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661B1 -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661B1
KR101775661B1 KR1020150115437A KR20150115437A KR101775661B1 KR 101775661 B1 KR101775661 B1 KR 101775661B1 KR 1020150115437 A KR1020150115437 A KR 1020150115437A KR 20150115437 A KR20150115437 A KR 20150115437A KR 101775661 B1 KR101775661 B1 KR 10177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piston
hydraulic
doo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080A (ko
Inventor
장종복
정순자
Original Assignee
장종복
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정순자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5011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6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으로; 도어 틀(2)과 도어(1)에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각각 형성하여 도어(1)를 도어 틀(2)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2,113)의 사이에 중앙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2,123)을 형성하여 플레이트(112,113)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중앙하우징(121)의 내부에 실린더(131)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유압가이드부(13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상측으로 수직가이드관(14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수직가이드관(141)에 가이드장공(142)을 천공한 수직가이드부(14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내부에 피스톤(151)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151)의 상향으로 로드(152)를 형성하되, 로드(152)에 가이드장공(142)에 대응하는 체결공(153)을 천공하고 피스톤(152)의 저면 중앙에 나사조절홈(154)을 형성하며 피스톤(151)의 상하측을 연통하는 유압통로(155)를 형성하고 나사조절홈(154)에 조절구(156)을 결합하여 유압통로(155)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조절부(15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하부에 조절블록(161)을 삽입하여 유압조절부(150)의 조절구(156)에 결합하므로 조절구(15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피스톤(151)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연결관(165)으로 연결하여 유압을 원활하게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조작부(16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상부하우징(122) 내부에 회전가이드관(17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고 회전가이드관(171)의 내부에 수직가이드관(141)을 삽입하되 회전가이드관(171)에 가이드장공(142)과 체결공(153)에 대응하는 나선가이드장공(172)를 천공하여 동력전달핀(173)을 끼워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승하강유도부(170); 및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하부하우징(122,123)에 결합하는 마감캡(180)으로 구성하므로; 경첩의 내부 유압을 외부에서 효율적으로 조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유압경첩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힐 때 부드럽고 안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최종 순간 닫히는 힘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Oil pressure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경첩을 설치한 도어가 닫힐 때 부드럽고 안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최종 순간 닫히는 힘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경첩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첩과 스프링이나 유압 또는 이들이 조합하여 열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자유 경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자유경첩은 도어를 열고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고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식 자유 경첩은 도어를 열면 내장된 스프링이 감기게 되고, 닫힐 때에는 도어의 열림으로 감겨진 스프링이 원위치로 풀어지면서 도어가 닫히게 된다.
특히, 도어를 열고난 후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유압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탄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서서히 도어가 닫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유 경첩은 유압장치의 설치로 코스트가 증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으로만 도어가 닫히게 하는 경우에 감긴 스프링의 탄성이 그대로 도어에 전달되어 급작스럽게 닫히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유압장치는 매우 정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기밀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유압의 누기 등으로 훼손의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자유 경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자유 경첩의 코스트를 크게 높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자유 경첩은 도어가 거의 닫히기 직전에 문틀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저항이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탄성과 유압은 조금씩 떨어지게 되므로 도어를 완전하게 닫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게 위하여 종래에는 유압과 탄성을 크게 하여 도어가 닫힐 때 보다 큰 힘으로 작동되도록 하므로 장기 사용으로 자유 경첩에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이로 인하여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빠른 닫힘으로 원하는 안전한 닫힘 속도를 얻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노약자들이 사용하기 불편하며 심지어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경첩의 내부 유압을 외부에서 효율적으로 조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유압경첩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개페용 유압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경첩을 설치한 도어가 닫힐 때 부드럽고 안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최종 순간 닫히는 힘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고품질의 도어 개페용 유압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은 좌우측플레이트를 각각 형성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측플레이트의 사이에 중앙하우징과 상·하부하우징을 형성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중앙하우징에 실린더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유압가이드부와; 상기 유압가이드부의 실린더에 가이드장공을 천공한 수직가이드관을 상향으로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수직가이드부와; 상기 유압가이드부의 실린더에 피스톤을 삽입하고 로드를 상향으로 형성하되, 로드에 가이드장공에 대응하는 체결공을 천공하고 피스톤의 상하를 유압통로로 연통시킨 유압조절부와; 상기 유압가이드부의 실린더 하부에 조절블록을 삽입하되 조절블록과 피스톤을 신축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외부에서 유압통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조작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하우징에 수직가이드관을 삽입한 회전가이드관을 결합하고 회전가이드관에 가이드장공과 체결공에 대응하는 나선가이드장공를 천공하되 동력전달핀으로 나선가이드장공과 가이드장공 및 체결공을 관통시켜 결합한 승하강유도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은 도어를 열면 회전가이드관의 나선가이드장공과 수직가이드관의 가이드장공 및 피스톤의 로드에 천공한 체결공에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동력전달핀이 가이드장공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가이드장공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로드가 상측으로 당겨져 피스톤이 상사점으로 이동하고, 열린 도어가 자유상태에서 스프링경첩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면 도어가 완전하게 닫히기 직전에 피스톤이 실린더의 확장경사턱을 지나도록 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의 하부에 걸린 유압을 일시 제거하여 약화된 탄성작용으로도 도어가 정확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신축연결관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피스톤의 유압통로로 흐르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조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유압경첩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힐 때 부드럽고 안전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도어가 최종 순간 닫히는 힘이 적극적으로 작용하여 도어의 닫힘 동작이 완전하게 마무리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닫히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스프링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다른 신축연결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의 다른 신축연결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100)은 도어 틀(2)과 도어(1)에 결합하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각각 형성하여 도어(1)를 도어 틀(2)에 고정시키는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2,113)의 사이에 중앙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2,123)을 형성하여 플레이트(112,113)가 상호 회전되게 하는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중앙하우징(121)의 내부에 실린더(131)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유압가이드부(13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상측으로 수직가이드관(14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수직가이드관(141)에 가이드장공(142)을 천공한 수직가이드부(14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내부에 피스톤(151)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151)의 상향으로 로드(152)를 형성하되, 로드(152)에 가이드장공(142)에 대응하는 체결공(153)을 천공하고 피스톤(152)의 저면 중앙에 나사조절홈(154)을 형성하며 피스톤(151)의 상하측을 연통하는 유압통로(155)를 형성하고 나사조절홈(154)에 조절구(156)을 결합하여 유압통로(155)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조절부(15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하부에 조절블록(161)을 삽입하여 유압조절부(150)의 조절구(156)에 결합하므로 조절구(156)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되 피스톤(151)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연결관(165)으로 연결하여 유압을 원활하게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조작부(16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상부하우징(122) 내부에 회전가이드관(17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고 회전가이드관(171)의 내부에 수직가이드관(141)을 삽입하되 회전가이드관(171)에 가이드장공(142)과 체결공(153)에 대응하는 나선가이드장공(172)를 천공하여 동력전달핀(173)을 끼워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승하강유도부(170); 및 상기 하우징부(130)의 상,하부하우징(122,123)에 결합하는 마감캡(180)으로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10)는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각각 형성하되 다수개의 고정용 구멍을 천공하여 도어(1)와 도어 틀(2)에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부(120)는 좌측플레이트(111)의 일측에 중앙하우징(121)을 형성하고 우측플레이트(112)의 일측에 중앙하우징(121)의 상하에 위치하는 상·하부하우징(122,123)을 각각 형성하되, 중앙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2,123)의 외주연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세팅핀(124)을 결합하는 다수개의 핀공을 천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압가이드부(130)는 실린더(131)의 내부에 오일을 충진하여 형성하되 내주연에 확장경사턱(132)을 형성하여 실린더(131)의 상부측 내경보다 하부측 내경을 크게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가이드부(140)는 실린더(131)의 상측에 상향으로 수직가이드관(14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되 수직가이드관(141)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장공(142)을 천공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조절부(150)는 실린더(131) 내부에 피스톤(151)을 삽입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복동할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151)의 상향으로 로드(152)를 형성하여 수직가이드관(141) 내부로 삽입하되 로드(152)가 피스톤(151)의 복동으로 수직가이드관(14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스톤(151)의 로드(152)에는 수직가이드관(141)의 가이드장공(142)에 대응하는 체결공(153)을 천공한다.
나아가, 피스톤(151)의 저면 중앙에는 나사조절홈(154)을 내부로 형성하고 피스톤(151)의 상하측을 연통하는 유압통로(155)를 형성하되, 유압통로(155)를 나사조절홈(154)의 외주연에도 연장하여 수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나사조절홈(154)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구(156)을 구비하여 조절구(156)와 나사조절홈(154)의 결합 상태를 조절하여 유압통로(155)을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조절구(156)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유압통로(157)을 형성하고 유압통로(157)에 볼과 스프링으로 형성한 체크벨브(158)을 결합하며, 피스톤(151)의 외주연에는 패킹을 결합하되 유자(U)형 패킹을 결합하여 피스톤(151)을 상하복동에 따른 유압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신축조작부(160)는 실린더(131)의 내부 하측에 조절블록(161)을 결합하고 조절블록(161)에 수직으로 오일공급통로(162)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실린더(131)의 내부로 오일을 손쉽게 충진할 수 있도록 하되 오일공급통로(162)의 하부에 차단볼트(163)를 구비한다.
여기서 조절블록(161) 상단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실린더(131)의 내주연에 조절블록(161)의 삽입할 때 정확한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조절블록(161)에는 오일공급통로(162)의 상향으로 신축연결관(165)을 형성하되 신축연결관(165)의 상단을 유압조절부(150)의 조절구(156)에 키결합하여 조절구(156)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피스톤(151)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연결관(165)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조절구(156)와 나사조절홈(154)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외부에서 유압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조절블록(161) 상단에 대응하는 걸림턱을 실린더(131)의 내주연에 조절블록(161)의 삽입할 때 정확한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절블록(161)의 하부 외주연에는 스플라인(164)을 형성하고 스플라인(164)에 결합하는 스냅링(166)을 구비하되 탄성체인 스냅링(166)의 돌출부분이 스플라인(164)에 끼워져 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른 조절블록(14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블록(161)과 신축연결관(165)에는 오일 공급을 위한 통로를 다수개 천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승하강유도부(170)는 하우징부(120)의 상부하우징(122) 내부에 회전가이드관(171)을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고 회전가이드관(171)의 내부에 수직가이드관(141)을 삽입하되 회전가이드관(171)에 수직가이드관(141)의 가이드장공(142)과 피스톤(151)의 로드(152)에 천공한 체결공(153)에 대응하는 나선가이드장공(172)를 천공하여 나선가이드장공(172)과 가이드장공(142) 및 체결공(153)을 동력전달핀(173)으로 관통시키므로 회전가이드관(171)의 회전운동을 동력전달핀(173)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감캡(180)은 클런치(181)을 형성한 탄성조절구(181)와 비틀림스프링(183) 등의 다양한 통상의 마감캡 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과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단이나 2단 또는 다단으로 신축연결관(165)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으로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이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를 열면 우측플레이트(112)와 상,하측하우징(122,123)이 회전하고 상부하우징(122)에 결합시킨 회전가이드관(171)도 연동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동력전달핀(173)으로 관통하여 결합시킨 회전가이드관(171)의 나선가이드장공(172)과 수직가이드관(141)의 가이드장공(142) 및 피스톤(151)의 로드(152)에 천공한 체결공(153)에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동력전달핀(173)이 가이드장공(142)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가이드장공(142)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하여 로드(152)가 상측으로 당겨져 피스톤(151)이 실린더톤(131)의 내부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151)의 체크밸브(158)가 상측 유압발생으로 열리게 되어 원활하게 도어(1)가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열린 도어(1)는 자유상태에서 별도 설치한 스프링경첩(101)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데, 이때 회전가이드관(171)이 역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의 역순으로 로드(152)가 하측으로 당겨져 피스톤(151)이 실린더(131)의 내부에서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체크밸브(158)가 하측의 유압발생으로 닫히게 되므로 유일이 오로지 피스톤(151)의 유압통로(155)로만 흐르면서 서서히 안전하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도어(1)가 완전하게 닫히기 직전에 스프링경첩(101)의 특성상 탄성작용이 최소로 약화되더라도 피스톤(151)이 실린더(131)의 확장경사턱(132)을 지나도록 하므로 하부에 걸린 유압을 일시 제거하여 약화된 탄성작용으로 도어(1)가 정확하게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신축연결관(165)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간편하고 편리하게 피스톤(151)의 유압통로(155)로 흐르는 유량을 제어하여 도어(1)가 최상의 조건으로 안전하게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0 : 유압경첩 110 : 플레이트부
111 : 좌측플레이트 112 : 우측플레이트
120 : 하우징부 121 : 중앙하우징
122 : 상부하우징 123 : 하부하우징
124 : 세팅핀 130 : 유압가이드부
131 : 실린더 132 : 확장경사턱
133 : 세팅핀 140 : 수직가이드부
141 : 수직가이드관 142 : 가이드장공
150 : 유압조절부 151 : 피스톤
152 : 로드 153 : 체결공
154 : 나사조절홈 155 : 유압통로
156 : 조절구 157 : 유압통로
158 : 체크벨브 160 : 신축조작부
161 : 조절블록 162 : 오일공급통로
163 : 차단볼트 164 : 스플라인
165 : 신축연결관 166 : 스냅링
170 : 승하강유도부 171 : 회전가이드관
172 : 나선가이드장공 173 : 동력전달핀
180 : 마감캡 181 : 탄성조절구
182 : 클러치 183 : 비틀림스프링

Claims (6)

  1. 좌우측플레이트(111,112)를 각각 형성한 플레이트부(11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의 좌우측플레이트(112,113)의 사이에 중앙하우징(121)과 상·하부하우징(122,123)을 형성한 하우징부(120)와;
    상기 하우징부(120)의 중앙하우징(121)에 실린더(131)를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하는 유압가이드부(13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에 가이드장공(142)을 천공한 수직가이드관(141)을 상향으로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는 수직가이드부(14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에 피스톤(151)을 삽입하고 로드(152)를 상향으로 형성하며, 로드(152)에 가이드장공(142)에 대응하는 체결공(153)을 천공하고 피스톤(151)의 상하를 유압통로(155)로 연통시키되, 피스톤(151)의 저면 중앙에 나사조절홈(154)을 내부로 형성하고 피스톤(151)의 상하측을 연통하는 유압통로(155)를 수직으로 형성하며 나사조절홈(154)에 나사 결합하는 조절구(156)를 구비한 유압조절부(150)와;
    상기 유압가이드부(130)의 실린더(131) 하부에 조절블록(161)을 삽입하되 조절블록(161)과 피스톤(151)을 신축연결관(165)으로 연결하여 외부에서 유압통로(155)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조절블록(161)에 오일공급통로(162)의 상향으로 신축연결관(165)을 형성하고 신축연결관(165)의 상단을 유압조절부(150)의 조절구(156)에 키결합하는 신축조작부(160); 및
    상기 하우징부(120)의 상부하우징(122)에 수직가이드관(141)을 삽입한 회전가이드관(171)을 결합하고 회전가이드관(171)에 가이드장공(142)과 체결공(153)에 대응하는 나선가이드장공(172)를 천공하되 동력전달핀(173)으로 나선가이드장공(172)과 가이드장공(142) 및 체결공(153)을 관통시켜 결합한 승하강유도부(17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56)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유압통로(157)을 형성하고 유압통로(157)에 볼과 스프링으로 형성한 체크벨브(158)을 결합하며, 피스톤(151)의 외주연에는 패킹을 결합하되 패킹을 유(U)자형으로 형성하여 피스톤(151)을 상하복동에 따른 유압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작부(160)는 조절블록(161)에 수직으로 오일공급통로(162)를 형성하고 조절블록(161)의 오일공급통로(162)와 신축연결관(165)에는 오일 공급을 위한 통로를 다수개 천공하여 외부에서 실린더(131)의 내부로 오일을 손쉽게 충진할 수 있도록 하고 오일공급통로(162)의 하부에 차단볼트(163)를 구비하며 조절블록(161)의 하부 외주연에 스플라인(164)을 형성하되 스플라인(164)에 스냅링(166)을 탄성 결합하여 조절블록(141)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6. 삭제
KR1020150115437A 2015-08-17 2015-08-17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KR10177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37A KR101775661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437A KR101775661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80A KR20170021080A (ko) 2017-02-27
KR101775661B1 true KR101775661B1 (ko) 2017-09-19

Family

ID=5831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437A KR101775661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730B1 (ko) * 2021-04-19 2022-11-14 장종복 맨홀용 덮개의 안전개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73Y1 (ko) * 2000-10-28 2001-04-02 이원옥 유압식 완충경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473Y1 (ko) * 2000-10-28 2001-04-02 이원옥 유압식 완충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080A (ko)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1681B2 (en) Liner hanger fluid diverter tool and related methods
BRPI0713396B1 (pt) Catraca steering mechanism
CN204826975U (zh) 阻尼装置及铰链装置系统
KR102179930B1 (ko) 도어 힌지장치
CN210530582U (zh) 用于铰链或门关闭器的阻尼机构
RU2459928C1 (ru) Пакер
KR101775661B1 (ko) 도어 개폐용 유압경첩
KR101774469B1 (ko) 전후방 개폐형 자동 닫힘 도어힌지
RU25846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верного навеса
RU2005102877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секани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в скважине с одним или несколькими пластами
CN108818400A (zh) 一种起拔工具
KR20120074445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BR112012004554B1 (pt) Aparelho e método de vedação
EP3371406B1 (en) Hinge for the rotatable movement of a door, a shutter or the like
RU2735012C1 (ru) Яс гид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двухстороннего действия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силием активации
US10626673B2 (en) Torque transfer control tool
CN109441272B (zh) 一种合页
CN113914820A (zh) 一种可开关液压滑套
RU178979U1 (ru) Якорь механический для установки клина-отклонителя на забое скважины
CN108894746A (zh) 斜向器用永久封隔器、采用其的钻井设备及开窗作业方法
KR101816817B1 (ko) 플로어 힌지 및 이를 위한 해지력 조절장치
CN208816079U (zh) 斜向器用永久封隔器及采用其的钻井设备
CN205743801U (zh) 震击器
EP2187084A1 (en) Hydraulic rotation damper
CN220929846U (zh) 一种可控流的液压油缸自动锁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