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833B1 -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833B1
KR101779833B1 KR1020150045527A KR20150045527A KR101779833B1 KR 101779833 B1 KR101779833 B1 KR 101779833B1 KR 1020150045527 A KR1020150045527 A KR 1020150045527A KR 20150045527 A KR20150045527 A KR 20150045527A KR 101779833 B1 KR101779833 B1 KR 10177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management apparatus
ch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625A (ko
Inventor
이범석
박은혜
차수정
김은희
박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4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06Q50/24
    • G06F19/3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MEDICAL RECORD MANAGEMENT, MEDICAL RECORD MANAGEM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 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진료기록차트에 입력되는 항목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동일한 항목에 대하여 중복 입력을 최소화 하고 간호계획서의 작성항목에 자동으로 내용을 입력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기관에서 환자 진료 시 각종 의료 정보 생성 및 진료 기록 작성을 하는 경우에, 생성된 의료 정보 및 진료 기록간에는 연관성 및 종속성이 존재하며 이는 환자 진료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 및 기록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진료 기록의 정합성, 관계성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잘못된 정보가 전달 되고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환자에게 적절한 진료를 못하거나 의료사고를 발생 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0661호는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의료 기관과 개인의 통신 장비 간에 의무 기록을 상호 제공하고 의료 기관 및 유관 기관이 연계되어 개개인의 진료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개개인이 자신의 병력을 관리하고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며 필요한 경우 타 의료기관에 자신의 의무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4938호는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과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개인의 검사, 처방기록 등의 진료정보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요청하여 자신의 의료 정보를 해당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 받은 진료 정보를 이용자의 책임하에 관리, 전달이 용이하게 하고 다양한 부가 의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066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9493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는 항목들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이미 다른 진료기록차트에서 입력된 항목인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값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중복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 기록간의 정합성을 보장하여 진료 기록간의 오류를 줄이고 잘못된 정보의 생성을 예방할 수 있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 기록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케어 플랜, Care Plan)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항목 및 상기 제2 항목이 연관된 경우에는 동일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고 해당 항목과 연관된 서브-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의 조회, 작성, 삭제 및 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care plan)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호 계획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간호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작성항목이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을 상기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아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care plan)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실시예들 중에서,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기능 및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는 항목들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이미 다른 진료기록차트에서 입력된 항목인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값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중복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의료 기록간의 정합성을 보장하여 진료 기록간의 오류를 줄이고 잘못된 정보의 생성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은 의료 기록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케어 플랜, Care Plan)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료기록차트의 항목에 자동으로 값이 입력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는 간호계획서의 예시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 데이터베이스 서버(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와 연결되어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로부터 특정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은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와 연동하여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는 진료기록차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환자 정보, 청구 정보, 진료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 각각은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될 수 있는 항목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아이템 마스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에 대하여 각각의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는 항목, 카테고리를 저장하는 진료기록차트 템플릿 마스터, 진료기록차트 및 간호 계획서간은 연관관계를 저장하는 간호 계획서 트리거 마스터 및 환자 정보, 의료 정보 및 진료 기록 또는 의료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성되는 기록을 저장하는 의료 데이터 저장소에 해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연관성 등록부(210),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 연관성 확인부(230), 자동 입력부(240),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고,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정보를 입력 받고 특정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 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이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서로 다른 저장 공간에 독립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진료기록차트1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A 및 진료기록차트2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A는 서로 다른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아이템 마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은 환자 진료 시 작성되는 차트에 해당하며 주기적으로 작성되는 차트 또는 특정 상황에서 작성되는 차트가 포함될 수 있고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는 항목은 환자 진료 시 작성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혈압, 산소포화도, 온도, 통증이 있는 신체 부위 또는 통증의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등록부(210)는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항목들 중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목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항목들 간의 연관성을 등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기록차트1에 포함되어 있는 {성별}과 진료기록차트2에 포함되어 있는 {gender}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목으로서 해당 항목에 대한 값은 남자 또는 여자로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진료기록차트1의 {성별}과 진료기록차트2의 {gender} 간에 연관성을 등록할 수 있고,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등록된 연관성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등록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항목들이 서로 동일한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항목들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기록차트1의 {성별}과 진료기록차트2의 {gender}는 동일한 항목이므로 각각의 식별자는 {성별: abc0123} 및 {gender: abc0123}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등록 받을 수 있고, 서브-항목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통하여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브-항목은 특정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특정 항목에 더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항목으로서, 다음 진료 행위에 대한 항목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피부}에 대한 진료기록 작성 시 {뾰루지/붉음기}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을 하게 되면 {피부}에 대한 추가 확인이 필요하므로 추가 확인 사항에 해당할 수 있는 {뾰루지/붉음기의 위치} 또는 {뾰루지 붉음기의 정도}가 서브-항목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서브-항목 자동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서브-항목 자동생성부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해당 항목과 연관된 서브-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항목 자동생성부는 서브-항목의 생성과 함께 서브-항목을 작성 해야 하는 주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항목으로 {뾰루지/붉음기의 정도}의 생성과 함께 해당 서브-항목을 수행하여야 하는 주체를 {뽀루지/붉음기의 정도 - 간호 부장}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항목, 서브 카테고리 및 카테고리의 형식에 대한 정의 및 항목, 서브 카테고리, 카테고리 및 진료기록차트들 간의 연관성을 입력 받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은 연관성에 대한 정보를 항목, 카테고리 또는 진료기록차트별로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진료기록차트 템플릿 마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항목은 서브 카테고리에 속하고, 서브 카테고리는 카테고리에 속하게 되어 복수의 카테고리들 각각의 구성으로 하나의 진료기록차트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기록차트 - admission assessment}, {카테고리 - transport information, vital sign, hearing}, {vital sign의 서브 카테고리 - blood pressure, O2 sat, radial pulse, temperature} 및 {blood pressure의 항목 - systolic BP, diastolic BP item}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진료기록차트 템플릿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진료기록차트의 종류의 선택, 해당 진료기록차트를 구성할 카테고리의 선택, 각각의 카테고리에 포함될 서브 카테고리의 선택 및 각각의 서브 카테고리에 포함될 항목의 선택을 통하여 진료기록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조회, 작성, 삭제 및 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 권한은 사용자에 의하여 진료기록차트의 조회, 작성, 삭제 및 관리 각각에 대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경우에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제1 진료기록차트에 설정되어 있는 접근 권한을 해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관성 확인부(230)는 연관성 등록부(210)를 통하여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아이템 마스터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확인부(230)는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의 식별자를 기초로 제1 항목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제2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자동 입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자동 입력부(240)는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항목에 대하여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의료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되고, 자동 입력부(240)는 제2 항목에 대한 값을 의료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수신하여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기록차트1의 항목A와 진료기록차트2의 항목a가 서로 연관되고 항목a가 {X}를 값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진료기록차트1의 항목A에도 {X}가 입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입력부(2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기적으로 환자를 진료하여 작성되어야 하는 항목이거나 또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는 항목에 대하여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제1 항목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압 및 체온 항목의 값에 대한 유효성 기준이 사용자에 의하여 3일 이내로 설정되고 진료기록차트1의 혈압 및 체온 항목과 연관된 항목이 진료기록차트2에 있는 경우에는, 진료기록차트2에 있는 혈압 및 체온 항목이 작성된 시점을 기초로 현재로부터 3일 이내에 작성된 것이라면 진료기록차트2에 있는 해당 항목의 값을 진료기록차트1의 해당 항목의 값에 입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항목에 대하여 자동 입력부(240)를 통하여 자동으로 입력된 값이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1 항목과 연관된 제2 항목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제1 항목의 값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제1 항목에 대한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는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계획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호계획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 진료를 진행하기 위한 계획에 해당하고, 간호계획의 범위 및 문제, 목표, 치료 방법 및 치료 수행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료기록차트와 간호 계획서 간의 연관성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아 간호 계획서 트리거 마스터에 저장될 수 있고,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는 간호 계획서 트리거 마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진료기록차트 및 간호 계획서 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특정 진료기록차트에 입력되는 값을 통하여 간호 계획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는 간호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작성항목이 간호 계획서 트리거 마스터를 통하여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됨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이 간호 계획서의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진료기록차트의 특정 항목에 특정 값이 입력된 경우에 간호계획서의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할 작성내용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고, 특정 항목과 간호계획서의 특정 작성항목을 연관시켜 놓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특정 작성항목에 대한 작성 내용 및 연관성에 대한 정보는 데이버테이스 서버(120)에 저장될 수 있다. 간호계획서의 생성에 대한 예시는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연관성 등록부(210),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 연관성 확인부(230), 자동 입력부(240) 및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들과 버스(320)를 통하여 통신하는 프로세서 또는 CPU(3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다른 구성요소들과 의료 정보 관리를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3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통해 의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메모리(330) 및 저장 장치(340)를 포함하고, 메모리(330)는 롬(Read Only Memory, ROM)(331) 및 램(Random Access Memory, RAM)(3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모리(330)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컴퓨터를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해당하고, 저장 장치(340)는 영구적으로 컴퓨터를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해당한다. 메모리(330) 및 저장 장치(340) 중 적어도 하나는 의료 정보 관리를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한다.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네트워크(130)와 통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0)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와 네트워크(130)간의 정보, 데이터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와 연결되기 때문에,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에 의하여 사용될 진료기록차트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데이터 및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상품 바코드 스캔을 위한 바코드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포인팅 장치 등)을 통해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 또는 네트워크에 정보(예를 들어, 트랜잭션)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입력하거나 등록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를 통하여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를 통해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진료기록차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시각적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하나의 영상 출력 장치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의료 정보 관리 장치(110)의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간의 연관성을 등록 받는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등록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항목에 대하여는 동일한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420).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은 해당 진료기록차트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접근을 요청한 사용자가 해당 진료기록차트에 접근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관성 확인부(230)는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를 통하여 접근 요청이 수신된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제1 항목과 연관된 제2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제2 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항목의 식별자를 기초로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제2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동 입력부(240)는 연관성 확인부(230)를 통하여 제1 항목과 연관된 제2 항목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2 항목의 값을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단계 S440). 일 실시예에서, 자동 입력부(240)는 제2 항목의 값의 유효성을 기초로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관성 확인부(230)를 통하여 제1 항목과 연관된 제2 항목의 없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제1 항목의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단계 S450).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료기록차트의 항목에 자동으로 값이 입력되는 경우의 예시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바이탈 사인(vital sign)에 대한 진료기록차트로서 항목 B/P, Temperature 및 O2 Saturation 각각에 대하여 {B/P, 120/90}, {Temperature, 100} 및 {O2 Saturation, 90}에 해당하는 값이 입력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데일리(daily) 진료기록차트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자동으로 값이 입력된 경우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관성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바이탈 사인 진료기록차트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일간 진료기록차트의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연관성을 등록 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한다. 즉, 바이탈 사인 진료기록차트와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대하여 {B/P, Blood Pressure}, {Temperature, Temp} 및 {O2 Saturation, O2 Saturation %}에 해당하는 연관성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저장한다.
진료기록차트 접근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연관성 확인부(230)는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된 항목이 있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통하여 확인한다. 즉, 연관성 확인부(230)는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복수의 항목들(예를 들어, Blood Pressure, Radial Pulse, Resp, Temp, O2 Saturation%, O2, O2 via) 각각에 대하여 연관된 항목이 바이탈 사인 진료기록차트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관성 확인부(230)를 통한 확인 결과,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Blood Pressure, Temp 및 O2 Saturation% 각각은 바이탈 사인 진료기록차트의 B/P, Temperature 및 O2 Saturation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에는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Blood Pressure, Temp 및 O2 Saturation% 항목의 값으로 바이탈 사인 진료기록차트의 B/P, Temperature 및 O2 Saturation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일리 진료기록차트의 Blood Pressure, Temp 및 O2 Saturation% 항목에 대한 값은 자동으로 {Blood Pressure, 120/90}, {Temp, 100} 및 {O2 Saturation%, 90}에 해당하는 값이 입력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 참조하면, 도 4a는 진료기록차트 정보의 Pain항 목에 {Can the resident verbalize/communicate pain?, Yes}가 입력되어 있고, Pain Evaluation 항목에 {Does the resident have a diagnosis or condition likely to cause pain?, 기록내용1}, {Is the resident on pain medication?, 기록내용2}, {Location of pain, Back Upper} 및 {Description/expression of pain, Dull}가 입력되어 있다.
도 6b는 Pain Risk 진료기록차트에 해당하고 Pain Risk 진료기록차트에 포함되어 있는 Pain 및 Pain Evaluation 항목은 도 4a의 진료기록차트 정보와 연관된 항목으로서, Pain Risk 진료기록차트의 Pain 및 Pain Evaluation 항목에 대한 값은 진료기록차트 정보의 해당 항목에 대한 값으로 자동 입력된다. 구체적인 방법은 도 3a 및 3b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는 간호계획서의 예시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데일리 진료기록차트로서 Hearing-Status 항목의 {Hearing adequate with Hearing aids : RT} 에 체크가 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간호계획서 트리거(Trigger)로서, 여기에서, 간호계획서 트리거는 진료기록차트와 간호 계획서와의 연관성이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정의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기록차트의 특정 항목이 작성되면 특정 항목과 연관된 간호 계획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b는 진료기록차트의 Status항목의 Hearing adequate with Hearing aids : RT에 체크가 되어 있는 경우에 간호계획서에 자동으로 입력할 작성내용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것으로서, 각각의 작성내용은 이하, 도 7c의 간호계획서에서 간호계획의 범위 및 문제, 목표, 치료 방법 및 치료 수행자에 해당하는 작성항목 각각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를 통하여 생성된 간호계획서로서, 간호 계획서 생성부(250)는 진료기록차트의 Hearing-Status 항목의 Hearing adequate with Hearing aids : RT에 체크가 되어 있는 경우에 간호계획서 트리거를 통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을 기초로 간호계획서의 간호계획의 범위 및 문제, 목표, 치료 방법 및 치료 수행자를 각각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호계획서 트리거를 통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10: 의료 정보 관리 장치
120: 데이터베이스 서버 130: 네트워크
210: 연관성 등록부 220: 진료기록차트 접근부
230: 연관성 확인부 240: 자동 입력부
250: 간호계획서 생성부 260: 제어부

Claims (15)

  1. 의료정보관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고 해당 항목과 연관된 서브-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care plan)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호 계획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간호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작성항목이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을 상기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항목 및 상기 제2 항목이 연관된 경우에는 동일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의 조회, 작성, 삭제 및 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입력된 제1 항목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항목과 연관된 상기 제2 항목의 값은 변경되지 않고 상기 제1 항목의 값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은
    해당 진료기록차트의 조회, 작성, 삭제 및 관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
  12. 의료정보관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아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고 해당 항목과 연관된 서브-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care plan)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간호 계획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간호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작성항목이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을 상기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의료정보관리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각각은 진료기록차트마다 독립적임) 간의 연관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등록하는 기능;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제1 진료기록차트에 대한 접근을 요청 받는 기능;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진료기록차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항목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항목의 값으로 입력하는 기능;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값이 입력되고 해당 항목과 연관된 서브-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해당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입력되어 있는 값을 기초로 간호 계획서(care plan)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 간의 연관성을 등록하는 기능은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하여 서브-항목을 등록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간호 계획서를 생성하는 기능은 상기 의료정보관리 장치가 상기 간호 계획서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작성항목이 상기 제1 진료기록차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과 연관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기 정의된 작성내용을 상기 특정 작성항목에 입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50045527A 2014-10-24 2015-03-31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77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3,394 US20160117447A1 (en) 2014-10-24 2014-10-24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apparatus of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US14/523,394 2014-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625A KR20160048625A (ko) 2016-05-04
KR101779833B1 true KR101779833B1 (ko) 2017-09-19

Family

ID=5579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27A KR101779833B1 (ko) 2014-10-24 2015-03-31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17447A1 (ko)
KR (1) KR101779833B1 (ko)
CN (1) CN1055504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028A (ko) 2022-03-21 2023-10-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기반의 허들 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381A (zh) * 2021-07-28 2021-11-05 上海德衡数据科技有限公司 基于智慧医疗的门诊信息登记方法及系统
KR20240082516A (ko) * 2022-12-02 2024-06-11 (주)인드림헬스케어 환자 개인별 의료정보 제공설정을 통한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442A (ja) * 2003-11-28 2005-06-23 Hitachi Ltd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医療情報管理方法、および医療情報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579B1 (ko) * 2003-07-14 2005-12-22 이지케어텍(주) 온라인 상에서의 의무기록서식 관리 방법
CN101464927B (zh) * 2008-07-11 2013-05-08 理康互联科技(北京)有限公司 医疗数据传输处理系统和方法
KR101380459B1 (ko) * 2012-02-28 2014-04-08 주식회사 유비케어 비급여 코드 표준화 장치 및 방법
KR101462635B1 (ko) * 2012-10-24 2014-11-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간호계획 수립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442A (ja) * 2003-11-28 2005-06-23 Hitachi Ltd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医療情報管理方法、および医療情報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7028A (ko) 2022-03-21 2023-10-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기반의 허들 정보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40031279A (ko) 2022-03-21 2024-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선 순위별로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50491B (zh) 2018-06-08
KR20160048625A (ko) 2016-05-04
CN105550491A (zh) 2016-05-04
US20160117447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538B1 (en) Customizable real-time electronic whiteboard system
CN105678100B (zh) 健康档案浏览系统
US201800820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CN109543863A (zh) 一种就医任务管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US10777312B2 (en) Dynamic critical access override for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es
Cramon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matic: a clinical trial management system for pragmatic multi-centre trials, optimised for electronic data capture and patient-reported outcomes
JP2020024511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190354721A1 (en) Techniques For Limiting Risks In Electronically Communicating Patient Information
KR101779833B1 (ko) 의료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의료 정보 관리 장치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eng et al. The impact of long-term care policy on the percentage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cared for by family members in China: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US201500738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atient data and patient status notifications
Wei et al. Private ownership of primary care providers associated with patient perceived quality of care: a comparative cross-sectional survey in three big Chinese cities
US20200211685A1 (en) Universal medical charting
CN109565503A (zh) 用于基于患者情境,用户角色,当前工作流程和显示接近度来优化用户亲身参与的系统和方法
JP2020042864A (ja) オンデマンドリアルタイム患者固有データ解析計算プラットフォーム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Van Orne Care coordination for children with medical complexity and caregiver empowerment in the process: A literature review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58969A1 (en) Indicator for probable inheritance of genetic disease
Arakawa et al. Construction and usabilit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database in rural north‐eastern Thailand
Abd-Ali et al. Web based e-hospital management system
US20210125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on of Implant Procedures
US2018005296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of promoting patient compliance with one or more recommended treatments or screening regimens
US20160188804A1 (en) Ambulatory manager
JP2023503393A (ja) 健康管理方法、装置と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装置
US10623380B1 (en) Secure transfer of medical records to third-part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