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93B1 -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 Google Patents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93B1
KR101775393B1 KR1020170054074A KR20170054074A KR101775393B1 KR 101775393 B1 KR101775393 B1 KR 101775393B1 KR 1020170054074 A KR1020170054074 A KR 1020170054074A KR 20170054074 A KR20170054074 A KR 20170054074A KR 101775393 B1 KR101775393 B1 KR 101775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ignal
approach distance
distan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열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열림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열림이텍
Priority to KR102017005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capable of managing security by allowing a permitted worker to access an unmanne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safety of workers by identifying the position where the workers work and making a warning in the event of a dangerous situa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nmanne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which is managed at a low cost through a simpl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access of an unpermitted person by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for the facility entrance; accurately identifying positions of permitted workers as well as their movement directions and speed; enabling the workers to identify positions of the workers in the facility on their own by displaying the positions on a worker terminal for each of the worker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s; and enabling a manager to accurately identify and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workers. Moreover, if a worker approaches a dangerous zone in the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sends a warning signal to the worker. If there is work which has to be done by a group of workers, the entrance is opened only when every worker arrives, and also, even if some of the workers leave the work, a warning is made so that the workers are forced to comply with safety regulations and accidents, caused as the workers disobey the rules, are prevented.

Description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무인으로 운영되는 송배전설비에 대하여, 인가된 작업자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을 통제하는 등 보안관리를 함과 아울러 송배전설비 안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대한 작업위치를 파악하고, 위험상태에 놓인 경우 위험경보를 발하는 등 작업자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제어유닛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unauthoriz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by controlling access to only an authorized worker so that the authorized worker can access the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for efficiently managing the safety of workers, such as issuing a danger warning when it is set.

통상적으로 송전선로나 배전선로 또는 배전반 등 각종 송배전설비에는 수만 볼트 내지는 수십만 볼트의 특별고압 또는 초 특별고압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송배전설비가 설치된 구역은 감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뒤따르는 극도로 위험한 구역이다. 따라서 송배전설비 내부 또는 송배전설비 인근에 출입하거나 송배전설비 내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Generally,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transmission line, distribution line or switchboard, special high pressure or super special high voltage of tens of thousands of volts or hundreds of thousands of volts is applied, so the area wher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s an extremely dangerous area always followed by the risk of electric shock accident. Therefore, special care is required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or near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or working in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즉, 송배전설비에는 인가받지 않은 일반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해야 하며, 설령 인가받고 출입하는 전문 작업인원이라 할지라도 안전 확보를 위하여 단독으로 출입하는 것은 금지해야 하고 안전규정 등에 정해진 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인원이 같이 출입토록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각종 단자나 케이블헤드 등에서는 일정거리 이내에는 접근을 금지시키는 등 엄격한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활선공사 등 매우 위험하고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안전규정에 따라 다인1조를 기본으로 하여 작업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rictly control the entry and exit of unauthorized persons i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nd even if it is a professional worker who is authorized to enter and leave, There should be enough people in and out together. In addition, various terminals and cable heads with high voltage are required to have strict safety management such as prohibiting access within a certain distance. In case of performing dangerous and special precautions such as live ship construction, the risk of accidents is high, so the work is carried out based on the first set of safety regulations.

그러나 부족한 작업인력이나 현장에서의 임기응변식 대응 등 잘못된 관행으로 인하여 이러한 안전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보니, 무리하게 단독으로 또는 부족한 인력으로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고 이로 인하여 치명적인 사고로 연결되기도 한다.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oper manpower and inappropriate practices such as on-the-spot response to the field, these safety regulations are often not kept properly, so it is dangerous to carry out dangerous work alone or with insufficient personnel.

특히, 지중 송배전선로가 포설되어 있는 전력구나 공동구 등의 경우 출입의 통제도 필요하지만 작업자들이 위치한 곳을 작업자들 스스로는 물론 관리자들도 파악하고 있어야 하나, 지하시설물 안에서 정확한 위치추적을 하기 위해서는 CCTV라던가 위치측정 센서 네트워크 등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선로공사 등 복작한 시설물의 설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며, 이러한 감시장치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설비의 운영에 별도의 관리 인력이 소요되는 등 현실적인 문제가 많았다. Particularly, in case of electric power lines or coaxial lines where undergroun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re install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access, but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s themselves as well as the managers to know where the workers are locat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stall expensive facilities such as a location measurement sensor network and a separate line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refore, even if such a 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a separate management staff is required to operate the facility There were many realistic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경제적이며, 시공이 간편하고 관리가 용이한 저 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기반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송배전설비의 출입을 통제하고, 송배전설비 내에서의 작업자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서 BLE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에서 비효율적인 전력소모라는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서, 다양한 기기간의 쌍방향 통신을 무선으로 연결하며 장기간의 배터리 수명을 보장한다. 또한 제품 개발 단계에서는 스마트폰과 원활히 호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신속하고 쉬운 연결성의 장점을 제공해준다. 최근 BLE기술은 iOS는 물론 안드로이드, 윈도우 등 주요 운영체제와 함께 주요 스마트폰 신제품들에 지원되고 있어 그 활용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자신만의 고유식별자정보(ID)를 보내주는 단순한 신호발생장치로서 비콘(Beacon)기술이 부상하고 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물인터넷기술이 출현하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ccess control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s controlled us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BLE) which is economical, easy to construct and easy to manage, And to provide a control unit capable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within the work area. Here, BLE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inefficient power consumption in existing Bluetooth technology, and wireless connection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evices ensures long-term battery life. The product development phase also provides seamless compatibility with smartphones, a rich user interface and the benefits of quick and easy connectivity. Recently, BLE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major smartphone new products along with major operating systems such as iOS, Android, and Windows. In recent years, beacon technology has emerged as a simple signal generating device that transmits its own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D), and a variety of object internet technologies using the same are emerging.

BLE기술을 사용하는 비콘은 자신만의 고유식별자정보(ID 또는 UUID)를 보내주는 단순한 신호발생장치로서 블루투스 4.0 기반의 프로토콜 즉, 저 전력 블루투스(BLE)를 사용해 주변에 있는 기기들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비콘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비콘신호를 송출하는데, 비콘신호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코드와 자신이 송출하는 비콘신호의 세기 즉, 전송신호강도(Tx Power) 등을 담아서 보내게 되는데, 이를 고유식별코드라고 부른다. 비콘의 고유식별코드는 표준제안사 또는 제작사마다 다소 다르기는 하겠지만, 애플사의 아이비콘 표준에서의 고유식별코드는 헤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라 칭하는 범용사용자식별코드, Major ID 및 Minor ID와 더불어 자신이 보내는 Tx Power 즉, 전송신호강도를 포함하고 있다. 구글의 에디스톤비콘 표준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에디스톤비콘에서는 아이비콘의 UUID에 대응되는 식별자로서 UID가 있고 아이비콘의 Major ID 및 Minor ID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Instance가 있다. A beacon using BLE technology is a simple signal generator that sends its own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D or UUID), which uses a Bluetooth 4.0-based protocol to transmit signals to nearby devices using low power Bluetooth (BLE) . The beacon transmits a beacon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beacon signal includes various codes of the beacon and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eacon, that is,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Tx Power) Code. Althoug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eacon may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ndard proposal company or the manufacturer,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Apple's i-beacon standard includes a header, a 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code calle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a major ID and a minor ID It contains the Tx Power that it sends, that is, the transmitted signal strength. Even if Google's Eddie Stone Beacon standard is applied, it is not much different. In the Ediston beacon, UID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UID of the eyebone, and Instance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Major ID and Minor ID of the eye beacon.

비콘의 장점으로는 저 전력 무선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바이스들의 전력소모에 대한 걱정을 덜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NFC는 10cm 이내에서만 작동이 가능한 반면, 비콘은 수십 미터까지도 커버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심지어는 100미터를 훨씬 넘는 거리에서도 인식 가능한 제품들도 있다. 또한 비콘은 블루투스 저 전력 근접인식을 이용하여 특정 앱이나 OS에서 지정한 범용의 고유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BLE프로토콜 사용모듈이 탑재된 모바일장치 등은 비콘에서 전송되는 이 고유식별자를 확인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을 특정 지을 수 있으며, 비콘에서 보내주는 전송신호강도(TX Power) 및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약어로 RSSI)를 신호거리특성을 이용하여 수신기와 비콘과의 물리적인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The advantage of beacons is that they can be used with less worry abou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s because of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existing NFC can operate within 10cm, while beacons can cover up to tens of meters. Some products are even recognizable at distances well over 100 meters. The beacon can also transmit a generic unique identifier specified by a specific app or OS using Bluetooth low power proximity detection. Therefore,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BLE protocol module can identify a beacon for transmitting a beacon by checking the uniqu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beacon. The beacon transmitting signal strength (TX power) transmitted from the beacon and the intensity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abbreviated as RSSI),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receiver and the beacon can be confirmed using the signal distance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발명으로서, 저렴한 비용과 간편한 방법으로 무인으로 운영되는 송배전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송배전설비의 출입구에 대한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출입을 인가받은 작업자들의 작업위치는 물론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현재위치를 각각의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작업자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해 작업자들이 스스로 송배전설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자신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작업자들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통제할 수 있는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unauthorized access to an unauthorized person by controlling a non- Not only precisely grasps the work location of the worker who is authorized to enter and leave, but also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on the screen of the worker terminal possessed by each worker so that the worker can accurately position his or her own position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nd to provide a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of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capable of accurately ascertaining and controlling the current position of workers in a manager's viewpoint.

또한, 작업자가 송변전설비 내 위험구역에 접근해 있거나 접근해 오는 경우 위험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보낼 수 있고, 다인 1조로 작업을 해야 하는 위험작업 시 모든 작업자들이 도착하지 않으면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도중에 작업자 중 일부가 일탈할 경우에 경보를 발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안전규정을 준수토록 강제하여 안전규정 미준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f an operator is approaching or approaching a hazardous area in a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a danger warning signal can be sent to the worker. In case of dangerous work requiring work with a set of workers, In addition, the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non-compliance with the safety regulations by enforcing the safety regulations in such a way that, for example, And to provide a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무인으로 운영되는 송배전설비에 설치되며, 상기 송배전설비의 출입구에 대한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제어부, 출입을 인가받은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판단부, 상기 작업자들의 위험 및 안전상태를 파악하는 안전판단부, 상기 출입구 외부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BLE신호로 송출하는 단말기식별코드를 수신하는 BLE수신부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으로서, 상기 출입제어부는, 상기 작업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출입구에 대한 개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BLE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와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전에 전송받은 식별코드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식별코드정보가 없거나 상기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 또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식별코드정보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포함된 인가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인가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송배전설비 내 소정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신호비콘이 송출하는 각각의 위치식별코드를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수신하여 상기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전송하면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전송신호강도와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와 각각의 위치신호비콘 사이의 접근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안전판단부는, 상기 송변전설비 내 위험구역에 설치되는 위험신호비콘이 송출하는 위험식별코드를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수신하여 상기 위험식별코드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전송하면, 상기 위험식별코드에 대한 전송신호강도와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와 상기 위험신호비콘과의 접근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상기 위험신호비콘과 근접거리에 있거나 상기 위험신호비콘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있는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상기 위험신호비콘을 향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위험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경고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상기 수신신호강도를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수가 상기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안전규칙 위반상태로 판단하여 안전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판단부가 산출한 상기 현재위치와 상기 이동방향 및 상기 이동속도를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상기 송배전설비의 도면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판단부가 상기 위험경고신호 또는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발생한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위험경보 또는 안전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unmann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nd controls the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 safe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isk and a safety state of the work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er terminal based on the 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doorwa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control unit comprising: When receiving an opening request signal for the entrance / If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received by the base BLE receiving unit and the respectiv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are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ush-button unit to open the entrance, Or i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is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the terminal transmits an authentication light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controls each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position signal beac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transmission / The worker terminal receiv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calculating the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and each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s us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and transmitting the current position, Wherein the safety judging unit receives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danger signal beacon installed in the hazardous area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quipment and transmits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together wit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Calculates the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and the beacon signal us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calculat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An image that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beacon o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eacon of the beacon And transmits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o the worker terminal when the worker terminal approaches the danger signal beacon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determines that the worker is in a dangerous state and generates a danger warning signal, When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the safety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calculated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warning message to the server and the operator terminal so that the warning message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gether with the drawing of the transmission / Or to generate a safety alar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fera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접근거리 중 가장 짧은 제1 접근거리에 위치한 제1 위치신호비콘과 상기 접근거리 중 두 번째로 짧은 제2 접근거리에 위치한 제2 위치신호비콘 사이에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산출하되,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2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의 중간지점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 이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멀어졌거나 동시에 가까워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에서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반대쪽으로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을 더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to be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located at the shortest first approach distance of the approach distance and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o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located at the second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ositional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al signal beacon from the first positional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al distance from the second positional signal beac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 Wherei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at the same time more distant or simultaneously approaching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s calculated to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by a first approach distanc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을,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가까워졌거나 상기 제1 접근거리가 가까워진 동시에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제1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고,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2 접근거리는 가까워졌지만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제2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고,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와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멀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반대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산출하며, 또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이동속도를,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또는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을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를 초과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에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을 합하여 2로 나눈 후 다시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moving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n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o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o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o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simultaneously more distant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calculates the moving spe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posite side,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 or the end time of the unit tim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btained by varying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uring the unit time by the unit tim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unit time, Wherein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d value by 2, and then dividing the absolute value by the unit time and calculating the value as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송배전설비 안에 설치된 복수의 위치신호비콘에서 송출되는 위치식별코드와 전송신호강도 및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작업자단말기와 위치신호비콘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는 물론 이동방향,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송배전설비 안에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설비를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location signal beacon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s terminal as well a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by using the measured dist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equipment for locating the worker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inexpensively and easily.

즉,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에서는 저렴하게 구성 가능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콘을 사용하되, 본 발명의 독창적인 판단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위치센서 등을 이용하는 센서 네트워크나 CCTV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경제적인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positio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by using the object Internet based beacon which can be configured at low cos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easily at an economical cost without using a sensor network or a CCTV using an expensive position senso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상기 송배전설비의 출입구에 대한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출입을 인가받은 작업자들만 들여보낼 수 있기 때문에 위험장소이자 국가의 중요시설물에 해당하지만 무인으로 운영해야 하는 송배전설비에 대한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ccess to unauthorized persons by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and can send only authorized workers to enter and exit.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security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which are important facilities but operated unmanned.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작업자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단말기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작업자들을 확인하기 때문에 사전에 인가받거나 현장에서 인가요청을 하여 승인된 인력에 한하여 출입을 허용하고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er is identified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worker terminal carried by the worker, the worker can be authorized in advance or requested in the field, thereby allowing the authorized worker to access the worker and control the unauthorized person It is effective.

그리고 사전에 승인된 모든 작업인원의 단말기식별코드를 모두 확인하여 모든 작업인원이 모두 온 상태에서만 출입문의 시건장치가 개방되므로 다인1조로 작업하여야 하는 경우 등의 안전규정을 철저하게 준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is possible to strictly comply with the safety regulations such as the case where all the personnel are all turned on and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is opened, .

또한, 인가받은 작업자들이 출입문 개방을 요청했을 때 승인된 인력에 대한 확인을 상기 단말기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제어유닛에 의하여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전에 승인된 인력에서 부족하거나 다른 대체인력으로 변경하여 작업을 하러 온 경우 출입문의 시건장치가 개방되지 않고 그 인력변경 내역을 승인받도록 강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uthorized worker requests opening of the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firmation of the authorized workforce can be automatically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When the worker changes his / her workforce to work, he / she can force the worker to be approved for the change of personnel without opening the door of the door.

또한, 작업자의 현재위치를 각각의 작업자에게 작업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해 작업자들이 스스로 송배전설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작업도중 사고 등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작업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position of the work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orker's terminal to each worker, the worker can accurately grasp his / her position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by himself or herself so that workers can quickly cope with an emergency such as an accident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search for the desired work position,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그리고 출입문 통과 시 승인된 작업자단말기 개수보다 내부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들의 작업자단말기 개수가 적을 경우, 작업자 중 일부가 작업도중 일탈한 것으로 보아 안전경보를 발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안전규정을 편법으로 위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수신신호강도를 전송하는 작업자단말기의 수가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안전규칙 위반상태로 판단하여 안전경고신호를 상기 작업자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worker terminals in the worker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authorized worker terminals when passing through a door, some workers are required to issue a safety alarm because they think that some of them are deviating during the wor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umber of the worker terminals transmitting the respectiv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s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it is determined as a safety rule violation state and a safety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orker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

또한, 작업자단말기가 송배전설비 내 위험구역으로부터 근접거리에 있거나 위험구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있는 작업자단말기가 위험구역을 향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가 위험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경고신호를 작업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즉, 작업자들이 위험구역에 가까이 있거나 작업자들이 위험구역을 향하여 빠르게 접근해올 때 위험경보를 발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orker terminal is close to the hazardous area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or the work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angerous area approaches the dangerous area at a certain speed or 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in a dangerous state, Terminal, and management serv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workers' safety accidents because workers are in danger zone or danger warning is issued when workers are approaching danger zone quickly.

또한, 관리서버가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송배전설비의 도면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관리자 입장에서는 작업자들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사고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nagement server can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drawing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on the display device, the manager can accurately grasp and control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It is possible to respond prompt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n accid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단말기와 위치신호비콘과의 거리를 계산해 내고 이를 통하여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독창적인 판단로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콘의 거리측정 오차를 극복하고 최대한 정확한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and the position signal beacon is calculated, and the unique position decision logic is used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the beacon distance measurement error is overcom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ccurate current positio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사용하는 독창적인 판단로직은 비콘과 비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작업자단말기와 위치신호비콘과의 거리계산,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nique decision logic used herein can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and the position signal beac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speed, even if the interval between the beacon and the beacon is not constant .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비콘이 송출하는 고유식별코드의 구성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서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서 비콘의 거리측정 오차를 감안하여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산출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a beacon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E illustrate the concept of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illustrate a concept of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a work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a beacon distance measurement erro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로서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various embodiments belong. 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specific cases.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other than the term.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xpression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among other descriptions of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elements. For example, the representat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 /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he representat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 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ing " or " may include "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o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inventive function, operation, or element, Not limited. Also, in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작업자단말기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장치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이동전화기, 화상전화기, 전자북리더기, 랩탑 PC, 넷북컴퓨터, PDA, PMP 및 기타 이와 유사한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or terminal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mobile phones, videophones, electronic book readers, laptop PCs, netbook computers, PDAs, And other similar devices.

이하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요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은 무인으로 운영되는 송배전설비(10)에 설치된다. 상기 송배전설비(10)로는 통상 가공 송배전선로, 지중 송배전선로, 배전반 등 다양한 설비들이 있겠지만, 본 발명은 송배전선로 및 설비가 포설되는 지하 전력구 또는 공동구 등 지하시설물이나, 송배전용 차단기나 변압기 등이 설치되어 있는 구역 또는 배전반 등 비인가자들에 대한 출입통제가 필요하고 작업자들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일정범위로 구획되어 있는 구역에 적용할 때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별히 터널형태의 지하시설물로서, 다수의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반면 작업자들의 작업위치 파악이 용이치 않고, 위험구역이 도처에 존재하는 송배전설비인 지하 전력구 등에 적용할 때 매우 효과적이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including a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of a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operated by an unmanned pers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an underground power line or a coaxial cable wher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and facilities are installed, a circuit breaker or a transformer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exert the optimum effect when it is applied to an area where access control to an unattended person such as an installed area or a switchboard is required and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worker is required. Especially, it is very effective when it is applied to underground electric power facilities such as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where dangerous areas exist everywhere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work position of workers while many workers are workin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100)은 BLE수신기(130), 위치신호비콘(300), 위험신호비콘(600), 작업자단말기(200) 및 관리서버(400)가 포함된 시스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송배전설비(10) 내 적정한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송배전설비(10)의 출입구(150)에 대한 시건장치(120)를 제어하여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제어부(101), 출입을 인가받은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판단부(102), 상기 작업자들의 위험 및 안전상태를 파악하는 안전판단부(103), 상기 BLE수신기가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말기식별코드를 수신하는 BLE수신부(104)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또는 상기 관리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105)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는 무선통신망(500)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서버(400)와는 무선통신망(500) 또는 유선통신망(미도시)을 통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100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E receiver 130, a position signal beacon 300, a beacon signal 600, a worker terminal 20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server 400 in a system including the server 400. It is installed in a proper place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and controls the locking device 120 for the entrance 150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to control the non-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02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carried by workers authorized to enter and exit, a safety determination unit 102 for determining the risk and safety state of the workers, A BLE reception unit 104 for receiving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and transmitted by the BLE receiv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worker terminal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5) Castle it is preferable to.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orker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500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

여기서 상기 BLE수신기(130)는 상기 송배전설비(10)의 출입구(150)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BLE신호로 송출하는 단말기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유닛(100)의 BLE수신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LE수신기(130)와 상기 BLE수신부(104)는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LE receiver 130 is installed outside the entrance 150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and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as the BLE signal of the worker terminal 200, To the mobile terminal. The BLE receiver 130 and the BLE receiver 104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in some cases.

그리고 상기 위치신호비콘(300)은 상기 송배전설비(10) 내 소정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며, 전송신호강도가 포함된 자신의 위치식별코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송출하도록 하되,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위치식별코드를 항상 수신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은 상기 송배전설비(10) 내 위험구역에 설치되어, 전송신호강도가 포함된 자신의 위험식별코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위험구역이 다수일 경우에는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은 상기 위험구역마다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험구역이 넓을 경우에는 하나의 위험구역에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을 복수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신호비콘(300) 및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은 통상의 비콘 즉 아이비콘이나 에디스톤비콘의 표준을 따르는 비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표준 또는 비표준의 비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신호비콘(300) 및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은 자신의 전송신호강도가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를 송출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통신선로 포설이나 무선통신망의 구성이 필요치 않고 지속적인 전원공급만 해주면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저 전력 블루투스(BLE) 표준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내장형 비콘으로 하더라도 배터리 교체 없이 수년은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전력구나 기타 송배전설비에는 조명이나 기타목적으로 사용가능한 상설전원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설전원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 so that the position beacons 300 continuously transmit their own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including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worker terminal 200 be installed at intervals such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can always be received. The hazard signal beacon 600 is installed in the hazardous area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so that the hazard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transmitted signal strength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beacon 60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hazardous areas. If the dangerous area is wid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the danger beacons 600 in one dangerous area. The posi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danger signal beacon 600 may use beacons conforming to the standard of the normal beacons, that is, the beacons conforming to the standard of the beacons or the ediston beacons, or may use other standard or nonstandard beacons. Do. Since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danger signal beacon 600 need only transmit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danger signal beacon 600, As described above, the low power Bluetooth (BLE) standard is used so that even if the battery built-in beacon is used, it can be used for many years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However, underground power stations and oth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are provided with permanent power sources that can be used for illumination or other purposes, so it is desirable to supply power through permanent power sources.

한편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상기 제어유닛(100)의 통신부(105)와 무선통신수단(500)을 통하여 무선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부(105)와의 무선데이터통신과는 별개로 자신의 단말기식별코드를 BLE신호로 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송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LE신호로 송출되는 상기 단말기식별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50) 밖에 설치되는 상기 BLE신호 수신기(130)을 통하여 상기 BLE수신부(104)가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출입구(150)을 통과하여 상기 송배전설비(10)의 내부로 들어온 후 상기 위치신호비콘(300)들이 각각 송출하는 위치식별코드를 수신하거나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이 송출하는 위험식별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상기 위험식별코드를 각각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상기 통신부(105)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terminal 200 enab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of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0.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05 It is preferable to independently transmi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s a BLE signal at a constant time interval. The BLE reception unit 104 receiv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as the BLE signal through the BLE signal receiver 130 installed outside the entrance 150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worker terminal 200 passes through the entrance 150 and enters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10,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receives a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And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to the communication unit 105 together wit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hazard identification code.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송배전설비(10)에 대한 원격관리자가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유닛(100)의 통신부(105)와 무선통신수단(500) 또는 유선통신수단(미도시)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nagement server 40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remote manager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works 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5 of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00 o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 So that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여기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BLE신호로 송출하는 상기 단말기식별코드, 상기 위치신호비콘(300)이 송출하는 상기 위치식별코드 및 위험신호비콘(600)이 송출하는 상기 위험식별코드는 통상적인 비콘의 고유식별코드를 의미한다. 비콘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BLE신호를 송출하는데, 상기 BLE신호에는 자신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코드와 자신이 송출하는 상기 비콘신호의 세기 즉, 전송신호강도(Tx Power) 등에 관한 정보를 담아서 보내게 되는데, 이를 고유식별코드라고 부른다. 상기 고유식별코드는 표준제안사 또는 제작사마다 다소 다르기는 하겠지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유식별코드(700)는 통상 헤더(710),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라 칭하는 범용사용자식별코드(720), Major ID(730) 및 Minor ID(740)와 더불어 자신이 보내는 Tx Power 즉, 전송신호강도(7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구성은 애플의 아이비콘 표준을 적용하는 실시 예인데, 구글의 에디스톤비콘 표준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에디스톤비콘에서는 아이비콘의 UUID에 대응되는 식별자로서 UID가 있고 아이비콘의 Major ID 및 Minor ID에 해당하는 식별자로서 Instance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애플사의 아이비콘으로 사례를 들어 설명할 것이나, 구글의 에디스톤 비콘이나 기타 여타의 표준제안사의 표준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worker terminal 200 as a BLE signal,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danger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danger signal beacon 600, Mean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beacon. The beacon transmits a BLE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BL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various codes of the BLE and information on the intensity of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by itself, i.e.,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Tx Power) , This is calle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 shown in FIG. 2,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700 generally includes a header 710, a 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code 720 called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 A Major ID 730, and a Minor ID 740, as well as a Tx Power, i.e., a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The configuration of FIG. 2 is an embodiment to which Apple's i-beacon standard is applied. Even if Google's Edistone beacon standard is applied, it is not so different. In the Ediston beacon, UID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UUID of the eyebone, and Instance is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Major ID and Minor ID of the eye beac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pple's i-beac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but does not preclude the application of Google's Edistone beacons or other standard proposals.

한편,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작업자들이 다수인 것을 전제로 하므로 상기 단말기식별코드 역시 각각의 작업자단말기(200)마다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여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위치신호비콘(300)은 상기 송배전설비(10) 내부 여러 곳에 설치되므로 상기 위치식별코드도 각각의 위치신호비콘(300)마다 식별이 가능하도록 부여되어야 할 것이며, 위험구역 또한 복수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위험식별코드도 위험신호비콘(600)마다 식별이 가능하게 부여되어야 하는 것은 역시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식별코드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범용사용자식별코드(720)를 서로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겠지만, 단말기식별코드, 위치식별코드 및 위험식별코드 등 각 식별코드의 종류별로 범용사용자식별코드(720)를 통일하고, 같은 식별코드 종류 중에서 상호간의 식별은 상기 Major ID(730) 나 Minor ID(740)를 달리함으로서 식별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식별코드의 종류별로 범용사용자식별코드(720)를 통일하게 되면 시스템구축 및 관리나 관련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식별 및 계산속도 등이 빨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원격관리지에서 관리해야할 송배전설비(10)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위치식별코드의 범용식별코드를 각각의 송배전설비(10)별로 통일하여 부여하는 경우 각각의 범용식별코드로 각각의 송배전설비(10)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worker terminal 200 is assumed to have a plurality of worker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must be assigned to each worker terminal 200 so that the worker terminal 200 can be identified. The location signal beacon 30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 The risk identification beacon 600 may be a plurality of dangerous beacons 600, sinc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s also provided to be able to be identified for each position signal beacon 300, The same is true for each identification. The 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code 720 may be un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identification code such a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although the 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code 720 may be differently assigned to identify each identification code. , And it is also desirable to identify the mutual identification among the same identification code types by changing the major ID 730 or the minor ID 740. If the universal user identification code 720 is un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identification code, not only the system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the creation of the related program become easy, but also the identification and calculation speed become faster.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10 to be managed by one remote management site, when a universal identification code of a location identifi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in a unified manner,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

한편 상기 출입제어부(101)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출입구(150)에 대한 개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BLE수신기(130)가 보내온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 즉 상기 송배전설비(10)에 출입하기 위하여 출입구 앞에 대기 중인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작업자단말기(200)로부터 각각 송출되는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와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사전에 전송받은 식별코드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시건장치(1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150)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작업자들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여러 명일 수도 있는데, 특별고압 또는 초고압의 송배전설비를 점검하거나 보수하는 작업은 극도로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에 당연히 다수의 작업자들이 참여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여러 명일 경우 모든 작업자로부터 개방요청신호를 받을 필요는 없을 것이므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중 하나로부터 개방요청신호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모두에는 BLE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이 탑재되도록 하여 각각의 작업자단말기(200)에서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를 전송하도록 하고 이들 모두를 확인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ning / closing control unit 101 receives an opening request signal for the entrance 150 from the worker terminal 200, the entrance control unit 101 determines the number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sent from the BLE receiver 130, that is, The number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transmitted from the worker terminal 200 carried by workers waiting in front of the doorway and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are equal to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locking device 120 so that the entrance 150 is opened. Workers can be several people,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they are doing. The task of checking or repairing a special high-voltage or ultra-high voltag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is an extremely dangerous task, and of course many workers will participate. If there are multiple operators, it is preferable to receive an open request signal from one of the operator terminals 200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receive an open request signal from all the operators.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means for transmitting a BLE signal is mounted on all of the worker terminals 200, so that each of the worker terminals 200 transmits the respectiv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and confirms all of them.

상기 개방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제어부(101)는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사전에 상기 식별코드정보를 전송받지 못했거나, 상기 BLE수신기(130)가 보내온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가 상기 식별코드정보에 있는 개수와 다르거나, 상기 BLE수신기(130)가 보내온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식별코드정보에 있는 단말기식별코드와 다를 경우, 이는 인가받지 않은 작업자들이 오거나 인가받은 작업자들이지만 일부가 안 오거나 인가받은 작업자들과 인가받지 않은 작업자들이 섞여있다는 것이므로 원격관리자로부터 승인을 받아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BLE수신부(104)가 수신한 단말기식별코드를 인가요청신호에 포함하여 상기 통신부(105)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400)가 인가승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통신부(105)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pon receipt of the open request signal, the access control unit 101 determines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has not bee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in advance, or that the number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sent from the BLE receiver 130 If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differs from the number in the code information or each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sent by the BLE receiver 130 is different from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in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However, it is desirable to let the remote administrator approve and release some of them, since some of them are not authorized or authorized workers and unauthorized workers are mixed. In this cas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received by the BLE receiving unit 104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in the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transmits an approval approval signal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keying device to open the doorway only when i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

한편, 상기 출입제어부(101)가 상기 출입구(150)를 개방한 후 상기 작업자들이 상기 송배전설비(10)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들은 상기 위치신호비콘(300) 들로부터 각각의 전송신호강도가 포함된 위치식별코드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송배전설비(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위치신호비콘(300)의 개수는 상기 송배전설비(10)의 크기나 환경에 따라 수 개 내지 수십 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신호비콘(300)의 설치간격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위치신호비콘(300)으로부터 위치식별코드를 수신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들은 자신들이 수신한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각각의 수신신호강도를 상기 제어유닛(100)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위치판단부(102)는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각각의 전송신호강도와 각각의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각각의 위치신호비콘(300) 사이의 접근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105)를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400)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된다. If the operator enters the inside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after the entrance control unit 101 opens the entrance 150, the operator terminals 200 receive the location signal from the location signal beacons 300 Lt; RTI ID = 0.0 > 1 < / RTI > The number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 may be several to several tens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and environmen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 [ Preferably,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 300 is set at an interval at which the worker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from at least two position signal beacons 300. The operator terminals 200 transmit the respective received signal strengths of the respectiv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and the respectiv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received by the operator terminals 200 to the control unit 100. At this time, 102 calculates an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each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using the respectiv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s and the respective received signal strengths for the respectiv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200 are calc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work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각각의 위치신호비콘(300) 사이의 접근거리 계산방법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 세기가 약해져서 수신신호강도(RSSI)값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수신신호강도(RSSI)와 전송신호강도(Tx Power)를 이용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계산하는 공식은 RSSI = -10n log d + Tx Power 이기 때문에, 거리 d는 d = 10 ^ ((Tx Power RSSI) / (10 * n))로 하여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n은 전파손실도와 관련되는 값으로서 장애물이 없는 공간에서 n은 2로 계산하면 된다.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산출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terminal 200 and each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uses the principle that the signal intensity decreases and the RSSI value de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RSSI) and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Tx Power). Since the formula for calculating is usually RSSI = -10n log d + Tx Power,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tance d as d = 10 ^ ((Tx Power RSSI) / (10 * n)). Where n is a value related to the propagation loss and n is 2 in a space free of obstacles. The current position,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calcula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안전판단부(103)는 상기 송배전설비(10)내 위험구역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이 송출하는 상기 위험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전송하면, 상기 위험식별코드에 대한 전송신호강도와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 사이의 접근거리를 계산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게 되는데, 상기 접근거리, 상기 이동방향 및 상기 이동속도를 산출한 결과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으로부터 근접거리에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있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을 향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위험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경고신호를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자단말기와 상기 위험신호비콘과의 거리계산은 위치신호비콘(300)과의 거리계산을 설명하면서 상술한 바 있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을 향하여 접근하는지 여부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과의 거리가 계속하여 줄어드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상기 위험신호비콘(600)쪽으로 이동하는 속도의 경우, 단위시간동안 변동 값 즉, 줄어들은 거리를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하면 가능하다. 여기서 근접거리는 상기 위험구역의 종류나 현장여건에 따라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한 상태가 되기 전의 거리 즉, 일정한 여유를 두고 상기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하며,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근접거리보다는 다소 먼 거리 이지만 상기 이동속도를 감안할 때 조만간 상기 근접거리에 다가갈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상기 소정거리나 상기 근접거리는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거리로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afety determination unit 103 receives the hazard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risk signal beacon 600 located near the dangerous area in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10, The access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600 is calculated us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200 are calculated from the approach distanc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If the worker terminal 200 is in proximity to the danger signal beacon 600, When the worker terminal 2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gnal beacon 600 approaches the beacon 600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It is preferable to self to send a hazard warning signal is determined to be in a critical state to the operator terminal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beacon of the danger signal uses the known method described above while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and the beacon 300. When the operator terminal 200 receives the beacon 60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terminal 200 and the beacon 600 continuously decreases or not. In case of the speed at which the worker terminal 200 moves toward the beacon 60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variation value, that is, the reduced distance, by dividing the unit time by the unit time. Here, the proximity distance refers to a distance before the dangerous state to the operator, that is, a distance to which an alarm can be issued to the operator with a certain allowanc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angerous zone or the field conditions, But it is a distance that can approach the near distance soon considering the moving spe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distance or the proximity distance is determined to be an appropriate distance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또한, 상기 안전판단부(104)는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상기 수신신호강도를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수가 상기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안전규칙 위반상태로 판단하여 안전경고신호를 상기 통신부(105)를 통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송배전설비(10)안에서 작업하는 인원이 상기 출입문(150) 개방요청 당시 인가된 인원보다 달라지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어 작업인원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출입구에 들어갈 때만 승인된 인원을 충족시켜 일단 출입문을 개방한 뒤 작업인원의 일부가 일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f the number of the worker terminals 200 transmitting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the safety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that the safety rules are violated,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a warning signal to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This allows a person working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to open the door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number of persons is different from the authorized number at the time of the request,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shortage of working personnel. That is, it is effective to prevent a part of the worker from deviating once the door is opened after meeting the authorized personnel only when entering the entrance.

한편,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송배전설비(10)에 출입할 작업자 모두가 휴대하는 작업자단말기(200)들에 대한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포함된 상기 식별코드정보를 상기 원격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통신부(105)를 통하여 상기 출입제어부(101)에 전송하고, 상기 출입제어부(101)로부터 상기 인가요청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원격관리자로부터 인가승인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유닛(200)의 출입제어부(101)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판단부(103)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현재위치와 상기 이동방향 및 상기 이동속도를 상기 송배전설비의 도면과 함께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하며, 상기 안전판단부(104)로부터 상기 위험경고신호 또는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하고 경보를 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원격관리자가 상기 송배전설비(10) 내에서 작업하는 모든 상황을 제어하고 모니터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나 기타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4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for the worker terminals 200 carried by all the workers to / from the transmission / distribution facility 10 to the remote manager And receives the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when receiving the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access control unit 101.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authoriz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03 on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along with the drawing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When the danger warning signal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afety determination unit 104, the warnin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It is preferred, In this way, the remote manager in the remote control of all working conditions with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 and can be monitored, it is possible to react quickly when accidents or other emergency situation.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개방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상기 출입제어부(101)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판단부(103)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송배전설비의 도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안전판단부(104)로부터 상기 위험경고신호 또는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들은 항상 자신이 상기 송배전설비(10) 내에서 어느 위치에서 작업 중인지를 손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나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예정된 구역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The work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ope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or to the entrance control unit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5 and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03 to When the danger warning signal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afety judgment unit 104, the alarm is issued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danger warning signal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By doing so, the workers can easily and precisely grasp where they are working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10, thereby promptly and accurately coping with a safety accident or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access the apparatus, thereb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이하에서는 도3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의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에서 상기 위치판단부(103)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를 산출하는 바람직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method for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03 in the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반적으로 비콘과 비콘신호 수신하는 단말기 간의 거리측정은 가까운 거리에서는 비교적 정확하지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가 심해진다. 비콘과 관련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비콘을 이용한 측위기술도 계속하여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거리측정 오차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는 있지만, 비콘을 이용한 거리측정시 오차를 충분히 감안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에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비콘(300)과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지만,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 산출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신호비콘(300)과 상기 작업자단말기(200) 사이의 거리계산 오차를 최소화하여 현재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독창적인 판단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즉 다음과 같은 판단방법에 따라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를 산출해 낸다.Generally, distance measurement between a beacon and a beacon receiving terminal is relatively accurate at a close distance, but the error becomes worse as the distance becomes longer.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beacon technology, positioning techniques using beacons continue to evolve, so distance measurement errors are constantly improved, but errors must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beacons. Therefore,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worker terminal 200 is calculated using a known method, bu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iginal decision algorithm capable of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by minimizing a distance calculation error between the position signal beacon 300 and the worker terminal 200. [ That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termination method.

먼저, 상기 위치판단부(103)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에서 수신되는 다수의 위치식별코드와 각각의 수신신호강도로 계산해낸 다수의 접근거리들 중에서 가장 짧은 접근거리를 찾아 제1 접근거리로 하고 그에 해당하는 위치신호비콘(300)을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하여 위치를 식별해 내고, 상기 다수의 접근거리들 중에서 두 번째로 짧은 접근거리를 찾아 제2 접근거리로 하고 그에 해당하는 위치신호비콘(300)을 제2 위치신호비콘로 하여 위치를 식별해 낸다. First,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03 finds the shortest approach distance among a plurality of position distinction codes received from the worker terminal 200 and a plurality of approach distances calculated from the received signal strengths, And a position signal beacon 3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signal beacon is identified as a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a second short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approach distances is found as a second approach distance, The beacon 300 is identified as a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그리고 만일, 제1 접근거리 및 제2접근거리가 이전에 비하여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 즉, 도 3a 및 도 3e에서처럼 작업자단말기(200)가 출입문(150)을 지나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에 접근해 오는 상태이거나 마지막 위치신호비콘(300c)를 지나 멀어진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것에 대한 판단은 상기 위치판단부(103)가 상기 다수의 접근거리에 대한 계산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이전에 시행한 계산과의 비교를 통하여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A and 3E, if the first access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farther or closer to each other than before, the worker terminal 200 passes through the door 150 to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Or is in a state of being away from the last position signal beacon 300c.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03 continuously calculates the plurality of access distances and determines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03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calculation.

이 경우 만일 도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에 접근해 오는 상태일 경우 제1 접근거리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의 거리인 d1이 될 것이며, 제2 접근거리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과의 거리인 d2가 될 것이다. (제3 접근거리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세 번째 위치신호비콘(300c)과의 거리인 d3가 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 접근거리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d1과 d2는 동시에 가까워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접근거리인 d2는 제1 위치신호비콘과 제2 위치신호비콘과의 간격인 s1보다도 먼 거리이기 때문에 d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오차가 매우 심하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d1의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d2는 버리고 d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는 제1 위치신호비콘인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쪽과 반대쪽으로 제1 접근거리인 d1만큼 떨어진 곳을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로 한다. 3A, the first access distance is a distance d1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wh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is approaching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will be d2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The third approach distance will be d3,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third position signal beacon 300c.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pproach distance or more is not used.) Therefore, d1 and d2 are close to each other State. Since the distance d2 as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longer than the distance s1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the error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d1. Therefore, since the reliability of d1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is high, it is preferable to discard d2 and use d1. That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is a first approach distance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which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o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d1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

만일 도3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 위치신호비콘(300c)를 지나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모두 멀어진 상태라면 상기 제1 접근거리는 d3가 될 것이고, 상기 제2 접근거리는 d2가 될 것이므로 위에서 상술한 대로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세 번째 위치신호비콘(300c)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쪽과 반대쪽으로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3만큼 떨어진 곳을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로 한다. I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both away from the last position signal beacon 300c as shown in FIG. 3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will be d3,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will be d2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is shifted from the third position signal beacon 300c, which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o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그러나 위에 경우가 아니라면 즉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이전에 비하여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가 아니라면 제1 위치신호비콘과 제2 위치신호비콘 사이에서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제1 접근거리만큼 떨어진 곳을 현재위치로 한다. However, if it is not the case above, that is, i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not simultaneously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each other than before, th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he current location is the distance away.

도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일,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접근거리가 이전에 비하여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상태 즉 도3b의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움직임이 있으면,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늘어나는 상태일 것이고 상기 제2 접근거리가 줄어들면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늘어나는 상태일 것이기 때문이다. 도3b의 경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는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사이인 s1 상에 있으며,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으로부터 d1만큼 떨어진 곳이 된다. 여기서 d1만 사용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콘의 거리측정 오차는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3B, i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not simultaneously moved away from or close to each other, the work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a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In this state, that is, in the state of FIG. 3B, if there is a movement of the worker terminal 200,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will be increase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decreased,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will increase. 3B,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is on s1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 The reason why only d1 is used is that as the distance becomes shorter, the reliability of the distance measurement error of the beacon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도3c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사이에 있지만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과의 거리가 더 가까울 때의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위치신호비콘은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이, 제1 접근거리는 d2가 되며, 제2 위치신호비콘은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이, 제2 접근거리는 d1이 된다. 3C shows a case where the worker terminal 20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but is closer to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In this case,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d2,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d1.

도3d는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사이의 간격(s1)보다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과 세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사이의 간격(s2)이 짧기 때문에,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과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사이에 있지만 d3가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이전에 비하여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에 해당하므로 즉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세 번째 위치신호비콘(300c)쪽과 반대쪽으로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2만큼 떨어진 곳을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로 한다. Figure 3d shows the spacing s2 between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and the thir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than the spacing s1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The worker terminal 20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but d3 is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farther away from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position signal beacon 300c, which is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by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2.

이렇게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이전에 비하여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를 판단해서 이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쪽과 반대쪽으로 상기 제1 접근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현재위치로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사이에서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만큼 떨어진 곳을 현재위치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재위치 판단 알고리즘은 상기 위치신호비콘(3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The present position determination algorithm can advantageousl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accurately even if the interval between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is not constant.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신호비콘(300)들의 간격이 멀기 때문에 거리측정 오차를 감안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단말기(300)의 현재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300 in a case where the distance measurement error must be considere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signal beacons 300 is long using FIG. 4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비콘과 비콘신호 수신기와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거리측정오차는 심해진다.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오차범위내로 측정이 가능한 거리가 어느 정도인지는 비콘의 제조사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 미터 이하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차가 허용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제1 접근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 즉, 오차가 허용되는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위치판단 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여기서 일정거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비콘의 종류나 설치환경 등을 감안하여 정해지는 숫자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measurement error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signal receiver and the beacon increases. The distance that can be measured within the allowable toleranc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maker or type of beacon, but it may be several meters or less in some cas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when the error exceeds the allowable distance, the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is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allowable distance. Here, since the predetermined distanc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beacon as described above, it is a number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beacon and installation environment.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위치신호비콘(300a, 300b) 사이의 간격(s1)이 넓은 상태일지라도 제1 접근거리(이 경우에는 d2)가 상기 일정거리 즉 오차가 허용되는 거리 이내일 경우에는 제1 접근거리를 사용하여 현재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나 제1 접근거리 및 제2 접근거리 모두 상기 일정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2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의 중간지점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A, even if the distance s1 between the two position signal beacons 300a and 300b is wide, i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2 in this cas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used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However, when both o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exceed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by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by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s shown in FIG.

도 4b는 거리측정 오차로 인하여 상기 제1 접근거리와 상기 제2 접근거리를 합하더라도 상기 두 위치신호비콘(300a, 300b)간의 간격(s1)보다 짧게 계산된 경우이며, 도 3c의 경우는 거리측정 오차로 인하여 상기 제1 접근거리와 상기 제2 접근거리를 합한 길이가 오히려 상기 두 위치신호비콘(300a, 300b) 사이의 간격(s1)보다 길게 계산된 경우이다. 상기 위치판단부(103)는 두 경우 모두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2 만큼 떨어진 지점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으로부터 상기 제2 접근거리인 d1 만큼 떨어진 지점의 중간지점(p)을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로 산출해 내게 된다.FIG. 4B shows a case where the distance s1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s1 between the two position signal beacons 300a and 300b even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combined due to the distance measurement error. In the case of FIG. 3C, The sum o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ue to the measurement error is calculated to be longer than the interval s1 between the two position signal beacons 300a and 300b. In both cases,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03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P) at a position distanced by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1 from the worker terminal 300a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

한편, 상기 위치판단부(103)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와 상기 위치신호비콘(300)과의 접근거리를 계산한 결과 이전 계산에 비하여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가까워졌거나 상기 제1 접근거리가 가까워진 동시에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제1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가까워졌다는 것은 도 3a 또는 도 3d와 같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첫 번째 위치신호비콘(300a)으로 접근하거나(도 3a의 경우)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으로 접근하는 경우(도 3d의 경우)이다. 반면 상기 제1 접근거리가 가까워진 동시에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라 함은 도 3c에 해당하며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2는 점점 가까워지고 상기 제2 접근거리인 d1은 점점 멀어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비콘신호인 두 번째 위치비콘신호(300b)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게 된다.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worker terminal 200 and the position signal beacon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closer to each other or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o the previous calculation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o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Do. That is, sinc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clos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A or FIG. 3D,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300a, which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n the case of FIG. 3D). As shown in FIG. 3C,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pproaches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ncreases,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2 gradually approaches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1 corresponds to It is getting farther away. Therefore, it is calcul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cond position beacon signal 300b which is the first position beacon signal.

그러나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2 접근거리는 가까워졌지만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는 도 3b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도 3b는 상기 제2 접근거리인 d2는 점점 가까워지는 상태이고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1은 점점 멀어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However, if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but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distant, the approach direction is calculated towar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B,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2 is gradually approaching, and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1 is gradually decreasing. Therefore, the worker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second position signal It is determined to approach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beacon.

반면,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와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멀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반대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이 되는데 이는 도 3e의 경우에 해당된다. 즉 도 3e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200)는 상기 제1 접근거리인 d3와 상기 제2 접근거리인 d2가 점점 멀어지는 경우이므로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인 세 번째 위치신호비콘(300c)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인 두 번째 위치신호비콘(300b)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more distant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the direction is away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nd away from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which corresponds to the case of FIG. 3E . 3E, sinc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3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2 are gradually distanced from the third position signal beacon 300c, which is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t is determined to mov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300b which is the position signal beacon.

이렇게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이동방향을 파악하게 되면 상술한 바 있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현재위치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200)가 어느 위치에 있으며 어디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is grasped in this way, it is determined which position and where the worker terminal 200 is moving by using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orker terminal 200 Lt; / RTI >

한편 상기 위치판단부(103)는 상기 작업자단말기(200)의 이동속도는 공지된 속도계산방법인 단위시간당 변동 값을 계산하여 산출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 있는 비콘의 거리측정오차를 감안해야 하므로 비콘의 오차허용범위인 상기 일정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을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한다. Meanwhile,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103 calculates the moving speed of the worker terminal 200 by calculating a variation value per unit time, which is a known speed calculating method. However, since the distance measurement error of the beacon described above must be considere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by the unit time is calculated only when the error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ich is the allowable error range of the beacon.

즉 상기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또는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을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지만, 상기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를 초과한 상태인 경우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에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을 합하여 2로 나눈 후 다시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게 된다. 즉,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두 비콘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 or the end time of the unit tim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btained by varying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uring the unit time by the unit time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at the end time of the unit time,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d value of the first approach distance during the unit time,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d value by 2 and then dividing the absolute value by the unit time. That is, when the error is out of the error range, the error can be reduced by using the average of the values measured in the two beacons.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preci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송배전설비
100 제어유닛
101 출입제어부 102 위치판단부
103 안전판단부 104 BLE수신부
105 통신부 120 시건장치
130 BLE수신기 150 출입문
200 작업자단말기
300 위치신호비콘
400 관리서버
500 무선통신망
600 위험신호비콘
10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100 control unit
101 Access control unit 102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03 Safety judging unit 104 BLE receiving unit
105 communication unit 120
130 BLE Receiver 150 Door
200 operator terminal
300 position signal beacon
400 Management Server
5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600 beacon signaling danger

Claims (3)

무인으로 운영되는 송배전설비에 설치되며, 상기 송배전설비의 출입구에 대한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비인가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제어부, 출입을 인가받은 작업자들이 휴대하는 작업자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판단부, 상기 작업자들의 위험 및 안전상태를 파악하는 안전판단부, 상기 출입구 외부에서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BLE신호로 송출하는 단말기식별코드를 수신하는 BLE수신부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 및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으로서
상기 출입제어부는, 상기 작업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출입구에 대한 개방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BLE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와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전에 전송받은 식별코드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식별코드정보가 없거나 상기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 또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식별코드정보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단말기식별코드가 포함된 인가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인가승인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시건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송배전설비 내 소정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신호비콘이 송출하는 각각의 위치식별코드를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수신하여 상기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전송하면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에 대한 전송신호강도와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와 각각의 위치신호비콘 사이의 접근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안전판단부는, 상기 송배전설비 내 위험구역에 설치되는 위험신호비콘이 송출하는 위험식별코드를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수신하여 상기 위험식별코드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와 함께 전송하면, 상기 위험식별코드에 대한 전송신호강도와 수신신호강도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와 상기 위험신호비콘과의 접근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상기 위험신호비콘과 근접거리에 있거나 상기 위험신호비콘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있는 상기 작업자단말기가 상기 위험신호비콘을 향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가 위험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경고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각각의 위치식별코드와 상기 수신신호강도를 전송하는 상기 작업자단말기의 수가 상기 단말기식별코드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안전규칙 위반상태로 판단하여 안전경고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위치판단부가 산출한 상기 현재위치와 상기 이동방향 및 상기 이동속도를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작업자단말기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화면에 상기 송배전설비의 도면과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판단부가 상기 위험경고신호 또는 상기 안전경고신호를 발생한 경우 상기 작업자단말기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위험경보 또는 안전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
An entrance control unit installed in an unmanne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of an unauthorized person by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fo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worker terminal carried by the access permitted worker, A BLE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worker terminal in a BLE signal outside the doorway, and a BLE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a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equipment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control unit
Wherein the access control unit controls the number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received by the BLE receiving unit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each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when receiving an opening request signal for the entrance from the worker terminal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is not present or when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o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is different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light signal includ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s the locking device to open the door only when an approval approva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When the operator terminal receives each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position signal beac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and transmits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together wit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 Calculating an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terminal and each of the position signal beacons using the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codes,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of the operator terminal,
Wherein the safety judgment unit receives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transmitted by the risk signal beacon installed in the hazardous area in th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y together wit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for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when the worker terminal receives the risk identification code, Calculating an approach distance between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beacon using the transmitted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calculating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of the operato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terminal is close to the beacon of the danger signal When the worker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eacon of the danger signal approaches the beacon of the beacon at a predetermined speed or more toward the beacon of danger,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is in a dangerous state and generates a danger warn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to the worker terminal If less than the number of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generates a safety alert signal is determined by safety rules violation state,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speed calculated by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worker termi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gether with the drawing of the transmission / And transmits the risk warning signal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to the operator terminal and the management server in case of occurrence of the danger warning signal or the safety warning signal to generate a critical alarm or a safety al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현재위치를, 상기 접근거리 중 가장 짧은 제1 접근거리에 위치한 제1 위치신호비콘과 상기 접근거리 중 두 번째로 짧은 제2 접근거리에 위치한 제2 위치신호비콘 사이에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 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산출하되,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과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2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의 중간지점으로 산출하고,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멀어졌거나 동시에 가까워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 이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에서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반대쪽으로 제1 접근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by using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located at the first shortest distance of the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located at the second shortest distance of the approach distance,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s calculated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by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closer to each other or at the same time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is a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Great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acilities security,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apart and the safety control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이동방향을,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 및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가까워졌거나 상기 제1 접근거리가 가까워진 동시에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제1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고,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2 접근거리는 가까워졌지만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멀어진 경우에는 제2 위치신호비콘 쪽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산출하고, 상기 접근거리 계산 전보다 상기 제1 접근거리와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동시에 멀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신호비콘으로부터 상기 제2 위치신호비콘 반대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산출하며,
상기 위치판단부는 상기 이동속도를,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또는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상기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을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며, 상기 단위시간의 시작시점 및 상기 단위시간의 종료시점에 제1 접근거리가 상기 일정거리를 초과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1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에 상기 단위시간 동안 상기 제2 접근거리가 변동된 값의 절대 값을 합하여 2로 나눈 후 다시 상기 단위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설비 보안 및 안전관리 제어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moving direction based on whether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closer to each other than before the approach distance calculation or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closer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farther, Beacon and calculates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cond position signal beacon when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is closer to the beacon than before the calculation of the approach distance but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distant,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and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are simultaneously distant from the first position signal beacon,
Wherein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moving speed as a value at which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changed during the unit time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 When the first approach d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start time of the uni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unit time, the first approach distance for the unit time is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irst approach distance Wherein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d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d value of the second approach distance during the unit time, dividing the absolute value by 2, and dividing the absolute value by the unit time again. unit
KR1020170054074A 2017-04-27 2017-04-27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KR101775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74A KR101775393B1 (en) 2017-04-27 2017-04-27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74A KR101775393B1 (en) 2017-04-27 2017-04-27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93B1 true KR101775393B1 (en) 2017-09-06

Family

ID=5992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074A KR101775393B1 (en) 2017-04-27 2017-04-27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9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031A (en) * 2019-01-24 2019-05-3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Substation secondary job area intelligence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PMS
KR102089257B1 (en) * 2019-07-03 2020-03-16 (주)에스지솔루션 Smart Door Lock System for Switchboard
KR102237432B1 (en) * 2020-07-13 2021-04-08 정세중 System for monitoring power plant using mobile unmanned robot
KR102345421B1 (en) * 2021-03-26 2021-12-30 (주)한울전력기술 Integrated safety control system using mobile unmanned robot
CN114463884A (en) * 2022-01-04 2022-05-10 安标国家矿用产品安全标志中心有限公司 Mine port gate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96B1 (en) 2014-12-10 2015-04-14 (주)제이케이알에스티 The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based on distributer and the distributer and beacon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KR101652505B1 (en) 2016-04-12 2016-08-30 주식회사 차후 System for managing rooms of accommod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96B1 (en) 2014-12-10 2015-04-14 (주)제이케이알에스티 The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based on distributer and the distributer and beacon for managing emergency state
KR101652505B1 (en) 2016-04-12 2016-08-30 주식회사 차후 System for managing rooms of accommoda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1031A (en) * 2019-01-24 2019-05-3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Substation secondary job area intelligence control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PMS
KR102089257B1 (en) * 2019-07-03 2020-03-16 (주)에스지솔루션 Smart Door Lock System for Switchboard
KR102237432B1 (en) * 2020-07-13 2021-04-08 정세중 System for monitoring power plant using mobile unmanned robot
KR102345421B1 (en) * 2021-03-26 2021-12-30 (주)한울전력기술 Integrated safety control system using mobile unmanned robot
CN114463884A (en) * 2022-01-04 2022-05-10 安标国家矿用产品安全标志中心有限公司 Mine port gate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CN114463884B (en) * 2022-01-04 2024-01-16 安标国家矿用产品安全标志中心有限公司 Ore well mouth gate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393B1 (en) Control Unit for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in Electric Power Facility
WO2018208046A3 (en) Smart port system for ble beacon-based management and location tracking of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port
KR101775392B1 (en) Security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Facility
CN107679591A (en) Construction site workmen's real-time location method based on safety
CN110705348A (en) Intelligent security fence arrangement method for transformer substation
KR20120031787A (en) Securety and management system using real time location system in smart building
CN104083831A (en) Intelligent evacuation indicating system with positioning function and evacuation method
EP35030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hotel room
CN110070155A (en) A kind of comprehensive Activity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of the inmate based on wearable device
KR20190108960A (en)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JP2013242642A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20160050263A (en) Mover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over identification server
US20180322268A1 (en) Challenge and response system for identifying non-credentialed occupants and method
CN206097390U (en) Indoor site work personnel positioner in power plant
CN104992276A (en) Tunnel checking-i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KR101791639B1 (en) Emergency call system using beacon and mobile terminal
KR20190130915A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773834B1 (en) Control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beacon
EP3006302B1 (en) Method for blocking a working area within a railway network and train control system
KR101957982B1 (en) Security activity smart tool box meeting system using beacon tag
KR20100013135A (en) Providing risk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with rfid passive tag
KR101703497B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KR101612266B1 (en) combin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1643242B1 (en) Identification card based on beacon and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