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302B1 - 집어등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집어등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302B1
KR101781302B1 KR1020160119813A KR20160119813A KR101781302B1 KR 101781302 B1 KR101781302 B1 KR 101781302B1 KR 1020160119813 A KR1020160119813 A KR 1020160119813A KR 20160119813 A KR20160119813 A KR 20160119813A KR 101781302 B1 KR101781302 B1 KR 10178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ing
bar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filed Critical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6011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other areas of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집어등이 장착되어 있는 이송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집어등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이 장착되어 있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130);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이송부(140);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바(150);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어등 이송장치{APPARATUS FOR MOVING A FISHING LAMP}
본 발명은 어선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집어등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광성이 있는 오징어, 꽁치, 전갱이, 고등어 등을 잡기 위해, 일반적으로 집어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집어등은 어선의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어등의 조사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집어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어선의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발견 위치에 정확하게 빛을 조사할 수 없다.
또한, 집어등의 조사 각도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종래의 집어등에 의해서는 물고기가 그물 방향으로 정확하게 유인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집어등의 이동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선원 인력 3~4명이 동원되었다. 즉, 종래에는 집어등의 이동을 위해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인력난에 따라, 집어등의 이동을 위해 많은 인부를 투입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따라서, 조업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집어등의 이동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비, 바람, 파도 높이 등의 해상 날씨에 따라, 정확한 이동 각도로 집어등을 이동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집어등이 수작업으로 조정되었기 때문에, 집어등을 조정하는 불잡이가 부재 시, 어장이 형성되어도 출어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조업일수와 소득이 감소하였다. 특히, 불잡이의 인건비가 보통선원의 1.5배이기 때문에 어업경영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바람이 세게 부는 날에는, 불잡이가 집어등 이송용 대나무를 들고 그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집어등이 바람에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어군이 그물 안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집어된 어군도 분산되어 어획 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1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064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어등이 장착되어 있는 이송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집어등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이 장착되어 있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130);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이송부(140);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바(150);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어등의 위치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손쉽게 이동될 수 있다. 집어등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물고기가 그물 방향으로 쉽게 유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고기의 어획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이동자에 의해 집어등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노동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어획 작업시 요구되는 작업자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어등의 이동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해상 날씨와 같은 주변 여건에 상관없이, 최소의 인력으로 간편하고, 편리하고, 정확하게 집어등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업활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어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양한 정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어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선(300)에 장착되어 이용된다.
상기 집어등 이송장치(100)의 끝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집어등(200)의 광원으로는, 아세틸렌 램프, 백열 램프, 할로겐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메탈 할라이드 램프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어선(300)에는 그물(4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집어등 이송장치(100)는 상기 그물(400) 주변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특히, 도 2의 A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특히, 도 2의 A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이 장착되어 있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130),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이송부(140),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바(150)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본체부(110)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0)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11)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이송바(150)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바(150)는 낚시대와 같이 다양한 길이로 접혀질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20)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어선에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부(14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은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이송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봉(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에는, 다섯 개의 지지봉(131)들로 구성된 상기 지지부(1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다섯 개의 지지봉(131)들 중 두 개의 일측 끝단은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있으며, 나머지 세 개의 지지봉(131)들의 일측 끝단은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다섯 개의 지지봉(131)들의 타측 끝단은 상기 이송부(14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부(140)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봉(131)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를 중심으로, 상기 이송부(140)의 양쪽 끝단과 상기 본체부(110)가 이루는 각도는 135도 내지 225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에서는, 상기 이송부(140)의 양쪽 끝단과 상기 본체부(110)가 대략 적으로 180도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부(140)의 일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이송부(140)의 타측 끝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의 우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이송부(140)의 좌측 끝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집어등 이송장치(100)는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송부(140)는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의 양측 끝단의 높이가 다른 이유는, 상기 이송바(150)가 어선에 있는 구조물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주광성의 멸치가 빛을 쫓아 표층으로 부상하도록 하고, 집어등 불빛을 어선 안에서 감쇠시켜 그물 안으로 들어온 멸치어군이 그물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부(140)는 경사지게 상기 지지부(13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의 양측 끝단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 프레임(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상기 지지부(130)에 장착된다.
다섯째, 상기 이송바(150)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송바(150)의 타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다.
여섯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어선(300)의 조타실에 장착될 수 있으나, 상기 본체부(110)와 인접되어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100)는, 상기 이송부(140)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바(150)가 접촉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감지부(170) 및 상기 이송부(140)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바(150)가 접촉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감지부(170) 또는 상기 제2감지부(180)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바(150)가 상기 이송부(140)를 따라 회전하는 중에, 상기 제1감지부(170)와 접촉하면, 상기 제1감지부(170)는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송바(150)가 상기 이송부(140)의 일측 끝단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하여, 상기 모터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바(150)는 상기 이송부(140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모터에도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바(150)는 상기 제1감지부(170)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감지부(180)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송바(150)가 상기 제2감지부(170)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모터는 정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조정하면, 상기 이송바(150)는 상기 제2감지부(180)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감지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 이송장치의 이송바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다양한 정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2의 A영역을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우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바(150)는 상기 제1감지부(170) 방향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바(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앞쪽에 배치되어 바다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바(150)는 상기 이송부(140)을 따라 집어등(200)을 그물(400)이 설치되어 있는 좌현으로 이송시키면서 어군을 유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 중 상기 제1감지부(170)가 장착되어 있는 일측 끝단의 높이가 상기 제2감지부(180)가 장착되어 있는 타측 끝단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이송바(150)와 상기 프레임(120) 간의 각도는 작다. 따라서, 상기 이송바(150)는 바다면에 밀착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음, 물고기떼가 발견되면, 사용자는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바(150)를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상기 이송바(15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집어등(200)도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에 의해 상기 집어등(200)은 어선의 앞쪽으로부터, 어선의 측면에 있는 그물(400)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어군은 상기 집어등(200)을 따라 어선의 앞쪽으로부터 어선의 측면에 있는 그물(400)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물(400) 속으로 유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모터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바(150)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감지부(180) 방향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제2감지부(180)는 상기 제어부(1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바(15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40) 중 상기 제2감지부(180)가 장착되어 있는 타측 끝단의 높이가 상기 제1감지부(170)가 장착되어 있는 일측 끝단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이송바(150)와 상기 프레임(120) 간의 각도는 크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상기 집어등 이송장치(1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이송바(150)가 상기 이송부(140)의 타측 끝단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송바(150)는 어선(300)의 뒷쪽을 향하게 된다. 상기 어선(300)의 뒷쪽 방향에는 조정실 및 기타 다양한 구조물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송바(150)와 상기 프레임(120) 간의 각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이송바(150)는 하늘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바(150)는 어선에 장착되어 있는 다른 구조물들과 접촉되지 않고 안전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집어등 이송장치 110: 본체부
120: 프레임 130: 지지부
140: 이송부 150: 이송바
160: 제어부 200: 집어등
300: 어선 400: 그물

Claims (3)

  1. 삭제
  2.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11)이 장착되어 있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130);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본체부(110)와 이격되어 있는 이송부(140);
    일단은 상기 회전축(111)에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집어등(2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바(150);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본체부(110) 또는 상기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지지봉(131)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부(140)의 일측 끝단의 높이는, 상기 이송부(140)의 타측 끝단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프레임(120)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이송부(140)는 경사지게 상기 지지부(130)에 장착되어 있는 집어등 이송장치.
  3. 삭제
KR1020160119813A 2016-09-20 2016-09-20 집어등 이송장치 KR10178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13A KR101781302B1 (ko) 2016-09-20 2016-09-20 집어등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13A KR101781302B1 (ko) 2016-09-20 2016-09-20 집어등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302B1 true KR101781302B1 (ko) 2017-09-26

Family

ID=6003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13A KR101781302B1 (ko) 2016-09-20 2016-09-20 집어등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3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69B1 (ko) 2009-12-03 2010-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각도조절 가능한 집어용 조명장치
KR101142144B1 (ko) 2005-07-04 2012-05-10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집어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44B1 (ko) 2005-07-04 2012-05-10 가부시키가이샤 도와 덴키 세이사쿠쇼 집어등 장치
KR100967869B1 (ko) 2009-12-03 2010-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각도조절 가능한 집어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7439A (en) Remote controlled decoy
KR101142144B1 (ko) 집어등 장치
KR101755199B1 (ko) 연근해 양식장 관리용 드론
US9961887B2 (en) Carp fishing device
CN105521975A (zh) 水下网衣清洗机器人
US9414581B1 (en) Pest deterr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781302B1 (ko) 집어등 이송장치
CN107249316B (zh) 自动水产养殖收获系统
CN102440212A (zh) 一种可自动巡塘的虾料投放装置及虾料投放方法
KR20120008305A (ko) 유해 조수 퇴치장치
CN113973764B (zh) 一种适用于海洋网箱养殖的智能投饵系统以及智能投饵装置
US2916868A (en) Nut windrower
CN205441982U (zh) 一种自动抓取排盘装置
CN204466611U (zh) 一种大水面养鱼饲料船
CN213306976U (zh) 一种海马养殖用捕捞装置
US1642582A (en) Fishing and hunting otter
KR101019809B1 (ko) 낚시 장치
CN210054292U (zh) 一种鱼类养殖用的饲料投放装置
CN203860241U (zh) 一种水产养殖投料装置
CN114044154A (zh) 一种基于云技术的远程遥控无人放牧器
CN109515713B (zh) 一种畜牧养殖场投食、驱赶一体无人机
CN107667906B (zh) 一种基于图像识别自动集蛋的小型智能化鸡舍
CN201328315Y (zh) 海面自动钓捕(渔)机的钓钩控制装置
US20240126145A1 (en) Underwater camera system controller for aquaculture behavior observation
JP7103558B2 (ja) 養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