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054B1 -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54B1
KR101779054B1 KR1020160166391A KR20160166391A KR101779054B1 KR 101779054 B1 KR101779054 B1 KR 101779054B1 KR 1020160166391 A KR1020160166391 A KR 1020160166391A KR 20160166391 A KR20160166391 A KR 20160166391A KR 101779054 B1 KR101779054 B1 KR 10177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service
broadcasting
frame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220A (ko
Inventor
최병호
김제우
신화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TV 송출 및 수신에 사용하는 방송용 MPEG-2-TS 포맷에서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송을 수행할 때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정하고,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인지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트림 타입, 디스크립터 존재 여부,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Method for transmission format providing of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TV 송출 및 수신에 사용하는 방송용 MPEG-2 TS(Transport Stream) 포맷에서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송을 수행할 때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정하고,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인지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97년 11월 지상파 디지털 방송방식으로 8-VSB 방식인 북미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을 선정한 이후, 관련 핵심 기술 개발, 필드테스트, 시험방송을 진행하였고, 2001년 이후로 기존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동시에 방송되고 있지만, 2012년에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을 완료하게 된다.
ATSC는 미국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위원회 혹은 그 표준을 말한다. ATSC의 표준은 현재 미국, 캐나다, 멕시코, 한국의 국가 표준으로 결정되어 있고, 남미의 여러 국가를 포함한 다른 나라들이 표준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의 표준에는 ATSC 이외에 유럽에서 개발된 DVB, 일본의 ISDB 등이 있다.
고품질의 비디오, 오디오 및 보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ATSC 디지털 방송 표준은 지상파의 경우, 6MHz의 지상파 방송 채널은 19.39Mbps 데이터 전송률, 케이블 TV 채널은 약 38Mbps 데이터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TSC 방식에서 사용하는 비디오 압축 기술은 ISO/IEC 13818-2 MPEG-2 비디오 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압축 형식으로 MPEG-2 MP@HL, 즉 Main Profile과 High Level 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비디오 형식 및 제한 사항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TV 송출 및 수신에 사용하는 방송용 MPEG-2 TS 포맷에서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송을 수행할 때 사용 가능한 전송모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을 통칭하여 복합 영상 방송이라 칭하기로 한다. MPEG-2 TS 포맷에서 사용 가능한 전송모드로서, 프레임 호환 모드(Frame-Compatible Mode)와 서비스 호환 모드(Service-Compatible Mode) 구분된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두 개의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은 송신단에서 사용한 전송 모드를 인지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방송을 처리할 수 있는 수신 시스템에서 복합 영상의 수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 시스템에서 복합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복합 영상을 처리할 수 없는 수신 시스템에서는 복합 영상의 수신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트림 타입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크립터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모드 제공 방법은 동일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여 프레임 호환 모드와 서비스 호환 모드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수신 시스템에서 복합 영상의 수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 시스템에서 복합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복합 영상을 처리할 수 없는 수신 시스템에서는 복합 영상의 수신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데 있다.
도 1은 HD 방송, 3D 방송, UD 방송, MV방송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호환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호환 모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맵 테이블(program map table: PMT) 신택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PMT의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타입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방송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은 3D 입체형 방송, UHD(Ultra High Definition) TV 방송, 멀티뷰(Multi-view) 방송으로 구분된다.
도 1은 HD 방송, 3D 방송, UD 방송, MV방송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을 통칭하여 복합 영상 방송이라 칭하기로 한다.
HD 방송은 하나의 화면을 전송하는 대신 3D 입체형 방송은 2개의 화면을 전송하며, UHD 방송은 4개의 화면(4k의 경우), 멀티뷰 방송은 2개 이상의 화면으로 구성된다.
3D 입체형 방송은 스테레오 형태의 3차원 입체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좌,우 영상에 대해 각각 MPEG-2 TS에서의 패킷 식별자(PID:Packet Identifier)를 하나씩 부여하여 다중화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UHD 영상은 일반적으로 가로와 세로 픽셀 수가 4000(4k·3840x2160)∼8000급(8k·7680x4320)에 육박한다. 화면 해상도는 픽셀로 불리는 화소 수가 좌우한다고 볼 때 UHD 영상은 4k 기준으로 HD(2k·1920x1080)와 비교해 4배나 더 선명하다. 8k에 비교하면 선명도 면에서 16배까지 차이 난다. 화면 주사율, 즉 초당 프레임 수에서도 HD가 30㎐인데 반해 60㎐로 1초당 화면 60장을 전송해 훨씬 자연스러우면서 역동적인 화면을 즐길 수 있다.
멀티 뷰 방송은 시청자의 시야각에 따라 상·하/좌·우,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영상을 두 개 결합하여 3D 입체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텔레비전에 멀티 뷰 표시장치를 구비할 경우, 화면에 배우가 나올 때 왼편에 있는 사람은 배우의 왼쪽 얼굴을 보게 되고, 오른편에 있는 사람은 배우의 오른쪽 얼굴을 3D 입체 영상으로 보게 된다. 즉, 3D 입체형 방송의 진보한 형태다.
본 발명은 3D 입체형 방송,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중 어느 하나의 방송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송을 수행할 때 적절한 전송 모드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상술한 전송 모드 중 프레임 호환 모드(Frame-Compatible Mode)에 대해 알아본 후 서비스 호환 모드(Service-Compatible Mode)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a는 프레임 호환 모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프레임 호환 모드를 구성하기 위해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의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2a와 도 2b는 모두 3D 입체형 방송의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UHD 방송과 멀티뷰 방송도 유사한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를 이용하여 프레임 호환 모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b에 의하면 프레임 호환 모드는 하나의 전송대역에 좌우영상이 합쳐진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다. 따라서 종전의 HD 방송이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한 송수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종전의 HD 방송은 전체 영역에 비디오를 전송한 반면, 프레임 호환 모드의 방송은 영상의 개수 만큼 합성된 영상을 전송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영상과 우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의 프레임에 합성할 수 있다. 도 2b(a)와 같이 프레임의 절반을 분할하여 합성할 수도 있고, 도 2b(b)와 같이 픽셀 단위로 분할하여 합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 2b(c)와 같이 프레임은 유지한 채 시간 순으로 좌우 영상을 번갈아 가면 전송할 수 있다. 도 2b의 (a), (b) 경우 하나의 프레임에 영상의 개수 만큼 합성하므로 각 영상을 축소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도 2b(c)의 경우 프레임율(frame-rate)가 증가하게 되어 대역폭을 늘리거나 비디오 압축의 비트율(bitrate)을 조절해야 한다.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도 2b의 예에서 3D 입체형 영상의 경우 좌영상과 우영상이 바뀌거나 대각선 형태의 픽셀 단위로 혼합시킬 수도 있다.
3D 입체형 방송을 일례로 들면, 이와 같이 하나의 전송대역을 이용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을 모두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전송하는 영상의 해상도는 1/2로 줄어들게 되므로 화질은 떨어진다 (도 2b의 (a), (b) 경우). 또는 동일한 대역폭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압축율을 늘려 화질이 떨어지거나 프레임율이 떨어지게 된다 (도 2b(c) 경우).
도 3은 서비스 호환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서비스 호환 모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은 3D 입체형 방송을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고 UHD 방송과 멀티뷰 방송도 유사한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서비스 호환 모드는 하나의 전송대역에 좌영상 프레임과 우영상 프레임을 영상 합성이 아닌 별도로 압축하여 전송한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영상 프레임과 우영상 프레임을 각각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고, 압축한 좌영상 프레임과 우영상 프레임을 하나의 전송대역으로 전송한다. 한정된 전송대역에 두 개 이상의 압축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한 쪽 영상은 기존 HD 방송과 호환할 수 있도록 압축하는 반면, 다른 쪽 영상은 보다 압축율이 좋은 압축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또는 좌영상과 우영상 중 하나의 영상은 고 해상도 전송하며, 나머지 하나의 영상은 저 해상도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일례로 좌영상은 MPEG-2 Main profile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며, 우영상은 MPEG-4 AVC/H.264 High profile로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추가적으로 저해상도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부호화 방식에 의해 좌영상은 1080i@60Hz의 해상도로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며, 우영상은 720p@60Hz의 해상도로 영상 스트림을 전송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좌 영상은 그대로, 우 영상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서브 샘플링하고, 수신부에서는 샘플링한 우 영상을 좌 영상의 해상도 만큼 복원시킨 후 하나의 스테레오 영상을 만든다.
이와 같이 디지털 방송에서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송을 수행할 때 복합 방송의 전송 모드는 프레임 호환 모드와 서비스 호환 모드로 구분되며, 송신단은 두 개의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이용하여 압축된 영상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수신단은 수신한 압축 영상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송신단에서 사용한 전송 모드를 인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복합 영상을 처리할 수 없는 기존 방송 수신 시스템에서는 수신되는 송신된 복합 영상 중 부 영상(Secondary Video)을 무시하고 주 영상(Primary Videl)만을 재생할 수 있어야 하다. 이로써 기존 방송 채널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복합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3D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수신 시스템에서 3D 영상의 수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시스템 정보로서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을 적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시스템 정보를 테이블 포맷으로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라면 그 명칭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PSI는 채널 및 프로그램을 분류하기 위해 정의된 MPEG-2의 시스템 규격이고, PSIP는 채널 및 프로그램의 분류가 가능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이다.
PSI는 일 실시예로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PAT는 PID가 '0'인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특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마다 해당 PMT의 PID 정보와 NIT의 PID 정보를 전송한다. CAT는 송신측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료 방송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개별 비트 스트림이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PID 정보, 및 PCR이 전달되는 PID 정보를 전송한다. NIT는 실제 전송망의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PID가 0인 PAT 테이블을 파싱하여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와 PMT의 PID를 알아낸다. 그리고 상기 PAT로부터 얻어낸 PMT를 파싱하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맵 테이블(program map table: PMT) 신택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MT 신택스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서 table_id 필드는 테이블 식별자로서, PMT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PMT의 섹션 형식을 정의하는 지시자이다. section_length 필드는 PMT의 섹션 길이를 나타낸다.
program_number 필드는 PAT와 일치하는 정보로서 프로그램의 번호가 표시된다. version_number 필드는 PMT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현재 테이블 섹션이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식자이다.
section_number 필드는 PMT가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구분되어 전송될 경우, 현재 PMT 섹션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PMT의 마지막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PCR_PID 필드는 현재 프로그램의 PCR(program clock reference)를 전달하는 패킷의 PID를 표시한다.
program_info_length 필드는 program_info_length 필드의 바로 뒤에 나오는 디스크립터(descriptor) 길이 정보를 바이트 수로 나타낸다. 즉, 첫 번째 루프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들의 길이를 나타낸다. stream_type 필드는 다음에 오는 elementary_PID 필드에서 표시된 PID 값을 갖는 패킷에 들어있는 요소 스트림의 종류 및 부호화 정보를 표시한다. elementary_PID 필드는 상기 요소 스트림의 식별자 즉, 해당 요소 스트림이 포함되는 패킷의 PID 값을 나타낸다. ES_Info_length 필드는 ES_Info_length 필드의 바로 뒤에 있는 디스크립터(descriptor) 길이 정보를 바이트 수로 나타낸다. 즉, 두 번째 루프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들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의하면 특정 프로그램 번호(program number)에 대한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정보 관련 디스크립터 즉, 전송 모드에 관련된 디스크립터는 program_info_length 구문 다음에 이어지는 디스크립터에 존재한다. 또한 좌우 영상 개별 ES와 관련된 디스크립터는 ES_info_length 구문 다음에 이어지는 디스크립터에 존재한다. 도 3에 의하면,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정보 관련 디스크립터는 service_compatible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로 정의하고 있다. frame packing arrangement와 관련된 정보는 프레임 호환 방식에서 정의한 MPEG2_video_3d-frame_packing_arrangement_descriptor()을 기술하였다. 좌우 영상 개별 ES와 관련된 디스크립터는 stereoscopic_stream_descriptor()로 정의하였다. 단, 도 4에서 이들 디스크립터의 위치를 표기하기 위해 구문 내에 직접 표기하였으나, 실제로는 종전의 디스크립터처럼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형태임을 알려둔다.
도 4는 특정 프로그램 번호에 대한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정보 관련 디스크립터를 먼저 구성한 후 좌우 영상 개별 ES와 관련된 디스크립터는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MPEG2_video_3d_frame_frame_packing_arrangement_descriptor()의 위치는 현 위치가 아닌 ES_info_length 아래 디스크립터 위치에 지정될 수 있다. 프레임 호환 모드의 경우 1개의 비디오 PID이므로, 그 PID와 디스크립터가 함께 존재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디스크립터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듯이 도 4에서 디스크립터의 위치는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복합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복합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방안은 스트림타입을 이용하는 방안, 디스크립터의 존재 여부를 이용하는 방안,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flag)를 확인하는 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안 이외에 다른 방안으로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먼저 스트림타입(stream type)을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하기 표 1은 PSI에서 3D 입체형 방송을 위한 스트림타입을 예시한 것이다.
Value Description
Ox00 ITU-T/ISO/IEC Reserved
Ox01 ISO/IEC 11172-2 Video
Ox02 ITU-T Rec. H.262/ISO/IEC 13818-2 Video or ISO/IEC 11172-2 constrained parameter video stream
Ox03 ISO/IEC 11172-3 Vudio
Ox04 ISO/IEC 13818-3 Vudio
... ...
Ox0A ISO/IEC 13818-6 tvpe A
... ...
Ox22 ITU-T Rec . H.262/ISO/IEC 13818-2 Video with stersoscopic count coded using frame-compatible mode
Ox23 ITU-T Rec . H.262/ISO/IEC 13818-2 Video with stersoscopic count coded using service-compatible mode
... ...
Ox80-OxFF User Private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스트림타입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을 제공한다. 즉, 스트림타입이 Ox02 타입이면 2D 영상이며, 스트림타입이 Ox22, Ox23 타입이면 3D 입체형 영상이다. 일례로 스트림타입이 Ox22이면 프레임 호환 모드이며, 스트림타입이 0x23이면 서비스 호환 모드이다.
따라서 수신단은 수신된 PSI의 스트림타입을 확인함으로써 프레임 호환 모드 또는 서비스 호환 모드를 판별할 수 있고, 아울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방안은 디스크립터의 존재 여부를 이용하는 방안이다. 즉, 프레임 호환 모드와 관련된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면 해당 영상은 프레임 호환 모드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서비스 호환 모드와 관련된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면 해당 영상은 서비스 호환 모드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두 번째 방안은 특정 모드와 관련된 디스크립터의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한다. 도 4와 연관 지어 설명하면, 3D 입체형 방송의 경우 service_compatible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와 같은 서비스 호환 모드용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면 서비스 호환 모드로 판별하며, MPEG2_video_3d-frame_packing_arrangement_descriptor()와 같은 프레임 호환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면 프레임 호환 모드로 판별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 방안은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는 방안이다. 즉,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확인하여 복합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한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3D 입체형 방송의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MPEG2_video_3d_stereoscopic_descriptor{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 모드 공통용 구문들 }
frame_compatible_mode_flag
If (frame_compatible_mode_flag) {
{ Frame-Compatible 모드용 구문들 }
}
else {
{ Service-Compatible 모드용 구문들 }
}
}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frame_compatible_mode_flag 구문을 구비하여 지원하는 방식에 따라 디스크립터 내 세부 구문을 분기할 수 있다. 따라서 descriptor 내 구문은 {모드 공통용 구문들}, {Frame-Compatible 모드용 구문들}, {Service-Compatible 모드용 구문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 번째 방안은 디스크립터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한다. 물론 상황에 따라 프레임 호환 플래그 대신 서비스 호환 플래그를 정의하여 사용하거나 플래그를 사용하는 대신 모드 비트를 별도 할당(예를 들어 1이면 프레임 호환 모드, 2이면 서비스 호환 모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모두 프레임 호환 모드와 서비스 호환 모드를 분기하는 기술에 포함된다.
도 5는 PMT의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PMT의 절차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500단계는 section_length로 PMT 길이를 확인한다.
S502단계는 program_number를 포함한 syntax를 읽는다.
S504단계는 program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506단계는 program info 관련 descriptor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5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508단계로 이동하여 program inf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는다.
S510단계에서 PMT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5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512단계로 이동한다. S512단계는 stream_type과 elementary_PID를 읽는다.
S514단계는 ES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516단계는 ES info 관련 descriptor을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518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520단계로 이동한다.
S520단계는 ES inf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고 S516단계로 이동한다. S518단계는 CRC_32를 읽고 데이터 오류 여부를 검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림 타입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트림 타입을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600단계는 section_length로 PMT 길이를 확인한다.
S602단계는 program_number를 포함한 syntax를 읽는다.
S604단계는 program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606단계는 program info 관련 descriptor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6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608단계로 이동하여 program ing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는다.
S610단계에서 PMT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628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612단계로 이동한다. S612단계는 stream_type과 elementary_PID를 읽는다.
S614단계는 stream type이 0x22인가 확인한다. stream type이 0x22이면 S616단계로 이동하고, stream type이 0x22이 아니면 S618단계로 이동한다.
S616단계는 Frame-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한다.
S618단계는 stream type이 0x23인가 확인한다. stream type이 0x23이면 S620단계로 이동하고, stream type이 0x23이 아니면 S622단계로 이동한다.
S620단계는 Service-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한다.
S622단계는 ES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624단계는 ES info 관련 descriptor을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6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626단계로 이동한다.
S626단계는 ES inf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고 S624단계로 이동한다. S628단계는 CRC_32를 읽고 데이터 오류 여부를 검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스크립터 존재 여부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700단계는 section_length로 PMT 길이를 확인한다.
S702단계는 program_number를 포함한 syntax를 읽는다.
S704단계는 program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706단계는 program info 관련 descriptor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7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708단계로 이동하여 program ing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는다.
S710단계에서 PMT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72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712단계로 이동한다. S712단계는 stream_type과 elementary_PID를 읽는다. S714단계는 ES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716단계는 ES info 관련 descriptor을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7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718단계로 이동한다.
S718단계는 ES inf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고 S716단계로 이동한다. S720단계는 CRC_32를 읽고 데이터 오류 여부를 검증한다.
S722단계는 Frame-Compatible용 descriptor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Frame-Compatible용 descriptor가 존재하면 S724단계로 이동하여 Frame-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한다.
Frame-Compatible용 descriptor가 존재하지 않으면 S726단계로 이동하여 Service-Compatible용 descriptor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Service-Compatible용 descriptor가 존재하면 S728단계로 이동하여 Service-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프레임 호환 모드 플래그를 이용하여 좌우 영상에 대한 합성 관련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S800단계는 section_length로 PMT 길이를 확인한다.
S802단계는 program_number를 포함한 syntax를 읽는다.
S804단계는 program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806단계는 program info 관련 descriptor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82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808단계로 이동하여 program ing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는다.
S810단계는 복수 영상(3D, UD, MV)에 관한 descriptor인지 확인한다. 복수 영상에 관한 descriptor이면 S812단계로 이동하고, 복수 영상에 관한 descriptor가 아니면 S806단계로 이동한다.
S812단계는 frame-compatible_mode_flag를 확인한다. S814단계는 Frame-Compatible 모드이면, S816단계로 이동하고, 아니면 S818단계로 이동한다.
S816단계는 Frame_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하며, S818단계는 Service_Compatible 모드를 활성화한다.
S820단계에서 PMT를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83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822단계로 이동한다. S822단계는 stream_type과 elementary_PID를 읽는다.
S824단계는 ES_info_length로 descriptor 길이를 확인한다.
S826단계는 ES info 관련 descriptor을 모두 읽었는지 확인한다. 모두 읽었으면 S810단계로 이동하고, 모두 읽지 않았으면 S828단계로 이동한다.
S828단계는 ES info와 관련된 하나의 descriptor를 읽고 S826단계로 이동한다. S830단계는 CRC_32를 읽고 데이터 오류 여부를 검증한다.
특히 본 발명의 도면에서 현재 시험 방송과 방송 규격을 제정 중인 3D 입체형 방송 위주로 기술하였으나,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 다른 복합 방송 또한 영상의 개수만 다를 뿐, 프레임 호환 모드와 서비스 호환 모드의 방송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D 입체형 방송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UHD TV 방송, 멀티뷰 방송 등 복합 방송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임을 밝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2: 프레임 호환 모드 도 3; 서비스 호환 모드

Claims (6)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를 포함하는 TS(Transport Stream)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TS로부터 특정 PID 의 PAT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PAT내 PMT PID를 이용하여, PMT(Program Map Table)를 획득하는 단계;
    제1디스크립터, 스트림 타입(stream type) 필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데이터 관련 제2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PMT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MT내 포함된 상기 제1디스크립터는, 프레임 호환(compatible)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와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를 식별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PMT내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데이터 관련 제2디스크립터는, 상기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프레임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PMT내 포함된 상기 제1디스크립터는 프로그램 레벨에서 정의되고,
    상기 PMT내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3D 데이터 관련 제2디스크립터는 ES 레벨에서 정의되며,
    상기 프로그램 레벨에서 정의된 상기 제1디스크립터 또는 ES 레벨에서 정의된 상기 제2디스크립터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필드에 따라 프레임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 및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를 식별하는 필드의 값(value)은 상기 프레임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를 식별하는 필드의 값(value) 보다 1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MT에 포함된 상기 스트림 타입(stream type) 필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 및 프레임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PMT에 포함된 상기 스트림 타입(stream type) 필드의 값이 0x23 인 경우, 서비스 호환 스테레오스코픽 3D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스테레오스코픽 3D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160166391A 2016-12-08 2016-12-08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KR10177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91A KR101779054B1 (ko) 2016-12-08 2016-12-08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91A KR101779054B1 (ko) 2016-12-08 2016-12-08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242A Division KR20120058700A (ko) 2010-11-27 2010-11-27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20A KR20170007220A (ko) 2017-01-18
KR101779054B1 true KR101779054B1 (ko) 2017-09-15

Family

ID=5799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91A KR101779054B1 (ko) 2016-12-08 2016-12-08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220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0526B2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9288467B2 (en) Method for providing and recognizing transmission mode in digital broadcasting
US9756380B2 (en)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8963995B2 (en) Stereo image data transmitting apparatus, stereo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stereo image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stereo image data receiving method
US9635344B2 (en) Method for service compatibility-type transmitting in digital broadcast
US20140071232A1 (en)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data reception device
US9544661B2 (en) Cable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20242802A1 (en) Stereoscopic image data transmission device, stereoscopic image data transmission method, stereoscopic image data reception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data reception method
US9693033B2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mage data for stereoscopic display using multiview configuration and container with predetermined format
KR20140000136A (ko) 화상 데이터 송신 장치, 화상 데이터 송신 방법, 화상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화상 데이터 수신 방법
US20140232823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KR101779054B1 (ko) 디지털 방송의 전송 모드 제공 및 인지 방법
KR101818141B1 (ko) 디지털 방송에서 서비스 호환 방식 전송 방법
US201501635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definition contents
KR101277267B1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EP26484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tereoscopic video information
KR20120139643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KR20120087869A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