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412B1 -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흡연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412B1
KR101775412B1 KR1020170032191A KR20170032191A KR101775412B1 KR 101775412 B1 KR101775412 B1 KR 101775412B1 KR 1020170032191 A KR1020170032191 A KR 1020170032191A KR 20170032191 A KR20170032191 A KR 20170032191A KR 101775412 B1 KR101775412 B1 KR 10177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oreign matter
anion
booth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백
Priority to KR102017003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9Ash-trays with automatically-acting safety devices, e.g. heat-responsi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F24F11/0034
    • F24F11/007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의 공기순환시스템과 외부의 꽁초 수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 유지 및 담배 냄새 억제를 통해서 흡연자뿐만 아니라 외부의 주변 사람에게 불쾌감을 최소화시켜 흡연 관리를 최적화시킨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연부스{Smoking Booth}
본 발명은 내부의 공기순환시스템과 외부의 꽁초 수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선한 공기 유지 및 담배 냄새 억제를 통해서 흡연자뿐만 아니라 외부의 주변 사람에게 불쾌감을 최소화시켜 흡연 관리를 최적화시킨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흡연부스는 관공서, 영업장 또는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흡연자의 흡연공간을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흡연 시 담배연기는 제연기로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담배꽁초와 담뱃재(이하 '이물질'이라 함)는 재떨이에 수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흡연부스가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508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흡연부스(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제연기(120), 외기유입부(130), 흡연자 감지센서(140), 연기량 감지센서(16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체부(110)는 복수 개의 측벽(111)과 천장(112)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밀폐된 흡연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흡연공간 내부에는 흡연시 담뱃재를 털거나 흡연 후 담배꽁초를 수거하기 위한 재떨이(117)가 배치되며, 천장(112)에는 내부의 흡연공간의 담배연기(S)를 정화하기 위한 제연기(120)가 장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흡연부스(100)는 출입문(114)이 배치된 측벽(111) 상에서 출입문(114)의 문틀(115)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흡연공간을 향해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기배출 차단판(190)이 구비될 수 있다. 측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된 연기배출 차단판(190)에 의해, 출입문(114)이 개방되는 동작에 의해 측벽(111)을 따라 상기 출입문(114)으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의 기류(C)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부스 외부의 인원이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로 인해 간접 흡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연기배출 차단판(190) 또는 문틀(115)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개방된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를 흡입하여 상기 흡연공간 또는 제연기(120)의 내기 유입라인으로 배출하는 연기흡입부(19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출입문(114)이 개방되더라도 연기배출 차단판(190)에 의해 출입문(1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담배연기(S)가 1차적으로 차단되며, 연기흡입부(191)에 의해 연기배출 차단판(190)을 통과한 담배연기(S)가 2차적으로 차단되므로 출입문(114) 개방에 따른 담배연기(S)의 외부 배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기흡입부(191) 대신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 기능을 제공하는 에어분사노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인 종래 흡연부스(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측벽(11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31)을 통해 제연기(120)의 내기 배출에 따라 신선한 외부공기를 흡연공간 내에 유입시키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가 외기유입공(131)을 통해 담배 연기가 담배 냄새가 외부로 나가 흡연부스(100) 외부의 주변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비강제적으로 외기유입공(131)을 통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담배연기의 상승효과가 미약하다.
또한, 재떨이(117)가 흡연공간 내에 놓인 전형적인 재떨이로서 이물질(담뱃재와 담배꽁초)가 그대로 수거된 채로 흡연공간 내에 남아있어, 냄새가 그대로 흡연공간 내로 다시 퍼져 불괘감을 준다.
또한, 종래의 재떨이(117)는 담뱃재와 담배꽁초 말고도 쓰레기를 버리거나 침을 뱉을 수 있는 모양(상면이 평평한 사각)이기 때문에, 재떨이(117) 주변의 바닥이 지저분해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55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서 흡연에 따른 공기정화와 탈취가 최대한 이루어져 흡연자는 물론 지나가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흡연부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연부스는, 바닥과, 출입문이 설치되는 측벽 및 천장을 포함하여 흡연공간을 이루는 부스;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제연기; 상기 바닥에 놓인 재떨이; 상기 바닥의 바깥에 설치되어 상기 재떨이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담뱃재와 담배꽁초)이 수거되는 이물질 수거함; 상기 재떨이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송풍으로 상기 수거함으로 보내는 이물질 송풍기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부스 내로 송풍하는 음이온 송풍기구; 상기 부스 내에 설치되는 재실 감지센서; 상기 재실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연기, 상기 이물질 송풍기구 및 상기 음이온 송풍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떨이는 상하면에 이물질이 투입과 배출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와,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받아 구동 제어되는 이물질 분쇄기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이물질 분쇄기의 냄새를 제거하는 이물질용 음이온기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구는 상면이 위로 볼록한 망 형상이고, 상기 이물질 송풍기구는 상기 부스에 설치되는 이물질용 송풍기와, 상기 이물질용 송풍기와 상기 이물질 수거함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과,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잇는 분기관과,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류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커버는 상기 송풍관에서 송풍되면 위로 올라가 상기 배출구의 하단을 막는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송풍기구는 음이온 송풍탑과 음이온 송풍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송풍탑은 상기 바닥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송풍탑과, 상기 송풍탑에 탑재되는 송풍탑용 음이온기와, 송풍탑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탑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탑의 하단을 연결하는 송풍탑용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송풍벨트는 상기 측벽에 설치되는 음이온 측벽 타일과, 송풍벨트용 송풍기와, 상기 음이온 측벽 타일에 설치되는 송풍공과, 상기 송풍벨트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공을 연결하는 송풍벨트용 송풍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흡연부스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환풍기와, 상기 출입문의 상측 측벽에 설치되는 에어 커튼과, 상기 부스 내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음이온 바닥 타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부의 공기순환시스템과 외부의 꽁초 수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흡연부스 내부를 항시 신선한 공기를 유지시킨다.
또한, 재떨이의 상면을 위로 볼록한 망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이물질(담뱃재와 담배꽁초)만 투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이외의 쓰레기가 쌓이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센서로 담배꽁초 투입 감지 시 자동으로 분쇄가 되며 분쇄된 꽁초를 밖의 수거함으로 이송시켜 꽁초에서 발생하는 2차 냄새를 차단한다.
또한, 재떨이에 모여있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낙하시킨 후 송풍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수거함으로 보내주어 꽁초 수거가 부스 밖에서 자동 처리된다.
또한, 분쇄 시 분쇄기에 남긴 꽁초 잔여물 냄새를 음이온으로 차단시켜 부스 내의 냄새 확산을 방지한다.
특히 음이온 송풍 시스템으로 강제적으로 외부 공기를 부스 내로 유입시켜 부스 내의 공기를 상승시키는 효과는 물론 부스 내의 냄새가 외부로 나갈 우려가 전혀 없으며, 음이온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 과정을 통해 공기 중 담배연기 및 오염물질을 끌어 모아 장착된 팬을 사용해 프리필터와 하전부 및 전기집진부로 흡입하는 제연기가 설치됨으로써, 자체 공기순환방식을 이용하여 흡연실 외부로 담배연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희토류와 세라믹을 활용 음이온 발생하는 음이온 송풍벨트 및 음이온 바닥 타일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제연기만으로는 불가능한 항균 작용 및 냄새 제거, 오염물질 흡착 제거가 행해진다.
또한, 출입문 위에 에어 커튼이 설치되어 출입문이 열렸을 때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특히 에어에 탈취제가 합쳐져 나오게 하는 경우 흡연 후 몸에서 나는 냄새 제거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기감지 센서가 아닌 열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담뱃불로 인한 화재가 탐지되면 바로 화재관련기관으로 전달되어 조기 진화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 배면,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흡연부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흡연부스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면, 배면,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수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떨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연부스(1)는 크게 부스(10)와, 부스(10)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순환시스템(30)과 이물질 수거 시스템(80)을 포함한다.
부스(10)는 박스 형상으로서, 바닥(11), 측벽(13) 및 천장(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11)의 밑면에는 지면에 대해 간극을 두는 다리(17)가 설치되거나,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 잭(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11)에는 사람이 거칠 수 있는 거치대(21)가 역U자 형태의 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봉 형상의 거치대(21)는 흡연자가 엉덩이로 걸쳐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나 담배꽁초를 올려놓아도 바닥(11)으로 떨어지게 해서 재떨이(81)에 다시 넣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시킨다.
측벽(13)은 뼈대인 프레임과,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로 구성되어, 내부를 밀폐시킨다.
특히 측벽(13)의 일부에는 출입문(19)이 설치되어 있다.
출입문(19)의 측벽(13)의 정면 및 우측면의 모서리가 면취된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정화시스템(30)은 크게 부스(10) 내의 담배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연기(40)와, 밖의 공기를 공급해주는 음이온 송풍기구(50)로 구성되어 있다.
제연기(40)는 자체 공기순환방식을 이용하여 전기집진 과정을 통해 공기 중 담배연기 및 오염물질을 끌어 모아 장착된 팬을 사용해 프리필터와 하전부 및 전기집진부로 흡입하여 담배연기 및 냄새를 제거한다.
제연기(40)는 필터링된 공기가 다시 부스(10) 내로 들어오지만 일부는 배기덕트(40a)로 빠져 나간다.
부가적으로, 천장(15)에 부착된 제연기(40) 주변에는 초고속 환풍기(41)가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환풍기(41)도 환풍 덕트(41a)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외부로 배기시킨다.
환풍기(41)는 부스(10) 내부에 사람이 없을 때 동작되어 남아있는 냄새를 외부로 확실히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이온 송풍기구(50)는 음이온 송풍탑(60)과 음이온 송풍벨트(70)를 포함한다.
음이온 송풍탑(60)은 바닥(11)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송풍탑(61)과, 송풍탑(61)에 탑재되는 송풍탑용 음이온기(63)와, 송풍탑용 송풍기(65)와, 송풍탑용 송풍기(65)와 송풍탑(61)의 하단을 연결하는 송풍탑용 송풍관(67)을 포함한다.
송풍탑(61)의 상단측에는 송풍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송풍탑용 음이온기(63)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송풍에 의해 같이 부스(10) 내로 공급되어, 내부 공기를 상승시키는 효과는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할 수 있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새 나갈 우려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더불어, 음이온 송풍벨트(70)는 측벽에 설치되는 음이온 측벽 타일(71)과, 송풍벨트용 송풍기(73)와, 음이온 측벽 타일(71)에 설치되는 송풍공(75)과, 송풍벨트용 송풍기(73)와 송풍공(75)을 연결하는 송풍벨트용 송풍관(77)을 포함한다.
음이온 측벽 타일(71)은 희토류와 세라믹을 활용 음이온 발생으로 제연기(40)만으로는 불가능한 향균 작용 및 냄새 제거, 오염물질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바닥(11)에도 음이온 측벽 타일(71)과 같은 음이온 바닥 타일이 깔려있으면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게다가, 출입문(19)의 상측 측벽에는 에어커튼(20)이 더 설치되는 게 바람직하다.
에어커튼(20)은 출입문(19)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내부와의 차단하는 효과를 주어 출입문(19) 열려있는 경우 냄새 차단 효과가 있다.
특히, 에어 커튼(20)의 에어에 탈취제가 합쳐진 경우에는 흡연하고 나온 사람의 몸에서 나는 냄새도 나지 않게 최소한의 조치를 하게 된다.
이물질 수거 시스템(80)은 이물질(담배꽁초와 담뱃재)을 분쇄해서 외부로 수거하는 시스템이다.
즉, 이물질 수거 시스템(80)은 도 바닥(11)에 놓인 재떨이(81)와, 바닥(11)의 바깥에 설치되어 재떨이(81)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거되는 이물질 수거함(83)과, 재떨이(81)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송풍으로 이물질 수거함(83)으로 보내는 이물질 송풍기구(85)를 포함한다.
재떨이(81)는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면에 이물질이 투입과 배출되는 투입구(81a)와 배출구(81b)를 갖는 하우징(81A)(81B)과, 투입구(81a)로 투입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미도시)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7)가 받아 구동 제어되는 이물질 분쇄기(81c)와,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이물질 분쇄기(81c)의 냄새를 제거하는 이물질용 음이온기(81d)를 포함한다.
투입구(81a)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위로 볼록한 망 형상으로서, 담뱃재나 꽁초만이 투입될 수 있고, 꽁초를 올려놓았을 때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흡연자가 바닥(11)에 떨어진 꽁초를 주어서 버리게 하여 주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81A)(81B)은 투입구(81a)의 형상에 맞추기 위해 도자기 형상이 바람직하다.
하우징(81A)(81B)은 상부 하우징(81A)과 하부 하우징(81B)이 조립된다.
이물질 분쇄기(81c)는 파쇄기와 같은 원리로 담배꽁초를 분쇄하는 기계로서,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치형으로 이루어진다.
투입구(81a)와 이물질 분쇄기(81c) 사이에는 투입용 호퍼(81e)가 설치되어, 떨어지는 담뱃재나 담배꽁초가 이물질 분쇄기(81c)의 통으로 확실히 떨어지게 한다.
이물질 분쇄기(81c)의 하단에는 배출구(81b)에 연결시키는 연결통(81f)이 아래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물질용 음이온기(81d)는 담배꽁초가 분쇄한 후 남긴 냄새를 없애기 위해 송풍을 이용해서 발생한 음이온을 이물질 분쇄기(81c)로 공급한다.
이물질 송풍기구(85)는 부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이물질용 송풍기(85a)와, 이물질용 송풍기(85a)와 이물질 수거함(83)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85b)과, 배출구(81b)와 송풍관(85b)을 잇는 분기관(85c)과, 배출구(81b)의 하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류방지커버(85d)를 포함한다.
역류방지커버(85d)는 중력에 의해 항상 아래로 향하게 예각으로 열려있으며, 이물질용 송풍관(85b)에서 송풍되면 도 5b와 같이 위로 올라가 배출구(81b)의 하단을 막거나 거의 막아 이물질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물질 수거함(83)은 서랍 타입의 트레이와, 이 트레이가 수납되는 수납함으로 구서오디고, 부스(10)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냄새가 부스(10) 내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또한, 송풍관(85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11)의 밑면에 U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게 U자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트레이에 수거된 이물질에서 나는 냄새가 송풍관(85b)을 타고 역류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또한, 부스(10) 내에는 사람의 동작을 감지하는 재실 감지센서(3)와,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5)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열 감지센서(5)는 제어부(7)를 통해 소방관 현장 출동을 위한 스마트 콜 통신망으로 구현되어 있다.
제어부(7)는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어커튼, 송풍기, 제연기, 환풍기, 이물질 분쇄기 등을 구동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흡연부스(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흡연부스에 사람이 출입할 때의 동작이다.
사람이 자동문인 출입문(19)을 동작하면, 출입문(19)의 리밋 스위치가 감지하여 에어 커튼(20)을 동작시킨다.
출입문(19)을 통해 사람이 흡연부스(1) 내로 들어오고 출입문(19)이 닫히면, 재실 감지센서(3)가 감지되면 전등(9)을 킨 후 송풍기(65a)(83)와 제연기(40)를 약하게 동작시킨다. 이때 에어 커튼(20)도 멈춘다.
계속해서 사람이 감지되면, 대략 10분 후 제연기(40)를 강하게 동작시킨다.
사람이 자동문을 동작시켜 자동문 리밋 스위치가 감지되면 에어 커튼(20)을 동작시킨다.
부스(10) 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 환풍기(41)를 동작하고 5분 정도 지나면 송풍기(65a)(83)와 제연기(40) 및 환풍기(41)를 멈춘다.
흡연부스(1)의 주기적 동작은 다음과 같다.
내부 조도센서가 어두움을 감지하면 조명(9)을 켜준다.
1시간 후 송풍기(65a)(83)와 환풍기(41)를 10분 동작, 1시간 후 송풍기(65a)(83)와 환풍기(41) 10분 동작을 반복한다.
5분 후 재떨이(81)의 송풍기(85a) 동작시켜 꽁초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시간 설정은 제어부(7)를 통해 조정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흡연부스 3 : 재실 감지센서
5 : 열 감지센서 7 : 제어부
9 : 조명 10 : 부스
19 : 출입문 20 : 에어 커튼
21 : 거치대 30 : 공기순환시스템
40 : 제연기 41 : 환풍기
50 : 음이온 송풍기구 60 : 음이온 송풍탑
70 : 음이온 송풍벨트 80 : 이물질 수거 시스템
81 : 재떨이

Claims (5)

  1. 바닥과, 출입문이 설치되는 측벽 및 천장을 포함하여 흡연공간을 이루는 부스;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제연기; 상기 바닥에 놓인 재떨이; 상기 바닥의 바깥에 설치되어 상기 재떨이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담뱃재와 담배꽁초)이 수거되는 이물질 수거함; 상기 재떨이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송풍으로 상기 이물질 수거함으로 보내는 이물질 송풍기구; 외부의 공기를 상기 부스 내로 송풍하는 음이온 송풍기구; 상기 부스 내에 설치되는 재실 감지센서; 상기 재실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연기, 상기 이물질 송풍기구 및 상기 음이온 송풍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떨이는 상하면에 이물질이 투입과 배출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 감지센서와, 상기 이물질 감지센서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받아 구동 제어되는 이물질 분쇄기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상기 이물질 분쇄기의 냄새를 제거하는 이물질용 음이온기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는 상면이 위로 볼록한 망 형상이고,
    상기 이물질 송풍기구는 상기 부스에 설치되는 이물질용 송풍기와, 상기 이물질용 송풍기와 상기 이물질 수거함 사이를 연결하는 송풍관과, 상기 배출구와 상기 송풍관을 잇는 분기관과, 상기 배출구의 하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류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커버는 상기 송풍관에서 송풍되면 위로 올라가 상기 배출구의 하단을 막는 흡연부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송풍기구는 음이온 송풍탑과 음이온 송풍벨트를 포함하되,
    상기 음이온 송풍탑은 상기 바닥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송풍탑과, 상기 송풍탑에 탑재되는 송풍탑용 음이온기와, 송풍탑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탑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탑의 하단을 연결하는 송풍탑용 송풍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송풍벨트는 상기 측벽에 설치되는 음이온 측벽 타일과, 송풍벨트용 송풍기와, 상기 음이온 측벽 타일에 설치되는 송풍공과, 상기 송풍벨트용 송풍기와 상기 송풍공을 연결하는 송풍벨트용 송풍관을 포함하는 흡연부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환풍기와, 상기 출입문의 상측 측벽에 설치되는 에어 커튼과, 상기 부스 내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음이온 바닥 타일로 이루어진 흡연부스.
KR1020170032191A 2017-03-15 2017-03-15 흡연부스 KR10177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91A KR101775412B1 (ko) 2017-03-15 2017-03-15 흡연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191A KR101775412B1 (ko) 2017-03-15 2017-03-15 흡연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412B1 true KR101775412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191A KR101775412B1 (ko) 2017-03-15 2017-03-15 흡연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4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3A (ko) * 2018-07-03 2020-01-13 김용진 흡연부스
KR20200116396A (ko) * 2019-04-01 2020-10-12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67B1 (ko) * 2015-06-11 2016-01-29 이동학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67B1 (ko) * 2015-06-11 2016-01-29 이동학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3A (ko) * 2018-07-03 2020-01-13 김용진 흡연부스
KR102275290B1 (ko) 2018-07-03 2021-07-12 김용진 흡연부스
KR20200116396A (ko) * 2019-04-01 2020-10-12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KR102322052B1 (ko) * 2019-04-01 2021-11-04 현영호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152B1 (ko) 흡연부스
KR20150095491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133678B1 (ko) 흡연용 부스
KR200471784Y1 (ko) 자체공기정화시스템이 구비된 흡연부스
KR101775412B1 (ko) 흡연부스
KR101697485B1 (ko) 자정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KR101590067B1 (ko) 냄새 제거 가능한 담배꽁초 처리장치
KR20150105508A (ko) 흡연부스
KR20160025211A (ko)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KR20130007264U (ko) 밀폐형 흡연부스
KR20150095490A (ko) 흡연부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407B1 (ko) 밀폐형 흡연 부스
KR102275290B1 (ko) 흡연부스
KR101758788B1 (ko) 흡연 구역 시스템
KR102000916B1 (ko) 공기 정화 및 제연 기능을 갖는 흡연 스탠드
KR101380299B1 (ko) 차와 음료수가 있는 흡연 부스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CN111867408A (zh) 烟灰缸
JP4308365B2 (ja) 喫煙用空気清浄機
KR20180093392A (ko) 에어샤워 챔버를 갖는 흡연 부스
KR102353316B1 (ko)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정화 흡연 부스
DE102021100114A1 (de) Toilettenvorrichtung
KR20110007754U (ko) 의류살균건조기
KR20230033767A (ko) 스마트 흡연부스
KR20150095488A (ko) 흡연부스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