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009B1 -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009B1
KR101775009B1 KR1020160089326A KR20160089326A KR101775009B1 KR 101775009 B1 KR101775009 B1 KR 101775009B1 KR 1020160089326 A KR1020160089326 A KR 1020160089326A KR 20160089326 A KR20160089326 A KR 20160089326A KR 101775009 B1 KR101775009 B1 KR 10177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regulating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도현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큐어 filed Critical (주)와이즈큐어
Priority to KR102016008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16Design of handles or shafts or gripping surfaces thereof for manipulating 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금속재의 가이드 와이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금속재의 시술용 헤드;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CATHETER APPARAUS FOR INTERSPINOUS PROCESS BY MINIMALLY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카테타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직접 신체에 삽입되는 모든 수단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물품으로써, 혈관 주사용, 요도 삽입용, 기도삽입용, 복강경 수술용 카테타 등 다양한 신체 삽입을 위한 카테타로 구분된다.
등록특허 제10-0536405호의 "카테타 미세 위치 조절기능이 부가된 관상동맥 확장장치"와, 등록특허 제10-0965211호의 "의료용 팽창기구" 등(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은, 카테타를 수술 대상 부위로 밀어넣은 후 조영제(造影劑, Contrast Media)를 풍선에 넣어 팽창시키면, C-arm으로 수술 대상 부위를 파악할 때, 조영제가 들어간 풍선 부위가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를 수술하면 되는 원리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관상동맥 등 혈관을 일정 정도 이상 확장시키는 수술에는 적합할 수 있지만, 추간판 탈출증이나 척추 협착 등 척추 병변과 같이 병변 부위가 협소하고 작은 경우에는, 주입된 조영제의 양과 풍선이 팽창된 공간의 크기 사이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오차에도 불구하고 조영제로 비춰지는 부분을 수술할 경우에는 병변 부위가 아닌 곳을 건드리는 치명적인 수술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다분하였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536405호 등록특허 제10-09652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금속재의 가이드 와이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금속재의 시술용 헤드;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시술용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작 규제 수단에 의하여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하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측이 일정 각도로 구부러지고 복원되는 것을 제어하는 굴곡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시술용 헤드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와, 상기 연결 단부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조작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규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장착된 양단 관통의 규제 하우징과, 상기 규제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된 통과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구비하며,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일체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 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전, 후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통과홀의 양단부 내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전후진 규제부와, 상기 이동체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정, 역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굴곡 제어부는, 상기 시술용 헤드가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내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권취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형성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규제 리브와,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규제 리브와 대응하는 갯수만큼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 리브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본체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된 금속재의 시술용 헤드와, 가이드 와이어의 타단부측에 연결되어 가이드 와이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수술 대상 부위를 파악하는 선행기술들에 비하여, 조영제의 부피와 풍선이 팽창한 부피 사이의 오차로 인한 잘못된 수술 집도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의 주요부인 동작 규제 수단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부분 단면 개념도, 도 3(b)는 도 3(a)의 IIIb-IIIb'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의 주요부인 동작 규제 수단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부분 단면 개념도, 도 3(b)는 도 3(a)의 IIIb-IIIb'선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가이드 와이어(200)와 시술용 헤드(300) 및 동작 규제 수단(5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체(100)는 후술할 가이드 와이어(200)와 동작 규제 수단(500) 및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측을 도 1의 점선 부분과 같이 굴곡시키는 조작 레버(15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200)는 본체(10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시술시 본체(100)로부터 시술 대상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 및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SUS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술용 헤드(300)는 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관통된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시술 대상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 및 압력을 견디면서, 직접 척추 협착 또는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눌려진 신경 협착 등을 해제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SUS 등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작 규제 수단(500)은 본체(100)의 타단부로부터 관통된 가이드 와이어(200)와 연결되고 본체(100)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가이드 와이어(200)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풍선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수술 대상 부위를 파악하는 선행기술들에 비하여, 조영제의 부피와 풍선이 팽창한 부피 사이의 오차로 인한 잘못된 수술 집도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시술용 헤드(300)는, 도 2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20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으며,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310)와, 연결 단부(310)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부(320)와, 테이퍼부(320)의 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조작 헤드부(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게 테이퍼부(320)와 조작 헤드부(330)가 상호 연결된 부위를 절단한 단면은 타원 형상(도 2의 좌측에서 도시된 점선 타원 참조)이다.
이때, 전술한 타원 형상은 테이퍼부(320)의 말단이 장축이며, 장축과 직교하는 가상선이 지나는 테이퍼부(320)의 두께에 대응하는 부분이 단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술용 헤드(300)는 연결 단부(310)로부터 테이퍼부(320)와 조작 헤드부(330)까지 유선형으로 납작하게 형성됨으로써, 척추 협착 및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 눌려진 신경 협착 등의 척추 병변 시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시술용 헤드(300) 사이에 배치되고, 동작 규제 수단(500)에 의하여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하는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측이 일정 각도로 구부러지고 복원되는 것을 제어하는 굴곡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굴곡 제어부(400)는, 시술용 헤드(300)가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며, 타단부는 본체(10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가이드 와이어(200)가 내장되는 삽입부(410)와, 가이드 와이어(200)의 외주면과 삽입부(41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 와이어(2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권취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420)를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41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200)의 외경은 스프링 가이드(42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으며, 스프링 가이드(42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직경은 삽입부(41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배치 구조 및 굴곡 동작에 지장이 없을 것이다.
아울러, 스프링 가이드(42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2, 3 코일부(421, 422, 423)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코일부(421)는 가이드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제1 피치로 권취된 것이다.
제2 코일부(422)는 제1 코일부(421)의 말단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제1 피치보다 간격이 큰 제2 피치로 권취된 것이다.
제3 코일부(423)는 제2 코일부(422)의 말단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200)의 일단부까지 제1 피치로 권취된 것이다.
따라서, 제2 코일부(422)를 기준으로 가이드 와이어(200)가 일정 각도로 구부러지고 복원되는 것이다.
즉, 제1 피치로 권취된 제1, 3 코일부(421, 423)는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고, 제2 피치로 권취된 제2 코일부(422)는 굴곡의 유연성을 제공하되, 제2 피치는 일정 정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작 규제 수단(50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규제 하우징(510)과 이동체(520)와 전후진 규제부(530)와 회전 규제부(540)를 포함하는 구성임을 파악할 수 있다.
규제 하우징(510)은 가이드 와이어(200)가 통과하며 본체(100)의 타단부에 장착된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이동체(520)는 규제 하우징(510)의 내부에 관통된 통과홀(511)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구비하며, 중심부에 가이드 와이어(200)와 배치되어 가이드 와이어(200)와 일체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 하는 것이다.
전후 규제부(530)는 이동체(520)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전, 후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통과홀(511)의 양단부 내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 규제부(540)는 이동체(520)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정, 역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통과홀(511)의 내주면과 이동체(52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후진 규제부(530)는, 통과홀(511)의 양단부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규제 격벽(531, 532)을 포함하며, 규제 격벽(531, 532)의 중심부에 관통된 통공(534, 535)은 가이드 와이어(200)의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가이드 와이어(200)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이때, 통과홀(511)의 일단부에 배치된 규제 격벽(531)과 통과홀(511)의 타단부에 배치된 규제 격벽(532)과의 거리는, 가이드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체(520)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도 3(a)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200)가 본체(100)의 일단부측(도면의 좌측)을 향하여 전진했을 때, 이동체(520)와 타단부의 규제 격벽(532) 사이에 일정 크기의 간격(d)이 형성되도록 한다.
전술한 간격(d)은 대략 0.2 내지 0.3mm 정도이며, 이는 미세한 병변 부위의 시술에 적합한 간격 정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규제부(540)는, 도 3(b)를 참조하면, 통과홀(511)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와이어(200)의 형성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규제 리브(541)와, 이동체(5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규제 리브(541)와 대응하는 갯수만큼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 리브 돌편(542)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b)에서 규제 리브(541)가 돌출된 간격은 걸림 리브 돌편(542)이 90도만큼 정, 역회전 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규제 리브(541)의 갯수 및 간격과 이와 대응하는 걸림 리브 돌편(542)의 갯수 및 간격은 적절히 가감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병변 발생 부위를 오차없이 정확히 파악하여 수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본체
150...조작 레버
200...가이드 와이어
300...시술용 헤드
310...연결 단부
320...테이퍼부
330...조작 헤드부
400...굴곡 제어부
410...삽입부
420...스프링 가이드
421...제1 코일부
422...제2 코일부
423...제3 코일부
500...동작 규제 수단
510...규제 하우징
511...통과홀
520...이동체
530...전후진 규제부
531, 532...규제 격벽
534, 535...통공
540...회전 규제부
541...규제 리브
542...걸림 리브 돌편
550...조절 손잡이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금속재의 가이드 와이어;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금속재의 시술용 헤드; 및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부터 관통된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 규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작 규제 수단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하며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장착된 양단 관통의 규제 하우징과,
    상기 규제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된 통과홀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구비하며,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와 일체로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 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전, 후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통과홀의 양단부 내주면으로부터 형성되는 전후진 규제부와,
    상기 이동체가 일정 범위 내에서만 정, 역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과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시술용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동작 규제 수단에 의하여 전, 후진 또는 정, 역회전하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측이 일정 각도로 구부러지고 복원되는 것을 제어하는 굴곡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술용 헤드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 단부와,
    상기 연결 단부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의 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조작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굴곡 제어부는,
    상기 시술용 헤드가 일단부로부터 노출되며, 타단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내장되는 삽입부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권취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통과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형성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복수의 규제 리브와,
    상기 이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규제 리브와 대응하는 갯수만큼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 리브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KR1020160089326A 2016-07-14 2016-07-14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KR10177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6A KR101775009B1 (ko) 2016-07-14 2016-07-14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6A KR101775009B1 (ko) 2016-07-14 2016-07-14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009B1 true KR101775009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26A KR101775009B1 (ko) 2016-07-14 2016-07-14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0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15945A1 (en) * 2005-07-06 2016-01-21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15945A1 (en) * 2005-07-06 2016-01-21 Vascular Pathways, Inc.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457B2 (en) Steerable endoluminal punch with cutting stylet
JP7188847B2 (ja) 操縦可能な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6050477B2 (ja) 操縦可能なルーメンパンチ
JP6412505B2 (ja) 操縦可能ガイドワイヤおよび使用方法
JP6875438B2 (ja) ダイレ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279386A1 (en) Introducer with Steerable Distal Tip Section
US20060142732A1 (en) Variable curve catheter
US115713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an implant through a catheter
US20160106443A1 (en) Device To Aid In The Deployment Of A Shape Memory Instrument
WO2019019937A1 (zh) 可调弯鞘管和医疗器械
JP2007289702A (ja) 医療用スネアを有する医療器具
WO2013098758A1 (en) Nested cannulas with guided tools
US11964114B2 (en) Shaft deflection control assembly for ENT guide instrument
JP2023016967A (ja) ガイドワイヤ、及び、ガイドワイヤを用いた方法
JP2004136103A (ja) ニッケル−チタン滑性医療カテーテルワイヤ
KR101775009B1 (ko) 최소 침습에 의한 척추시술용 카테타 장치
JP2002191571A (ja) 電極カテーテル
KR101860330B1 (ko) 스프링에 의하여 신축 및 진퇴 가능한 카테터 장치
US11426235B2 (en) Electrode loop assembly including shaped support tub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2400507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teerable sheath with improved torque transfer during deflection
JP7360443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2164495B1 (ko) 조향이 가능한 주름진 튜브를 이중으로 포함하는 카테터
US20240149018A1 (en) Tube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stiffening a tube device
US20200054859A1 (en) Intra-Balloon Deflection Mechanism for Enhanced Balloon Maneuver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