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934B1 - 등산 낙상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등산 낙상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934B1
KR101779934B1 KR1020150139429A KR20150139429A KR101779934B1 KR 101779934 B1 KR101779934 B1 KR 101779934B1 KR 1020150139429 A KR1020150139429 A KR 1020150139429A KR 20150139429 A KR20150139429 A KR 20150139429A KR 101779934 B1 KR101779934 B1 KR 10177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terminal
fa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056A (ko
Inventor
허경용
이임건
손경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9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의 등산 낙상 감지장치는 구조기관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감지부와, 상기 위치 정보 감지부가 미동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와,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상기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건강상태 감지센서와,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산 낙상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FALLDOWN}
실시예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등산 낙상 감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 등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등산객의 증가로 인한 등산 낙상 사고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등산 도중 낙상을 당했을 때, 등산객은 자신의 위치파악이 힘들어, 구조기관에 구조를 요청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낙상과 같은 큰 사고를 당했을 때, 사고자는 구조신호를 보낼 수 없을 정도로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며, 특히 인적이 드문 산속에서 이러한 사고가 일어났을 때 신속한 구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산속과 같은 곳에서는 휴대폰을 통해서 구조기관에 연락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연락이 된다 하더라도 위치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등산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016610 B1
본 발명은 등산객들의 안전을 위한 등산 낙상 감지장치, 등산 낙상 감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는 구조기관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감지부와, 상기 위치 정보 감지부가 미동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와,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건강상태 감지센서와,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등산 낙상 감지장치에서 상기 위치정보 감지부는 GPS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는 GPS 수신이 안될 때,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각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GPS 수신이 안될 때, 상기 카메라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영상을 수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낙상 감지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낙상 감지센서는 측정된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낙상 감지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낙상 여부와 낙상 정도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낙상으로 판단될 때,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낙상 전후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낙상으로 판단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구조신호와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건강상태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구조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벨트부와, 상기 단말기 수납부에 배치된 단말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는 낙상시 충격량,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위치정보와 함께 알릴 수 있어, 이후 사용자 구조시 필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된 사용자 정보(예컨대, 위치, 사용자 상태, 낙상 정도 등)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에 따른 필요한 약품, 구조장비 등을 준비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다.
즉, 구조기관은 실시예의 등산 낙상 감지장치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의 상태정보 및 낙상에 강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등산 낙상감지장치는 GPS 수신 외 지역과 같은 곳에서도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위험 상황시 신속한 구조를 도울 수 있다. 이때,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구조기관은 사용자의 위치를 좀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전후를 촬영한 동영상도 함께 전송하여, 구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구조기관이 낙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등산 낙상 감지장치는 위치정보 감지부를 통해 위치파악이 안될 때에도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구조기관이 좀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카메라로 낙상 전후의 동영상을 전송하여, 상황의 심각성,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감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는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감지센서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를 이용한 시스템은 단말기(200)와 감지센서(100)를 포함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10)와, 서버(20)와, 구조기관서버(30)를 포함한다
먼저,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단말기(200)와 감지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단말기(200)와 감지센서(100)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단말기(200)와 감지센서(100)가 결합한 일체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100)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부착하여, 이를 등산 낙상 감지장치로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동 단말기(200)가 해당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등산 낙상감지장치(10)는 단말기(200) 또는/및 감지센서(1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지속적으로 서버(20)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여, 이후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할 ‹š, 사용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등산 낙상감지장치(10)는 감지센서(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등산 도중에 낙상이나 건강에 문제가 있어, 구조가 필요한 상황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낙상시 충격량,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위치정보와 함께 알릴 수 있어, 이후 사용자 구조시 필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는 등산 낙상감지장치(10)로부터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상태, 위치 정보 등을 전달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위치 정보, 동기화되는 상황을 분석하여, 구조가 필요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고, 구조가 필요한 상황임이 인식되었을 때, 이를 구조기관서버(30)로 알릴 수 있다. 이때, 서버(20)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함께 알려, 이후 구조기관이 사용자를 구조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는 사용자의 위치가 등산을 개시한 후, 기 설정된 일정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로부터 동기화되는 정보가 없을 때, 이를 구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구조기관으로 사용자의 구조신호와 함께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구조기관(30)은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로부터 직접 구조신호를 전달받거나, 서버(20)로부터 구조신호를 전달받고, 이때 함께 전달된 사용자 정보(예컨대, 위치, 사용자 상태, 낙상 정도 등)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사용자의 건상 상태 등에 따른 필요한 약품, 구조장비 등을 준비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다.
즉, 구조기관(30)은 실시예의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사용자의 상태정보 및 낙상에 강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다.
이하 등산 낙상감지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감지장치(10)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등산 낙상 감지장치(1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보면, 등산 낙상감지장치(10)는, 단말기(200)와 감지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기(200)는 산에서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와 함께 사용자 건강 상태 및 낙상 상황 등을 서버(20) 또는/및 구조기관(30)에 알릴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통화 목적으로 사용되나,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등산 중 일 때,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등산 모드로 설정되고, 이때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단말기(2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40)와, 위치정보 감지부(220)와,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와, 저장부(250)와, 제어부(260)와, 카메라(270)와,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통신부(240)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4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은,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40)는 위치정보, 사용자의 상태 및 낙상 정도 등 구조에 필요한 구조정보들을 서버(2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0)는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한 긴급상황일 때, 구조정보를 구조 신호와 함께 구조기관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감지부(220)는 단말기(200)의 위치(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가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 감지부(220)는 단밀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산 속은 GPS 수신이 어려운 지역이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굴, 터널, 숲이 우거진 지역 등은 GPS 수신이 어려워 위치정보 감지부(220) 만으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특히, 사용자가 절벽 등에서 낙상을 당한 경우, 사용자가 낙상을 당한 지역은 절벽, 나무 등으로 둘러싸여 GPS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위치정보 감지부(220)에서 단말기(200) 위치파악이 어려울 때, 감지센서(100)에서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유추할 수 있는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어서,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감지센서(100)로부터 사용자의 가속도 정보를 전달 받고, 기울기 정보,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등산하는 지역의 등산 지도정보와, 감지센서(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마지막으로 파악된 위치정보 감지부(220)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유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단말기(200)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파악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수신이 어려운 경우에도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지도 상에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된 후 각속도 정보와 기울기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고, 가속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210)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구조기관 등에 알릴 수 있다. 특히,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산에서 위치파악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는 기울기 정보까지 함께 포함하여 위치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등산 낙상감지장치(10)는 GPS 수신 외 지역과 같은 곳에서도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위험 상황시 신속한 구조를 도울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별도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26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센서(100) 정보를 통해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 위치의 정밀한 파악은 어려울 수 있고, 사용자나 낙상 등에 사고를 당한 경우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단말기(200) 또는 감지센서(100)에 카메라(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단말기(200)에 카메라(2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카메라(27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27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4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7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기(200)가 등산모드일 때, 카메라(270)는 일정 시간 주기에 따라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위치정보 감지부(220)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없을 때, 카메라(270)는 일정시간주기에 따라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에서 수집된 정보는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270)에서 촬영된 사진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구조기관은 사용자의 위치를 좀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카메라(270)는 제어부(260)로부터 낙상임을 감지할 때,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낙상 전후를 촬영한 동영상은 구조 신호와 함께 전송되어 구조기관이 낙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260)(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60)는 감지센서(10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구조에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50)는 사용자의 혈액형, 혈압, 기타 질병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사용자가 등산할 산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긴급상황시,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정보를 함께 전달하여, 좀더 안전하게 사용자를 구조하도록 도울 수 있다.
정리하면,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위치정보 감지부(220)를 통해 위치파악이 안될 때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200)는 카메라(270)를 통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함께 전송하여, 구조기관이 좀더 정확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카메라(270)로 낙상 전후의 동영상을 전송하여, 상황의 심각성,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2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250)에 저장되고, 제어부(2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100)는 낙상 감지센서(100), 건강상태 감지센서(120), 단말기 수납부(140) 및 긴급상황 알림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낙상 감지센서(100)는 사용자가 등산 중 낙상을 당하는 경우,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들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낙상 감지센서(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낙상 감지센서(100)는 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가속도, 각속도 및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측정된 정보를 통해 직접 또는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단말기(200)로 정보를 전송하여, 단말기(200)의 제어부(260)가 낙상 여부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가속도의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이를 낙상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기울기 값이 140도 이상으로 변하는 경우, 이를 낙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각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변하는 경우 이를 낙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3가지 정보를 종합 고려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변화량 등을 통해 낙상의 충격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조기관에 구조신호를 보낼 때, 낙상의 충격량을 함께 전송하여, 사태의 심각성을 구조기관에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하였듯이, 낙상 감지센서(100)에서 측정된 정보는 이후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에서 사용자의 위치파악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건강상태 감지센서(120)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상태 감지센서(120)는 사용자의 맥박, 혈압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기관에 구조신호를 보낼 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함께 전송하여, 사태의 심각성을 구조기관에서 파악하고 필요한 장비들을 먼저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 감지센서(120)는 사용자가 급작스러운 발작이나 호흡 곤란 등 구조가 필요할 때를 예측하여,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위치정보 감지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없을 때,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서도 구조기관에 구조신호를 보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20)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구조신호를 구조기관에 보낼 수 있다. 다만, 서버(20)가 보낸 사용자 위치정보나 구조신호를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감지센서(100)에는 별도의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긴급상황 알림수단(130)으로 신호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탄은 사용자가 감지센서(100)에서 직접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정신을 잃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감지센서(100)는 이를 파악하고 직접 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의 제어부(260)는 기울기 센서를 통해 신호탄의 발사방향이 하늘을 향했는지 파악하고, 카메라(270)를 통해 별도의 방해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신호탄을 직접 발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하였듯이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감지센서(100)에 단말기(20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센서(100)에는 단말기(200)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 수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감지센서(100)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00)는 암 밴드 또는 밸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감지센서(100)가 암 밴드 형태를 가질 때,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어깨 측에 배치되어 카메라(270) 촬영이 용이할 수 있고, 혈압 또는 맥박 측정에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암 밴드 형태를 갖는 감지센서(100)는, 밴드부(145), 단말기 수납부(140) 및 단말기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 연결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등산 낙상 감지장치(10)의 구동 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4는 실시예에 따른 등산 낙상 감지장치(10)의 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보면, 먼저,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101)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위치정보 감지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정보 감지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파악이 어려운 경우,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카메라(270)를 통해 지속적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위치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사용자가 등산 중 낙상을 당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2) 낙상 감지센서(100)는 사용자의 가속도, 기울기, 각속도 등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측정 값이 변하는 경우 이를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측정 정보를 통해 낙상의 정도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낙상 전후 카메라(270)를 통해 동영상을 수집하여, 구조기관에 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위험하여 구조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S103)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이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낙상을 당하거나 건강상태에 이상이 있어 구조가 필요한 경우,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이를 구조기관에 알릴 수 있다. (S104) 이때,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구조에 필요한 정보들을 함께 알려 신속하고 안전한 구조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를 보면,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먼저 무선 통신을 통해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는지 파악한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구조신호와 함께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낙상 전후 카메라(270)로 촬영된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조신호와 함께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구조신호와 함께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신호와 함께,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구조기관은 이러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무선 통신이 어려울 때, 등산 낙상 감지장치(10)는 음향 모듈을 통해 주위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알림수단(130)을 이용하여 주위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탄을 쏘아 긴급 상황인 점과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구조기관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와,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감지부와, 상기 위치 정보 감지부가 미동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와,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지하는 건강상태 감지센서와, 상기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수납부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보조 감지부는, 상기 위치정보 감지부에서 GPS 수신이 안될 때,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각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및 가속도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산하는 지역의 등산 지도 정보와, 상기 위치정보 감지부에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GPS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예상 위치를 상기 등산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하고,
    상기 GPS 수신이 안될 때, 상기 카메라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낙상으로 판단될 때,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낙상 전후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건강상태 감지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낙상으로 판단될 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구조신호와, 상기 예상 위치가 표시된 상기 등산 지도 정보와, 상기 주기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촬영된 영상과, 상기 낙상 전후의 동영상과, 상기 건강상태 정보를 상기 구조기관에 송신하고,
    신호탄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울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신호탄의 발사방향이 하늘을 향하였는지 판단한 후 상기 신호탄을 발사하도록 제어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센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센서는 측정된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낙상 감지센서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낙상 여부와 낙상 정도를 산출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벨트부와, 상기 단말기 수납부에 배치된 단말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등산 낙상 감지장치.
KR1020150139429A 2015-10-04 2015-10-04 등산 낙상 감지장치 KR10177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29A KR101779934B1 (ko) 2015-10-04 2015-10-04 등산 낙상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29A KR101779934B1 (ko) 2015-10-04 2015-10-04 등산 낙상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56A KR20170040056A (ko) 2017-04-12
KR101779934B1 true KR101779934B1 (ko) 2017-09-19

Family

ID=5858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429A KR101779934B1 (ko) 2015-10-04 2015-10-04 등산 낙상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5202B2 (ja) * 2017-07-24 2022-02-10 秀 菅野 歩行補助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87B1 (ko) * 2010-09-30 2012-03-20 팅크웨어(주)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10B1 (ko)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사고 대비를 위한 공기주입형 스마트웨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87B1 (ko) * 2010-09-30 2012-03-20 팅크웨어(주) 이동통신 단말기,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056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73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falls
US20040021569A1 (en) Personnel and resource tracking method and system for enclosed spaces
EP3084656B1 (en) Method for responding to a detected fal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US8296063B1 (en)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having video and IMU data synchronization
US20090128342A1 (en) Personal sporting activity monitor
CA2429573A1 (en) Personnel and resource tracking method and system for enclosed spaces
KR101145543B1 (ko)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344035A (zh) 一种人体健康监控系统
CN110047253A (zh) 一种发送救援请求的方法及装置
KR20160046690A (ko) 타겟이 휴대하는 휴대용 추적 장치 및 휴대용 추적 장치 동작 방법
WO2005040847A2 (en) “a portable device for monitoring movement of an individual, and a system incorporating the portable device”
KR20160123642A (ko) 낙상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779934B1 (ko) 등산 낙상 감지장치
KR101453248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시스템
KR101675529B1 (ko) 생체 정보와 cctv를 이용한 이상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98931B1 (ko) 전자발찌 착용자에 대한 범죄예방 감시방법
CN111310524A (zh) 多视频关联方法及装置
JP5697402B2 (ja) 携帯端末、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を用いた健康管理方法
KR101575032B1 (ko) Ubi-gis 기술 기반의 지하구조물 건설현장 관제시스템
Singh et al. Implementation of safety alert system for elderly people using multi-sensors
KR102474684B1 (ko) 재난 구조 장치
JPWO2018116487A1 (ja) 追跡支援装置、端末、追跡支援システム、追跡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89589A (ja) カメラ装置、センサデータ取得方法、センサデータ取得プログラム、及び保存システム
US20240081745A1 (en) Driver support system, driver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driver support program
JP6154563B1 (ja) 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