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80B1 -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 Google Patents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780B1
KR101777780B1 KR1020150122326A KR20150122326A KR101777780B1 KR 101777780 B1 KR101777780 B1 KR 101777780B1 KR 1020150122326 A KR1020150122326 A KR 1020150122326A KR 20150122326 A KR20150122326 A KR 20150122326A KR 101777780 B1 KR101777780 B1 KR 10177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cap
wall
side w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611A (ko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롤스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스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롤스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2013/046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fol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하나의 화분에 대해, 장시간 살피지 못하는 조건에서도 식물이 얼거나 시들지 않도록 소정 조건을 제공하여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가볍고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식물이 식재된 실내용 화분(11)을 감싸는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은 상하로 직립되어 설치된 온실벽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벽체(20)는, 측방향과 상방향으로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대면적부; 및 상기 대면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대면적부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상하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긴 길이로 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기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Self-assembly indoor small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한 하나의 화분 또는 수 개의 화분을 대상으로 하여, 장시간 살피지 못하는 조건에서도 식물이 얼거나 시들지 않도록 소정 조건으로써 온도를 유지하고 채광이 가능하는 등의 소정 환경을 제공하여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면서, 전체적으로 가볍고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주로 밭에서 키우는 것이 대부분이며, 과수의 경우 들녘이나 산 등에서 키우게 된다.
반면 근래들어 가정의 실내에도 다양한 식물을 키워 정서를 안정시키면서 인체에도 유익하도록 한 환경을 꾸미게 된다. 또한 사무실에서도 장시간 근무해야 하기 때문에 좀더 편안한 업무를 위해 다양한 식물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화분의 경우 식물이 잘 자라도록 채광조건을 맞춰주고 물을 주며 온도도 어느 정도 알맞게 맞추게 된다. 채광이나 물과 같은 것은 조건에 맞춰 조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온도에 대해서는 사람들과 함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맞추지는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채광이나 물은 어느 정도 주는 것을 잊어버린다 해도 쉽게 식물이 죽지않으나, 특히 겨울철 장시간 외출한 경우에는 온도를 유지하기가 곤란하여 식물이 얼어죽는 경우가 상당한 것이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화분 하나하나에 맞춰 보온을 하고 물을 주는 등의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반면 이처럼 식물이 얼지 않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온실은 대부분 밭에 시설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온실은 대형의 크기로 시설된다. 또한 밭에 시설되는 온실은 뼈대나 비닐에 더하여 각종 클립이 필요하는 등 너무 많은 부속품이 있어야 시설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단지 한두 개의 화분만 보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많은 부속품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온실이 적용되기에는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실내용 화분에 맞는 온실이 제공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254838호(2013년 04월 15일 공고)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39592호(2011년 04월 20일 공개) 등록특허번호 제10-1346056호(2014년 01월 23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을 개별적으로 보온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하여 장시간 자리를 비운다해도 전용 온실에 의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의 소재를 가볍고 투명한 재질로 마련하여, 손쉽게 다룰 수 있고 채광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 및 화분을 감싸면서 어느 정도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뼈대를 이루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온실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보강부가 공기가 포함된 튜브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강부 자체도 투명소재가 되며 공기에 의하기 때문에 가볍게 마련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가 포함되어 보강부를 마련함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사용이 끝난 경우 공기를 빼내서 접기 때문에 부피를 작게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튜브로 벽체를 이룸으로써 온실 효과를 가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물이 식재된 실내용 화분(11)을 감싸는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은 상하로 직립되어 설치된 온실벽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벽체(20)는, 측방향과 상방향으로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대면적부; 및 상기 대면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대면적부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상하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긴 길이로 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기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실벽체(2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둘러진 온실측벽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측벽체(3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측방대면적부(31); 및 상기 측방대면적부(31) 보다 두꺼운 두께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방향 또는 기울어진 경사방향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실측벽체(30)는 하나로 된 일체형 또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화분을 감싸는 단위체연결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온실측벽체(30)를 이루는 단위체연결형으로 구비될 경우에 측방대면적부(31)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의 중앙으로는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들이 위치된 수직기둥보강영역(311); 및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와 연결되는 단위체연결영역(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연결영역(312)에는, 측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들과 연결되기 위한 단위체연결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체연결부(34)는, 락지퍼, 벨크로테잎, 및 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보강부는, 소정 두께를 갖고 긴 길이 막대형상의 보강심; 소정 두께를 갖고 긴 길이 파이프 형상의 보강심; 철심; 및 내부에 소정 기체를 포함한 기체튜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둥보강부는 내부에 소정 기체를 포함한 기체튜브(32)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기체튜브(32)는, 개별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 독립튜브체; 및 복수 개의 기체튜브들이 연결된 연결튜브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체튜브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기체주입구(3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식물이 식재된 실내용 화분(11)을 감싸는 온실로써, 상하로 직립되어 설치된 온실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벽체(20)는, 측방향과 상방향으로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대면적부; 및 상기 대면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대면적부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상하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긴 길이로 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기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벽체(2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둘러진 온실측벽체(30)를 포함하는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측벽체(3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측방대면적부(31); 및 상기 측방대면적부(31) 보다 두꺼운 두께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방향 또는 기울어진 경사방향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측벽체(30)는 하나로 된 일체형 또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화분을 감싸는 단위체연결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온실측벽체(30)를 이루는 단위체연결형으로 구비될 경우에 측방대면적부(31)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의 중앙으로는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들이 위치된 수직기둥보강영역(311); 및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와 연결되는 단위체연결영역(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연결영역(312)에는, 측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들과 연결되기 위한 단위체연결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체연결부(34)는, 락지퍼, 벨크로테잎, 및 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실벽체(20)에 대해서, 화분(11) 측방향으로 대면적부(31) 및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한 온실측벽체(30)에 더하여, 온실측벽체(30)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화분(11) 상측을 덮는 온실캡(4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온실캡(40)은 얇은 두께의 필름 형태로서 대면적을 이루는 캡대면적부(41); 및 상기 캡대면적부(4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온실캡(4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둥으로 역할하는 캡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캡보강부는 내부 공간에 소정 기체나 공기가 포함되는 캡기체튜브(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을 개별적으로 보온 및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을 제공하여 장시간 자리를 비운다해도 전용 온실에 의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의 소재를 가볍고 투명한 재질로 마련하여, 손쉽게 다룰 수 있고 채광도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식물 및 화분을 감싸면서 어느 정도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뼈대를 이루는 보강부를 구비하여 온실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이러한 보강부가 공기가 포함된 튜브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강부 자체도 투명소재가 되며 공기에 의하기 때문에 가볍게 마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공기가 포함되어 보강부를 마련함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사용이 끝난 경우 공기를 빼내서 접기 때문에 부피를 작게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튜브로 벽체를 이룸으로써 온실 효과를 가중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온실 내에 화분이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온실과 화분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지고 온실 내에 화분이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지고 아래의 온실벽체 내에 화분이 위치되고 상측 온실벽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진 실시예에서 온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분리된 상태의 온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지고 기체튜브 일측에 기체주입구가 형성된 온실 내에 화분이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지고 기체튜브 일측에 기체주입구가 형성된 실시예에서 온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가 온실캡, 온실측벽체 등으로 나누어지고 기체튜브 일측에 기체주입구가 형성된 실시예에서 온실의 온실캡, 하측 온실측벽체, 상측 온실측벽체 등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의 온실측벽체가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온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의 온실측벽체가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온실 아래로 화분이 분리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의 온실측벽체가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로 분리되어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분리상태의 실시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의 온실측벽체가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기체튜브를 포함한 온실벽체의 온실측벽체가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온실캡이 아치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에서 온실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 등에서와 같이, 식물이 식재된 실내용 화분(11)을 감싸는 온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온실은 상하로 직립되어 설치된 온실벽체(20)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온실벽체(20)는, 측방향과 상방향으로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대면적부를 포함한 것이다.
이처럼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온실벽체(2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빛이 투과되어 식물이 잘 자라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될 수 있으면 하나 또는 수 개의 화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그리하여 하나의 화분 또는 수 개의 화분들에 심어진 식물이 잘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겨울철 장기간 외출할 경우 미처 실내 보온이 어려울 경우 온실에 의해 장기간 그대로 두어도 식물이 시들거나 병들지 않고 냉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후술되는 설명 및 첨부되는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분을 대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작은 크기의 실내용 화분들 몇개를 모아 함께 보온하고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이 응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습장치, 가온장치, 통풍장치, 조광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온실효과는 더욱 양호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습장치, 가온장치, 통풍장치 등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수 개의 화분에 알맞은 크기나 사양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촬영장치와 통신장치, 온도나 습도, 조도 등의 센서, 컨트롤러, 네트워크장비 등을 부가할 경우에는 원격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실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비록 외출한 상황이라도 휴대용단말기로 실내의 화분 상태를 살필 수 있을 것이며, 통풍이나 가온, 가습 등을 원격에서 조절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상기 대면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대면적부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상하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긴 길이로 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기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첨부된 도면에서처럼 투명소재이면서 필름 형태로 된 온실이 화분을 감싸면서도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인 구조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온실 내부에 따뜻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온실효과를 식물에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온실벽체(20)의 대면적부는 내측과 외측의 이중 필름층을 형성하면서 이중 필름층 사이의 완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완충공간에 의해 외측 공기와 내부 공기 사이에서 직접적인 열전달을 차단함으로써 보온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온실벽체(2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둘러진 온실측벽체(30)와, 화분의 상측을 커버하는 온실캡(40)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온실측벽체(3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측방대면적부(31)를 구비한 것이며, 이러한 측방대면적부(31)는 온실벽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온실이 주로 직립된 원통형상이나 사각통형상, 다각통형상 등과 같이 소정의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측방대면적부(31) 보다 두꺼운 두께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방향 또는 기울어진 경사방향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기둥보강부는 일종의 심이나 기둥의 역할을 하여 전체적으로 온실이 쓰러지지 않고 일정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보강부는 상측의 온실캡(40)에도 형성되어, 평면형이나 아치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측방대면적부를 비롯한 온실벽체(20)의 온실측벽체(30) 및 온실캡(40) 등에 있어서의 대면적부는, 얇은 두께를 이루며 소정 너비를 갖는 부분과, 이러한 수직기둥보강부와 같은 보강부가 구성된 기둥보강영역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화분의 측방향을 감싸는 상기 온실측벽체(30)는 하나로 된 일체형 또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화분을 감싸는 단위체연결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도 1, 도 2 등에서처럼 전체 온실이 하나로 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일체형 온실벽체 또는 온실측벽체(30) 등의 경우에는 얇은 두께의 필름형태를 갖는 대면적부분과 복수 개의 보강부들(수직기둥보강부(320))이 구비된 보강영역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14 등에서처럼 온실벽체(20)가 온실측벽체(30), 온실캡(40) 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온실측벽체(3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12에서는 상측으로 온실캡(40)이 분리되고, 그 아래로 온실측벽체(30)가 상하로 위치된 상태로, 특히 중간의 온실측벽체(30)가 네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로 연결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네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고, 아래로는 이들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온실측벽체를 이룸을 보인 것이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온실측벽체(30)를 이루는 단위체연결형으로 구비될 경우에 측방대면적부(31)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의 중앙으로는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들이 위치된 수직기둥보강영역(311)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와 연결되는 단위체연결영역(3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복수로 구비된 경우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해 상기 단위체연결영역(312)에는, 측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들과 연결되기 위한 단위체연결부(3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단위체연결부(34)는, 락지퍼(lock zipper), 벨크로테잎(velcro tape), 및 자성체, 강력자석 등으로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는 지퍼팩(zipper pack)에 주로 이용되는 락지퍼(lock zipper)를 채용했을 때의 예를 보인 것이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의 표시나 설명은 일반적인 지퍼팩(zipper pack)의 락지퍼(lock zipper)에 대한 기술적 요소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기타 벨크로테잎(velcro tape)이나 자성체, 자석 등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양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시되는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정하여져 실시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에 있어서, 온실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둥이나 뼈대, 심으로써 상기 기둥보강부는, 소정 두께를 갖고 긴 길이 막대형상의 보강심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소정 두께를 갖고 긴 길이 파이프 형상의 보강심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철심처럼 얇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내부에 소정 기체를 포함한 기체튜브(32)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기체튜브(32)는 주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체, 공기 등이 포함된 기체튜브로서 기둥보강부를 마련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무게를 가볍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재료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경제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공기로 기둥을 마련하는 것과 같으므로, 전체적으로 투명한 온실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채광이 양호하게 되어 식물이 자라는데 더욱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기둥보강부가 내부에 소정 기체를 포함한 기체튜브(32)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복수 개의 기체튜브(32)들이 대면적부에 일체로 포함된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하나의 온실을 간단하게 들어 나를 수 있고 설치도 손쉽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기체튜브(32)는 도 3 내지 도 6 등에서처럼 개별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 독립튜브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독립튜브체들로 이루어진 기체튜브(32)가 제공될 경우에는, 하나의 온실벽체(20)로써 대면적부와 함께 일체로 하여 독립튜브체들도 포함되게 생산하게 되며, 이처럼 생산단계에서부터 개별 독립튜브체들 내의 공간에 소정의 기체나 공기가 포함되게 제조되는 것이다.
아울러 기체튜브(32)는 도 7 내지 도 14 등에서처럼 복수 개의 기체튜브들이 연결된 연결튜브체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연결튜브체로써 마련되는 기체튜브(32)의 경우, 상기 기체튜브(32)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기체주입구(321)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기체주입구(321)를 통해서 전체적으로 연결된 기체튜브(32)들 내부 공간으로 소정 기체나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온실로써 사용이 끝났을 경우에는, 하나의 기체주입구(321)를 개방하여 연결된 기체튜브(32) 내의 소정 기체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전체 온실의 부피를 줄여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상기 기체의 종류로는 헬륨이나 기타 인체에 무해한 가스가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공기와 비슷한 무게이거나 또는 조금 무거우면서 인체에 무해한 가스가 이용됨일 바람직할 것이다. 헬륨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헬륨을 이용할 경우 아래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의 경우,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처럼 화분(11)을 감싸는 온실벽체(20)에 대해서, 화분(11) 측방향으로 대면적부(31) 및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한 온실측벽체(30)에 더하여, 화분(11) 상측을 덮는 온실캡(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온실벽체(20)가 측방향의 온실측벽체(30), 그리고 상측으로 위치된 온실캡(40)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온실캡(40)도 얇은 두께의 필름 형태로서 대면적을 이루는 캡대면적부(41)와, 이러한 캡대면적부(4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온실캡(4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둥, 심, 뼈대로 역할하는 캡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캡보강부는 유리막대형태, 투명플라스틱막대형태, 철심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온실측벽체(30)에서의 튜브와 같이 내부 공간에 소정 기체나 공기가 포함되는 캡기체튜브(42)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온실캡(40)은 도 3 내지 도 12 등에서처럼 원형의 평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도 14에서처럼 아치형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등 실시되는 상황에 알맞게 응용되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은 주로 실내에서 가꾸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장시간 살피지 못할 경우 동사로 얼거나 가습 등의 일정 조건을 마련하도록 화분 전용 온실을 제공하는 것으로, 장시간 살피지 못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된다.
혹은 상태가 좋지 않은 식물의 경우에는 하나의 화분 또는 수 개의 화분만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보다 집중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조건에서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1 : 화분 20 : 온실벽체
30 : 온실측벽체 31 : 측방대면적부
32 : 기체튜브 33 : 온실측벽단위체
34 : 단위체연결부 40 : 온실캡

Claims (6)

  1. 식물이 식재된 실내용 화분(11)을 감싸는 온실로써,
    상하로 직립되어 설치된 온실벽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벽체(20)는, 측방향과 상방향으로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대면적부; 및
    상기 대면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대면적부 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져 상하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긴 길이로 되고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기둥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실벽체(2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둘러진 온실측벽체(30)를 포함하는 온실에 있어서,
    상기 온실측벽체(30)는,
    상기 화분(11)의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투명소재의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측방대면적부(31); 및
    상기 측방대면적부(31) 보다 두꺼운 두께로 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방향 또는 기울어진 경사방향의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실측벽체(30)는 하나로 된 일체형 또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화분을 감싸는 단위체연결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이 이어져 온실측벽체(30)를 이루는 단위체연결형으로 구비될 경우에 측방대면적부(31)는,
    복수 개의 온실측벽단위체(33)들의 중앙으로는 복수 개의 수직기둥보강부들이 위치된 수직기둥보강영역(311); 및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와 연결되는 단위체연결영역(3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연결영역(312)에는, 측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이웃된 다른 온실측벽단위체들과 연결되기 위한 단위체연결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단위체연결부(34)는, 락지퍼, 벨크로테잎, 및 자성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실벽체(20)에 대해서, 화분(11) 측방향으로 대면적부(31) 및 수직기둥보강부를 포함한 온실측벽체(30)에 더하여, 온실측벽체(30)의 상측으로 위치되고 화분(11) 상측을 덮는 온실캡(4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온실캡(40)은 얇은 두께의 필름 형태로서 대면적을 이루는 캡대면적부(41); 및
    상기 캡대면적부(41)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온실캡(4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둥으로 역할하는 캡보강부가 마련되고,
    상기 캡보강부는 내부 공간에 소정 기체나 공기가 포함되는 캡기체튜브(4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보강부는 내부에 소정 기체를 포함한 기체튜브(32)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기체튜브(32)는,
    개별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 독립튜브체; 및
    복수 개의 기체튜브들이 연결된 연결튜브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체튜브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기체주입구(3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22326A 2015-08-31 2015-08-31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KR10177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26A KR101777780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326A KR101777780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207A Division KR20170092515A (ko) 2017-08-04 2017-08-04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11A KR20170025611A (ko) 2017-03-08
KR101777780B1 true KR101777780B1 (ko) 2017-09-12

Family

ID=5840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326A KR101777780B1 (ko) 2015-08-31 2015-08-31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81B1 (ko) 2022-04-26 2022-11-25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실내용 온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6561A1 (ja) 2005-08-31 2007-03-08 Takehisa Ode 温室及び温室の軸組工法
KR20110039592A (ko) 2009-10-12 2011-04-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규모 온실 및 소규모 온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46056B1 (ko) 2013-04-29 2014-01-23 주식회사 아이온이엔지 온실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온실 환경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081B1 (ko) 2022-04-26 2022-11-25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실내용 온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611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A1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AU2013100358A4 (en) Modular Garden Planter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US5040489A (en) Aquarium-planter
KR101777780B1 (ko)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JP2583819B2 (ja) 壁面緑化兼熱負荷低減設備
KR20170092515A (ko) 조립식 실내용 소형온실
JP2003189744A (ja) 屋上緑化の金網ブロックユニット化工法並に金網ブロック
CN203554992U (zh) 组合式水陆空立体水培盆栽种植系统
CN206559865U (zh) 一种壁挂组合花盆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US20170238475A1 (en) Adaptable garden planter box
CN101519899B (zh) 屋顶绿化之构造
CN208258508U (zh) 一种模块化组合花盆
CN113349048A (zh) 一种室内无土垂直绿化系统
CN207491632U (zh) 环保花池
CN201308016Y (zh) 屋顶绿化之构造
KR102500450B1 (ko) 벽면 녹화용 격자형 모듈 구조체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CN216752880U (zh) 一种可移动的树箱装置
CN2052603U (zh) 自流浇水双层花盆
KR200253279Y1 (ko) 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