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072B1 -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072B1
KR101778072B1 KR1020110026177A KR20110026177A KR101778072B1 KR 101778072 B1 KR101778072 B1 KR 101778072B1 KR 1020110026177 A KR1020110026177 A KR 1020110026177A KR 20110026177 A KR20110026177 A KR 20110026177A KR 101778072 B1 KR101778072 B1 KR 10177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region
antenna
antenna radia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9012A (ko
Inventor
양태식
이주형
정중호
김형동
전신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072B1/ko
Priority to US14/005,694 priority patent/US9806409B2/en
Priority to PCT/KR2012/002187 priority patent/WO2012128601A2/ko
Publication of KR2012010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 영역과 비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비 접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구비된 급전부에 급전되는 안테나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분기 되어 상기 접지 영역 근처에 일정 길이 및 일정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전송 라인을 포함하여, 기존의 안테나 장치의 급전 라인에 전송 라인을 분기시켜 reactance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적어도 하나의 소망 대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BUILT-IN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슬림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광대역 확보를 위하여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점차 슬림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의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그 기능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 단말기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상술한 단말기들 중 특히 폴더 타입 단말기와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며, 최근에는 전면의 대부분이 엘씨디 모듈(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성된 바 타입 단말기 역시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터치 기술의 발달로 별도의 메탈돔을 사용하는 키패드를 가급적 배제시키고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동작시킴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술한 단말기들의 안테나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기존에는 외부 돌출형 안테나를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장치로는 단말기의 외부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로드 안테나(또는 휩 안테나) 및 헬리컬 안테나를 사용하여 왔는데, 이는 단말기의 낙하시 파손될 수 있는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되며,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말기의 내부에 실장되는 플레이트 타입 내장형 안테나(소위 '인터널 안테나' 또는 '인테나' 라고 함)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술한 내장형 안테나의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플레이트 타입 안테나 장치는 일정 높이를 갖는 캐리어상에 탑재되고 그 하측의 메인 보드와의 접지면간의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방사 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캐리어를 배제시키고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상에 직접 설치하거나 형성시키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하나의 방사체로 다중 대역(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공진점)을 구현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방사체의 상면의 슬롯 형상을 각각의 소망 밴드에 맞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하나의 단말기로 WCDMA(Wideband 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DCS(Digital Cellular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의 3가지 대역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중 가장 기본적인 안테나 장치는 자유공간에서 동작하는 다이폴 안테나 장치로써 금속 그라운드(접지면)와 함께 사용했을 때, image theory에 의해 모노폴 안테나 장치로써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프로파일(profile)이 낮은 안테나 장치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방사체를 그라운드와 가까이 하게 되면 capacitive 성분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 급전부에 shorting pin을 추가하여 inductive 성분을 증가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안테나의 형태가 역F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흔히 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라고 불리 운다. 상기 PIFA는 최근에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장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와 더불어 다중 밴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부피의 증가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하나의 안테나 방사체가 다중 대역을 모두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광대역 안테나 장치가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4세대 통신이라 불리우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하나의 안테나 방사체가 기존 통신 대역인 GSM 824~894MHz에서 동작함과 동시에 상기 LTE 통신 주파수 대역인 746~787MHz까지 동시에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내의 설치 유효 공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다중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통신 대역과 함께 이보다 낮은 저주파수 대역에서 함께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슬림화에 기여함과 동시에 비교적 설치가 쉽도록 구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접지 영역과 비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비 접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구비된 급전부에 급전되는 안테나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분기 되어 상기 접지 영역 근처에 일정 길이 및 일정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전송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기존의 안테나 장치의 급전 라인에 전송 라인을 분기시켜 reactance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방사체를 적어도 하나의 소망 대역에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real & reactance curve를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반사 계수(S11)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의 길이 변화에 따른 반사 계수(S11)를 비교한 그래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선로와 접지부와의 간격(g)에 따른 input impedence값과 반사 계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바 타입(bar type) 단말기를 도시하고 이에 내장되는 안테나 장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폴더 타입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 등 다양한 개방 형태를 갖는 단말기에 내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시도로써, 단말기 전면에 와이드 엘씨디 모듈(101)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엘씨디 모듈(101)은 터치 스크린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씨디 모듈(101)의 상부에는 수화부인 이어피스(102)가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 모듈(101)의 하측에는 송화부인 마이크 장치(103)가 설치된다. 미도시되었으나, 카메라 모듈, 스피커 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공지의 여타 부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도 2의 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캐리어(carrier) 설치 공간의 제약에 따라 공간의 확장을 어느 정도 감수하더라도 어느 한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에 비해 비교적 설치 위치가 자유로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어느 곳이나 비교적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도, 안테나 장치의 원만한 성능 발현을 위하여 단말기의 저부(A) 또는 상부(B)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1)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의 적소에 설치 또는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10)와, 상기 안테나 방사체(10)의 방사 라인(11)에서 분기되어 상기 기판(20)의 접지 영역(24)과 커플링되어 동작하는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14)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20)은 접지 영역(24)과 비 접지 영역(23)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10)는 상기 비 접지 영역(23)에 설치 또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10)와 전송 라인(14)은 기판 형성시 함께 패터닝 작업을 거쳐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소정의 메탈 플레이트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상기 기판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10)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일단은 두 갈래로 분기되어 급전 라인(12)과 접지 라인(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전 라인(12)은 상기 기판(20)에 설치되는 RF 컨넥터(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며, 접지 라인(13)은 상기 기판(20)의 접지 영역(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송 라인(14)은 일정 폭 및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10)의 방사 라인(11) 중에 분기되도록 형성 또는 설치된다. 상기 전송 라인(14)은 대체적으로 상기 접지 영역(24)과 근접한 거리(g)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전송 라인(14)은 안테나 방사체(10)의 보조 방사체가 아닌 추가 접지체로써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송 라인 구조(transmission line structure)에 의해 상기 안테나 방사체(10)에 capacitive reactance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전송 라인(14)은 방사 목적이 아니라 reactance 제어가 목표이다. 즉, 일반적인 내장형 안테나의 경우 추가적인 브랜치(branch)를 사용하여 추가 공진을 일으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때 추가 브랜치의 형태가 본 발명의 전송 라인(14)의 구조와 유사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라인(14)은 기판(20)의 접지 영역(23)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커플링 동작에 의해 추가 접지체로써 동작함으로써, 방사가 목적이 아닌 reactance 제어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전송 라인(14)은 접지 영역(24)과의 거리 g와 전체 길이 L1 + L2의 길이를 고려하여 reactance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전송 라인(14)은 상기 접지 영역(24)에 매우 근접해 있어 자체 방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접지 영역(24)과 전송 라인(14)간의 간격 g는 일반적인 통신 대역(700MHz ~ 2170MHz)에서 λ/100 이하의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자체 방사가 일어날 수 없지만, 급전 구조의 일부로서 동작하여 안테나 방사체(10)의 input impedance의 reactance 부분인 capacitance 값을 조절하게 된다. 물론, lumped가 아닌 distributed 형태로서 순수하게 capacitance 값 뿐 아니라, 일부 inductance 값으로도 reactance 값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전송 라인(14)의 의 길이는 L 1 + L 2 < λ/4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전송 라인(14)에 의한 공지의 입력 어드미턴스 식 Y b = jB = jcot(βl)/Zo 으로부터 입력 어드미턴스 Y b L1+L2 그리고 그라운드와 전송선 간격 g (또는 characteristic impedance, Zo)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real & reactance curve를 비교한 그래프로써, 기존 PIFA 구조와는 다른 형태의 real & reactance curve를 얻을 수 있었다. 즉, 기본 공진 모드인 700MHz 대역 이외에 기존 PIFA에서 볼 수 없었던 추가 공진이 900MHz 대역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4c에서는 안테나 방사체의 구조를 제외하고 오직 급전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리액턴스(real part=0)를 표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PIFA의 급전 구조인 shorting loop 구조의 경우, 오직 inductance 값만을 갖기 때문에 양의 reactance 만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라인이 적용된 구조에서는 capacitance 성분이 있기 때문에 양과 음의 reactance 성분을 모두 보이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와 종래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반사 계수(S11)를 비교한 그래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라인에 의해서 기존 안테나 방사체에서 얻을 수 없었던 저대역 광대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 PIFA의 경우 -6dB를 기준으로 70MHz의 대역을 커버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라인을 적용하게 되면 약 170MHz의 광대역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100MHz 대역 추가 확보 가능).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전송 선로(transmission line)의 길이 변화에 따른 반사 계수(S11)를 비교한 그래프로써,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전송 선로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추가 방사 주파수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역시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선로와 접지 영역간의 간격(g)에 따른 input impedence값과 반사 계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써, 전송 선로와 접지 영역간의 간격 g를 변화시킴에 따라 안테나 방사체의 input impedance의 real & imaginary부와 반사 계수가 주파수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그래프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는 추가되는 전송 라인의 길이와 전송 라인과 접지 영역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소망 공진 대역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기판의 후면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도 2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 접지 영역(44)과 비 접지 영역(43)을 갖는 기판(40)과, 상기 기판(40)의 비 접지 영역(43)에 설치 또는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30)를 포함한다. 역시 상기 안테나 방사체(30)는 PIFA 구조로써 급전 라인(32)은 기판(40)의 RF 컨넥터(45)에, 접지 라인(33)은 기판(40)의 접지 영역(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라인(34)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30)가 설치 또는 형성되는 기판(40)의 제1면(41)과 다른 제2면상(42)에 형성 또는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안테나 방사체(30)의 방사 라인(31) 중에 어느 한 곳이 분기되는 시점에서 비아(via)를 통하여 기판의 제2면(42)인 후면으로 연결되며(도 8의 C부분), 이 비아를 통하여 도 9의 전송 라인(34)과 직접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전송 라인(34)과 기판(40)의 제1면(41)에 형성되는 접지 영역(44)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판(4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접지 영역(44)과의 커플링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송 라인(34)의 길이 L3와와 폭 W를 결정하는 것으로 소망 주파수 대역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내장형 안테나 장치 10: 안테나 방사체
11: 방사 라인 14: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
20: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16)

  1.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접지 영역과 비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비 접지 영역에 배치되고 급전부와 연결된 안테나 방사체;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분기 되어 상기 접지 영역의 근처에 일정 길이 및 일정 폭을 갖도록 배치되는 전송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라인은 추가적인 접지체로 동작하고,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용량형 리액턴스(capacitive reactance)를 제공하고,
    상기 전송 라인의 일정 길이, 일정 폭, 및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접지 영역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일정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접지 영역 사이의 커플링(coupling)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접지 영역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전송 라인으로부터 방사가 억제되는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값에 의한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접지 영역 사이의 커플링은, 상기 전송 라인이 방사체로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는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라인과, 상기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 및 전송 라인은 기판 형성시 함께 형성되는 도전성 패턴 또는 일정 패턴을 갖는 금속 플레이트 또는 일정 패턴을 갖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기판의 비 접지 영역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접지 영역과 커플링되어 리액턴스(reactance)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기판의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접지 영역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의 길이는 λ/4보다 크지 않도록 구성되고,
    λ 는 송수신 신호의 파장인,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접지 영역의 경계 부분과의 간격은 λ/100를 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기판의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에서 분기된 후 비아(vi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은 상기 기판의 접지 영역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리액턴스(reactance)는 상기 전송 라인의 길이와 폭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5. 제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라인과 상기 간격은 상기 안테나 방사체가 700MHz ~ 2170MHz 대역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접지 영역은 제1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와 상기 전송 라인은 제2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20110026177A 2011-03-24 2011-03-24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177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77A KR101778072B1 (ko) 2011-03-24 2011-03-24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14/005,694 US9806409B2 (en) 2011-03-24 2012-03-26 Embedded antenna devic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PCT/KR2012/002187 WO2012128601A2 (ko) 2011-03-24 2012-03-26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177A KR101778072B1 (ko) 2011-03-24 2011-03-24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012A KR20120109012A (ko) 2012-10-08
KR101778072B1 true KR101778072B1 (ko) 2017-09-14

Family

ID=4687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177A KR101778072B1 (ko) 2011-03-24 2011-03-24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6409B2 (ko)
KR (1) KR101778072B1 (ko)
WO (1) WO20121286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535A1 (ko) * 2013-10-07 2015-04-16 주식회사 아모텍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101875446B1 (ko) * 2013-10-14 2018-07-09 주식회사 아모텍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102433402B1 (ko) * 2016-02-19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42550A1 (en) * 2016-02-19 2017-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antenna
GB201718424D0 (en) * 2017-11-07 2017-12-20 Taoglas Group Holdings Acircuit board including a trace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158B2 (en) * 2001-12-27 2005-01-11 Skycross, Inc. Wideband low profile spiral-shaped transmission line antenna
KR101075995B1 (ko) 2005-03-15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911297B1 (ko) 2007-08-21 2009-08-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액티브 안테나
KR100972846B1 (ko) 2008-09-08 2010-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다중 대역 안테나
KR101607131B1 (ko) * 2009-08-17 201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06409B2 (en) 2017-10-31
KR20120109012A (ko) 2012-10-08
WO2012128601A3 (ko) 2012-12-27
US20140009358A1 (en) 2014-01-09
WO2012128601A2 (ko)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69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9246210B2 (en) Antenna with cover radiator and methods
KR101887935B1 (ko) 통신용 전자 장치를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7629931B2 (en) Antenna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t frequencies
US7557760B2 (en) Inverted-F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9203154B2 (en) Multi-resonance antenna, antenna module, radio device and methods
KR1016071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장치
EP2165384B1 (en) An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00052997A1 (en) Antenna modul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KR20040023543A (ko) 이동 전화기용 안테나
KR10177807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CN110649373A (zh) 一种天线结构及终端
CN103414018A (zh) 一种双频耦合手机天线
US20210296766A1 (en) Terminal device
US20130285872A1 (en) Antenna
KR20070021947A (ko) 셀룰러 통신 단말기용 안테나 장치
CN113078444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CN113078445A (zh) 天线结构及具有该天线结构的无线通信装置
KR101025970B1 (ko) 휴대 단말용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20090093525A (ko) 다중 밴드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332396B1 (ko) 메타머티리얼 안테나
TWI756931B (zh) 天線結構
KR101054615B1 (ko) 휴대 단말용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KR100708064B1 (ko) 임피던스 가변형 내장 안테나
CN115882201A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