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105B1 -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105B1
KR101782105B1 KR1020160058617A KR20160058617A KR101782105B1 KR 101782105 B1 KR101782105 B1 KR 101782105B1 KR 1020160058617 A KR1020160058617 A KR 1020160058617A KR 20160058617 A KR20160058617 A KR 20160058617A KR 101782105 B1 KR101782105 B1 KR 10178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fluid
microorganism
substrate
microflui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5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6Microfluidic devices; Capillary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0Manifolds; Distribution 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8Automatic or computerized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01N21/6458Fluorescence microscop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유체, 제1유체에 하부 또는 전체가 침지되며, 하면으로부터 홈 형상의 배양챔버 복수개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배양기판 및 배양챔버에 수용되며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포함하되, 배양챔버에 수용되는 배양액은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도록 제1유체보다 비중이 작은 유체로 형성되어, 배양챔버에 수용되는 배양액이 제1유체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획되는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미세유체장치에 대한 제반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원리가 간단하며 미생물 항생제(antibiotic)와 같은 의약품개발 및 미생물생태학 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미생물 대량선별과정(HTS)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Micro-fluidic cultiv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method for screening micro-fluid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비용으로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다양한 목적에 응용 가능한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각종 산업 및 의학적으로 유용한 대사산물을 생산가능한 플랫폼으로서, 여러 목적에 다양한 방법으로 개량되어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의 특정 대사산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여러가지 생명공학적 방법들이 있으나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복잡한 미생물의 대사경로로 인한 기술적 어려움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때문에,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인 무작위 돌연변이 방법(random mutation)이 소개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다량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만들어내고 이를 사용 목적에 맞도록 효과적으로 선별(screening)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미생물대량선별과정(High-throughput Screening, HTS)를 위해서 기존 생명공학분야 연구자들은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또는 FACS 등의 대형 분석기기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상기한 대형 분석기기를 사용하는 종래에는 고가의 장비와 형광신호에 의존하는 선별방식, 구획화가 불가능한 미생물 배양방식 등이 문제점이었다.
한편, 미세유체 기반 세포배양장치는 적은 양의 샘플의 병렬적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다양 한 환경에서 세포의 성장 및 분화특성을 파악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미세유체기반 세포배양장치는 세포의 성장이후, 선택적 추출을 위해서 복잡한 형태의 밸브 구조 등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3032호
본 발명은, 미생물 대량선별과정을 저비용으로 미세유체장치에 대한 제반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원리가 간단하며, 미생물의 구획화가 용이하고, 추출을 위한 복잡한 형태의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세포를 선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에 하부 또는 전체가 침지되며, 하면으로부터 홈 형상의 배양챔버 복수개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배양기판 및 상기 배양챔버에 수용되며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포함하되, 상기 배양챔버에 수용되는 상기 배양액은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제1유체보다 비중이 작은 유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양챔버에 수용되는 상기 배양액이 상기 제1유체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획되는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체의 통과가 가능한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배양기판의 상면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홈 형상의 배양챔버 복수개를 어레이 형태로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배양기판의 상면으로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공급하여 상기 배양챔버들 각각에 상기 배양액을 채우는 단계 및 상기 배양액보다 비중이 큰 제1유체에 상기 배양기판을 침지시키되, 상기 배양챔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뒤집어서 상기 제1유체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홈 형상의 배양챔버 복수개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배양기판을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배양챔버 각각에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채우는 단계, 상기 배양챔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뒤집어서 상기 배양액보다 비중이 큰 제1유체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미생물을 배양시킨 후 배양측정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생물의 배양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다시 뒤집어서 상기 배양액보다 비중이 작은 제2유체에 잠기도록 침지시키는 단계 및 모세관현상을 이용한 추출관을 이용하여 상기 미생물 배양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기 배양챔버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양챔버 내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배양액을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저비용으로 미세유체장치에 대한 제반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원리가 간단하며 미생물 항생제(antibiotic)와 같은 의약품개발 및 미생물생태학 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미생물 대량선별과정(HTS)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둘째, 다양한 목적에 따라 배양챔버의 개수를 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1제곱센티미터 정도의 작은 면적에 수백, 혹은 수천개의 어레이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여 고집적화된 대용량 처리시스템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셋째, 기존 생물학적 기기(시험관, 플레이트리더기) 등의 방식으로는 104개 이상의 대량 샘플을 처리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으나, 본 발명의 제반기기는 상기와 같은 대량의 샘플을 처리할 수 있다.
넷째, 배양기판은 재배양과 차후분석을 위하여 배양챔버에서 모세관튜브나 주사바늘로 모세관기반 시료재배열방법을 사용하여 배양챔버로부터 원하는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섯째, 배양기판과 배양챔버는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이나 플라즈마 패터닝 또는 실리콘 몰드를 이용한 식각공정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며, 세포 추출 시 주사 펌프나 공압밸브와 같은 별도의 부속 유체조절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여섯째,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 배양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배양할 수 있으며, 실험 도중에도 바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제조방법 및 미세유체 선별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미생물 생장을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배양기판의 두께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1과 도 2의 미세유체 배양장치 각각에 대한 미생물 생장을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광신호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동시 배양한 대량병렬배양의 시연을 나타내는 형광사진이다.
도 10은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에서 형광염료와 형광미세입자가 채워진 배양챔버에서 유리모세관을 이용하여 추출전과 추출후를 비교한 형광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추출에 사용된 유리모세관의 추출전과 추출후의 비교사진이다.
도 12는 가상의 라이브러리를 형성한 뒤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통하여 실제 발현형 차이를 이용한 우량균주 선별을 위한 대량선별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이용하여 미생물 재배양 과정 반복에 따른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율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cellobiose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불활성 프로모터를 활성 프로모터(pCP12)로 교체 한 합성 미생물에 트랜스포존(Transposon)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유전자들을 삭제시켜 대량의 라이브러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일정 시간동안 배양한 후 이미지 처리과정을 통해 얻은 형광신호 결과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와, 여기서 추출한 샘플이 다시 셀로비오스(Cellobiose) 섭식 가능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는, 몸체(100)와, 제1유체(10)와, 배양기판(200)과, 배양액(2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1유체(10)가 수용되며, 페트리 디쉬(Petri dis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체(10)와 상기 배양액(20)은 비중(Specific gravity)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유체(10)와 상기 배양액(20)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Immiscible)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유체(10)는 오일을 적용하고, 이에 상기 배양액(20)은 상기 오일보다 비중이 작은 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유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양기판(200)은,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되며 하면으로부터 홈 형상의 배양챔버(210) 복수개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양챔버(210)는 그 개수를 다양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집적화된 대용량 처리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챔버(210)는 캐피러리(Capillary), 니들, 실린지(Syringe)와 같은 배양액 추출기에 대응하여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배양챔버(210)의 형성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배양기판(200)은, 취급이 용이하고 상기 배양챔버(210) 패터닝이 용이한 탄성중합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양기판(200)은 산소를 포함한 다양한 기체가 통과 할 수 있는(Gas-permeable) 재질로 형성되어, 혐기성 미생물뿐만 아니라 선택에 따라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미생물 배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양기판(200)은 후술되는 배양측정장치(630)에서 배양챔버(210) 내 미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배양기판(200)은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PDMS(Polydimethylsiloxan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의 고분자재료가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500a)는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되어 산소가 배양기판(200)을 통하여 배양챔버(2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면, 도 2의 미세유체 배양장치(500b)는 혐기성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배양기판(200)의 전체가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되도록 형성되어 산소가 상기 배양기판(200)을 통과하여 상기 배양챔버(210)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a,500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기 제1유체(10)내 침지정도에 따라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에 모두 가능하며, 실험 도중 재배양을 거치는 실험 도중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의 배양전이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양기판(200)은, 2.5mm 내지 6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양기판(200)의 두께가 약 2.5mm 미만이면 일정 깊이의 배양챔버(210) 제조상의 곤란함이 있고, 배양기판(200)의 두께가 6mm 초과하면 외부로부터 배양챔버(210)까지 산소가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호기성 미생물의 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양액(20)은, 상기 배양챔버(210)에 수용되며 내부에는 미생물이 존재한다. 상기 배양액(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체(10)보다 비중이 작아 상기 제1유체(10)와 혼합되지 않고 상기 제1유체(10)보다 상층에 플로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배양챔버(210)에 수용되는 상기 배양액(20)은 상기 제1유체(10)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획화되고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유체(10)는 플루오르화 오일(Fluorinated oil, FC-40)을 적용하고 상기 배양액(20)은 미생물이 있는 증류수(Distilled water)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c)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c)는, 도 1의 제1유체(10)와, 배양기판(200)과, 배양액(20)을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지지부(300)와, 수축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유체(10)와, 배양기판(200)과, 배양액(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의 저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배양기판(200)을 설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방 지지하고, 상기 배양기판(200)이 상기 제1유체(10) 내에서 안정적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제1유체(10)보다 비중이 커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안착될 수 있는 재질 또는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몸체(100) 내 제1유체(10)의 깊이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평면형상이 사각형인 상기 배양챔버(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상기 배양챔버(210)의 일측과 타측 라인을 따라 상방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300)는, 4개로 형성하여 상기 배양챔버(210)의 각 모서리에 배치하는 등 상기 배양챔버(210)의 평면형상에 따라 그 개수와 배치위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축방지부(400)는, 상기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되며 내부에 상기 배양액(20) 또는 증류수가 수용되어 상기 배양챔버(210)의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축방지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되며,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양액(20)과 동일한 유체 또는 수분을 흡수하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수용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축방지부(400)는, 상기 배양기판(200)과 동일한 PDMS재질의 탄성중합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410) 내의 상기 유체의 수분이 상기 제1유체(10)로 흡수되게 하는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 기존의 유체패터닝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다른 비중을 갖고 있어 서로 혼합되지 않는 제1유체(10)와 배양액(20)을 이용하고, 탄성중합체의 PDMS로 형성된 배양기판(2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유체(10) 내에 상기 배양액(20)이 서로 구획되게 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미세유체장치에 대한 제반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 배양장치(500)의 제조방법 및 미세유체 선별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미세유체 선별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2의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예로 그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하며, 이에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 제조방법은, 먼저,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으로 배양챔버(210) 복수개를 어레이형태로 패터닝한다. 여기서, 상기 배양기판(200) 상에 상기 배양챔버(210)들을 패터닝하는 공정은, 공지의 플라즈마를 이용한 패터닝 방식 또는 소프트 리소그래피(Soft-lithography)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기판(200)은 패터닝하기 전 산소 플라즈마(Oxygen plasma)처리를 하여 친수성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1유체(10) 내에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a).
나아가, 상기 배양기판(200)은 상기 배양챔버(210)들 각각에 배양액(20)을 채우기 전 상기 배양챔버(210)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증류수에 침지시켜, 상기 배양기판(200)이 충분히 수분을 공급받은 상태가 되게 하여, 물이 배양기판(200)에 최상으로 용해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가 되게 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배양기판(200)이 배양챔버(210)들이 형성되면, 상기 배양챔버(210)가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으로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20)을 흘러내리도록 공급하여 상기 배양챔버(210)들 각각에 상기 배양액(20)을 채운다(b). 여기서, 상기 배양액(20)은 상기 배양챔버(210) 각각에 일일이 채울 수도 있지만. 미세유체 배양을 위한 장치인 만큼 배양챔버(210) 각각에 배양액(20)을 채우기는 어렵다.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으로 배양액(20)을 흘려서 공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으로 배양액(20)을 공급하면 상기 배양챔버(210)에 채울 수 있는 배양액(20)보다 과하게 공급되고 배양챔버(210)의 상면으로 배양액(20)이 고이게 된다.
이에, 스위핑(Sweeping)부재를 이용하여 일면이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면을 따라 스위핑하여(c), 상기 배양챔버(210)에서 넘쳐나는 상기 배양액(20)을 제거하고 각 배양챔버(210)의 배양액(20)들이 서로 연통되지 않게 한다(d). 여기서, 상기 스위핑부재(610)는 상기 배양기판(PDMS;200)의 조작을 위해서 사용되며, 일측면이 평편하고 스위핑할 때 상기 배양기판(200)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배양챔버(210) 내에 배양액(20)을 충진한 다음에는, 몸체(100)에 수용된 상기 배양액(20)보다 비중이 큰 제1유체(10)에 상기 배양기판(200)을 침지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배양챔버(210)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200)의 상하를 뒤집어서 상기 제1유체(10)에 침지시킨다(e).
여기서, 상기 배양액(20)은 상기 제1유체(10)에 비하여 비중이 작기 때문에 상기 제1유체(10)와 섞이지 않고, 상기 제1유체(10)의 상층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각 배양챔버(210) 내에 구획되어 수용된다(f).
한편, 상기한 바에 의하여,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이를 이용하여 미세유체의 미생물 선별과정을 실시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제1유체(10) 내에 상기 배양기판(200)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배양챔버(210) 각각의 미생물을 배양시킨 후에는 배양측정장치(630)를 통하여 상기 미생물의 배양결과를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미생물의 배양결과는 상기 배양측정장치(63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상기 배양측정장치(630)는, 미생물의 배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현미경(Microscop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미생물에 형광물질을 주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측정장치(630)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배양기판(200)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미생물을 측정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f).
그런 다음, 상기 배양측정장치(630)를 통하여 각 배양챔버(210) 내 미생물의 배양결과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하여 추출 선별하고자 하는 배양챔버(210) 내 배양액(20)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추출 선별하고자 하는 배앵챔버 내 배양액(20)이 결정되면, 결정된 상기 배양액(20)을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양챔버(210)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200)을 다시 뒤집고, 이를 상기 배양액(20)보다 비중이 작은 제2유체(30)에 잠기도록 침지시킨다(h). 여기서, 상기 제2유체(30)는 상기 배양액(20)과 비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혼합되지 않으며, 상기 배양액(20)보다 비중이 작은 헥사데칸 오일(Hexadecane oil)을 적용하여, 상기 배양액(20)의 상층부에 구획되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양챔버(210)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200)을 뒤집어서 상기 제2유체(30)에 침지시키는 것은 상기 배양챔버(210) 내 배양액(20)이 공기 중 자연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세관(620)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 추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상기 배양챔버(210)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2유체(30) 내에 침지되면, 상기 미생물 배양결과를 토대로 모세관(620) 등을 이용하여 배양챔버(210) 내의 배양액(20)을 추출한다(h). 이때, 상기 배양액(20)의 추출은 상기 모세관(620)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챔버(210)들 중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체(10)와, 배양액(20)과, 상기 제2유체(30)는 상기한 모세관(620) 등에 의하여 추출하여도 각 비중에 따라 3층 구조로 형성되고, 여기에서 상기 배양액(20)을 선별적으로 추출한다.
한편, 상기 배양챔버(210)들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배양액(20)을 선별적으로 추출한 후 이를 설정된 n-cycle로 상기 배양기판(200)에 재배양하여 대량병렬배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의 형광현미경 사진으로, 이를 살펴보면, 상기 배양장치(500)의 배양챔버(210) 내에서 미생물이 장시간 생장을 하는 과정 중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관찰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미생물의 생장이 더욱 왕성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기 배양기판(200)의 두께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배양기판(200)의 두께에 따라 공기의 투과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배양기판(200)의 두께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에서, 사각형상의 검은선은 배양기판(200)의 두께가 2.9mm이고, 원형의 적색은 배양기판(200)의 두께가 5.7mm이고, 삼각형의 청색은 배양기판(200)의 두께가 15.1mm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두께가 얇을수록 공기의 투과정도가 좋아 미생물의 더욱 왕성하게 생장하여 형광 강도가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도 1과 같이 배양기판(200)의 상부가 공기에 노출되었을 때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기판(200)이 제1유체(10)에 모두 침지되었을 경우의 배양챔버(210)의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한 도 1의 경우에는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한 형태의 통기성 미생물 배양모드가 가능하고, 도 2의 경우에는 혐기성 미생물 배양에 적합한 형태 모두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두 가지 다른 형광신호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동시 배양한 대량병렬배양시연(Demonstration)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사진에서와 같이 모두 2,172개의 뱅양챔버가 2×3cm의 크기의 배양기판(2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배양챔버(210)들에서 일부 배양챔버(210) 내 배양액(20)을 선별적으로 추출한 결과를 나타내는 형광사진으로서, 도 10에선 A는 형광 염료(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와 형광미세입자가 상기 배양챔버(210)에서 모세관(620)을 이용하여 추출하기 전의 사진을 나타내고, B는 추출후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세관(620)으로도 배양챔버(210) 내 배양액(20)의 추출이 용이하고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10의 추출에 사용된 모세관(620)의 추출전과 추출후의 비교사진으로서, 모세관(620)의 직경과 배양액(20)이 차있는 모습 등을 고려하였을 때 대략 배양챔버 전체 부피의 30% 가량이 추출된 것으로 확인된다.
도 12 및 도 13은 가상의 라이브러리를 형성한 뒤 도 1의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통하여 실제 발현형 차이를 이용한 우량균주 선별을 위한 대량선별과정(High-throughput Screening, HTS)을 실제 적용 시연하는 과정과,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이용하여 미생물 재배양 과정 반복에 따른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율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형광신호가 비교적 약한 MG-Ctrl(대조군)과 형광신호가 비교적 강한 MG-fadE(실험군)을 100:1과 1000:1의 비율로 혼합한 뒤 미생물의 장기간 배양 후, 상위 5%추출 그리고 미생물 재배양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실험군인 MG-fadE의 비율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실제 미생물 대량선별과정에 성장보완형을 바탕으로 한 개별 생장속도 차이를 기준으로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적용한 경우로서,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셀로비오스(Cellobiose)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불활성 프로모터를 활성 프로모터(pCP12)로 교체한 합성미생물에 전이인자(Transposon)를 이용하여 약 4,000개의 무작위한 유전자들이 삭제된 라이브러리를 형성하고 있다.
도 15는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이용하여 20,000여개의 미생물을 셀로비오스영양환경에서 장기간 배양한 뒤 이미지 처리과정을 통해 얻은 2,000여개 배양챔버(210)의 형광신호 결과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며(B), C는 그 중 셀로비오스를 성공적으로 섭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3개의 샘플 추출하고, 추출한 샘플을 기존 실험 기기를 사용하여 다시 셀로비오스섭식을 확인한 결과로서, 이를 살펴보면 기존 대조군 미생물보다 더 잘 생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은,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통하여 미생물을 배양챔버(210) 내 일정 시간동안 성장 시키고, 이 후 모세관(620) 등을 사용하여 기존과는 달리 용이하게 샘플을 추출(extraction)및 재성장(recovery)시킴으로써 다량의 미생물 무작위 라이브러리로부터 특정 우량균주를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은, 리포터유전자기반의 HTS를 위하여 극파복구실험을 하였고, 배양과 추출을 반복함으로써 원하지 않는 세포들이 섞여 있는 혼합상태로부터 원하는 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상기 배양기판(200)을 통하여 세포성장률 차이에 따라 원하는 세포를 분리해 낼 수 있음은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 배양장치(500)는 대사산물 추적, 미생물바이오센서, 다른 HTS를 포함한 생물학적 분석과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제조방법 및 미세유체 선별방법을 적용한 미세유체 배양장치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하는 마이크로웰은 배양챔버를 나타내며, PDMS장치는 배양기판을 나타낸다.
1. 서론
미생물은 산업용 효소, 항생제, 또는 바이오화학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가치 있는 대사산물을 생산가능한 매력적인 플랫폼이다. 야생형 미생물은 위와 같은 유용한 대사산물의 생산율을 경제적인 수준에서 맞추지 못한다. 그러나 합성생물학이나 대사공학의 도움으로 생산율을 비약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졌다. 미생물의 생화학물질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생합성, 조절, 전구체 형성반응에 관여하는 대사과정의 유전적 변형이 필요하다. 하지만, 생물학 시스템의 완벽한 이론적 설계를 통한 생산량증가는 아직 규명되지 못한 미생물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정체되어있는 상황이고, 대사산물 생산량이 증가된 우량 돌연변이균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 지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로 목표 우량 돌연변이 균주의 발생률을 높이는 접근법이 합성생물학 분야에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지향적 진화 방법을 통해 생성된 많은 수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로부터 목표우량균주를 골라내기 위해서는 대량선별과정(High-throughput Screening, HTS)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시험관이나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와 같은 기존 실험 기구를 사용하여 104개와 같이 많은 양의 돌연변이를 개별적으로 분석해 내기는 힘들다. 그러므로,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에서 목표 우량균주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HTS 기술이 필수적이다.
기존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위한 HTS 기술은 스크리닝 기준에 따라 두 종류: 리포터 유전자 기반 스크리닝 (즉, 형광 또는 비색반응) 그리고 성장 기반 스크리닝 (즉, 영양 성장 요소)로 분류된다. 앞의 방법은 형광이나 비색의 강도에서 변화를 보여주는 미생물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특히, 형광 기반 HTS 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최신식 기구로서 형광 발현 세포 분류 (FACS) 시스템이 초당 104 세포 이상을 분류해 낼 수 있다. 그러나, 빠른 처리 시간, 높은 스크리닝 해상도, 높은 처리량 에도 불구하고 이 FACS 시스템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때로는 감지를 위한 형광신호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형광이 없는 미생물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성장 보완과 같은 미생물 개체의 개별 성장률에 기반한 방법이다. 돌연변이는 보통 대사 경로와 관련된 유전자에서 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에서 성장률의 차이는 자주 발생한다.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성장 기반 스크리닝은 상실된 유전자에 의한 효소 기능 보상과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대사과정의 성장 보완성을 인식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그러나,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의 처리량이 1회의 분석에 96개 또는 384개에 제한되므로, 103개 이하의 작은 숫자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에만 적합하다. 게다가, 미생물 돌연변이 라이브러리가 벌크 집단 배양조건 (다양한 미생물 균주가 동시에 한 배양공간에서 배양됨)으로 준비되기 때문에 각 균주의 형광신호 또는 성장률이 이웃 세포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로 효과적인 미생물 스크리닝을 위해서는 벌크집단 배양조건이 아닌 분류 및 구획화된 미생물 배양 환경이 요구된다.
기존 HTS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많은 미세유체기술을 기반으로한 HTS 접근법이 돌연변이 라이브러리 스크리닝에 소개되고 적용되었다. 예를 들면, 미세액적(Mircrodroplets)이 대표적인 미세유체적 접근법으로 짧은 시간안에 많은, 동질의, 그리고 별개의 균주를 개별 구획화한 샘플들을 생산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엄청난 숫자의 미생물이 가두어진 다양한 미세액적 연구들은 특히 개별 세포 단위로 대사과정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량선별 방법에서 시너지 이득을 보여주었다. 또 다른 타입의 미세액적 연구로서 정지형태 미세액적은 미생물 또는 여러 가지 다세포군을 배양하는데 소개되었는데, 이는 유체를 사용한 샘플 분류 방법이 생물학적 분석을 위한 HTS 분야에서 긍정적으로 적용가능하고, 상당히 매력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몇 가지 결점도 나타났는데, 미세유체 장치에서 많은 양의 미세액적을 순차적인 분석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공간에 고정되거나 붙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미세액적의 정교한 핸들링을 위해 복합적인 유체 조절 장치가 필요하다. 실제로, 앞서 말한 미세유체 접근법들은 공통적으로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배양이나 분석 등의 연구에는 탁월한 장점을 보여주었지만, 선택적인 추출과정과 같은 HTS의 필수적인 요소에는 덜 집중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칩 상에 미세유체 HTS 적용 성공적으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더 견고하고 실현가능한 선택적 샘플 추출 기술이 개발되어 대량선별과정 및 대량미생물배양 기술과 병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의 분류와 배양을 위해 배양챔버를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표현형 차이 (즉, 리포터 유전자 시스템 과 성장 차이) 에 기반한 목표 우량 미생물 균주들의 선택적인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미세유체 HTS 플랫폼을 설명한다.
본 실험은 물과 기름 사이의 혼합되지 않는 특성 (불혼합성, immiscible) 과 물질의 고유한 값인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행렬 형식으로 마이크로웰 배열의 PDMS재질로 만들어진 미세유체 장치를 제작하였다. 추가로, 대량의 샘플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동 형광 이미징 시스템과 자체적으로 제작한 이미지 처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대량선별 방법을 통한 목표 우량균주를 성공적으로 찾아내었다. 다른 미세유체를 기반으로 한 접근법과 달리, 본 플랫폼은 간단한 방법으로 목표 우량균주들을 추출해 낼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형광 차이의 스크리닝에 기초한 리포터 유전자에게 있어서는 Spike recovery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HTS 플랫폼의 실현가능성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플랫폼을 셀로비오스의 섭식 가능여부에 따른 랜덤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골라내기 위한 성장 기반 스크리닝에 적용하였다.
2. 실험
2-1. 시약 및 재료
다른 비중을 가진 두 종류의 기름(Hydrocarbon oil, Hexadecane, 비중=0.77과 fluorinated oil, 비중=1.85)과 물을 이용하여 샘플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에 사용되었다. 적색 식용 염료와 특정 농도로 만들어진 형광염료 (50μM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용액이 배양챔버의 시각화와 특징화를 위해서 사용되었다. 미생물 균주 배양을 위해서 최적화 배양액인 Luria Bertani broth (LB medium) 에 ampicilin 75μg/ml, chloramphenicol 50 μg/ml, 그리고, kanamycin 50 μg/ml 과 같은 항생제를 섞어 준비하였다. 2 mM MgSO4 와 0.1 mM CaCl2, 를 넣은 M9 minimal media 그리고 0.3%w/v 셀로비오스가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성장 기반 스크리닝에 사용되었다. 미생물 콜로니 (Colony) 형성을 위해 LB 한천 플레이트가 준비되었다. 추출을 위해서는 내부직경 25.3μm 그리고 360μm 외부직경의 용융 실리카 모세관이 사용되었다. 외부 직경 200μm의 상용 인슐린 주사기도 또한 세포 추출에 사용되었다.
2-2. 박테리아 세포 준비
아래의 표 1 에는 이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대장균 종과 플라스미드가 나타내진다. 적색 또는 녹색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대장균 K-12 종 MG1655는 유체패터닝 장치에서 미생물 배양여부 확인을 위한 시험 균주로 사용되었다. 형광 리포터 유전자 기반 스크리닝을 증명하는 Spike and recovery 테스트를 위하여 두개의 다른 재조합 균주 (MG1655/pFAS 와 MG1655△fadE/pFAS and pET28k) 가 사용되었다. 아울러, 성장 보완형 기반 스크리닝을 위해서는 CP12chbasc 종이 선택되었는데 이균주는 야생형균주는 섭식하지 못하는 셀로비오스와 같은 β-glucoside 계열의 당을 섭식할수 있기 때문이다. 대략 4,000여개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기 위해서 위의 CP12chbasch 종은 EZ-Tn5 transposon mutagenic kits 를 사용하여 임의적으로 돌연변이화 되었다. 세포배양을 위해서 LB 한천 플레이트에 성장한 단독 콜로니가 선택되었고 배양액 LB media 5mL 로 채워진 시험관과 적당한 항생제가 그 안에 주사되었다. 준비된 시험관이 하루밤 동안 37℃ 와 200rpm의 회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되었다. 하루동안 충분히 배양된 미생물 균주들은 미리 계획된 특정 개수의 미생물수/배양챔버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비율로 신선한 LB medium에 희석되었고,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배양챔버 플랫폼에 패터닝되었다. 각 균주는 형광현미경에서의 시각화를 위해 BglBrick 플라스미드 pBbE4c-rfp를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에 주입하였고 RFP가 나타나도록 형질변화 시켰다.
Figure 112016045700232-pat00001
2-3. 배양챔버 장치 제조
표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광반응성 중합체인 SU-8를 주형으로 하는 유체패터닝 장치가 제작되었고 배양챔버로 사용되는 마이크로웰 크기는 직경 150μm, 깊이는 50, 100, 150μm이다. 포토리소그래피를 통해 만들어진 주형과 실리콘 웨이퍼 (Si-wafer)의 표면은 trichloro silane 을 사용하여 진공 항아리에서 한시간동안 실란화되었다. PDMS(Polydimethysiloxane)가 주조되고 고온에서 경화된 후 벗겨져서 미세유체장치가 준비되었다. 유체패터닝장치(상기 배양기판)는 실험 전에 산소 15sccm 와 70W 에서 30초 동안 산소플라즈마 처리되었다. 배양기판의 표면을 친수성으로 만들기 위해 이 처리가 수행되었고 이는 마이크로웰을 친수성용액으로 완전히 채우도록 하여 공기방울이 안생기도록 하였다. 배양챔버 내의 수용액 (즉, 미생물이 포함된 배양액) 이 수축 (shrinkage)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DMS 장치를 몇 시간동안 증류수에 담구어 두어 충분히 수분이 공급된 상태가 되게 하여 (즉, 물이 PDMS 로 최상 용해되도록 하여), 유체가 마이크로웰에서 24 시간동안 유체 부피 축소가 없는 안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이유로 유사하게, 하이드로 카본 오일인 헥사데칸 (Hexadecane) 과 플루오르화 오일인 FC-40 오일이 60℃의 회전 쉐이커에서 용해 한도 까지 약 0.1% (v/v) 증류수와 섞이도록 하였다. 증류수는 오일과 완전히 섞이지 않으므로 이전 문헌에 따라 오일 내 물의 최종 농도는 대략 0.02% 로 측정되었다.
2.4 실험 준비와 데이터 분석
CCD 카메라와 1.5, 10, 20 배 대물렌즈를 장착한 역형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배양챔버 장치로부터 형광 이미지를 포착하였다. 그 이미지들은 현미경 스테이지 컨트롤러로 자동으로 포착되었고 이미지의 형광 강도는 자체 제작된 m-file MATLAB R2014a 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추가적인 데이터 분석과 필수 이미지 처리를 위하여 Image J 와 OriginPro 8이 사용되었다.
3. 실험 결과
3-1. 배양챔버의 생성과 특성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칩상의 배양챔버의 생성과 분류를 나타낸다. 소프트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웰이 정렬되어 있는 PDMS 장치을 제작하고 배양챔버로 사용되는 마이크로웰을 포함하여 모든 장치의 표면을 친수성을 갖도록 만들기 위해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였다. 목표 미생물 균주를 포함하는 친수성 용액 (즉, 배양액) 을 PDMS 장치 표면에 떨어뜨려 모든 마이크로웰을 채운다. 모세관 효과와 높은 기체 투과성 때문에 PDMS 장치의 마이크로웰에서 생기는 공기방울은 금방 없어진다. 이 장치의 표면을 다른 PDMS 조각판으로 부드럽게 쓸어서 배양챔버의 형성을 확실하게 하고 표면에 남아 있는 용액을 제거한다. 그 다음에 바로 배양챔버 장치를 거꾸로 뒤집어서 플루오르화 오일(FC-40)이 든 투명 페트리 접시에 놓는다. 이 과정은 마이크로웰(배양챔버)의 굉장히 적은 부피 (약 1.3nL) 때문에 배양챔버가 공기 중으로 빨리 증발되어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중요하다. 물과 기름 사이의 섞이지 않는 성질과 두 물질이 가지는 비중차이 때문에 배양챔버의 패터닝된 상태가 오랜 기간동안 유지 될 수 있다. 아울러, 오일안의 PDMS 의 침수 레벨을 단순히 조작함으로써 배양챔버 사이에 산소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억제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유산소 또는 무산소 환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4 X 2 행렬로 8개의 마이크로웰을 포함하는 형광색의 배양챔버의 단위 현미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자체 제작된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든 마이크로웰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고 목표 마이크로웰/세포들을 배치하기 위해서 그것들을 하강 순서로 분류하였다. 도 1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배양챔버 장치를 페트리접시에서 꺼내어 다음 추출 과정을 위해 헥사데칸으로 채워진 다른 페트리 접시에 엎어 놓았다. 가벼운 비중을 가진 헥사데칸이 친수성의 배양챔버의 바닥에 남아있어서 마이크로웰의 탈수 및 수축을 완전히 막을 수 있었다. 주사바늘이나 빈 모세관이 목표유체 샘플을 추출하는데 사용되었다. 모든 실험에 사용된 oil은 배양챔버의 탈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과정에서 설명된 것처럼 충분히 증류수와 섞이는 전처리 과정을 겪였다. 전처리 과정이 없었다면, 상기 배양챔버는 장기간의 배양기간 동안 탈수와 양 수축을 겪게 된다. 물과 기름 사이의 비중 차이를 보여준다. 보충설명 도 S1은 배양챔버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보여주고 S2는 배양챔버의 탈수에 대한 PDMS 전처리효과를 보여준다.
도 5는 배양챔버 생성과 모세관 기반 추출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C)는 PDMS 조각을 이용하여 미생물이 포함된 배양액이 떨어진 PDMS 표면위에 제작된 수천개의 마이크로웰 PDMS 표면을 부드럽게 sweeping 하는 것을 나타내고, (f)는 장기간의 배양과 관찰을 위해서 플루오르화 오일이 수용된 페트리 접시에 뒤집어서 놓는 과정을 나타낸다. 모터로 작동되는 현미경 자동 스테이지와 조절시스템을 사용하여 현미경이미지가 자동으로 찍히고, 헥사데칸이 가벼워서 추출하는 동안 탈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양기판을 다시 뒤집어서 하이드로카본 오일에 침수시킨다.
3-2. 배양챔버 장치의 박테리아 세포 성장
녹색형광단백질 (GFP) 을 발현하는 대장균 균주의 성장을 실험하였고 도 6과 같이 그 세포들에 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챔버 장치가 구획화된 미세환경을 제공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광 강도의 증가한 것은 세포 성장과 GFP의 계속적인 생산을 의미한다. PDMS 두께에 따라서도 세포성장에 대한 마이크로웰의 산소의 투과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실험하였다.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두꺼운 PDMS 는 얇은 것 보다 바깥 공기로 부터의 산소이동을 적게 하여 형광 강도가 낮았다. 배양챔버에서 충분히 성장한 미생물 균주들로 가득찬 마이크로웰의 형광 강도는 배양챔버에서의 세포배양기간과 비교적되어 측정 및 수치화 되었다. 미생물 배양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광 밀도(Optical Density at 600nm, OD600)가 보통 사용되는 데, 유체 패터닝 장치의 마이크로웰 패터닝 형성전에 다양하게 조정된 미생물의 농도가 OD600으로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배양챔버 장치는 세포가 충분히 성장하도록 하였고 세포관이나 마이크로플레이트와 같은 기존 배양조건에서 보다는 세포 성장이 현저하게 높았다. 특히, 가장 얇은 PDMS를 사용한 배양챔버가 기존 배양조건의 경우에서는 아주 드물게 배양 가능한 수준인 OD600=3 을 넘는 세포 밀도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배양챔버장치가 미생물의 무산소 배양에도 적용되는지 실험하였다. 표준 온도와 압력에서 기름의 기체 투과성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에, 배양챔버 장치가 기름에 충분히 잠겨 기름으로 덮어지게 되면, PDMS 장치를 통한 산소투과 현상은 더 이상 마이크로웰에서는 일어날수 없다. 도 8은 각각 산소 와 무산소 배양에서 14시간동안 충분히 성장한 세포를 보여준다. 산소 배양의 형광강도가 무산소 배양의 형광강도보다 훨씬 강했다. 이는 PDMS를 통한 충분한 산소공급이 더 나은 세포성장과 GFP의 충분한 발현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산소공급이 많을수록 균주의 생장 및 GFP 발현이 높다. 또 다른 양상은 배양챔버내의 균주가 위치하는 형태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이다. 유산소 환경에서는 세포가 마이크로웰을 돌아다녀 균일한 배분을 보였다. 반면, 무산소 배양에서는 마이크로웰 가장자리쪽에만 균주들이 집중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장균이 산소를 향해 이동하는 경향 (주기성, Aerotaxis) 이 있기 때문에 산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PDMS의 산소 용해성과 확산성이 배양액보다 훨씬 높으므로 PDMS 표면에는 더 많은 산소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미생물 균주들이 배양액에서 먼저 산소를 소비한 후 PDMS 벽쪽으로 이동하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도 9는 배양챔버장치가 2,176개의 마이크로웰을 가진 미세유체 장치 상에서 동시, 대량, 병렬적인 미생물 배양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로부터 마이크로웰의 99.6%가 세포 배양을 성공적으로 이룬 것을 확인하였다. 실패한 5개의 미생물 배양 시도는 미생물이 자라지 못했던 것이 아닌 소프트리소그래피 과정중의 SU-8 주형의 변형 및 층간박리가 일어나게 되어 실패한 것이었다. 이러한 성공적인 대량 미생물 배양 결과는 104개 이하의 작은 숫자로 이루어진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HTS를 위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6은 14시간 동안 GFP 발현하는 미생물 균주들의 저속촬영 형광이미지를 나타낸 형광사진이고, 도 7은 형광 강도의 수량화는 세포 성장에 대한 세 가지 PDMS 두께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8은 각각 유산소와 무산소 조건에서의 GFP 발현 세포들의 형광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9는 GFP 와 RFP 발현 세포들의 혼합물이 2,172 개의 마이크로웰에서 분화되었고 그것들의 형광이미지가 촬영되었다.
3-3. 배양챔버장치에서 선별된 목표 세포들의 추출과 재배양
대부분의 미세유체 플랫폼이 지향하는 생물학적 분석 목적과는 달리 HTS, 스크리닝 연구는 목적 미생물 균주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복구 및 재배양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간단하고 쉬운 선택적 추출 방법이 이전 배양 과정에 통합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자들은 상용 가능한 모세관 또는 인슐린 주사 바늘을 가지고 목표 세포들을 추출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경험하였다. 광학 또는 형광 이미지를 찍기 위해서 실리카 모세관의 폴리이미드 코팅을 불로 태워서 투명하게 만들었고 (도 10참조), 목표 마이크로웰에 모세관 끝을 놓고 개별 마이크로웰이 추출되도록 내부의 유체를 흡수하였다. 도3B는 추출과정 후에 마이크로웰의 한 예를 보여준다. 흡수된 유체는 도 11과 같이 광학적으로 형광적으로 시각화 가능했다. 그림으로부터 측정된 모세관의 길이와 내경을 고려하였을 때 실제로 추출된 양은 마이크로웰 전체 양의 30% 정도 되었다. 이는 PDMS 마이크로웰로 인한 표면 장력이 모세관을 통하여 유체가 완전히 흡수되는 것을 막은 것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더불어, 많은 인슐린 주사로도 같은 선택적 추출 실험을 해 보았고 모세관을 사용할 때와 유사한 방법을 보였다. 하지만, 인슐린 주사 바늘은 불투명해서 현미경으로 시각화 하지 못했다. 추출과정은 현미경으로만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행해졌으나 실험 준비는 어렵지 않았고 다른 특수장비도 필요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추출된 세포들의 재배양을 실험하였다. 미생물이 적절한 농도로 준비된 5개의 유체패터닝 장치가 준비되었고, 각 장치당 30회의 추출을 바늘을 이용하여 진행했고, 각각 30개의 시험관에서 재배양하였다. 하루동안의 30개의 배양관의 복구율을 수량화 하였더니, 평균 복구율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ƒˆ이 84.6% 로 요약되었다. 이는 150 개중에 126개의 재배양이 성공적으로 복구되었고 24개의 추출 시도만 실패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성공적인 복구율은 배양챔버 장치에 추출과 재배양 과정을 접목시키면 다른 바이오분석을 위한 HTS 실험과 HTS 이후의 분석과정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모세관 기반 추출과정 전-후로 GFP를 발현하는 균주들을 포함하는 유체 챔버의 형광 이미지 비교한 사진이고, 도 11은 추출 과정 전-후의 모세관의 광학, 형광 이미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3-4. 스크리닝 기반 리포터 유전자 발현 레벨의 극파 복구실험
본 실험의 미세유체 플랫폼이 작은 숫자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 (104보다 작은 돌연변이 개수) 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Spike and recovery 실험을 하였다. 도 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 가지 다른 종을 준비하였다: 야생형 MG1655와 MG-△fadE. 첫 번째 종은 지방산 바이오센서(pFAS)로 변형되었고 MG-Ctrl 로 명칭되었으며 컨트롤 그룹 (대조군) 으로 사용되었다. 두 번째 종은 지방산 합성에 핵심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FadE가 결핍되어 지방산 생산이 증가된 균주로서 컨트롤 그룹과 같은 지방산 바이오센서 플라스미드로 형질변화 되었을 뿐만 아니라, kanamycin 저항을 위한 다른 플라스미드(pET28a) 또한 함께 형질변화되어 MG-△fadE라고 불리는 실험 그룹 (실험군) 으로 사용되었다. 실험 그룹이 컨트롤 그룹보다 많은 세포내 지방산을 생산하였기 때문에 실험군이 지방산 바이오센서로부터 발현하는 강한 형광 시그널(RFP)를 보였다.
도12(ii)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혼합 샘플이 준비되었는데, 스크리닝 목적 균주인 MG-△fadE와 컨트롤 그룹인 MG-ctrl이 1:102와 1:103 비율로 각각 미리 계획된 샘플을 사용하여 Spike and recovery 실험을 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두가지 다른 비율로 만들어진 샘플을 포함하는 2,832 마이크로웰의 배양챔버를 생산하여 세포를 14시간동안 배양하였다(iii). 미생물 균주들의 충분한 배양이 끝난뒤, 형광이미지가 자동으로 촬영되어 높은 형광 강도를 가지는 목표 미생물균주 (MG-△fadE) 를 찾기 위해 대량 이미지 분석되었다. 모든 마이크로웰의 형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5% 가량이 선택되었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해당 미생물 균주들이 선택적으로 추출되었다 (iv). 모든 추출 균주들은 시험관에서 하룻밤 동안 회복 및 재배양 되었고(v), (iii)부터 (v)까지의 스크리닝 과정을 반복하였다. 다음 스크리닝 바로 전에, kanamycin 이 담긴 LB 한천 플레이트에 자라난 목표 균주들의 수를 세어 농축 계수를 수치화 하였다. 이는 목표 균주 (MG-△fadE) 만이 kanamycin 항생제 저항 유전자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목표 균주들을 완전히 스크리닝해내기 위해 목표 균주들이 다 농축 될 때까지 스크리닝을 반복하였다. 도4B는 스크리닝이 반복됨에 따라 비목표 균주들(MG-Ctrl) 에 대한 목표 균주(MG-△fadE)들의 고혼합비율을 표현가능한 농축계수를 보여준다. 네 번의 스크리닝 후에 80% 의 목표 세포들이 스크리닝 되었다. 도 4C는 스크리닝이 진행됨에 따른 저혼합비율 농축계수를 나타낸다. 예상대로, 비목표 균주들의 비율이 점점 낮아지며 도태되는 동안 목표 균주들은 점차 농도가 높아지면서 농축되었다. 저혼합비율로부터 두 번의 스크리닝 후에는 혼합 비율이 고혼합비율에 가까운 1:102에 거의 가까웠다(도4B). 이론적으로는, 네번의 추가 스크리닝후에는 혼합비율이 거의 80:20이다. 총 여섯번의 스크리닝 후에 최종 혼합 비율이 819:191, 즉 고혼합 비율 실험의 최종결과인 83:13에 가까운 수치가 되었다. 추출된 균주들이 반복되는 스크리닝 실험동안에, MG-Ctrl 보다 MG-△fadE세포들이 더 많이 포함하는 마이크로웰은 그렇지 않은 마이크로웰보다 훨씬 더 강한 형광 시그널을 나타내므로 상위 5%의 추출은 실험 그룹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더 증가시킬수 있었다.
도 12는 리포터 유전자 기반 스크리닝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MG-△fadE의 유전적 변형. 돌연변이 라이브러리 준비. MG-△fadE 균주와 MG-Ctrl 균주가 1:102, 1:103 의 비율로 각각 준비되었다. 준비된 다른 비율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유체패터닝 배양챔버가 생성되었고 장시간동안 배양되었다. 모든 마이크로웰의 형광 강도가 분석되었고, 목표세포가 선택되어 추출되었다. 추출세포는 배양관에서 재배양되었고 스크리닝 과정이 반복되었다. 도 12는 목표 세포의 농축, 혼합비율로 각각 1:102, 1:103이다.
3-5. 성장 속도 차이에 기반한 작은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스크리닝
계속적으로 소개된 미세유체 플랫폼은 성장 속도 차이에 기반한 스크리닝을 위하여 셀로비오스 배양액이 추가로 적용되었다. 즉, 셀로비오스 소비가 가능한 미생물 돌연변이 균주는 다른 돌연변이보다 더 빠른 세포 성장이 가능함을 의미하고 본 플랫폼을 사용하여 해당 셀로비오스 섭식 가능 균주를 스크리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성장 속도 차이 기반 스크리닝을 위해서 합성 프로모터 CP12 (synthetic promoter CP12) 가 적용되었고, 효과적인 셀로비오스 대사기능을 위해 숨겨진 유전자였던 cryptic operon asc와 chb를 발현하는 균주를 합성하고 CP12chbasc라고 명명하였다. 그 후, CP12chbasc는 임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 (약 4,000여개) 를 구성하는데 사용되었다 (도 14). 4,000여개의 라이브러리중에 몇몇 돌연변이가 셀로비오스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와 연관되어있어유체패터닝 플랫폼이 셀로비오스 (0.2% M9 배지) 에 의해 빨리 성장하는 목표균주들을 스크리닝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M9 배지가 리치 배지(LB)보다 훨씬 적은 영양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체패터닝 장치는 보통 균주 배양시간보다 더 긴 배양시간인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균주들의 RFP 형광 강도가 측정되었는데, 목표 돌연변이 균주들은 셀로비오스 영양 공급을 받았을 때 비목표 균주들보다 더 잘 성장할수 있고 더 많은 RFP를 생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5에서 분석된 형광 강도 신호에 따르면, 우수한 성장 속도를 보여주는 셀로비오스 섭식 가능 돌연변이 균주들인 세 개의 후보가 결정되었고, 뒤이어 추출과 재배양을 한 뒤 목표 세포들과 비교를 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추출된 10 마이크로웰에 있는 비목표 세포들은 비교적 약한 형광 시그널을 보였다. 도 5C는 20시간동안 셀로비오스만 유일한 영양 공급원으로 사용한 상태에서 목표 와 비목표 세포들의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로 측정된 OD600 값들을 보여준다. 확실히, 세 개의 후보들이 비록 최적화된 셀로비오스 대사 경로를 가진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 CP30chbasc 보다 약간 낮았지만 다른 비목표 세포들에 비해서 훨씬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도 15는 셀로비오스 환경에서 유체패터닝 장치을 20시간 동안 장기간 배양한 결과의 수량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면 중 세 개의 검은 화살표는 셀로비오스를 영양 공급원으로 섭식가능한 세 후보를 가리킨다. 도 15의 아래의 그래프는 기존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OD600 측정값을 관찰한 결과 (CP30chbasc균주-초록, 셀로비오즈를 소비하는 세 추출 샘플-빨강, 파랑, 보라, 그리고 다른 임의 추출 샘플) 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배양챔버와 배양기판은 구조가 간단해서 작은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의 HTS가 필요한 거의 대부분의 미생물공학 실험들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양챔버 장치는 표준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제작되어질 수 있고 SU-8을 주형 (마스터 몰드, master mold) 으로 소프트리소그래피 기법을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복제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플랫폼은 주사 펌프나 공압 밸브와 같은 다른 유체 조절 장치 또는 추가 부속품이 일체 필요하지 않다. 위에서 자세히 설명된 실험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유산소와 무산소 미생물 배양환경을 쉽게 선택할 수 있고, 실험 도중에 환경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완벽한 무산소 미생물 배양을 위해, 유체 챔버 장치가 질소 가스가 계속 흐르는 작은 용기에 담아서 실험을 진행한다면, PDMS 에 용해된 산소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 추출과정은 현재 개발된 시제품 형태에서는 수동으로 행해지나, 바늘 등이 장착된 로봇으로 대체하는 것도 힘들지 않을 것이다. 이 실험에서 사용되어진 바와 같이, 전체 유체 패터닝 장치에서 얻어진 배양챔버의 형광 이미지는 z-축 자동 초점 기능을 가진 모터달린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촬영이 되고 앞으로의 HTS 적용을 위한 목표균주 결정을 위해 자체적으로 제작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데이터 처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스크리닝은 목표 균주의 표현형이 나타내는 특징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본 유체패터닝 배양챔버 플랫폼은 여러 가지 미생물의 표현형 변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실험중 리포터 유전자를 사용한 스크리닝에서는, 반복적인 주기로 이루어지는 점진적 스크리닝 과정을 적용함으로써 많은 지방산을 생산하는 목표 돌연변이 균주가 발현하는 더 많은 형광 단백질을 기준으로 하여 선택적인 추출을 통해 목표균주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형광 강도 신호에 더하여, 더 일반적인 HTS의 적용을 위해서, 비색 방법, 적절한 대사 산물에 대한 효소 반응, 그리고 한 세포가 다른 세포가 반응하는 바이오분자를 검출하는 방법 등의 다른 몇 가지의 우량 균주 스크리닝 방법들이 있다. 두 번째로 소개된 성장 속도 차이 기반 스크리닝을 위해서, 제한적인 영양공급원을 섭식 가능한 균주가 더 좋은 성장속도를 보이는 양성 선택 접근방법으로 영양이 잘 공급되고 셀로비오스를 영양원으로 잘 소화시키는 목표 균주들을 성공적으로 추출하였다. 비록 이러한 양성 선택 방법이 셀로비오스 영양 환경에서 시험관이나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는 기존 실험 방식으로도 가능하지만, 때로는 잘 성장한 샘플 뿐만 아니라 덜 성장한 샘플들을 스크리닝 또는 선별해야 될 때가 있다. 덜 성장한 샘플 스크리닝의 경우에는 노동력이나 시간에서 치명적인 제한이 있고 가장 최신의 장비인 FACS 기계조차 성공적이지 못할 때가 있다. 본 유체패터닝 배양챔버 플랫폼은 형광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선별하고 분석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실험 요구에 따라 뛰어나거나 또는 약한 세포성장을 보이는 샘플들 모두를 스크리닝 할 수 있는 중요한 이점을 가진다.
5. 결론
본 발명을 통하여 모세관 기반 추출과 재배양 과정이 가능한 유체패터닝 장치를 사용하여 작은 숫자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를 위한 미세유체 HTS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 배양챔버 장치는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마이크로웰과 그 세포들을 대량선별 방법으로 분류하기 위한 플루오르화 오일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웰은 동일한 미생물 배양 환경에서 개별로 공급되기 때문에, 각 마이크로웰당 미생물 균주의 개수는 아주 많아서 기존 배양 방법보다 높은 OD600 측정값을 보인다. 게다가, 배양챔버 장치장부터 목표 세포를 추출하고 재배양 하는 것은 주기적인 스크리닝을 반복할 수 있게 한다. Spike and recovery 테스트를 이용하여, 본 플랫폼이 리포터 유전자 차이에 기반한 작은 숫자의 돌연변이 라이브러리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리포터유전자 기반 스크리닝 뿐만 아니라 동일 플랫폼을 사용하여 성장 기반 스크리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목표 균주들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스크리닝 또는 선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 개발된 배양챔버 장치와 목표균주 추출 방법의 병합은 기존 HTS 기술에 비하여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 실제로, 본 발명을 통하여 개발된 시제품 형태의 장치에서는 다소 적은 수의 마이크로웰(< 3,000 wells 2 X 3cm) 을 사용하였지만,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웨이퍼 스케일(6”이상) 로 까지 상기 장치를 확장시켜, 마이크로웰 수를 106 에서 107까지 늘릴 수 있다. 이는 목표 미생물 균주를 HTS 과정을 거쳐서 성공적으로 스크리닝하기 위한 좋은 환경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플랫폼은 기존 HTS 기술의 대안이 될 수 있고, 앞으로는 배양챔버 생성, 배양, 이미지촬영, 처리, 선별 추출과 재배양을 포함한 전체 과정이 자동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유체 20... 배양액
30... 제2유체 100... 몸체
200... 배양기판 210... 배양챔버
300... 지지부 400... 수축방지부
410... 수용홈 500a,500b,500c... 미세유체 배양장치
610... 스위핑부재 620... 모세관
630... 배양측정장치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홈 형상의 배양챔버 복수개가 어레이 형태로 형성된 배양기판을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배양챔버 각각에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채우는 단계;
    상기 배양챔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뒤집어서 상기 배양액보다 비중이 큰 제1유체에 침지시키는 단계;
    상기 미생물을 배양시킨 후 배양측정장치를 통하여 상기 미생물의 배양결과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다시 뒤집어서 상기 배양액보다 비중이 작은 제2유체에 잠기도록 침지시키는 단계; 및
    모세현상을 이용하는 추출관을 이용하여 상기 미생물 배양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기 배양챔버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양챔버 내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배양액을 선별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판은 기체의 통과가 가능한 탄성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져, 상기 배양챔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뒤집어서 상기 제1유체에 침지시키되, 상기 배양챔버의 상부가 공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양챔버를 상기 제1유체에 침지시키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판은 기체의 통과가 가능한 탄성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은 혐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져, 상기 배양챔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뒤집어서 상기 제1유체에 침지시키되, 상기 배양챔버 전체를 상기 제1유체에 침지시키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양챔버들에 상기 배양액을 채우는 단계는,
    상기 배양챔버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을 위치시킨 후 상기 배양기판의 상면으로 미생물이 있는 배양액을 공급하는 단계와,
    스위핑(Sweeping)부재를 이용하여 일면이 상기 배양기판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배양기판의 상면을 따라 스위핑하여 상기 배양챔버에서 넘쳐나는 상기 배양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양기판은,
    2.5mm 내지 6mm의 두께를 갖는 PDMS(Polydimethylsiloxane)로 형성하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양측정장치는,
    형광물질이 주입된 상기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한 형광 현미경을 포함하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20.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9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챔버들에서 미생물이 배양된 상기 배양액을 선별적으로 추출한 후 이를 상기 배양기판에 재배양하여 대량병렬배양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세유체 선별방법.
KR1020160058617A 2016-05-13 2016-05-13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KR10178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17A KR101782105B1 (ko) 2016-05-13 2016-05-13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17A KR101782105B1 (ko) 2016-05-13 2016-05-13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105B1 true KR101782105B1 (ko) 2017-09-26

Family

ID=6003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617A KR101782105B1 (ko) 2016-05-13 2016-05-13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80B1 (ko) 2018-03-12 2019-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스타잔틴 생산용 미세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스타잔틴 생산방법
KR20210082719A (ko) * 2019-12-26 2021-07-06 울산과학기술원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웰 어레이 및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의 미생물 현탁액 구획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2467A (ja) * 2012-03-16 2013-09-30 Terumo Corp シート状構造物を安定に搬送する方法
US20150267247A1 (en) 2014-03-21 2015-09-24 Santa Clara University Microdroplet Formation by Wells in a Microfluid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2467A (ja) * 2012-03-16 2013-09-30 Terumo Corp シート状構造物を安定に搬送する方法
JP5988631B2 (ja) 2012-03-16 2016-09-07 テルモ株式会社 シート状構造物を安定に搬送する方法
US20150267247A1 (en) 2014-03-21 2015-09-24 Santa Clara University Microdroplet Formation by Wells in a Microfluid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80B1 (ko) 2018-03-12 2019-07-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스타잔틴 생산용 미세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스타잔틴 생산방법
KR20210082719A (ko) * 2019-12-26 2021-07-06 울산과학기술원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웰 어레이 및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의 미생물 현탁액 구획방법
KR102293714B1 (ko) 2019-12-26 2021-08-26 울산과학기술원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웰 어레이 및 소수성-친수성 표면을 갖는 마이크로웰 어레이의 미생물 현탁액 구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meister et al. Microfluidic cultivation and analysis tools for interaction studies of microbial co-cultures
Wang et al. Microfluidic high-throughput culturing of single cells for selection based on extracellular metabolite production or consumption
TW20081129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collection of single cells and colonies of cells and fast generation of stable transfectants
US9234229B2 (en) High throughput system for isolation, growth, and detection of lipid inclusions in bacteria
CA2788575C (en) Hanging drop devices, systems and/or methods
Leygeber et al. Analyzing microbial population heterogeneity—expanding the toolbox of microfluidic single-cell cultivations
Dong et al. Automated chemotactic sorting and single-cell cultivation of microbes using droplet microfluidics
Kossen The morphology of filamentous fungi
KR101782105B1 (ko) 미세유체 배양장치, 미세유체 배양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선별방법
Liu et al. Microfluidics: A new tool for microbial single cell analyses in human microbiome studies
Chaturvedi et al. Comparison of the behavior of CHO cells during cultivation in 24-square deep well microplates and conventional shake flask systems
Zheng et al. A microfluidic droplet array demonstrating high-throughput screening in individual lipid-producing microalgae
WO2006088162A1 (ja) 多種微量試料の注入、移行方法
Jain et al. Deterministic culturing of single cells in 3D
Lee et al. Dynamic culture and selective extraction of target microbial cells in self-assembled particle membrane-integrated microfluidic bioreactor array
Doig et al. High throughput screening and process optimisation
Weber et al. Recovery and isolation of individual microfluidic picoliter droplets by triggered deposition
Nagy et al. Interaction of bacterial populations in coupled microchambers
US20150050735A1 (en) Well plates
TW201718846A (zh) 單細胞擷取與培養之裝置與方法,及從該裝置轉移並釋放細胞群落之方法
Kerk et al. Recent advances of integrated microfluidic suspension cell culture system
KR102475225B1 (ko) R2r 공정을 이용한 오가노이드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제조
Bowman et al. Temporal sorting of microdroplets can identify productivity differences of itaconic acid from libraries of Yarrowia lipolytica
US9327242B2 (en) Method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of drops by osmotic exchange and density variation
KR20070046939A (ko) 마이크로 챔버 어레이를 이용한 스크리닝 방법 및 스크리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