 조명이 구현하는 씬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씬”은 “거실”, “침실”, “주방” 등의 특정 공간을 대상으로 하거나, “석양”, “파티”, “캠프파이어” 등의 상황이나 상태를 표현하거나, "온습도", "공기상태", "화재경보" 등의 환경 정보를 활용한 씬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캠프파이어”의 씬은 불꽃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붉은 계열의 조명부터 노란 계열의 조명까지 다수 단계의 색상과 밝기 변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씬데이터는 동적인 씬데이터 및 정적인 씬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적인 씬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조명기기가 주어진 씬데이터로부터 자체적으로 보다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확장하여 보다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조명 씬을 구현하는 데이터이다. 한편, 상기 정적인 씬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조명기기가 주어진 씬데이터 그대로 변화하는 조명 씬을 구현하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동적인 씬데이터 및 정적인 씬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필드에 해당 데이터가 동적인 씬데이터인지 혹은 정적인 씬데이터인지 여부가 기록됨으로써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데이터는 동적인 조명데이터 및 정적인 조명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입력수신부(1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 “입력과 동시에 바로 붉은 빛으로 조명작동”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1100)은 이와 같은 조명장치(2000)가 바로 붉은 빛으로 동작하기 위한 조명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조명장치(2000)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순간 바로 붉은 빛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는 정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한다. 한편, 정적 조명데이터는 “1초후에 붉은 색으로 조명작동”과 같이 일정 시간 후에 불연속적으로 바로 지정한 조명색상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는 조명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적 조명데이터는 “1초후에 붉은 색으로 조명작동, 2초후에 파란 색으로 조명작동”과 같이 스케쥴링된 조명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장치(2000)는 불연속적으로 1초후에 붉은 색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이후 2초후에 바로 불연속적으로 파란색의 조명부(2500)를 구동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입력수신부(111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 “현재입력색상에서 단계적으로 1초 후에 붉은 빛으로 조명작동”의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조명장치 어플리케이션(1100)은 이와 같은 조명장치(2000)가 현재 색상에서 붉은 빛으로 단계적으로 서서히 붉은 빛으로 변화하기 위한 조명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조명장치(2000)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적으로 현재 색상에서 붉은 빛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는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한다. 한편, 동적 조명데이터는 “1초후에 단계적으로 붉은 색으로 조명작동”과 같이 일정 시간 후에 단계적으로 지정한 조명색상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는 조명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적 조명데이터는 “1초후에 단계적으로 붉은 색으로 조명작동, 2초후에 파란 색으로 단계적으로 조명작동”과 같이 스케쥴링된 조명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장치(2000)는 연속적으로 1초후에 붉은 색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이후 2초후에 연속적으로 파란색의 조명부(2500)를 구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 조명데이터는 각각의 단계 혹은 각각의 세부 타이밍에 대한 조명구동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시작점과 끝점에 대한 조명구동정보를 포함하고,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에 “동적”이라는 정보 및/또는 동적데이터로 확장시의 시간간격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상기 조명장치(2000)가 입력받은 시작점과 끝점의 조명구동정보에 기초하여 세부 타이밍에 대한 조명구동정보를 생성하여 조명부(25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 등이 직접적으로 동적 조명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에 세부 타이밍에 대한 조명구동정보까지 모두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시작점과 끝점에 대한 조명구동정보만을 입력시킴으로써 동적 조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0)와 조명장치(2000)는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도 적은 용량의 조명데이터를 송수신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명장치(2000)는 동적인 씬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동적인 조명데이터의 용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2000)는 적은 저장부하로 상기 동적 조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는 동적 조명데이터 혹은 정적 조명 데이터로서의 씬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씬을 구현할 수 있는 조명데이터는 일종의 컨텐츠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조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조명장치(2000)에 전송시키고, 상기 조명장치(2000)는 상기 컨텐츠에 따라서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명장치(2000)는 단순히 사용자가 지정한 하나의 색상 등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저장한 컨텐츠에 따른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색상은 동적이나 혹은 정적으로 기설정된 시간구간 혹은 기설정된 시간구간의 반복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조명장치(2000)는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부(2100);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를 확장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부(2200);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의 동적 타이밍에 따라 동적구동데이터를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부(2300);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250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조명부(2500); 상기 조명장치(20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600);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27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 등으로부터 전송받은 조명데이터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조명데이터 저장부(28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2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조명데이터수신부(2100)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은 조명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조명데이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 조명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동적 조명데이터인지 여부와 더불어 동적 조명데이터인 경우에는 동적데이터를 생성시의 세부 시간간격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데이터수신부(2100)는 해당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 혹은 동적 조명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전술한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에 따라 세부구간에 대한 동적데이터를 생성하여 동적데이터로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 반면, 상기 조명데이터수신부(2100)는 해당 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별하는 경우, 수신받은 조명데이터로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로부터 상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장치(2000)는 수신한 조명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와 통신이 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조명데이터 및 사용자의 상기 조명장치(2000)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을 통하여 조명데이터에 따라 조명부(250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를 확장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대한 정보는 상기 조명장치 내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조명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 및 기설정된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에서의 동적데이터 생성규칙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의 N번째 타이밍 및 N+1번째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즉, 예를들어 조명데이터가 0초 타이밍에서는 색온도 3000K의 조명구현, 1초 타이밍에서는 색온도 5000K의 조명구현,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한다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동적데이터는 상기 0초 타이밍에서는 색온도 3000K의 조명구현, 및 1초 타이밍에서는 색온도 5000K의 조명구현의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들어 0.2초, 0.4초, 0.6초, 0.8초(동적 타이밍)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3400K, 3800K, 4200K, 4600K)의 정보를 포함한다. 즉, 조명구동데이터가 색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색온도 값을 구간별로 선형보간하여 동적구동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혹은, 조명데이터가 0초 타이밍에는 RGB LED 모듈의 RGB 값을 100(R), 200(G), 300(B)로 하고 강도는 100으로 하고, 1초 타이밍에는 RGB LED 모듈의 RGB 값을 200(R), 300(G), 400(B)로 하고 강도를 200으로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동적 타이밍 및 동적 구동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R값 G값 B값 강도
0초 100 200 300 100
0.2초 120 220 320 120
0.4초 140 240 340 140
0.6초 160 260 360 160
0.8초 180 280 380 180
1초 200 300 400 200
즉, 조명구동데이터가 RGB 값 각각에 해당하는 경우, RGB 값 각각을 구간별로 선형보간하여 동적구동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입력부(2300)는 상기 수신한 조명데이터(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혹은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에 의하여 생성된 동적데이터(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데이터 혹은 상기 동적데이터의 타이밍에 따라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조명구동데이터 혹은 동적구동데이터를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입력한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입력부(2300) 없이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서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 자체로부터 타이밍에 따른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입력된 조명구동데이터 혹은 동적구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2500)의 조명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혹은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1 이상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혹은 1 이상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 이상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는, 예를들어 조명부(2500)에 조명모듈 1, 및 조명모듈 2가 있는 경우, 조명모듈 1은 어떻게 작동시키고, 조명모듈 2를 어떻게 작동시키는 지를 지칭한다. 예를들어, 조명모듈 1, 및 조명모듈 2가 3채널 RGB LED 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는 조명모듈 1의 RGB 값 및 발광세기, 및 조명모듈 2의 RGB 값 및 발광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1 이상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는, 예를들어 조명부(2500)에 조명모듈 1, 및 조명모듈 2가 있는 경우, 조명모듈 1 및 조명모듈 2가 작동하여 결과적으로 어떤 조명을 구현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지칭한다. 예를들어, 조명모듈 1은 WARM WHITE LED이고 및 조명모듈 2가 COOL WHITE LED 인 경우에 상기 데이터는 전제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색온도 및 조명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상기 데이터에 포함된 색온도 및 조명의 세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모듈 1, 및 2의 색온도 및 세기를 계산하여, 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조명부(2500)는 1 이상의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은 RGB 3채널 LED, RGB 1채널(R, G, 혹은 B) LED, 혹은 다른 색상의 다채널 혹은 1채널 LED, 화이트 LED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2500)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보다 풍부하고 감성적인 씬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부(2500)는 1 이상의 WHITE LED 모듈, 1 이상의 RGB LED 모듈을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색온도 범위가 상이한 1 이상의 COOL WHITE LED 모듈 및 WARM WHITE LED 모듈, 및 1 이상의 RGB 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600)는 상기 조명장치(20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전원부(2600)는 배터리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2600)가 배터리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조명장치(2000)는 높은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2700)는 상기 조명장치(2000)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 등의 외부 장치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모듈부(2700)는 유선적 및 무선적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들어 RF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오디오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모듈, 무선 랜(WLAN), 와이브로(WiBro) 모듈, 무선 USB(Wireless USB)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접속모듈, 시리얼 통신 모듈(바람직하게는 RS-485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데이터저장부(2800)는 상기 조명장치(2000)가 외부에서 수신한 조명데이터 혹은 생성한 동적데이터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메모리이다.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저장부에 의하여 상기 조명장치(20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와 접속이 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조명데이터를 로드하여 조명 씬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의 동작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좌측에는 조명데이터를 도시한다. 상기 조명데이터는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하고, 0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1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1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 2로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는 것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동적데이터는 복수의 동적타이밍 및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따른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적데이터 생성부는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동적타이밍을 생성하고,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동적구동데이터를 부여한다. 도 4에서는 0초와 1초 사이의 0.1초, 0.2초, 0.3초, 0.4초, 0.5초, 0.6초, 0.8초, 0.9초를 포함하는 동적타이밍을 생성하고,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대해서 동적구동데이터 1.1, 동적구동데이터 1.2, 동적구동데이터 1.3, 동적구동데이터 1.4, 동적구동데이터 1.5, 동적구동데이터 1.6, 동적구동데이터 1.7, 동적구동데이터 1.8, 동적구동데이터 1.9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테이블이 동적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의 N번째 타이밍 및 N+1번째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동적데이터는 조명데이터에서의 각각의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의 조명구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기설정된 시간간격 및 기설정된 동적구동데이터 추출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데이터로부터 동적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동적구동데이터 추출규칙은 선형보간, 비선형보간, 혹은 비선형곡선근사 등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보다 동적인 느낌을 주고 연산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선형보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동적데이터는 반복되어 상기 조명부(250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의 동적데이터로의 변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조명구동데이터는 색온도에 해당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선형보간 방식으로 0.1초의 시간간격으로 생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의 조명데이터는, 1) 0초에는 3000K의 색온도의 조명 발광, 2) 1초에는 4000K의 색온도의 조명 발광, 및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한다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가 0.1초 단위의 동적 타이밍을 생성하여 선형보간 방식으로 세부 동적구동데이터를 생성하였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의 동작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좌측에는 조명데이터를 도시한다. 상기 조명데이터는 동적 조며데이터에 해당하고, 0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1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2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 2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3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3으로 조명부(2500)를 구동하고, 5초에는 조명구동데이터4로 조명부(2500)를 구동한다는 것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동적데이터는 복수의 동적타이밍 및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따른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동적데이터 생성부는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동적타이밍을 생성하고,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동적구동데이터를 부여한다. 도 6에서는 0초와 5초 사이로 0.2초의 시간간격으로 동적타이밍을 생성하고,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대해서 동적구동데이터 1.1 등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테이블이 동적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의 N번째 타이밍 및 N+1번째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동적데이터는 조명데이터에서의 각각의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의 조명구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기설정된 시간간격 및 기설정된 동적구동데이터 추출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데이터로부터 동적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동적구동데이터 추출규칙은 선형보간, 비선형보간, 혹은 비선형곡선근사 등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보다 동적인 느낌을 주고 연산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선형보간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동적데이터는 반복되어 상기 조명부(250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조명데이터는 단순히 하나의 시작점 및 하나의 끝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시작점 및 끝점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세트의 구간은 서로 동일하지 않다. 이와 같은 조명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는 보다 다양하고 다채로운 동적인 씬을 구현할 수 있는 동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의 동적데이터로의 변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의 동작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조명구동데이터는 색온도에 해당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선형보간 방식으로 0.2초의 시간간격으로 생성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의 조명데이터는, 1) 0초에는 3000K의 색온도의 조명 발광, 2) 2초에는 5000K의 색온도의 조명 발광, 3) 3초에는 4000K의 색온도의 조명 발광, 4) 5초에는 3500K의 색온도의 조명발광, 및 동적 조명데이터에 해당한다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부(2200)가 0.2초 단위의 동적 타이밍을 생성하여 선형보간 방식으로 세부 동적구동데이터를 생성하였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의 조명구동신호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입력부(2300)는 상기 동적데이터를 동적 타이밍에 따라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입력한다. 예를들어 현재의 카운팅하는 타이밍에 일치하는 동적타이밍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입력한다.
이후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각각의 동적타이밍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조명부(2500)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입력부(2300)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통합되거나 혹은 별도의 데이터입력부(2300) 없이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서 동적데이터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와 조명부(25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조명데이터 혹은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조명부(2500)는 상기 실시간조명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조명부(2500)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의 조명모듈은 상기 실시간조명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조명부(2500)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모듈은 상기 조명모듈은 RGB 3채널 LED, RGB 1채널(R, G, 혹은 B) LED, 혹은 다른 색상의 다채널 혹은 채널 LED, 화이트 LE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부(2500)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보다 풍부하고 감성적인 씬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조명부(2500)는 1 이상의 WHITE LED 모듈, 1 이상의 RGB LED 모듈을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색온도 범위가 상이한 1 이상의 COOL WHITE LED 모듈 및 WARM WHITE LED 모듈, 및 1 이상의 RGB LED 모듈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에 의하여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동적데이터 혹은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실시간조명구동신호는 조명부(25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실시간조명구동신호에 의하여 상기 조명부(2500)의 복수의 조명모듈이 동작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장치(2000)에서 수신되는 조명데이터가 동적인 조명데이터인 경우에는 동적데이터생성부(2200)에서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생성된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조명장치(2000)에서 수신되는 조명데이터가 정적인 조명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2400)는 조명데이터 자체에 기초하여 실시간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0)를 구현한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조명부(250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조명모듈(2510)은 3채널 RGB LED 모듈이고, 제2 조명모듈(2520)은 COOL WHITE LED 모듈이고, 제3 조명모듈(2530)은 WARM WHITE LED 모듈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 LED 모듈을 중앙부에 배치하고, 이를 WHITE LED 모듈이 원형으로 둘러싸고, 상기 WHITE LED를 RGB LED 모듈이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WHITE LED 모듈은 WARM WHITE LED 모듈과 COOL WHITE LED 모듈이 서로 번갈아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명 모듈의 배치에 의하면 보다 풍부한 색상 및 색온도의 조명을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2500)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조명부(2500) 작동과정은,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단계(S100); 및 상기 수신된 조명데이터가 동적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적데이터여부판단단계(S200);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동적데이터여부판단단계에서 수신된 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S310)가 수행된다. 이후 조명부(2500)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S320).
한편, 상기 동적데이터여부판단단계에서 수신된 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단계(S410)가 수행되고, 생성된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S420)가 수행된다. 이후 조명부(2500)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에 따라서 동작하게 된다 (S43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명장치(2000)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명장치(2000)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2000)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조명장치(2000)의 구동방법에 상응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0)에서 동적인 씬을 구현하는, 조명장치(2000)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단말기(1000)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단계(S1100 혹은 S2100);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단계(S1200); 상기 동적데이터 혹은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밍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S1300 혹은 S2200);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2500)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조명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S1400 혹은 S2300); 및 상기 조명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2500)를 작동시키는 조명부작동단계(S1500, 혹은 S2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조명데이터가 동적 조명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1000)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적데이터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2500)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혹은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복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 조명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적데이터생성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250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단계는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2500)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된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적인 씬을 구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동적인 씬을 구현함에 있어서 보다 부드러운 조명변화에 의한 새로운 조명감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조명장치로 전송되는 조명데이터가 불연속적인 데이터이더라도, 연속적이고 동적인 씬을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종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조명데이터가 사용자단말기에서 조명정치로 전송됨에 있어서 통신부하가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풍부한 동적인 씬을 조명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전송된 조명데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불연속적인 정적 조명 혹은 연속적인 동적 조명 모두를 최적화된 구성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조명장치로서,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
    조명데이터를 수신하는 조명데이터수신부;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명데이터를 확장하여 동적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적데이터생성부; 및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조명구동신호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씬(SCENE)을 구현하도록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 및 동적구동데이터인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상기 조명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가 동적구동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명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데이터는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생성되거나 혹은 사용자단말기에서 컨텐츠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조명장치에 의하여 구현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및 상기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조명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조명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에는 상기 동적타이밍에 따라 해당 동적타이밍에 따른 동적구동데이터가 입력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및 상기 1 이상의 타이밍 각각에 대한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데이터의 N번째 타이밍 및 N+1번째 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상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인,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N번째 타이밍과 N+1번째 타이밍 사이의 1 이상의 동적타이밍 각각에 대한 동적구동데이터는, 상기 N번째 타이밍, 상기 N+1번째 타이밍, 상기 N번째 타이밍에서의 조명구동데이터, 및 상기 N+1번째 타이밍에서의 조명구동데이터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조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조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데이터 및 상기 동적데이터는 1 이상의 타이밍 혹은 동적타이밍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 각각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이 구현하는 조명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구동신호생성부는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조명모듈을 구동하는 복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조명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데이터 혹은 상기 동적데이터는 상기 조명부로 하여금 씬(SCENE)을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인, 조명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60134151A 2016-10-17 2016-10-17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10178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51A KR101783006B1 (ko) 2016-10-17 2016-10-17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51A KR101783006B1 (ko) 2016-10-17 2016-10-17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006B1 true KR101783006B1 (ko) 2017-09-28

Family

ID=6003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51A KR101783006B1 (ko) 2016-10-17 2016-10-17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387A (ja) * 2003-04-07 2004-11-04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37697A (ja) * 2009-12-28 2011-07-14 Canon Inc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用いた計測システム
KR101472656B1 (ko) * 2013-02-04 2014-12-16 (주) 정호티엘씨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2387A (ja) * 2003-04-07 2004-11-04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撮像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37697A (ja) * 2009-12-28 2011-07-14 Canon Inc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用いた計測システム
KR101472656B1 (ko) * 2013-02-04 2014-12-16 (주) 정호티엘씨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휴대단말을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9076A1 (en) Display lighting systems with circadian effects
US9265968B2 (en) System for generating non-homogenous biologically-adjusted light and associated methods
EP2493541B1 (en) Illumination device with wake-up function
EP2059093A1 (en) Lighting apparatus driven by color coordinate selection module
CN112616225A (zh) 彩光灯照明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3906325B (zh) 照明控制方法和系统
US11259377B2 (en) Color temperature and intensity configurable lighting fixture using de-saturated color LEDs
KR100973078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색온도 제어방법
KR101783008B1 (ko) 스마트 조명장치 및 스마트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KR101532027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3006B1 (ko)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US9900956B2 (en) Multi-function lighting system
US9295136B2 (en) Lighting device
CN115720727B (zh) 感知上均匀的颜色调节的控制设计
US10939523B2 (en) Efficient dynamic light mixing for compact linear LED arrays
US20140117875A1 (en) Systems and methods to wirelessly control illumination characteristics of wearable items
KR101307467B1 (ko) 순간 색상조명 감성공학 엘이디 조명장치
KR20170007890A (ko) 스마트테라피 제공을 위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
CN106937433B (zh) 一种led灯具包控制装置及照明系统
EP2974554A1 (en) System for generating non-homogenous biologically-adjusted light and associated methods
JP2014099359A (ja) 照明システム
KR102021362B1 (ko) 맥아담 엘립스 색온도 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led 터널 등기구
KR20110042683A (ko) 감성조명 시스템
KR101241691B1 (ko) 발광 다이오드 발광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096674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