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281B1 -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 Google Patents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281B1
KR101778281B1 KR1020150043155A KR20150043155A KR101778281B1 KR 101778281 B1 KR101778281 B1 KR 101778281B1 KR 1020150043155 A KR1020150043155 A KR 1020150043155A KR 20150043155 A KR20150043155 A KR 20150043155A KR 101778281 B1 KR101778281 B1 KR 10177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condenser
concave reflector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447A (ko
Inventor
김용현
이길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비즈
Priority to KR102015004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2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1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lective surfaces only (e.g. louvre systems, systems with multiple plana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 G02B17/0668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 G02B17/0673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for light condensing, e.g. for use with a light emit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 G02B17/0668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 G02B17/0684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having non-imaging properties for light collecting, e.g. for use with a 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38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mbient light
    • G02B19/0042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mbient light for use with direct sola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xic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고, 입력된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키는 집광기 및 집광기와 동일한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되,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을 수집하여 실내로 산광시키는 채광기를 포함하되, 집광기와 채광기는 보관시 빗면이 서로 마주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CONDENSER AND DAY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실외의 음영지역뿐만 아니라, 실내 채광이 가능한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현재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 보호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체 에너지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활용 가능성이 크며 에너지자원의 소비 없이 단위 면적당 적절한 햇빛만 공급되면 거의 무한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무한 청정 에너지인 태양광 에너지에 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방식은 태양광 패널을 실외에 설치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설치위치가 제한적이며, 고가의 비용이 소비된다. 또한 태양광 발전은 광전변환 효율이 높지 않아 실내 조명 또는 난방으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 변환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 등은 겨울해가 짧아 건물 사이에 음영지역이 존재하며, 음영지역에 별도의 태양광을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384277호는 태양광 집광 자연 채광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84277호는 프레넬 및 프리즘 렌즈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하고 이를 자영채광 조명에 사용함으로써 광전 변환을 거치지 않고 실내에 채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384277호는 실내로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광파이프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의 제약이 발생되고 설치 비용이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실외의 음영지역뿐만 아니라, 실내 채광이 가능한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집광기와 채광기가 동일한 형태의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어, 보관시 집광기와 채광기가 결합되어 육면체를 이루어 보관이 용이한 채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고, 입력된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키는 집광기 에 있어서, 상기 광이 입사되는 빗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집광렌즈; 상기 집광렌즈에서 공급되는 광을 반사시켜 빗면의 제2 영역 또는 밑면으로 반사시키는 오목반사경; 상기 빗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밑면으로 반사키는 제1 평면반사경; 및 상기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외부로 도광시키는 도광렌즈를 포함하는 집광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고, 입력된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키는 집광기; 및 상기 집광기와 동일한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을 수집하여 실내로 산광시키는 채광기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기와 상기 채광기는 보관시 빗면이 서로 마주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목반사경은 상기 빗면에 마주하는 밑면과 높이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영역으로 입사된 광의 경로가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도광렌즈를 벗어나지 않도록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초점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렌즈는 또는 상기 도광렌즈는 볼록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광기는 상기 도광렌즈에서 도광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렌즈; 상기 빗면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 평면반사경; 및 상기 제2 평면반사경에서 입력되는 광을 건물내로 산광시키는 채광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광장치는 상기 집광기의 외부변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채광기의 외부변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나머지 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광장치는 상기 채광기와 상기 집광기의 결합시, 상기 채광기가 상기 집광기의 빗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빗면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광기는 겨울철에 눈이 녹지 않았거나, 빙판이 형성된 지역에 광을 공급하여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에 태양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는 건물 저층부 실내에 자연채광을 할 수 있어 실내 난방 또는 조명으로 사용되므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는 집광기와 채광기가 동일한 형태의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어, 보관시 집광기와 채광기가 결합되어 정육면체를 이루어 보관이 용이하고, 심미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는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에 도광을 위한 별도의 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의 집광기와 채광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집광기의 측면을 절단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채광기의 측면을 절단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집광기를 사용하여 음영지역에 광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를 건물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의 집광기와 채광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는 집광기(100) 및 채광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광기(100)는 입력되는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킬 수 있다.
집광기(100)는 밑면, 밑면에 수직인 수직면과 밑면과 수직면이 이루는 직각모서리에 대응하는 빗면 및 두 측면을 구비한 삼각주 형태를 가진다. 이때, 집광기(100)는 밑면의 변과 수직면의 변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집광기(100)은 상기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가 되도록 외부의 변이 서로 연결된 제1 프레임(1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재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가볍고, 강도가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으로 둘러싸인 각각의 면은 투명한 소재의 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패널에 대한 도면부호는 없으나 설명의 편의상 생략된 것으로, 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널의 내측에 후술하는 렌즈 또는 반사경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채광기(200)는 집광기(100)에서 도광된 광을 수신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채광기(200)는 집광기(100)와 마찬가지로 삼각주 형태 또는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채광기(200)는 상기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을 빗면에서 반사시켜 실내로 유입시킨다.
상기 채광기(200)는 상기 직각이등변 삼각주 형태가 되도록 외부의 변이 서로 연결된 제2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10)은 제1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10)으로 둘러싸인 각각의 면은 투명한 소재의 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패널에 대한 도면부호는 없으나 설명의 편의상 생략된 것으로, 패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패널의 내측에 후술하는 렌즈 또는 반사경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채광장치는 보관시 도 1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집광기(100)와 채광기(200)의 제1 및 제2 프레임(210)에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수단으로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60)과 제2 프레임(210)에 형성된 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60)은 집광기(100)의 빗면측 양변에 형성된 제1 프레임(110)에 구비되며, 제1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0)는 가이드홈(160)에 대응하도록 제2 프레임(210)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50)는 가이드홈(160)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되어 도 1과 같이 집광기(100)에 채광기(200)가 결합된다. 이때, 제1 프레임(110)의 밑면과 빗면이 이루는 변에는 채광기(200)가 집광기(100)의 외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70)는 제1 프레임(110)의 밑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 프레임(110)에 가이드홈(160)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210)에 돌출부(250)가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제1 프레임(110)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210)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170) 역시 제2 프레임(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두 프레임(110, 12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는 집광기(100)와 채광기(200)의 외부 구성요소 및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도 3 및 도 4을 통해 집광기(100) 및 채광기(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집광기의 측면을 절단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광기(100)는 제1 프레임(110), 집광렌즈(120), 오목반사경(130), 제1 평면반사경(140) 및 도광렌즈(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광기(100)에서 빗면, 밑면 및 수직면은 별도의 도면부호를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프레임(1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주의 각 변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광렌즈(120)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오목반사경(130)에 제공한다. 집광렌즈(120)는 삼각주의 빗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집광렌즈(120)는 비스듬하게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도록 상기 빗면에 형성되며, 집광렌즈(120)는 빗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렌즈(120)는 광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볼록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렌즈(120)는 오목반사경(130)으로 광을 공급할 때, 오목반사경(130)에 과도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점거리가 다른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광렌즈(120)에서 오목반사경(130)에 일 영역으로 광이 집중되고, 오목반사경(130)에서 반사되는 광도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될 경우 집광기(100) 내부에 고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집광렌즈(120)를 다초점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오목반사경(130)은 집광렌즈(120)에서 공급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렌즈(150) 또는 제1 평면반사경(140)에 제공한다. 오목반사경(130)은 삼각주의 밑면과 높이면 사이에 빗면에 대하여 오목한 모양으로 반사판 또는 반사거울이 구비된다. 오목반사경(130)은 집광렌즈(120)에서 입사된 광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제1 평면반사경(140)으로 반사시키고, 일부는 도광렌즈(15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집광렌즈(120)에서 오목반사경(130)에 일 영역으로 광이 집중되고, 오목반사경(130)에서 반사되는 광도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될 경우 집광기(100) 내부에 고열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오목반사경(130)은 반사초점을 여러 개를 가지는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면반사경(140)은 오목반사경(130)에서 반사되는 광을 도광렌즈(150)에 제공한다. 제1 평면반사경(140)은 빗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며, 특히 도광렌즈(1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면반사경(140)은 별도의 거울 등의 반사 부재를 사용하거나, 패널의 내측면에 반사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광렌즈(150)는 제1 평면반사경(140) 또는 오목반사경(130)에서 공급되는 광을 외부로 도광시킨다. 도광렌즈(150)는 밑면에 형성되며, 볼록렌즈로 형성되어 제1 평면반사경(140) 또는 오목반사경(130)에서 산광된 광을 집중하여 외부로 공급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채광기의 측면을 절단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채광기(200)는 집광기(100)에서 도광된 광을 수집하여 실내로 산광시킨다. 이를 위하여, 채광기(200)는 제2 프레임(210), 입사렌즈(220), 제2 평면반사경(230) 및 채광렌즈(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광기(200)는 집광기(100)와 동일한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의 각 변들이 연결된 제2 프레임(210)이 구비된다. 제2 프레임(210)은 제1 프레임(110)과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사렌즈(220)는 직각 삼각주의 상부면(도 4에서 빗면과 연결되어 빗면의 상부에 형성된 면)에 형성된다. 입사렌즈(220)는 집광기(100)의 도광렌즈(15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입사렌즈(220)는 오목렌즈가 사용되거나, 굴곡이 없이 입사된 광의 경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평활한 면을 가지는 렌즈 또는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입사렌즈(220)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평면반사경(230)은 입사렌즈(220)에서 입력된 광을 채광렌즈(240)에 제공한다. 제2 평면반사경(230)은 채광기(200)의 빗면에 형성되며, 거울 또는 패널에 반사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광렌즈(240)는 제2 평면반사경에서 입력된 광을 실내로 산광시킨다. 채광렌즈(240)는 상부면에 수직인 수직면에 형성된다. 채광렌즈(240)는 실내로 넓게 광을 공급하도록 오목렌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채광렌즈(240)가 오목렌즈일 경우 넓은 면적에 광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집광기를 사용하여 음영지역에 광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기(100)는 태양광이 유입될 수 있는 건물의 상층부에 설치되어 하부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건물 등에 의해 발생된 음영지역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기(100)를 단일로 사용할 경우 겨울철에 눈이 녹지 않았거나, 빙판이 형성된 지역에 광을 공급하여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에 태양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광장치를 건물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상층부에 집광기(100)를 설치하고, 집광기(100)의 하부에 채광기(200)를 설치한다. 집광기(100)에서 집광된 광은 채광기(20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에 자연채광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공공주택(예를 들면, 아파트, 빌라, 연립 등)이 저층은 겨울철 앞 건물에 의해 채광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채광장치를 사용할 경우 저층부에 자연채광을 할 수 있어 실내 난방 또는 조명으로 사용되므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에 도광을 위한 별도의 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집광기(100) 및 채광기(200)는 건물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이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100: 집광기
110; 제1 프레임
120: 집광렌즈
130: 오목반사경
140: 제1 평면반사경
150: 도광렌즈
160: 가이드홈
170: 스토퍼
200: 채광기
210: 제2 프레임
220: 입사렌즈
230: 제2 평면반사경
240: 채광렌즈
250: 돌출부

Claims (12)

  1.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고, 입력된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키는 집광기 에 있어서,
    상기 광이 입사되는 빗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집광렌즈;
    상기 집광렌즈에서 공급되는 광을 반사시켜 빗면의 제2 영역 또는 밑면으로 반사시키는 오목반사경;
    상기 빗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밑면으로 반사키는 제1 평면반사경; 및
    상기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외부로 도광시키는 도광렌즈를 포함하는 집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반사경은
    상기 빗면에 마주하는 밑면과 높이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영역으로 입사된 광의 경로가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도광렌즈를 벗어나지 않도록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초점 렌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또는 상기 도광렌즈는 볼록렌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광기.
  5.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고, 입력된 광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외부로 도광시키는 집광기; 및
    상기 집광기와 동일한 직각 삼각주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집광기에서 도광된 광을 수집하여 실내로 산광시키는 채광기를 포함하되,
    상기 집광기와 상기 채광기는 보관시 빗면이 서로 마주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집광기는
    상기 광이 입사되는 빗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는 집광렌즈;
    상기 집광렌즈에서 공급되는 광을 반사시켜 빗면의 제2 영역 또는 밑면으로 반사시키는 오목반사경;
    상기 빗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밑면으로 반사키는 제1 평면반사경; 및
    상기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을 외부로 도광시키는 도광렌즈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반사경은
    상기 빗면에 마주하는 밑면과 높이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영역으로 입사된 광의 경로가 상기 제1 평면반사경 또는 상기 도광렌즈를 벗어나지 않도록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오목반사경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초점 렌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또는 상기 도광렌즈는 볼록렌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기는
    상기 도광렌즈에서 도광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렌즈;
    상기 빗면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2 평면반사경; 및
    상기 제2 평면반사경에서 입력되는 광을 건물내로 산광시키는 채광렌즈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기의 외부변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채광기의 외부변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나머지 프레임에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채광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기와 상기 집광기의 결합시, 상기 채광기가 상기 집광기의 빗면 외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빗면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채광장치.
KR1020150043155A 2015-03-27 2015-03-27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KR10177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55A KR101778281B1 (ko) 2015-03-27 2015-03-27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155A KR101778281B1 (ko) 2015-03-27 2015-03-27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47A KR20160115447A (ko) 2016-10-06
KR101778281B1 true KR101778281B1 (ko) 2017-09-13

Family

ID=5716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155A KR101778281B1 (ko) 2015-03-27 2015-03-27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2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814A (ja) * 2001-11-26 2003-06-06 Sohei Suzuki 光路変更装置とこれを用いた光誘導装置
KR101077241B1 (ko) * 2011-07-22 2011-10-2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지붕형 태양광 하부구조물 광공급장치
KR101305436B1 (ko) 2011-12-14 2013-09-06 삼중테크 주식회사 깊은 공간 조명을 위한 자연채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814A (ja) * 2001-11-26 2003-06-06 Sohei Suzuki 光路変更装置とこれを用いた光誘導装置
KR101077241B1 (ko) * 2011-07-22 2011-10-27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지붕형 태양광 하부구조물 광공급장치
KR101305436B1 (ko) 2011-12-14 2013-09-06 삼중테크 주식회사 깊은 공간 조명을 위한 자연채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47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9709B1 (en) Low numerical aperture (low-NA) solar lighting system
TW200944851A (en) Light-concentrating panel
KR20110067118A (ko) 광기전 셀 장치
JP2015513057A (ja) スカイライト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2225611A (ja) 太陽光集光装置および太陽エネルギー利用システム
US20170022713A1 (en) Skylight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100224181A1 (en) High-efficiency array type focusing solar tracking system
US20150370054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system
KR10140437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가열장치
KR101778281B1 (ko) 집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채광장치
AU2018422303B2 (en) Double-sided light-concentrating solar apparatus and system
KR20070000161U (ko) 태양광 집광장치
US20100307480A1 (en) Non-tracking solar collectors
CN103117319B (zh) 太阳能电池光伏组件系统
JP3172797U (ja) 太陽光線集光装置
JP2010169981A (ja) 太陽レンズと太陽光利用装置
TWI497112B (zh) 集光裝置
KR100592426B1 (ko) 독립형 자연채광장치
TWI838151B (zh) 導光裝置及具有導光裝置的百葉窗
KR20090106959A (ko) 광굴절 필름을 이용한 실내채광 확대 방법.
KR101254513B1 (ko) 프리즘을 이용한 자연채광장치의 집광구조
JP6530257B2 (ja) 太陽光集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集光パネル
KR20170075460A (ko) 자연채광 조명시스템
WO2021212422A1 (zh) 立式太阳能装置
JPH11339517A (ja) 太陽光室内外波型反射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