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082B1 - Mixing shaft for agitator - Google Patents

Mixing shaft for agit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082B1
KR101776082B1 KR1020170043527A KR20170043527A KR101776082B1 KR 101776082 B1 KR101776082 B1 KR 101776082B1 KR 1020170043527 A KR1020170043527 A KR 1020170043527A KR 20170043527 A KR20170043527 A KR 20170043527A KR 101776082 B1 KR101776082 B1 KR 10177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s
shaft
hub
shaft body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102017004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B01F7/002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7/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A mixing shaft for an agitator is disclosed. The mixing shaft for an agitator comprises: a shaft body; a first hub and a second hub which are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shaft body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axis which is a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body; and a plurality of blade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in a spiral form. The hubs in which the blades are forme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haft body, and thus a user can adjust the agitating degree by the viscosity and height of an agitating object, and can add or remove the hubs.

Description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MIXING SHAFT FOR AGITATOR}[0001] MIXING SHAFT FOR AGITATOR [0002]

본 발명은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이 가능한 복수의 허브와 이들 허브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대상물을 효과적으로 교반하도록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shaft for an agit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xing shaft for an agitator for effectively stirring an object by a plurality of removable hubs and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ubs.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액체가 포함된 물질 등을 섞는 장치로서, 교반 대상물 속에 믹싱 샤프트가 잠겨지도록 한 후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교반 대상물이 섞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믹싱 샤프트에 부착된 임펠러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해 교반 대상물 내에서 선회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선회류에 따라 교반 대상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gitator is a device for mixing a liquid-containing substance and the like. The mixing shaft is immersed in an agitating object, and then the agitating object is mixed by driving the motor. Specifically, the impeller attached to the mixing shaft rotates, a swirling flow is formed in the stirring object by the rotating impeller, and agitation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stirring object according to the swirling flow.

여기서 종래의 교반기는 프로펠러 타입의 임펠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임펠러는 회전 반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교반 대상물이 보관된 수조 등의 크기가 임펠러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교반기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ere, a propeller-type impeller was used as a conventional stirrer. Since the impeller has a relatively large turning radius, when the size of the water tank or the like in which the stirring object is stored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impeller, the stirrer can not be used.

또한 종래의 교반기의 경우 임펠러의 개수에 따라 교반 대상물의 교반성이 정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교반 대상물이 잘 섞여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펠러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교반 대상물이 보관된 수조의 깊이가 얕은 경우에는 임펠러의 추가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irrer, the agitating property of the stirring obje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mpellers. Therefore, the number of impellers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mix the objects to be stirred. However, when the depth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object to be stirred is stored is shallow,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 of the impeller is limited.

또한 종래의 교반기의 경우 교반 대상물의 교반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임펠러를 추가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임펠러는 믹싱 샤프트에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임펠러의 개수를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tirrer, it is necessary to add an impeller to improve the agitating property of the stirring object.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impeller is welded to the mixing shaft, when the number of the impellers is increased or decreased, much effort and cost are consumed.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며, 탈착 가능한 복수의 허브를 믹싱 샤프트의 양 측면에 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gitator for stirring an object to be agitated efficiently by allowing a plurality of blades to be formed and attaching a plurality of removable hubs to both sides of the mixing shaft, In order to provide a mixing shaf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는 샤프트 본체, 샤프트 본체의 양 측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며, 샤프트 본체의 축 방향인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인 제1 및 제2 허브, 및 제1 및 제2 허브 각각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ixing shaft for an ag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body, a first and a second shaft which are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shaft body, 2 hub, and a plurality of blades protruding spirally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또한 제1 및 제2 허브는 세로축의 일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일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hubs may have a larger diameter in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또한 제1 및 제2 허브는 대향하는 각 면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홈 및 홈에 배치되어 결합된 자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hubs may each include a magnet disposed in a groove and a groov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n each of the facing surfaces.

또한 세로축과 수직인 가로축에 대하여 제1 및 제2 허브와 각각 대칭이며, 제1 및 제2 허브와 각각 밀착 가능한 제3 및 제4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may further include third and fourth hubs symmetrical to the first and second hub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and capable of closel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hubs, respectively.

또한 제1 내지 제4 허브와 동일한 형상의 제5 내지 제8 허브를 더 포함하고, 제1 내지 제4 허브를 포함하는 제1군 허브는 제5 내지 제8 허브를 포함하는 제2군 허브와 세로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group hub including the first through fourth hub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roup hub including the fifth through eighth hubs and a second group hub including the fourth through eighth hubs, And may be arranged sequenti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또한 샤프트 본체의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에 대한 단면은 다각형의 형상이고, 대향하는 제1 및 제2 허브의 수직인 방향에 대한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bod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may be a polygonal shap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facing each other may be a polygonal shape.

또한 샤프트 본체와 결합되어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임펠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n impeller coupled to the shaft body and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또한 임펠러는 제1 및 제2 허브에 대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Also, the impeller may be located either above or below the first and second hubs.

또한 샤프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샤프트 본체를 통하여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pressure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rough the shaft body.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믹싱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허브의 회전 반경이 종래의 임펠러에 비해 작으므로, 교반 대상물이 보관된 수조 등의 너비에 관계없이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형성된 허브를 샤프트 본체에 탈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교반 대상물의 점도, 높이 등에 따라 교반성을 조절할 수 있고, 허브의 교환, 추가, 제거 등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 radius of the hub due to the rotation of the mixing shaf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impeller, the agitation of the stirring object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water tank or the like can do. Further, since the hub in which the blades are formed can be detached from the shaft main body, the user can adjust the agitating property according to the viscosity, the height, etc. of the stirring object, and the hub can be easily replaced, added or remov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 관한 단면도의 일 예,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의 다양한 예,
도 11 내지 도 14는 압력 센서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g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10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shaf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ens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use of the terms "comprising" or "having" in this applic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특정 도면에 해당 부호가 없더라도, 그 이전에 설명된 도면에 해당 부호가 있다면 이를 표기하여 설명할 수 있다. Even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symbol in the specific drawing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re is a corresponding symbol in the previously described drawing, it can be described by indicat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에 관한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반기(100)는 본체(10), 모터(20), 감속기(30), 출력축(40), 구동 샤프트(50), 커플러(60), 믹싱 샤프트(70),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 샤프트(70)는 샤프트 본체(80), 허브(9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g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stirrer 100 includes a main body 10, a motor 20, a speed reducer 30, an output shaft 40, a drive shaft 50, a coupler 60, a mixing shaft 70, a processor Not shown). The mixing shaft 70 may include a shaft body 80, a hub 90, and the like.

교반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모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2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모터(20)의 하측에는 모터(20)의 피니언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30)의 출력축(40) 말단에는 구동 샤프트(50)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50)의 말단에는 커플러(60)가 배치될 수 있고, 커플러(60)는 구동 샤프트(50)와 믹싱 샤프트(7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0)에서 발생한 회전력은 구동 샤프트(50)를 통해 믹싱 샤프트(7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상세하도록 한다. A motor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agitator main body 10. The motor 20 can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outside and generate rotational motion. And a speed reducer 30 coupled to the pinion of the motor 20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may be disposed below the motor 20. A driving shaft 50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output shaft 40 of the speed reducer 30. A coupler 60 may be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ive shaft 50 and the coupler 60 may connect the drive shaft 50 and the mixing shaft 70.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the motor 20 can be transmitted to the mixing shaft 70 through the drive shaft 50. [ A processor (not shown) may control the speed of the motor, as detailed in Figures 11-14.

한편 믹싱 샤프트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도록 한다. The mixing shaf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샤프트의 일 예이며, 샤프트 본체(8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2 to 3 show an example of a mixing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haft body 80 has a circular s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믹싱 샤프트(70)는 샤프트 본체(80), 허브(90), 복수의 블레이드(91)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90)는 샤프트 본체(80)의 외면에 부착되어 샤프트 본체(80)와 결합이 가능하다. 허브(90)의 외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9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91) 각각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허브(90)의 바깥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대상물 내에서 믹싱 샤프트(80)가 회전하면, 허브(90)도 회전하게 되므로, 복수의 블레이드(91)에 의해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ixing shaft 70 may include a shaft body 80, a hub 90, and a plurality of blades 91. The hub 9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body 80 and is engageable with the shaft body 80. A plurality of blades 9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90.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91 may be spirally formed and protrude outwardly of the hub 90. Therefore, when the mixing shaft 80 rotates in the object to be stirred, the hub 90 also rotates, so that stirring of the object to be stirred can be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s 91.

도 3을 참조하면, 허브(90)는 제1 허브(90-1) 및 제2 허브(90-2)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 본체(80)의 가로축 방향 단면은 원형이므로, 제1 및 제2 허브(90-1, 90-2)의 가로축 방향 단면의 중심부는 각각 반원의 형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hub 90 may include a first hub 90-1 and a second hub 90-2. Since the transverse axial section of the shaft main body 80 is circular, the central portions of the transverse axial cross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may each have a semicircular shape.

또한 제1 및 제2 허브(90-1, 90-2)의 대향하는 각 면은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제2 허브(90-2)의 일 면과 대향하는 제1 허브(90-1)의 일 면에는 홈(92)이 형성될 수 있다. 홈(92)에는 자석(9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제2 허브(90-2)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각각의 홈(92)은 제1 및 제2 허브(90-1, 90-2)가 대향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가 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허브(90-1, 90-2)는 각각에 내장되어 고정된 자석(93) 상호간의 인력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자석(93) 상호간의 인력 이상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제1 및 제2 허브(90-1, 90-2)는 각각 분리될 수도 있다. Also, the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 groove 9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ub 90-1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hub 90-2. A magnet 93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ove 92.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second hub 90-2, and each of the grooves 92 has the same pos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are opposed to each other, .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xed magnets 93 embedded therein. Further, since the force greater than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magnets 93 is applied,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제1 및 제2 허브(90-1, 90-2) 각각은 세로축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허브(90-1, 90-2) 각각의 경우 하측부에서의 직경은 상측부에서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Fur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may have a larger diameter in the vertical axis direction. That is, in the cas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the diameter at the lower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at the upper portion.

한편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샤프트 본체(8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샤프트 본체(80)의 단면이 타원인 경우도 가능하다. 2 to 3, the shaft main body 8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haft main body 80 may have an elliptical cross section.

한편 도 3에서는 정사각형 형상의 홈(92) 및 자석(93)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홈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각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자석 또한 이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홈은 제1 및 제2 허브(90-1, 90-2)의 대향하는 각 면에 대응되는 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며, 자석 또한 이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홈 및 자석의 형상에 의함으로써, 제1 및 제2 허브(90-1, 90-2)의 결합력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 본체(8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및 제2 허브(90-1, 90-2)는 원심력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the square-shaped groove 92 and the magnet 93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groove may be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agnet may have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grooves may have a tri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c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and the magnets may have the same shape. The coupl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can be increased by the shape of the groove and the magnet so that even if the shaft body 80 rotates at a high speed, (90-1, 90-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한편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 허브(90-1, 90-2) 각각의 외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및 제2 허브(90-1, 90-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샤프트 본체(80)의 원하는 위치에 제1 및 제2 허브(90-1, 90-2)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to 3, a handl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respectivel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and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are disposed at desired positions of the shaft main body 80, Can be easily attached.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샤프트의 다른 예이며, 샤프트 본체(18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4 to 6 show another example of the mixing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haft body 18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샤프트 본체(180)는 사각기둥일 수 있다. 즉 샤프트 본체(180)의 가로축 방향 단면이 사각형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haft body 180 may be a square pillar. That is, the cross-section of the shaft body 18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a square.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의 가로축 방향 단면의 중심부는 각각 직각의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가 결합된 형상을 상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가 결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의 홀(9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가 결합되어 형성된 홀(95)의 가로축 방향 단면은 샤프트 본체(180)의 단면과 같은 사각형일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cent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each have a right angle. Fig. 6 is a top view of the shap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are combined.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are coupled, a square hole 95 as shown in FIG. 6 can be formed. The cross section of the hole 95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may be the same as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body 180. [

따라서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는 샤프트 본체(180)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haft body 180 as a center.

한편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샤프트 본체(18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샤프트 본체(180)의 단면이 오각형, 육각형, 기타 다각형인 경우에도 동일한 설명이 가능하다. 4 to 6, the shaft main body 18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same description can be made in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body 180 is pentagonal, hexagonal, or other polygonal.

이와 같은 믹싱 사프트의 형상에 의함으로써, 샤프트 본체(18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 및 제2 허브(190-1, 190-2)는 원심력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adopting such a shape of the mixing shaft, even if the shaft main body 18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first and second hubs 190-1 and 190-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샤프트의 또 다른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7 to 10 show another example of a mixing sh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믹싱 샤프트(270)는 하나의 샤프트 본체(80)에 4개의 허브가 결합된 형태이다. 즉 제1 및 제2 허브(도 3의 90-1, 90-2)가 결합된 제1 허브 결합체(290-1)와 제3 및 제4 허브(미도시)가 결합된 제2 허브 결합체(290-2)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제3 및 제4 허브(미도시)는 전술한 제1 및 제2 허브(도 3의 90-1, 90-2)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3 및 제4 허브(미도시)는 각각 제1 및 제2 허브(도 3의 90-1, 90-2)와 밀착 가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mixing shaft 270 has four hubs coupled to one shaft body 80. That is, a first hub coupling body 290-1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are coupled, and a second hub coupling body (not shown)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hubs 290-2 may be combined. The third and fourth hubs (not shown)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of FIG. 3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third and fourth hubs (not shown)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hubs 90-1 and 90-2, respectively, and may be coupled by a magnet as described above.

도 7에서는 제2 허브 결합체(290-2)가 상하로 뒤집어진 상태에서 제1 허브 결합체(290-1)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허브 결합체(290-2)가 상하로 뒤집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허브 결합체(290-1)과 결합될 수도 있다. In FIG. 7, the second hub coupling member 290-2 is coupled with the first hub coupling member 290-1 in a state where the second hub coupling member 290-2 is turned upside d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econd hub coupling body 290-2 may be engaged with the first hub coupling body 290-1 without being turned upside down.

도 8은 도 7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허브 결합체(290-1, 290-2)가 복수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샤프트 본체(80)를 따라 제1 및 제2 허브 결합체(290-1, 290-2), 제3 및 제4 허브 결합체(290-3, 290-4), 제5 및 제6 허브 결합체(290-5, 290-6)가 배치될 수 있다. FIG. 8 shows a cas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ub assemblies 290-1 and 290-2 described in FIG. 7 are plural. 8, the first and second hub coupling members 290-1 and 290-2, the third and fourth hub coupling members 290-3 and 290-4, 5 and sixth hub couplings 290-5 and 290-6 may be disposed.

또한 제2 허브 결합체(290-2)와 제3 허브 결합체(290-3) 사이에는 기 설정된 거리(D1)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제4 허브 결합체(290-4)와 제5 허브 결합체(290-5) 사이의 거리(D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D1 및 D2는 동일한 거리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D1 및 D2는 영(Zero)의 값을 가짐으로써 모든 허브 결합체가 상하로 밀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redetermined distance D1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second hub coupling body 290-2 and the third hub coupling body 290-3. This also applies to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ourth hub coupling member 290-4 and the fifth hub coupling member 290-5. In this case, D1 and D2 may be the same distance, and in some cases, D1 and D2 may have a value of Zero, so that all of the hub assemblies may be adhered up and down.

도 9를 참조하면, 믹싱 샤프트(470)는 하나의 샤프트 본체(80)에 제1 및 제2 허브 결합체(290-1, 290-2)와 더불어 하나의 임펠러(299)가 결합된 형태이다. 즉 제1 및 제2 허브 결합체(290-1, 290-2)의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의 임펠러(299)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허브 결합체(290-1, 290-2)의 회전에 더하여 임펠러(299)의 회전에 의해 교반 대상물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mixing shaft 470 has a shape in which one shaft body 80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ub assemblies 290-1 and 290-2, and one impeller 299 is combined. That is, one impeller 299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hub assemblies 290-1 and 290-2.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ub assemblies 290-1 and 290-2, the stirring of the stirring object can be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299. [

이 경우 임펠러(299)는 종래의 방식대로 샤프트 본체(80)에 결합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impeller 299 may be coupled to the shaft body 80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may be coupled by a magnet as described above.

한편 임펠러(299)의 날 방향은 제2 허브 결합체(290-2)의 날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허브 결합체(290-2)의 회전에 의한 교반 대상물의 대류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과 임펠러(299)의 회전에 의한 교반 대상물의 대류 방향은 반대(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대상물의 교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ade direction of the impeller 299 may be opposite to the blade direction of the second hub coupling member 290-2.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of the stirring object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hub coupling member 290-2 and the convection direction of the stirring object due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299 are opposite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 Therefore, the stirring property of the stirring object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임펠러(299)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프로펠러 타입 형태를 가지므로, 한 쌍의 임펠러는 하나의 임펠러로 표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since the impeller 299 generally has a pair of propeller type shapes, the pair of impellers may be represented by one impeller.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믹싱 샤프트(370)에 복수의 임펠러(299-1 ~ 299-3)가 포함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샤프트 본체(80)를 따라 제1 내지 제3 임펠러(299-1 ~ 299-3)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및 제3 허브 결합체(290-2, 290-3) 사이에 제1 임펠러(299-1), 제4 및 제5 허브 결합체(290-4, 290-5) 사이에 제2 임펠러(299-2), 제6 허브 결합체(290-6) 하단부에 제3 임펠러(299-3)가 배치될 수 있다. FIG. 10 show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impellers 299-1 through 299-3 are included in the mixing shaft 370 illustrated in FIG.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to third impellers 299-1 to 299-3 may be disposed along one shaft body 80. In FIG. In this case, a first impeller 299-1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hub couplings 290-2 and 290-3, and a second impeller 299-1 is provided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hub couplers 290-4 and 290-5. The second impeller 299-2, and the third impeller 299-3 at the lower end of the sixth hub coupling body 290-6.

도 11 내지 도 14는 압력 센서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1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ensor.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1 내지 도 12에서는 압력 센서(96)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1 to 12, the position where the pressure sensor 96 is disposed will be described.

압력 센서(9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80)의 말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8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96)는 부착된 위치에서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그 원리 및 종류 등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The pressure sensor 96 may be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body 80 as shown in FIG. 11 and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haft body 80 as shown in FIG. The pressure sensor 96 measures the pressure at the attached position, and is widely known as to its principle and kind.

도 13 내지 도 14에서는 교반 대상물의 양에 따라 믹싱 샤프트(770)의 회전 속도 제어를 설명하기로 한다. 13 to 14, the control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ixing shaft 770 will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stirring object.

도 13에서는 수조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교반 대상물이 있음에 반해, 도 14에서는 수조를 거의 가득 채울 정도에 해당하는 교반 대상물이 있다. 이 경우 압력 센서(96)는 교반 대상물의 높이가 H1인 경우의 압력을 P1으로 센싱하고, 교반 대상물의 높이가 H2인 경우의 압력을 P2로 센싱할 수 있다. 즉 P2는 P1 보다 크다. In Fig. 13, there is an object to be stirred corresponding to about half of the water tank, while in Fig. 14, there is an object to be stirred enough to almost fill the water tank. In this case, the pressure sensor 96 can sense the pressure when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stirred is H1, and the pressure when the height of the object to be stirred is H2. That is, P2 is larger than P1.

여기서 압력 센서(96)는 샤프트 본체(870) 및 구동 샤프트(도 1의 50)를 통하여 프로세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96)에서 센싱된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신호는 프로세서(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Here, the pressure sensor 9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not shown) through the shaft body 870 and the drive shaft (50 in FIG. 1). Accordingly,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96 may be transmitted to a processor (not shown).

이후 프로세서(미도시)는 센싱된 P1의 크기에 대응하는 믹싱 샤프트(770)의 회전 속도 V1을 유지하도록 모터(도 1의 2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미도시)는 센싱된 P2의 크기에 대응하는 믹싱 샤프트(870)의 회전 속도 V2를 유지하도록 모터(도 1의 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not shown) may then control the motor (20 in FIG. 1) to maintain the rotational speed V1 of the mixing shaft 77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nsed P1. Similarly, a processor (not shown) may control the motor (20 in FIG. 1) to maintain the rotational speed V2 of the mixing shaft 87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nsed P2.

따라서 압력 센서(96)에 의해 믹싱 샤프트(770, 870)의 회전 속도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ixing shafts 770 and 87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pressure sensor 96. [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교반기 10: 본체
20: 모터 30: 감속기
40: 출력축 50: 구동 샤프트
60: 커플러 70: 믹싱 샤프트
80: 샤프트 본체 90: 허브
100: stirrer 10: main body
20: Motor 30: Reducer
40: output shaft 50: drive shaft
60: Coupler 70: Mixing shaft
80: shaft body 90: hub

Claims (9)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교반기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에 있어서,
샤프트 본체;
상기 샤프트 본체의 양 측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 본체의 축 방향인 세로축에 대하여 대칭인 제1 및 제2 허브;
상기 세로축과 수직인 가로축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허브와 각각 대칭이며, 상기 제1 및 제2 허브와 각각 밀착 가능한 제3 및 제4 허브;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허브 각각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1. A mixing shaft for a stirrer used in connection with a stirrer including a motor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rotation speed of the motor,
A shaft body;
First and second hubs detach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body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shaft body;
Third and fourth hubs symmetrical to the first and second hub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axis, the fourth hub and the fourth hub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hubs, respectively; And
And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outer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hub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는
상기 세로축의 일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hubs
Wherein a diameter of the mixing shaft increases toward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는
대향하는 각 면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홈; 및
상기 홈에 배치되어 결합된 자석;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hubs
A groov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n each of opposing surfaces; And
And a magnet disposed in the groove and coupled to the mixing shaf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허브와 동일한 형상의 제5 내지 제8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허브를 포함하는 제1군 허브는 상기 제5 내지 제8 허브를 포함하는 제2군 허브와 상기 세로축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fifth to eighth hubs of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o fourth hubs,
Wherein the first group hub including the first through fourth hubs is disposed sequential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group hub including the fifth through eighth hubs and the longitudin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본체의 상기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에 대한 단면은 다각형의 형상이고,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허브의 상기 수직인 방향에 대한 단면의 형상은 상기 다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shaft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is a polygonal shape,
Where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shape of the polyg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세로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mpeller coupled to the shaft body and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대한 상측 또는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mpell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ubs are located on either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u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본체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본체를 통하여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shaft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rough the shaft body.
KR1020170043527A 2017-04-04 2017-04-04 Mixing shaft for agitator KR101776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27A KR101776082B1 (en) 2017-04-04 2017-04-04 Mixing shaft for agit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27A KR101776082B1 (en) 2017-04-04 2017-04-04 Mixing shaft for agit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082B1 true KR101776082B1 (en) 2017-09-07

Family

ID=5992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27A KR101776082B1 (en) 2017-04-04 2017-04-04 Mixing shaft for agit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0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05A (en)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제일엠앤에스 Mix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11B1 (en) * 2009-03-02 2009-10-09 프리마에이텍(주) A deep agitator
KR101525925B1 (en) * 2014-11-20 2015-06-09 심화준 Hyper bloid type mixer
KR200477652Y1 (en) * 2013-02-15 2015-07-09 아쿠아셀 주식회사 Hub assembly for agitator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11B1 (en) * 2009-03-02 2009-10-09 프리마에이텍(주) A deep agitator
KR200477652Y1 (en) * 2013-02-15 2015-07-09 아쿠아셀 주식회사 Hub assembly for agitator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KR101525925B1 (en) * 2014-11-20 2015-06-09 심화준 Hyper bloid type mix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505A (en)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제일엠앤에스 Mixer
KR102566243B1 (en) * 2021-07-07 2023-08-11 주식회사 제일엠앤에스 Mix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51B1 (en) Agitator
KR101624987B1 (en) Small size complex mixing device and its system
CN102500269B (en) Unpowered pipeline stirrer
KR101776082B1 (en) Mixing shaft for agitator
KR200486653Y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KR101104816B1 (en) Shaft for coupling impeller used in pump
JP2012106201A (en) Stirring device
KR20170125488A (en) Magnetic drive for bidirectional driving
JP2010155220A (en) Stirring apparatus
CN203862240U (en) Self-balanced type casting turbine stirrer
JP2007000681A (en) Stirring rod and stirrer equipped with the same
CN207413305U (en) A kind of bottom entering type magnetic stirring apparatus
KR20150012024A (en) Small size complex mixing device and its system
KR20060056735A (en) Agitating system with suck in function of foam
WO2015137411A1 (en) Stirring device
JP3678796B2 (en) Magnetic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stirrer, stirring device and magnetic bearing
KR101599004B1 (en) Semi-liquid mixture storage tank
JP6558706B2 (en) Stirrer for stirrer
CN207614763U (en) A kind of magnetic stirrer of magnetic stirring apparatus
CN110841542A (en) Tetrafluoro magnetic stirrer
CN205020019U (en) Overhead type magnetic stirring structure
CN212819588U (en) Suspension magnetic stirrer
CN211800497U (en) Magnetic stirrer stirring structure for liquid mixing
CN215963032U (en) Asphalt mixer
JPH06343846A (en) Agi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