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708B1 -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708B1
KR101779708B1 KR1020160044511A KR20160044511A KR101779708B1 KR 101779708 B1 KR101779708 B1 KR 101779708B1 KR 1020160044511 A KR1020160044511 A KR 1020160044511A KR 20160044511 A KR20160044511 A KR 20160044511A KR 101779708 B1 KR101779708 B1 KR 10177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equation
dimens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김은수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13/00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04N13/0011
    • H04N13/0025
    • H04N13/04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획득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왜곡 없는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로 보정하는 보정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3차원 물체 공간에 대한 사투영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기준 바닥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픽업 및 디스플레이간의 광축의 차이 보정을 통하여, 요소영상 생성을 위한 깊이가 보정된 3차원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립하여 서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Oblique projection view obtain and compensation method for table top 3D display }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 사투영 시점(Oblique projection view) 영상 획득 및 보정 기법을 통하여,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3차원 사투영 시점 영상을 제공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집적영상 기반의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양안시차를 이용한 방법이 아닌 실제로 공간상에 포인트를 구성하여 3차원 영상을 만드는 기술로 어지러움과 피로도 등의 휴먼팩터 문제가 없는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의 표현이 가능한 기술로써, 일반적인 집적영상 기반의 3D 디스플레이는 시역이 넓지 않아 정면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시청이 가능하다.
최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출원인의 출원번호 10-2015-0059427호의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집적영상 기반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방법에서는 테이블 위에 놓인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렌즈 어레이와 프리즘 어레이를 적층하고 이에 맞게 영상을 획득, 생성 하고 디스플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직립하는 영상을 구현 하는 것이며, 상기 영상은 물체에 대한 사투영 시점(Oblique projection view)의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통해 요소영상 어레이(EIA: Elemental image array)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각 요소영상이 주시역(Main viewing zone)을 통해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부시역(Sub viewing zone)을 통해 복원되도록 구성하여 시역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직립한 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각 요소영상이 해당하는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25784호의 입체영상표시장치에 의하면, 2D 모드에서 2D 영상을 표시하고, 3D 모드에서 멀티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2D 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발생한 빛을 통과시키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발생한 빛을 부분적으로 통과시키는 3D 필터; 상기 3D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시청자의 수 및 시청자의 위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청자의 수에 따른 뷰어의 수 신호 및 상기 시청자의 위치에 따른 뷰어의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뷰 신호 생성부; 상기 2D 모드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뷰어의 수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가변하여 멀티뷰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멀티뷰 영상 변환부; 및 상기 3D 모드에서 상기 뷰어의 수 및 뷰어의 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3D 필터를 제어하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3D 필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19244호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각도 조절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방향 및 높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 모서리와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후면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그 높이가 변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 탑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한쪽 방향에서만 볼 수 있고, 동시에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이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테이블탑형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는 직시형 3D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물체의 측면부의 영상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체의 측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측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기울어져 위치해 있어야 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는 아래에 바로 놓여있고 이에 수직한 디스플레이 광축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픽업과 디스플레이 간에 광축의 차이가 생기고 이를 보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탑 형태의 3D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투영 시점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의 광축과 디스플레이의 광축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바닥면이라고 해도 카메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진다. 따라서 직접 픽업한 영상을 사용하게 되면 영상이 기울어져 복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영상의 픽업과 디스플레이간의 광축 차이를 보정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획득 영상의 깊이 정보를 보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3차원 물체 및 기준 공간에 대한 사투영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픽업 및 디스플레이간의 광축의 차이 보정을 통하여, 요소영상 생성을 위한 깊이가 보정된 3차원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립하여 서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3차원 물체 공간에 대한 사투영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기준 바닥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픽업 및 디스플레이간의 광축의 차이 보정을 통하여, 요소영상 생성을 위한 깊이가 보정된 3차원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립하여 서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광선 추적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픽업과 디스플레이의 기하학 구조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의 획득 영상의 축변환 및 깊이정보 보정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b) 및 도 4(d)의 붉은 선에 대한 깊이정보, 보정된 깊이정보,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부시역에 의해 보정된 깊이정보를 나타내는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역을 통한 집적영상 복원시 복원 영상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실시도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획득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왜곡 없는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로 보정하는 보정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획득단계는 3차원 물체 및 기준 공간에 대한 사투영 3D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획득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픽업 및 디스플레이의 광축 차이를 통해 보정하여, 요소영상 생성을 위한 깊이가 보정된 사투영 3D 영상 정보인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립하여 서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광선 추적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픽업과 디스플레이의 기하학 구조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의 획득 영상의 축변환 및 깊이정보 보정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b) 및 도 4(d)의 붉은 선에 대한 깊이정보, 보정된 깊이정보,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부시역에 의해 보정된 깊이정보를 나타내는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역을 통한 집적영상 복원시 복원 영상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면 제안된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투영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상기 사투영 3차원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는 사투영 시점(Oblique projection view) 영상의 밝기 및 깊이 정보 획득하는 것이며, 둘째는 획득된 사투영 시점 영상을 축 변환하여 깊이 정보 보정하는 것이며, 셋째는 밝기 정보와 보정된 깊이 정보를 이용한 요소영상 생성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 및 보정하는 방법은,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왜곡 없는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로 보정하는 것이다.
상기 보정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통해 요소영상을 생성하여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로 사투영 3차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점 AMB를 잇는 선에 대하여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픽업을 하고 같은 렌즈 어레이를 이용해 디스플레이를 하게 되면 Viewer1의 위치에서는 원래와 같은 모습의 AMB를 잇는 선이 복원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직시형의 구성에서는 3차원 정보에 대한 픽업 및 디스플레이에는 문제가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A'M'B' 세 점이 같은 광축 상에 있기 때문에, 즉, B' 뒤에 A'M'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영상을 획득 및 디스플레이 하는 것과,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에 광축도 겹쳐져 영상을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영상을 획득할 때에는 세 점 AMB를 잇는 선을 픽업하며, 이때 각 요소영상을 해당 요소렌즈의 주시역을 통해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요소렌즈의 Viewer2의 위치에서 부시역을 통해 사투영 3차원 영상을 보게 되면 선 A'M'B'이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부시역을 통해 사투영 3차원 영상을 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투영 3차원 영상의 표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카메라의 광축과 디스플레이의 광축 차이를 통해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직시형 3D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물체의 측면부의 영상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물체의 측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보정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그림 3은 임의의 물체에 대하여 3차원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하는 기하학 구조를 나타내며, 측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기울어져 위치해 있어 픽업 광축이 기울어진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는 아래에 바로 놓여있고 이에 수직한 디스플레이 광축을 갖게 되며, 픽업과 디스플레이 간에 광축 차이(θpd)가 생기고 광축의 차이로 인해 보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광축 차이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하는 부시역의 차수, 사용자가 보는 시역에 따라 결정된다.
도 4는 도 3과 같이 녹색의 바닥에 놓인 파란색 상자에 대해 제안된 방법에 의해 획득 된 영상의 픽업 및 디스플레이의 축 보정 및 깊이 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기준 영상의 밝기 정보이며, 도 4(b)는 기준 영상의 깊이 정보이며, 도 4(c)는 물체 영상의 밝기 정보이며, 도 4(d)는 물체 영상의 깊이정보이며, 도 4(e)는 보정 영상의 밝기 정보이며, 도 4(f)는 보정 영상의 깊이 정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y값의 증가에 따라 깊이 값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상기 y값이 증가함에 따라 픽업 카메라에서 물체가 가깝다는 것을 이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요소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면 복원되는 3차원 영상은 디스플레이 면에 수평하지 않고 기울어져 원하는 대로 복원이 되지 않게 됨으로써 보정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도 4(f)는 도 4(d)의 깊이정보에서 도 4(b)의 깊이정보를 각 픽셀별로 빼주어 깊이 정보를 보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는 도 4의 기준 깊이 정보(Dref)와 획득된 물체 깊이 정보(Dobj)의 붉은 선에 대한 깊이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도 5에서 도 5(a)는 도 4(b) 및 도 4(d)의 붉은 선에 대한 깊이정보이며, 도 5(b)는 보정된 깊이정보이며, 도 5(c)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부시역에 의해 보정된 깊이정보이다.
상기 도 4에서 기준 깊이 정보(Dref)와 획득된 물체 깊이 정보(Dobj)부터 각 물체의 상대 깊이 정보(D)를 추출할 수 있으며, 깊이정보의 추출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1
(1)
상기 도 5(b)는 식 (1)을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보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바닥 면(Plane A)과 상자의 윗면(Plane B)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평의 깊이 값을 갖는 것이다.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하고 복원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수평한 두 면이 복원된다.
상기 도 5(b)를 보면 상자의 옆면(Plane C)은 바닥에서 수직으로 존재하지만 깊이정보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사투영 3D 영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깊이 mg에 위치한 포인트 M(ym,zm)에 집적영상 기법을 통하여 n번째 렌즈를 통해 픽업을 하게 되면 yen의 위치에 요소영상이 픽업된다.
상기 픽업된 영상을 원래 n번째 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복원하게 되면 원래의 위치인 M(ym,zm)에 복원이 된다.
상기 요소영상을 각각 원래의 요소렌즈(n-th)에 이웃한 요소렌즈((n-1)-th, (n-2)-th)로 복원을 하게 되며, 포인트 M에 대하여 n번째 요소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픽업하게 되면 요소영상에서의 위치 yen은 식 (2), 식 (3)과 같다.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2
(2)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3
(3)
상기 요소영상의 yen포인트는 인접한 n-1번째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4), 식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4
(4)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5
(5)
따라서 식 (3)과 식 (5)로부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6
(6)
식 (2)의 mg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인 M을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복원하게 되면 복원되는 포인트가 (m+1)P만큼 이동된다.
상기 요소영상을 (n-l)번째 요소 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7)과 같다.
Figure 112016034904157-pat00007
(7)·
상기 mg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인 M을 n번째 요소렌즈로 픽업한 후 l만큼 떨어진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7)과 같이 복원된 포인트가 (m+1)lP만큼 이동되고, 이동된 포인터로부터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측면으로의 시역을 형성하여 측면에서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도 2의 포인트 A와 B에 대하여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하면 3g의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 A는 4P만큼 이동하고, 9g의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 B는 10P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렌즈 어레이에서 떨어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했을 때 이동되는 P도 증가하게 된다.
그림 5(b)와 같은 깊이 정보를 갖는 깊이 보정 정보인 그림 4(e), 4(f)를 사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하고,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부시역을 통해 생성된 요소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직시형 3D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물체의 측면부의 사투영 3D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투영 3D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획득된 사투영 3D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사투영 시점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통해 획득하여 보정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의 광축과 디스플레이의 광축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바닥면이라고 해도 카메라로부터의 거리가 달라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상투영 3D 영상의 카메라 광축과 디스플레이 광축 차이를 통해 사투영 3D 영상의 깊이 정보를 보정하는 것이다.
상기 사투영 3D 영상의 깊이 정보를 통해 보정을 위해서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밝기 및 기준 깊이 정보와, 표현하고자 하는 물체가 존재하는 3차원 공간에 대한 사투영 영상의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사투영 3D 영상의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깊이 정보와, 3차원 공간에 대한 깊이 정보의 차이를 통해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3D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보정한다.
상기 보정된 깊이 정보를 통하여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왜곡 없이 사투영 3D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3차원 사투영 영상의 획득을 위한 카메라의 광축과 디스플레이의 광축간의 차이의 보정을 통하여 3차원 공간의 사투영 영상에 대한 밝기 정보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하여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 직립하여 서 있는 사투영 영상을 제공해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단계; 획득된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를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왜곡 없는 사투영 3차원 영상 정보로 보정하는 보정단계; 로 이루어지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는 3차원 물체 및 기준 공간에 대한 사투영 3D 영상에 대한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며,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획득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픽업 및 디스플레이의 광축 차이를 통해 보정하여, 요소영상 생성을 위한 깊이가 보정된 사투영 3D 영상 정보인 밝기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직립하여 서있게 되는 것이며,
    기준 깊이 정보(Dref)와 획득된 물체 깊이 정보(Dobj)부터 각 물체의 상대 깊이 정보(D)를 추출할 수 있으며, 깊이 정보의 추출은 하기 식 (1)과 같으며,
    식 (1)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4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하고 복원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수평한 두 면이 복원되며,
    상기 사투영 3D 영상은 임의의 깊이 mg에 위치한 포인트 M(ym,zm)에 집적영상 기법을 통하여 n번째 렌즈를 통해 픽업을 하게 되면 yen의 위치에 요소영상이 픽업되며,
    상기 픽업된 영상을 원래 n번째 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복원하게 되면 원래의 위치인 M(ym,zm)에 복원이 되며,
    상기 요소영상을 각각 원래의 요소렌즈(n-th)에 이웃한 요소렌즈((n-1)-th, (n-2)-th)로 복원을 하게 되며, 포인트 M에 대하여 n번째 요소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픽업하게 되면 요소영상에서의 위치 yen은 식 (2), 식 (3)과 같으며,
    식 (2)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5

    식 (3)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6

    상기 요소영상의 yen포인트는 인접한 n-1번째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4), 식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식 (4)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7

    식 (5)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8

    상기 식 (3)과 식 (5)로부터 하기 식 (6)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식 (6)
    Figure 112017037569585-pat00019

    식 (2)의 mg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인 M을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요소영상을 복원하게 되면 복원되는 포인트가 (m+1)P만큼 이동되며,
    상기 요소영상을 (n-l)번째 요소 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7)과 같으며,
    식 (7)
    Figure 112017037569585-pat00020

    상기 mg 거리에 위치한 포인트인 M을 n번째 요소렌즈로 픽업한 후 l만큼 떨어진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하게 되면, 식 (7)과 같이 복원된 포인트가 (m+1)lP만큼 이동되고, 이동된 포인터로부터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는 측면으로의 시역을 형성하여 측면에서 영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에서 떨어진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인접한 요소렌즈를 통해 복원했을 때 이동되는 P도 증가하게 되며,
    깊이 정보를 갖는 깊이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요소영상을 생성하고,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의 부시역을 통해 생성된 요소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복원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44511A 2016-04-12 2016-04-12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KR10177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11A KR101779708B1 (ko) 2016-04-12 2016-04-12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11A KR101779708B1 (ko) 2016-04-12 2016-04-12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708B1 true KR101779708B1 (ko) 2017-09-19

Family

ID=6003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11A KR101779708B1 (ko) 2016-04-12 2016-04-12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7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906A (ja) * 2005-05-20 2006-11-3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三次元位置測定装置及び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2906A (ja) * 2005-05-20 2006-11-30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三次元位置測定装置及びソフトウエア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0373B2 (ja) サブピクセルをレンダリングする映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8077964B2 (en) Two dimensional/three 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play device
US928231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917235B (zh)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KR100971730B1 (ko) 평행축 입체카메라
CN101371593A (zh) 纠正立体显示系统的方法
JP2005331844A (ja) 立体画像表示方法、立体画像撮像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30137000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5132828A1 (ja) 映像表示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
CN102972036B (zh) 重放装置、复眼摄像装置、重放方法及程序
JP2013065951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209949B (zh) 用于产生放大3d图像的方法和系统
CN102656892A (zh) 立体图像显示控制设备及其操作控制方法
US20170257614A1 (en) Three-dimensional auto-focus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thereof
US11019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3D like camera system in a handheld mobile wireless device
KR20150028474A (ko) 3차원 영상의 색상 보정방법
KR101779708B1 (ko)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WO2013038781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818848B1 (ko) 기준 영상 없이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투영 시점영상 획득 및 보정 방법
JP5088973B2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撮像方法
KR101794492B1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30404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768369B1 (ko)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18854B1 (ko) 테이블탑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자 추적 기반의 시역 확대 방법
KR101569787B1 (ko) 멀티 카메라에 의한 3d 동영상 정보 획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