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200B1 -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200B1
KR101776200B1 KR1020170036064A KR20170036064A KR101776200B1 KR 101776200 B1 KR101776200 B1 KR 101776200B1 KR 1020170036064 A KR1020170036064 A KR 1020170036064A KR 20170036064 A KR20170036064 A KR 20170036064A KR 101776200 B1 KR101776200 B1 KR 10177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base
unit decorative
base frame
floo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호
Original Assignee
박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호 filed Critical 박용호
Priority to KR102017003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2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3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04F15/0214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by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comprising: a floor base o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having a same size are formed; a base fram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to support the floor base; a plurality of column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bas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foo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having at least one assembling protrusion detachably assembled along at least one of the assembling hol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having various shapes, thus being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the floor structure and doubling decoration effects.

Description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Assembly type floor structure}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은,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easy to assemble, simple to desig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that is free to be changed.

마루구조는 건축물, 예컨대 아파트나 빌라, 한옥 등의 마루를 시멘트가 아닌 목재로 적용한 것을 일컫는다.The floor structure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the flooring of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villas and hanok, as wood rather than cement.

물론, 이와 같은 마루구조는 상기의 아파트나 빌라, 한옥 등의 건축물 외에도 정자의 마루나 평상 등에도 적용된다.Of course, such a floor structure can be applied to a floor or a flat of a sperm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apartment, a villa, a hanok, and the like.

통상의 마루구조는 바닥 위에 다수개의 동바리 기둥을 좌우 일정 간격으로 다수 열 설치하고 상기 동바리 기둥 위에 길이가 긴 수평부재인 장선목을 거치한 후, 합판이나 바닥판을 올린 구조를 갖는다.The conventional floor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s are arranged on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spacing, a plurality of columns are arranged on the floor, and a long member, which is a long member, is mounted on the column.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방식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합판이나 바닥판의 지속적인 수축 또는 팽창으로 인하여 상기 장선목의 처짐이나 균열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동바리 기둥의 중심축마저도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gging or cracking of the long neck is generated due to the continuous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plywood or the bottom plate with time, and the center axis of the round pillar is also deviated.

이에, 단위판재를 하나씩 배열하여 측방향으로 조립하는 마루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현재 대다수의 아파트나 빌라의 바닥에 이러한 마루구조가 적용되고 있다.Accordingly, a floor structure in which unit plates are arranged one by one and assembled laterally has been proposed, and currently, such a floor structure is applied to a floor of a majority of apartments or villas.

그런데, 이러한 마루구조의 경우, 조립에 의해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고 또한 부분 수정도 가능하지만 측방향으로 조립되는 구조라서 디자인 변경에 다소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신개념의 조립식 마루구조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floor structure, since it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can be enhanced, and partial modification is possible. However, since the structure is assembled laterally, there is a limitation in design change. A necessity arises.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11362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1-0011362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55755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8-0055755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41841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2-004184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32649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4-0032649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easy to assemble, simple to modify, and which can double the decoration effect, among other things.

상기 목적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는 마루 베이스;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코너(corner)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다수의 컬럼; 상기 컬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푸트부재; 및 상기 다수의 조립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돌기를 구비하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by a floor base comprising: a floor base o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having the same size are formed; A base fram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to support the floor base; A plurality of column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bas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foo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having various shapes and having at least one assembling protrusion detach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Is accomplished by a floor structure.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 마련되는 조립돌기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측벽이 경사진 경사면은 형성할 수 있다.The assembling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nit decorative floors may form inclined surfaces whose side walls are inclin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s.

상기 마루 베이스에는 자성 플레이트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되고,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석이 매입될 수 있다.The floor base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plate inserted therein, and a magne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magnetic plate may be embedded in the unit decorative floor.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단위 장식마루와 분리되게 마련되되 돌기 샤프트와, 상기 돌기 샤프트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돌기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는 상기 돌기 샤프트가 통과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의 조립홀에 조립되게 하는 통과구와, 상기 돌기 헤드가 단차 없이 자리배치되게 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assembly protrusion includes a protrusion shaft and a protrusion head which is separated from the unit decorative floor and has a larger area than the protrusion shaft, and the protrusion shaft is passed through the unit decorative floor, And a groove for allowing the projection head to be disposed without a step can be formed.

한편, 상기 목적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는 마루 베이스;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코너(corner)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다수의 컬럼; 상기 컬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푸트부재; 및 상기 다수의 조립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돌기를 구비하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마루 베이스가 걸쳐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마루 베이스에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두께가 상기 단위 장식마루의 두께보다 크게 제작되며,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마루 베이스와 상기 단위 장식마루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제작되며, 상기 컬럼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더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컬럼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마루 베이스의 조립홀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를 구비하는 조립 해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가 결합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사이드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하강될 때 간섭되지 않게 하는 비간섭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lso achieved by a floor base comprising: a floor base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having the same size; A base fram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to support the floor base; A plurality of column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bas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foo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lumn;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having various shapes and having at least one assembling protrusion detachab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hol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groove i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formed in the floor base is inserted, the thickness of the floor base is mad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A slider for slidably moving the base frame is provided on the column, and a slider for slidably moving the base frame is provided on the column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 fixing plate to be fixed, There is provided an assembling releas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releasing projections projected toward the assembling hole of the base floor base, wherein the securing plate includes a flat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releasing projections are engaged, And a non-interference bend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interference of the base frame when the base frame is lowered.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simple, it is not only convenient to manufacture but also easy to assemble, and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decoration effect because it is free from design 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단위 장식마루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 1의 과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마루 베이스에 단위 장식마루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위 장식마루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1 is an assembly view of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unit decorative floor is removed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in FIG. 2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IG.
4 is a view of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Fig. 5 is a rear view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nit decorative floor is assembled to a floor base.
7 is an exploded view of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shown i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used)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조립도, 도 2는 도 1에서 단위 장식마루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 1의 과정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에 대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마루 베이스에 단위 장식마루가 조립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위 장식마루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FIG. 1 is a view of assembling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of design chan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nit decorative floor is removed in FIG. Fig. 5 is a rear view of Fig. 4, Fig. 6 is a schematic plan view in which a unit decorative floor is assembled to a floor base, Fig. 7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Fig. 6,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floor base and the unit decorative floor.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는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마루 베이스(110), 베이스 프레임(120), 컬럼(130), 푸트부재(140), 그리고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150~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ple and easy to fabricate because it is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decoration effect because it is easy to change the design, among other things, A floor base 110, a base frame 120, a column 130, a foot member 140,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150-180.

참고로, 도 1 내지 도 5의 경우, 실제 제품 이미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마루 베이스(110)와, 단위 장식마루(150~180)들 중 하나의 장식마루(150)의 실질적인 조립구조에 대해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For reference, FIGS. 1 to 5 show actual product images. Therefore, a practical assembling structure of the floor base 110 and the decorative floor 150 of one of the unit floor floors 150 to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o FIG.

마루 베이스(110)는 단위 장식마루(150~180)가 조립되는 장소를 이룬다. 도 2,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베이스(110)에는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조립홀(111)이 형성된다. 조립홀(111)의 코너 영역은 라운딩처리된다.The floor base 110 is a place where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are assembled. 2, 4, 5, and 7, the floor base 110 has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111 having the same size. The corner area of the assembly hole 111 is rounded.

참고로, 도 2, 도 4 및 도 5에 이미지로 도시된 마루 베이스(110)의 사이즈 및 조립홀(111)들의 개수와 도 7의 도면은 서로 상이하지만 편의상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For reference, the sizes of the floor base 110 and the number of the assembly holes 111 shown in Figs. 2, 4 and 5 and the drawing of Fig. 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regarded as the same for convenience.

베이스 프레임(120)은 마루 베이스(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마루 베이스(1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ase frame 120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110 to support the floor base 110.

베이스 프레임(120)이 마루 베이스(110)의 둘레에 루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외관의 품질이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프레임(120)을 마루 베이스(110)와 다른 재질, 혹은 색상으로 구현할 경우,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전체적인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base frame 120 is formed in a loop shape around the floor base 110,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can be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 base frame 120 is implemented with a different material or color from the floor base 110, the overall appearance quality of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can be improved.

컬럼(130)은 베이스 프레임(120)의 코너(corner) 영역에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20)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lumn 130 i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120 to support the base frame 120 while keeping the base frame 120 spaced from the ground.

다수의 컬럼(130)에 의해 마루 베이스(110)는 지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13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컬럼(130)의 하단부에는 푸트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The floor base 11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by the plurality of columns 130. [ A foot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130 for stable installation of the column 130.

한편, 도 1, 도 3, 도 4,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150~180)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3, 4, and 5 to 8,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have various shapes.

도 1 및 도 3의 경우, 종류가 다른 4개의 세트로 된 단위 장식마루(150~180)가 개시되어 있다. 4개의 세트로 된 단위 장식마루(150~180)가 하나의 마루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색다른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경우, 마루 베이스(110) 상에 4개의 세트로 된 단위 장식마루(150~180) 중 한 세트, 두 세트, 세 세트만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case of Figures 1 and 3,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of four sets of different types are disclosed. Since four sets of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are disposed on one floor base 110, a different design can be provided. Therefore, in the case of FIG. 1, only one set, two sets, or three sets of four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on the floor base 110 may be used.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양과 디자인이 다른 단위 장식마루(150~180) 중에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단위 장식마루(15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shown in FIGS. 6 to 9 among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having different shapes and designs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6 내지 도 9으로 도면화 된 단위 장식마루(150)에는 마루 베이스(110)의 조립홀(11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조립돌기(152)가 형성된다.6 to 9, a plurality of assembly projections 152 are detachably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assembly holes 111 of the floor base 110 so as to be detach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도 7 및 도 8에는 단위 장식마루(150)가 3종류로 되어 있다. 즉 사이즈와 모양이 상이한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가 개시되어 있다. 물론, 단위 장식마루(150)에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도면에는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만을 도시하였다.7 and 8,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are of three kinds.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are disclosed. Of course, not only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should be applied to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but only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사이즈와 모양이 상이할 뿐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를 포함하는 단위 장식마루(150)에는 마루 베이스(110)의 조립홀(111)들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조립돌기(152)가 마련된다. 단위 장식마루(150)들 하나당 하나의 조립돌기(152)가 적용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조립돌기(152)가 마련되면 조립강도가 우수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150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which ar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from each other and which ar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assembly holes 111 of the floor base 110 An assembling protrusion 152 is provided. One assembly projection 152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However, if a plurality of assembly projections 152 are provided, the assembly strength can be improved.

이처럼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는 그 사이즈와 모양만 상이할 뿐 다수의 조립돌기(152)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따라서 단위 장식마루(150)의 제1 내지 제3 단위 장식마루(150a~150c)에 형성되는 다수의 조립돌기(152)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r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only from 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152.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assembly projections 152 formed on the first to third unit decorative floors 150a to 150c of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장식마루(150)에 형성되는 조립돌기(152)가 마루 베이스(110)의 조립홀(111)들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면서 단위 장식마루(150)를 마루 베이스(110) 상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데, 조립이 현저하게 편하기 때문에 도 1처럼 디자인 변경이 매우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도 1의 단위 장식마루(150~180)를 다시 재배열하면 도 1과는 다른 디자인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9, when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are mounted on the floor 110 while the assembly protrusions 152 formed on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are fitted into the assembly holes 111 of the floor base 110,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base 110. Since the assembly is remarkably eas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change can be made very freely as shown in Fig. That is, if the unit decorative floors 150 to 180 of FIG. 1 are rearranged again, a design different from FIG. 1 can be easily provided.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nd an action, since it is simple, it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easy to assembl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구조체 역시, 단위 장식마루(250)에는 조립돌기(252)가 마련되며, 마루 베이스(110)에는 조립홀(11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assembly protrusion 252 is provided in the unit decorative floor 250, and an assembly hole 111 is formed in the floor base 110.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위 장식마루(250)에 마련되는 조립돌기(252)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측벽이 경사진 경사면(252a)을 형성한다. 이처럼 조립돌기(252)의 측벽에 경사면(252a)이 형성되면 조립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In this structure, the assembling protrusions 252 provided on the unit decorative floors 250 form inclined surfaces 252a whose side walls are inclin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s. When the inclined surface 252a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252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of assembly is enhanc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s well as easy to assemble.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구조체 역시, 단위 장식마루(350)에는 조립돌기(352)가 마련되며, 마루 베이스(310)에는 조립홀(31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is drawing, in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decorative floors 350 are provided with an assembling protrusion 352, and the floor base 310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hole 311.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마루 베이스(310)에는 자성 플레이트(314)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되고, 단위 장식마루(350)에는 자성 플레이트(314)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석(354)이 매입된다.In this structure, a magnetic plate 314 is inserted in the floor base 310 and a magnet 354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magnetic plate 314 is embedded in the unit decorative floor 350.

본 실시예처럼 단위 장식마루(350)와 마루 베이스(310)에 자석(354)과 자성 플레이트(314)가 마련되면 조립돌기(352)의 조립구조 외에도 자석(354)에 의한 부착력이 제공되기 때문에 단위 장식마루(350)가 임의로 분리되어 제거됨으로써 디자인을 저해시키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When the magnets 354 and the magnetic plates 314 are provided on the unit decorative floors 350 and the floor base 31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adhesion force by the magnets 354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assembling protrusions 352 The unit decorative floors 350 are separated and removed arbitrarily, thereby preventing the design from being hinder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s well as easy to assemble.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서 마루 베이스와 단위 장식마루 간의 조립 구조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between a floor base and a unit decorative floor in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조립구조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조립돌기(490)는 단위 장식마루(450)와는 분리되게 마련된다.Referring to this figu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assembling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ing protrusion 490 is separated from the unit decorative floor 450.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조립돌기(490)는 돌기 샤프트(491)와, 돌기 샤프트(491)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돌기 헤드(492)를 포함하는 마치, 나무 못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ing projection 490 has a structure such as a wooden peg, including a projection shaft 491 and a projection head 492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projection shaft 491.

그리고 단위 장식마루(450)에는 조립돌기(490)의 돌기 샤프트(491)가 통과되어 마루 베이스(110)의 조립홀(111)에 조립되게 하는 통과구(451)와, 돌기 헤드(492)가 단차 없이 자리배치되게 하는 그루브(452)가 형성된다.The unit decorative floor 450 has a through hole 451 through which the projection shaft 491 of the assembly projection 490 is passed and assembled to the assembly hole 111 of the floor base 110, A groove 452 is formed to arrange it without a step.

본 실시예와 같을 경우, 마루 베이스(110) 상에 단위 장식마루(450)를 배치한 상태에서 통과구(451)로 조립돌기(490)를 삽입해서 조립홀(111)에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단위 장식마루(450)를 배치하여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 역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울 수 있다.When the unit decorative floors 450 are disposed on the floor base 110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s 490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451 and fastened to the assembly holes 111, The floor 450 can be arranged to make the design more beautiful. Such a structure is also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so that design changes can be made freely.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s well as easy to assemble.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루 베이스(510), 베이스 프레임(520), 컬럼(530), 푸트부재(540), 그리고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looring structure 510, the base frame 520, the column 530, the foot member 540, and the flooring base 540, which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550.

베이스 프레임(520)에는 마루 베이스(510)가 걸쳐 지지되는 걸림부(521)가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520)에 걸림부(521)가 형성되면 마루 베이스(510)가 하부로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base frame 520 is formed with a latching part 521 on which the floor base 510 is supported. When the latching part 521 is formed on the base frame 520, the floor base 510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falling down.

특히, 베이스 프레임(520)에 걸림부(521)가 형성되고 걸림부(521)에 마루 베이스(510)가 걸치는 구조의 경우,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루 베이스(510)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521 is formed on the base frame 520 and the floor base 510 is attached to the engaging portion 521, the advantage that the floor base 510 can be supported .

걸림부(521)에는 마루 베이스(510)에 형성되는 끼움돌기(512)가 끼워지는 돌기홈(522)이 형성된다. 마루 베이스(510)에 끼움돌기(512)가 형성되고 걸림부(521)에 돌기홈(522)이 형성되면 마루 베이스(510)가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에 자리배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ngaging portion 521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groove 522 through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512 formed in the floor base 510 is inserted. When the fitting protrusion 512 is formed in the floor base 510 and the protrusion groove 522 is formed in the locking part 521, the floor base 510 can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shaking.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마루 베이스(510)의 두께는 단위 장식마루(550)의 두께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In such a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floor base 510 may be mad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550.

그리고 걸림부(521)에서 베이스 프레임(520)의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마루 베이스(510)와 단위 장식마루(550)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제작된다.The length from the locking portion 521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frame 520 is lon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loor base 510 and the thickness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550.

이와 같은 길이 조건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인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고 간편하게 단위 장식마루(550)를 조립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having such a length con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able structur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can be easily assembled or replaced.

이와 같은 구조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는 슬라이더(535)가 마련된다. 슬라이더(535)는 마루 베이스(510)를 포함해서 베이스 프레임(520)을 P1 방향 혹은 P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더(535)는 수동일 수도 있고 혹은 전동식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a slider 535 is provided on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design chang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er 535 includes a floor base 510 and slides the base frame 520 in the P1 direction or the P2 direction. The slider 535 may be of the same number or may be of the electric typ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조립 해제부(560)가 더 갖춰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free from the design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disassembly portion 560,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조립 해제부(560)는 베이스 프레임(5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해제부(560)는 컬럼(530)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561)와, 고정 플레이트(561) 상에 마루 베이스(510)의 조립홀(511)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562)를 포함한다.The unlocking portion 560 may be provided under the base frame 520. The assembly releasing section 560 includes a fixing plate 561 fixed to the column 530 and a plurality of assembly releasing protrusions 560 protruding toward the assembly hole 511 of the floor base 510 on the fixing plate 561. [ (562).

이때, 고정 플레이트(561)는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562)가 결합되는 평탄부(561a)와, 평탄부(561a)의 사이드 영역에 형성되되 베이스 프레임(520)이 하강될 때 간섭되지 않게 하는 비간섭 절곡부(561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late 561 includes a flat portion 561a to which a plurality of the unlatching protrusions 562 are coupled and a flat portion 561b which is formed in a side region of the flat portion 561a and is not interfered when the base frame 520 is lowered Non-interference bending portion 561b.

본 실시예처럼 조립 해제부(560)가 마련될 경우, 마루 베이스(510)에 조립된 단위 장식마루(550)를 쉽게 조립해제, 즉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disassembling portion 560 is provid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assembled to the floor base 510 can be easily disassembled, that is, separated.

단위 장식마루(550)에 대한 조립해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단위 장식마루(550)가 마루 베이스(5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이들을 베이스 프레임(520)과 함께 슬라이더(535)를 이용해서 P2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위치 고정되어 있는 조립 해제부(560)의 조립 해제용 돌기(562)들이 마루 베이스(510)의 조립홀(511)로 삽입 가압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단위 장식마루(550)를 밀어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마루 베이스(510) 상에서 단위 장식마루(55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단위 장식마루(550)가 분리되고 나면 다시 베이스 프레임(520)을 P1 방향으로 올려 원위치 복귀시키고, 단위 장식마루(550)를 재배열하거나 다른 것으로 갈아 끼워 조립하면 된다.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tate where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are assembled to the floor base 510, they are lowered together with the base frame 520 in the P2 direction by using the slider 535. Since the assembly releasing protrusions 562 of the assembly releasing portion 560 which is fixed in position are inserted and pressed into the assembly hole 511 of the floor base 510, the unit decorative floor 550 can be pushed out , Thereby easily separating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on the floor base 510. After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are separated, the base frame 520 may be raised in the P1 direc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unit decorative floors 550 may be rearranged or interchanged with another.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며, 무엇보다도 디자인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장식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it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s well as easy to assem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10 : 마루 베이스 111 : 조립홀
120 : 베이스 프레임 130 : 컬럼
140 : 푸트부재 150~180 : 단위 장식마루
150a : 제1 단위 장식마루 150b : 제2 단위 장식마루
150b : 제3 단위 장식마루 152 : 조립돌기
110: floor base 111: assembly hole
120: base frame 130: column
140: Foot member 150 ~ 180: Unit decorative floor
150a: first unit decorative floor 150b: second unit decorative floor
150b: Third unit decorative floor 152: Assembly projection

Claims (5)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는 마루 베이스;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코너(corner)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다수의 컬럼;
상기 컬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푸트부재; 및
상기 다수의 조립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돌기를 구비하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단위 장식마루와 분리되게 마련되되 돌기 샤프트와, 상기 돌기 샤프트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돌기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는 상기 돌기 샤프트가 통과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의 조립홀에 조립되게 하는 통과구와, 상기 돌기 헤드가 단차 없이 자리배치되게 하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A floor base o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having the same size are formed;
A base fram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to support the floor base;
A plurality of column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bas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foo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lumn; And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having various shapes and having at least one assembling protrusion detach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assembly protrusion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nit decorative floor and includes a projection shaft and a projection hea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projection shaft,
Wherein the unit decorative floo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 allowing the projection shaft to pass through and being assembled into the assembly hole of the floor base and a groove for positioning the projection head without being stepp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 마련되는 조립돌기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측벽이 경사진 경사면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embly protrusions provided on the unit decorative floors form inclined surfaces whose side walls are inclin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 베이스에는 자성 플레이트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되고, 상기 단위 장식마루에는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자석이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gnetic plate is inserted in the floor base and a magne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magnetic plate is embedded in the unit decorative floor.
삭제delete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조립홀이 형성되는 마루 베이스;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마루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코너(corner)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다수의 컬럼;
상기 컬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푸트부재; 및
상기 다수의 조립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돌기를 구비하되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단위 장식마루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마루 베이스가 걸쳐 지지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마루 베이스에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 베이스의 두께가 상기 단위 장식마루의 두께보다 크게 제작되며,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마루 베이스와 상기 단위 장식마루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게 제작되며,
상기 컬럼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더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컬럼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상기 마루 베이스의 조립홀을 향해 돌출된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를 구비하는 조립 해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다수의 조립 해제용 돌기가 결합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사이드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하강될 때 간섭되지 않게 하는 비간섭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변경이 자유로운 조립식 마루구조체.
A floor base o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having the same size are formed;
A base fram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or base to support the floor base;
A plurality of columns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base fram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 foot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lumn; And
And a plurality of unit decorative floors having various shapes and having at least one assembling protrusion detachab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ssembling holes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floor bas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groove into which a fitting protrusion formed in the floor base is fitted,
The thickness of the floor base is mad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The length from the latching portion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frame is long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floor base and the thickness of the unit decorative floor,
Wherein the column is provided with a slider for slidably moving the base frame,
And an assembly releasing part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releasing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an assembly hole of the floor base,
Wherein the fixing plate includes a flat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unfolding protrusions are coupled and a non-interference bend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the side region of the flat portion and is not interfered when the base frame is lowered. This free prefabricated floor structure.
KR1020170036064A 2017-03-22 2017-03-22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KR101776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64A KR101776200B1 (en) 2017-03-22 2017-03-22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64A KR101776200B1 (en) 2017-03-22 2017-03-22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200B1 true KR101776200B1 (en) 2017-09-07

Family

ID=5992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64A KR101776200B1 (en) 2017-03-22 2017-03-22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20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671A (en) * 2003-09-18 2005-04-28 Wiruakuto:Kk Floor decorative material and floor decorativ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671A (en) * 2003-09-18 2005-04-28 Wiruakuto:Kk Floor decorative material and floor decorativ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736B2 (en) System for a floor covering
US20060185287A1 (en) Portable fl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JP2020511607A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1596027B1 (en) Finish of ceiling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three-dimensional effect
KR200455707Y1 (en) Removable partition structure
KR101415947B1 (en) Fence having decoration frame
US5078354A (en) Sectional decoration block
KR101776200B1 (en) Assembly type floor structure
KR102120937B1 (en) Panels for walls
KR100659726B1 (en) Indoor wall structure of building
KR101312790B1 (en) Removable partition
KR101145902B1 (en) Assembly type furniture
CN105952082A (en) Light decorative sheet convenient and fast to install
KR200465616Y1 (en) An assembling bookcase furniture extended to desk and bed
KR102106473B1 (en) A flooring assembly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2103626B1 (en) Assembly type panel frame and assembly type panel thereof
KR102055524B1 (en) Assembly type panel
JP3447714B2 (en) Assembly booths and members therefor
KR101527524B1 (en) Deck member using bloc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094919B1 (en) Deck post
KR200143083Y1 (en) Fixture for the ceiling panels
KR101744295B1 (en) Block assembly
KR940003897Y1 (en) Decorating blick
JP6931554B2 (en) Architectural lumber
KR20100001150U (en) floor's coupling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