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614B1 -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614B1
KR101776614B1 KR1020170007046A KR20170007046A KR101776614B1 KR 101776614 B1 KR101776614 B1 KR 101776614B1 KR 1020170007046 A KR1020170007046 A KR 1020170007046A KR 20170007046 A KR20170007046 A KR 20170007046A KR 101776614 B1 KR101776614 B1 KR 10177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oint
new
shooting
artillery
la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준희
김구한
이재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비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비웍스
Priority to KR102017000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614B1/ko
Priority to US16/305,183 priority patent/US11002515B2/en
Priority to PCT/KR2017/013495 priority patent/WO20181317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41G3/142Indirect aiming means based on observation of a first shoot; using a simulated sho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4Aiming or laying means for dispersing fire from a battery ; for controlling spread of shots; for coordinating fire from spaced weap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14Indirect aiming means
    • F41G3/16Sighting devices adapted for indirect laying of fire
    • F41G3/165Sighting devices adapted for indirect laying of fire using a TV-moni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8Small-scal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포병 전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INTELLIGENT SUPPORT APPARATUS FOR ARTILLERY FI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포병화기에 의한 사격은 표적을 직접 볼 수 없는 먼거리에서 간접사격에 의한 방법으로 실시될 뿐 아니라 사거리가 멀수록 탄착점은 공산오차에 의해 광범위한 지역에 낙탄되기 때문에 사격효과 달성이 매우 어렵다.
더욱이 포병사격의 대상이 되는 표적은 대규모의 지역표적으로서 지형적인 요소와 표적의 성질, 크기,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공격기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사격기술이 현재 부재하다.
따라서 포병화기 운용자가 사격 효과달성을 위해 표적의 크기나 형태, 지형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표적지역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포탄을 투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격통제기술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는,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표적지역에 대해서 실시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다수의 포병화기 중 특정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 신규탄착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 계산식을 기초로, 상기 특정 포병화기의 탄착점을 상기 신규탄착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신규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및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병사격지원장치는, 상기 특정 포병화기에서 상기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과 상기 신규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병사격지원장치는, 상기 신규탄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 각각의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를 기초로, 수치화된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사격효과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표적지역에 대해서 실시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다수의 포병화기 중 특정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 신규탄착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 계산식을 기초로, 상기 특정 포병화기의 탄착점을 상기 신규탄착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신규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계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및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포병화기에서 상기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과 상기 신규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신규탄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 각각의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를 기초로, 수치화된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도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사격효과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포병 전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사격 지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사격탄착점을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분포도를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탄착점을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도와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제원 편차값을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UI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사격 지원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사격 지원 환경은 운용자단말(10), 및 운용자단말(10)과 연계하여 운용자의 사격통제를 지원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운용자단말(10)은 포병사격지원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서 운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단말을 일컫는다.
이러한 운용자단말(10)은 예컨대, PC, 노트북, 스마트 패드나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UI 화면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포병사격지원장치(20)는 지리정보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UI 화면을 제공하여 운용자의 사격통제를 지원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포병사격지원장치(20)는 예컨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운용자단말(10)이 접속 가능한 서버이거나, 운용자단말(1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모듈(예: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 사격 지원 환경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포병 전술에 있어서 사격통제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포병사격지원장치(20) 내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는 포병화기 별 탄착점을 표시하는 표시부(21),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확인부(22), 및 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계산부(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24), 및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도출부(2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표시부(21), 확인부(22), 계산부(23), 처리부(24), 및 도출부(25)를 포함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포병사격지원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포병사격지원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서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에 대한 사격통제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포병사격지원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부(21)는 포병화기 별 탄착점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1)는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최초사격제원(편각, 사거리)에 따라서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이 실시되는 경우,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탄착점(이하, '계획사격탄착점'이라 칭함)을 UI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21)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이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게 되는데, 이처럼 구별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인 A1, A2, A3, A4, A5, A6의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탄착형태 이미지인 A1, A2, A3, A4, A5, A6 각각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분포도 UI 화면에서 1포 내지 6포 각각의 계획사격탄착점을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분포도 UI 화면에는, 각 포병화기(1포~6포)의 좌 우 상 하, 각각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치는 동일 UI 화면 내 좌표(52S CH37512560)와, 표고(標高, 100m)에 해당하는 중심 위치로부터 각 포병화기가 이격되어 있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이격 단위는 미터(m)로 해석될 수 있다.
확인부(22)는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2)는 표적지역에 대한 특별 사향속 적용에 따라 다수의 포병화기 중 일부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서 새로운 탄착점(이하, '신규탄착점'이라 칭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다수의 포병화기가 위치하고 있는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계획사격탄착점의 신규탄착점으로의 이동은 예컨대, UI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운용자단말(10)에서의 터치 조작 또는 마우스 등의 조작장치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다수의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 중, 1포, 2포, 3포의 계획사격탄착점(A1, A2, A3)이 신규탄착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신규탄착점(탄착형태 이미지)의 분포는 아래 [수식 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식 1]
신규탄착점 분포x = 계획사격탄착점 분포x + [cos(각도(α,β)) × 각도(α,β)]
신규탄착점 분포y = 계획사격탄착점 분포y + [cos(각도(α,β) × 각도(α,β)]
<α = 계획사격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β=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여기서, 각도(α,β)는 α를 중심으로 한 동서남북 좌표계에서 α와 β를 잇는 연장선이 정북 방향과 시계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신규탄착점 분포x 와 신규탄착점 분포y는 각각 신규탄착점의 탄착형태 이미지가 가지게 되는 X축 거리와 Y축 거리를 말한다.
계산부(23)는 신규탄착점에 대한 신규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산부(23)는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가 확인되는 경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신규탄착점에 대한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을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와,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그리고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계산식과 이를 통해 계산되는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의 계산 결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각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계산식에는 다음이 전제된다.
WGS84FF(편율) = 0.0033528106647475
WGS84FFEQ(편율방정식) =
Figure 112017004952529-pat00001
RADIUSG(지구반경) = 6378137
∏(원주율) = 3.141592
RADIUSGPI(지구반경 θ) = RADIUSG × ∏/180
a = 포 진지의 위도 좌표
b = 포 진지의 경도 좌표
c =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d =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e = 계획사격탄착점의 편각
f = 계획사격탄착점의 사거리
먼저,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인 경우(|c - a| < 0.000005), 신규사격제원(신규탄착점에 대한 편각 및 사거리)은 아래 [수식 2]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2]
α = WGS84FFEQ × sin(c)
사거리1 =
Figure 112017004952529-pat00002
편각1 = (d -b) > 0 이면 90°, 그렇지 않은 270°
다음,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인 경우(|d - b| < 0.000005), 신규사격제원(신규탄착점에 대한 편각 및 사거리)은 아래 [수식 3]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3]
β = 적도와의 거리(c) - 적도와의 거리(a)
사거리2 = | β |
편각2 = (c - a) > 0 이면 0°, 그렇지 않으면 180°
여기서, 적도와의 거리(c)는 적도(위도 0°인 지점)로부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적도와의 거리(d)는 적도로부터 포 진지의 위도 좌표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인 경우, 신규사격제원(신규탄착점에 대한 편각 및 사거리)은 아래 [수식 4]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4]
γ = 적도와의 각도(c) - 적도와의 각도(a)
편각3 = atan((d-b),γ)
사거리3 = β/ cos(편각3)
여기서, 적도와의 각도(c)는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 진지의 경도 좌표(예: 30°)와 적도(위도 0°)의 교차점에서 포 진지의 위도 좌표(예: 35°)까지 연장선을 그었을 때, Y축과 연장선이 이루게 되는 각도(a)를 말하며, 적도와의 각도(c)는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예: 35°)와 적도(위도 0°)의 교차점에서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예: 38°)까지 연장선을 그었을 때, Y축과 연장선이 이루게 되는 각도를 말한다.
처리부(23)는 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3)는 신규사격제원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면,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편각, 사거리)과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 간의 차이인 사격제원 편차값이 UI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하게 된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최초사격제원(편각, 사거리)과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 간의 차이인 사격제원 편차값이 UI 화면 내에서 '수정량적용' 항목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사격제원 편차값(수정량적용편각, 수정량적용사거리)은 아래 [수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식 5]
수정량적용편각 = e - 신규탄착점의 편각
수정량적용사거리 = f - 신규탄착점의 사거리
도출부(24)는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출부(24)는 신규탁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들이 가지게 되는 탄착형태 이미지의 분포를 기초로 사격효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때, 도출부(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a) 및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b)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격효과를 도출하게 되는데, 여기서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a) 및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b)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의 사격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서는 이처럼 탄착형태 이미지의 분포를 기반으로 도출된 사격효과가 수치화된 정보로 UI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의 구성에 따르면,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특별 사향속 적용과 관련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포병 전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표시부(21)는 단계 'S10' 및 'S20'에 따라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최초사격제원(편각, 사거리)에 따라서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이 실시되는 경우,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UI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1)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이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게 되는데, 이처럼 구별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은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로 표시한다.
이어서, 확인부(22)는 단계 'S30' 및 'S40'에 따라 표적지역에 대한 특별 사향속 적용에 따라 다수의 포병화기 중 일부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서 새로운 탄착점(이하, '신규탄착점'이라 칭함)으로 이동되는 경우, 다수의 포병화기가 위치하고 있는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한다.
여기서, 계획사격탄착점의 신규탄착점으로의 이동은 예컨대, UI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운용자단말(10)에서의 터치 조작 또는 마우스 등의 조작장치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계산부(23)는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가 확인되는 경우, 단계 'S50' 및 'S60'에 따라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신규탄착점에 대한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을 계산한다.
여기서,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와,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그리고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처리부(23)는 신규사격제원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면, 단계 'S70'에 따라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편각, 사거리)과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 간의 차이인 사격제원 편차값이 UI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이후, 도출부(24)는 단계 'S80'에 따라 신규탁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들이 가지게 되는 탄착형태 이미지의 분포를 기초로 사격효과를 도출한다.
이때, 도출부(24)는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격효과를 도출하게 되는데, 여기서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의 사격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병사격지원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특별 사향속 적용과 관련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편각, 사거리)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함으로써, 포병 전술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표적지역에 대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표시되는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운용자가 원하는 신규탄착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며, 계획사격탄착점의 이동에 따른 신규사격제원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운용자단말
20: 포병사격지원장치
21: 표시부 22: 확인부
23: 계산부 24: 처리부
25: 도출부

Claims (12)

  1.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표적지역에 대해서 실시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다수의 포병화기 중 특정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 신규탄착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 계산식을 기초로, 상기 특정 포병화기의 탄착점을 상기 신규탄착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신규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특정 포병화기에서 상기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과 상기 신규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및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병사격지원장치는,
    상기 신규탄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 각각의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를 기초로, 수치화된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사격효과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
  6. 포 진지에 위치한 다수의 포병화기 각각에서 표적지역에 대해서 실시된 계획사격 시뮬레이션 결과인 포병화기 별 계획사격탄착점을 공산오차 확률에 기초한 탄착형태 이미지로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다수의 포병화기 중 특정 포병화기의 계획사격탄착점이 운용자 조작에 의해 신규탄착점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정의되는 지구 좌표계 기반 계산식을 기초로, 상기 특정 포병화기의 탄착점을 상기 신규탄착점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신규사격제원을 계산하는 계산단계; 및
    상기 특정 포병화기에서 상기 계획사격탄착점으로의 계획사격을 실시하는데 적용된 최초사격제원과 상기 신규사격제원 간의 편차값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 진지의 위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경도 좌표 간의 위치관계는,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가 상기 임계치 미만인 위치관계, 및 상기 포 진지의 위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위도 좌표 간의 차이와 상기 포 진지의 경도 좌표와 상기 신규탄착점의 경도 좌표 간의 차이 모두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위치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신규탄착점을 포함한 포병화기 별 탄착점 각각의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를 기초로, 수치화된 사격효과를 도출하는 도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분포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에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사격효과는,
    상기 표적지역 내에서 탄착형태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 및 상기 탄착형태 이미지 간의 서로 중첩된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질수록 높은 수치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병사격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007046A 2017-01-16 2017-01-16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46A KR101776614B1 (ko) 2017-01-16 2017-01-16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6/305,183 US11002515B2 (en) 2017-01-16 2017-11-24 Intelligent artillery fire suppor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17/013495 WO2018131791A1 (ko) 2017-01-16 2017-11-24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46A KR101776614B1 (ko) 2017-01-16 2017-01-16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614B1 true KR101776614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46A KR101776614B1 (ko) 2017-01-16 2017-01-16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2515B2 (ko)
KR (1) KR101776614B1 (ko)
WO (1) WO2018131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53B1 (ko) * 2021-09-16 2022-09-30 김구한 Gis 기반 대포병 탐지 레이더의 탐지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835B2 (en) * 2020-06-10 2023-10-10 David H. Sitrick Automatic weapon sub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utomated weapons sub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1790C3 (de) * 1974-03-12 1978-06-29 Precitronic Gesellschaft Fuer Feinmechanik Und Electronic Mbh, 2000 Hamburg Verfahren und Waffensystem zur Bekämpfung von Oberflächenzielen
JPS5595521A (en) * 1979-01-12 1980-07-19 Dainippo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painted heat resisting molded container
WO1998012572A1 (en) * 1996-09-23 1998-03-26 Techno International Limited Direction determining apparatus
US6875019B2 (en) * 2002-02-11 2005-04-05 United Defense, Lp Naval virtual target range system
US7275691B1 (en) * 2003-11-25 2007-10-02 Curtis Wright Artillery fire control system
KR100914274B1 (ko) 2007-11-02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곡사화기 사격 모의 훈련 시스템
US8046203B2 (en) * 2008-07-11 2011-10-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of errors, accuracy, and precision of guns and direct and indirect fire control mechanisms
IL204455A (en) * 2010-03-14 2015-03-31 Shlomo Cohen Artillery firing system and method
KR101119882B1 (ko) 2011-03-28 2012-02-29 국방과학연구소 사격제원 성능 분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70805B1 (ko) 2012-11-14 2014-12-0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5066531A1 (en) * 2013-10-31 2015-05-07 Aerovironment, Inc. Interactive weapon targeting system displaying remote sensed image of target area
KR101608397B1 (ko) 2014-04-14 2016-04-01 (주)네비웍스 공산오차를 이용한 탄착 확률 분석 방법
KR20160015143A (ko) 2014-07-30 2016-02-12 넥시스 주식회사 포탄방향인식시스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포탄 예상 탄착지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CN106152876B (zh) * 2015-04-15 2018-06-19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弹道预测系统
US20180061037A1 (en) * 2016-08-24 2018-03-01 The Boeing Company Dynamic, persistent tracking of multiple field el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53B1 (ko) * 2021-09-16 2022-09-30 김구한 Gis 기반 대포병 탐지 레이더의 탐지오차 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791A1 (ko) 2018-07-19
US20200378722A1 (en) 2020-12-03
US11002515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877B2 (en) Automatic correction of trajectory data
US93554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recognizing attitude of a plane
US201603279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etting method
US9754354B2 (en) Display control method,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9218789B1 (en) Correcting image positioning data
CN107807659A (zh) 一种无人机飞行控制方法及装置
US20160286351A1 (en) Indoor navigation anomaly detection
EP3214458B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isplaying reception status of beacon on electronic map
CN113048980B (zh) 位姿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783555B (zh) 一种基于无人机的目标定位方法、装置及系统
KR101776614B1 (ko) 지능형 포병사격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536374A (zh) 虚拟对象方向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US10359287B2 (en) Coordinating sensor platforms performing persistent surveillance
KR101511995B1 (ko) 제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간 관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436461B2 (ja) 鉛直軸校正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709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area visualization
US202100890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external device
KR20190041788A (ko) 격자화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245713B2 (ja) 画像表示装置
JP5644379B2 (ja) 電子掲示板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携帯端末
CN115729257A (zh) 矿井下无人机自主规划路径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74896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region in at least one input model for at least one element to be placed
CN114460576A (zh) 一种运用于曲面的多雷达系统及其交互方法
JP4864763B2 (ja) 空撮計画支援装置
CN113643440A (zh) 定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