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55B1 -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 Google Patents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55B1
KR101774955B1 KR1020150069800A KR20150069800A KR101774955B1 KR 101774955 B1 KR101774955 B1 KR 101774955B1 KR 1020150069800 A KR1020150069800 A KR 1020150069800A KR 20150069800 A KR20150069800 A KR 20150069800A KR 101774955 B1 KR101774955 B1 KR 10177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water jacket
head box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085A (ko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5006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렛을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를 생산하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내통(110), 중간통(120) 및 외통(130)으로 구성되고, 중간통(120)에 의해 내통(110)과 외통(130) 사이에 제 1 가스통로(GP1)와 제 2 가스통로(GP2)가 형성되며, 내통(110)이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구체부(111)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내부에 구 형태의 화염 연소공간(115)이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상부 구멍에 상부 원통부(112)의 하단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에 제 1 워터자켓(WJ1) 및 제 2 워터자켓(WJ2)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제 1 워터자켓(WJ1)과 상부 원통부(112)의 제 2 워터자켓(WJ2)이 연결되고, 제 1 워터자켓(WJ1)의 하단에 저온수 공급관(SP)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 상부에 1차 헤드박스(140)가 배치되어, 상부 원통부(112)의 상단이 제 1 연결관(CP1)에 의해 1차 헤드박스(140)에 연결되고, 1차 헤드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된 2차 헤드박스(145)가 중간통(120)과 외통(130) 사이에 배치되고,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가 제 2 연결관(CP2)에 의해 연결되고, 외통(130)의 상부에 리버스 탱크(150)가 배치되고, 2차 헤드박스(145)와 리버스 탱크(150)가 제 3 연결관(CP3)에 의해 연결되며, 리버스 탱크(150)가 열교환기(160)와 제 1 순환관(RP1)에 의해 연결되고, 열교환기(160)와 저온수 공급관(SP)이 제 2 순환관(RP2)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순환관(RP2)에 제 1 펌프(16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FIREBOX OF PELLET HOT_WATER BOILER}
본 발명은 펠렛을 연료로 사용하여 온수를 생산하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이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로 구성되어, 하부 구체부의 내부에 화염 연소공간이 넓게 확장되어 형성되며,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에 워터자켓이 형성되어, 화염 연소공간의 둘레를 감싸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89507호(2014년 4월 21일, 등록)에 "펠렛 보일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펠렛 보일러용 화실통은 하부통, 상부 외통, 상부 내통 및 상부 중간통으로 구성되며, 하부통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제 1 플랜지가 노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고, 하부통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제 2 플랜지가 상부 외통의 하단 둘레에 형성된 제 3 플랜지와 결합되고, 하부통의 수직부 상단에 상부 내통의 하단이 용접되어, 상부 외통의 내부에 상부 내통이 배치되고, 상부 외통과 상부 내통 사이에 상부 중간통이 배치되어, 상부 중간통이 다수개의 받침대에 의해 상부 내통에 지지되며, 상부 내통의 내부에 제 1 가스통로가 형성되고, 상부 내통과 상부 중간통 사이에 제 2 가스통로가 형성되고, 상부 중간통과 상부 외통 사이에 제 3 가스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외통에 연소가스 배출관이 연결되고, 나선형으로 감긴 제 1 수관이 상부 내통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긴 제 2 수관이 상부 내통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긴 제 3 수관이 상부 중간통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나선형으로 감긴 제 4 수관이 상부 중간통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나선형으로 감긴 제 5 수관이 상부 외통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제 5 수관으로 저온수가 공급되고, 제 5 수관이 분기관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수관과 연결되고, 제 1 내지 제 4 수관이 상부 내통의 상부에 배치된 헤드박스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펠렛 보일러용 화실통은 외통 밖으로 버려지는 열을 회수하지 못하고, 하부통에서 연소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가 언급되지 않았으며, 고압력에 견디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통이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로 구성되어, 하부 구체부의 내부에 화염 연소공간이 넓게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화덕의 화염이 화염 연소공간으로 쉽게 상승하고, 넓어진 화염 연소공간으로 인해 화염이 잘 연소되며,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에 워터자켓이 형성되어, 워터자켓이 화염 연소공간의 둘레를 감싸고 있어, 화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이 모두 워터자켓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부 구체부가 갖는 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화염 연소시 발생하는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으며, 내통의 워터자켓에서 가열된 온수가 1차 헤드박스와 2차 헤드박스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리버스 탱크로 공급됨으로써, 수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버스 탱크에서 증기, 공기 등의 기체를 충분히 배출할 수 있어, 기체에 의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통 및 중간통에 각각 워터자켓을 형성하고, 외통과 내통 사이의 제 1 가스통로 및 제 2 가스통로에 복수개의 나선관을 배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열을 최대한 많이 회수할 수 있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내통, 중간통 및 외통으로 구성되고, 중간통에 의해 내통과 외통 사이에 제 1 가스통로와 제 2 가스통로가 형성되며, 내통이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로 구성되고, 하부 구체부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구체부의 내부에 구 형태의 화염 연소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의 상부 구멍에 상부 원통부의 하단이 연결되며, 내통의 하부 구체부와 상부 원통부에 제 1 워터자켓 및 제 2 워터자켓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의 제 1 워터자켓과 상부 원통부의 제 2 워터자켓이 연결되고, 제 1 워터자켓의 하단에 저온수 공급관이 연결되며, 내통의 상부 원통부 상부에 1차 헤드박스가 배치되어, 상부 원통부의 상단이 제 1 연결관에 의해 1차 헤드박스에 연결되고, 1차 헤드박스의 상부에 배치된 2차 헤드박스가 중간통과 외통 사이에 배치되고, 1차 헤드박스와 2차 헤드박스가 제 2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외통의 상부에 리버스 탱크가 배치되고, 2차 헤드박스와 리버스 탱크가 제 3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리버스 탱크가 열교환기와 제 1 순환관에 의해 연결되고, 열교환기와 저온수 공급관이 제 2 순환관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순환관에 제 1 펌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상기 중간통과 외통에 제 3 워터자켓과 제 4 워터자켓이 각각 형성되고, 중간통의 하단과 내통의 하부 구체부가 제 4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 구체부의 물이 제 3 워터자켓으로 공급되고, 외통의 하단이 저온수 공급관과 제 5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저온수 공급관의 물이 제 5 연결관을 통해 외통의 제 4 워터자켓으로 공급되고, 외통의 상단부와 중간통의 상단부가 제 6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중간통의 상단부와 1차 헤드박스가 제 7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제 3 워터자켓의 온수가 1차 헤드박스로 공급될 때, 제 4 워터자켓의 온수가 제 3 워터자켓을 통해 1차 헤드박스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제 1 가스통로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1 나선관 및 제 2 나선관이 배치되고, 제 2 가스통로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3 나선관 및 제 4 나선관이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4 나선관의 하단이 내통의 하부 구체부에 연결되고, 제 1 내지 제 4 나선관의 상단이 제 8 내지 제 11 연결관에 의해 리버스 탱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화덕의 화염이 화염 연소공간으로 쉽게 상승하고, 넓어진 화염 연소공간을 인해 화염이 잘 연소되며, 화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이 모두 워터자켓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부 구체부가 갖는 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화염 연소시 발생하는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어, 보일러의 수명이 늘어나고,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버려지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을 일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펠렛 온수 보일러는 펠렛을 연소하기 위한 노통(30)과, 노통(30)으로 펠렛을 공급하는 펠렛공급장치(20)와, 노통(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펠렛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물을 가열하는 화실통(10)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10)은 내통(110), 중간통(120) 및 외통(130)으로 구성되고, 중간통(120)에 의해 내통(110)과 외통(130) 사이에 제 1 가스통로(GP1)와 제 2 가스통로(GP2)가 형성되며, 내통(110)이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구체부(111)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내부에 구 형태의 화염 연소공간(115)이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상부 구멍에 상부 원통부(112)의 하단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에 제 1 워터자켓(WJ1) 및 제 2 워터자켓(WJ2)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제 1 워터자켓(WJ1)과 상부 원통부(112)의 제 2 워터자켓(WJ2)이 연결되고, 제 1 워터자켓(WJ1)의 하단에 저온수 공급관(SP)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 상부에 1차 헤드박스(140)가 배치되어, 상부 원통부(112)의 상단이 제 1 연결관(CP1)에 의해 1차 헤드박스(140)에 연결되고, 1차 헤드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된 2차 헤드박스(145)가 중간통(120)과 외통(130) 사이에 배치되고,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가 제 2 연결관(CP2)에 의해 연결되고, 외통(130)의 상부에 리버스 탱크(150)가 배치되고, 2차 헤드박스(145)와 리버스 탱크(150)가 제 3 연결관(CP3)에 의해 연결되며, 리버스 탱크(150)가 열교환기(160)와 제 1 순환관(RP1)에 의해 연결되고, 열교환기(160)와 저온수 공급관(SP)이 제 2 순환관(RP2)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순환관(RP2)에 제 1 펌프(165)가 장착된다.
상기 리버스 탱크(150)에는 에어벤트밸브(도시하지 않음)와,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온수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어 관(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제 1 펌프(165)에 의해 순환하는 물과 제 2 펌프(175)에 의해 순환하는 온수저장통(170)의 물을 열교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하부 구체부(111) 내부의 화염 연소공간(115)이 노통(30)의 화덕(32 ; 도 1 참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되어 있어, 화덕의 화염이 화염 연소공간(135)으로 쉽게 상승하고, 넓어진 화염 연소공간(135)을 인해 화염이 잘 연소되며, 화염 연소공간(135)의 둘레를 제 1 및 제 2 워터자켓(WJ1, WJ2)이 감싸고 있어, 화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이 모두 제 1 및 제 2 워터자켓(WJ1, WJ2)에 채워진 저온수를 가열하는데 사용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부 구체부(111)가 갖는 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화염 연소시 발생하는 높은 연소 압력에 견딜 수 있어, 온수 보일러의 수명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펌프에 의해 저온수가 저온수 공급관(SP)을 통해 제 1 워터자켓(WJ1)으로 공급되고, 저온수가 제 1 워터자켓(WJ1)과 제 2 워터자켓(WJ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염에 의해 고온의 온수로 가열되고, 가열된 온수가 제 2 워터자켓(WJ2)에서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를 통해 리버스 탱크(150)로 공급되고, 고온의 온수가 리버스 탱크(150)에서 열교환기(160)로 공급되어 열교환기(160)에서 열교환하게 되고, 열교환기(160)에서 배출되는 저온수가 제 2 순환관(RP2)을 통해 저온수 공급관(SP)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제 1 및 제 2 워터자켓(WJ1, WJ2)에서 가열된 온수가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리버스 탱크(150)로 공급됨으로써, 수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리버스 탱크(150)에서 증기, 공기 등의 기체를 충분히 배출할 수 있어, 기체에 의해 열교환기(16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중간통(120)과 외통(130)에 제 3 워터자켓(WJ3)과 제 4 워터자켓(WJ4)이 각각 형성되고, 중간통(120)의 하단과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가 제 4 연결관(CP4)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물이 제 3 워터자켓(WJ3)으로 공급되고, 외통(130)의 하단(130)이 저온수 공급관(SP)과 제 5 연결관(CP5)에 의해 연결되어, 저온수 공급관(SP)의 물이 제 5 연결관(CP5)을 통해 외통(130)의 제 4 워터자켓(WJ4)으로 공급되고, 외통(130)의 상단부와 중간통(120)의 상단부가 제 6 연결관(CP6)에 의해 연결되고, 중간통(120)의 상단부와 1차 헤드박스(140)가 제 7 연결관(CP7)에 의해 연결되어, 제 3 워터자켓(WJ3)의 온수가 1차 헤드박스(140)로 공급될 때, 제 4 워터자켓(WJ4)의 온수가 제 3 워터자켓(WJ3)을 통해 1차 헤드박스(140)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외통(130)의 제 4 워터자켓(WJ4)가 둘레를 완전히 감싸게 되어, 외부로 연소가스의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소가스의 열을 최대한 회수할 수 있으며,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제 1 가스통로(GP1) 및 제 2 가스통로(GP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3 워터자켓(WJ3)의 많이 열교환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고온의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은 제 1 가스통로(GP1)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1 나선관(180) 및 제 2 나선관(182)이 배치되고, 제 2 가스통로(GP2)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3 나선관(184) 및 제 4 나선관(186)이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4 나선관(180, 182, 184, 186)의 하단이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에 연결되고, 제 1 내지 제 4 나선관(180, 182, 184, 186)의 상단이 제 8 내지 제 11 연결관(CP8, CP9, CP10, CP11)에 의해 리버스 탱크(150)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제 1 가스통로(GP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 나선관(180) 및 제 2 나선관(182)의 물과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표면적이 넓은 제 1 나선관(180) 및 제 2 나선관(182)에서 연소가스의 열을 많이 흡수할 수 있으며, 표면적이 넓은 제 3 나선관(184) 및 제 4 나선관(186)이 제 2 가스통로(GP2)로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게 됨으로써, 연소가스의 열이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110 : 내통 120 : 중간통
130 : 외통 140 : 1차 헤드박스
145 : 2차 헤드박스 150 : 리버스 탱크
160 : 열교환기 GP1 : 제 1 가스통로
GP2 : 제 2 가스통로 WJ1 : 제 1 워터자켓
WJ2 : 제 2 워터자켓

Claims (3)

  1. 내통(110), 중간통(120) 및 외통(130)으로 구성되고, 중간통(120)에 의해 내통(110)과 외통(130) 사이에 제 1 가스통로(GP1)와 제 2 가스통로(GP2)가 형성되며, 내통(110)이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구체부(111)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내부에 구 형태의 화염 연소공간(115)이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상부 구멍에 상부 원통부(112)의 하단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에 제 1 워터자켓(WJ1) 및 제 2 워터자켓(WJ2)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제 1 워터자켓(WJ1)과 상부 원통부(112)의 제 2 워터자켓(WJ2)이 연결되고, 제 1 워터자켓(WJ1)의 하단에 저온수 공급관(SP)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 상부에 1차 헤드박스(140)가 배치되어, 상부 원통부(112)의 상단이 제 1 연결관(CP1)에 의해 1차 헤드박스(140)에 연결되고, 1차 헤드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된 2차 헤드박스(145)가 중간통(120)과 외통(130) 사이에 배치되고,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가 제 2 연결관(CP2)에 의해 연결되고, 외통(130)의 상부에 리버스 탱크(150)가 배치되고, 2차 헤드박스(145)와 리버스 탱크(150)가 제 3 연결관(CP3)에 의해 연결되며, 리버스 탱크(150)가 열교환기(160)와 제 1 순환관(RP1)에 의해 연결되고, 열교환기(160)와 저온수 공급관(SP)이 제 2 순환관(RP2)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순환관(RP2)에 제 1 펌프(165)가 장착되며,
    상기 중간통(120)과 외통(130)에 제 3 워터자켓(WJ3)과 제 4 워터자켓(WJ4)이 각각 형성되고, 중간통(120)의 하단과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가 제 4 연결관(CP4)에 의해 연결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물이 제 3 워터자켓(WJ3)으로 공급되고, 외통(130)의 하단(130)이 저온수 공급관(SP)과 제 5 연결관(CP5)에 의해 연결되어, 저온수 공급관(SP)의 물이 제 5 연결관(CP5)을 통해 외통(130)의 제 4 워터자켓(WJ4)으로 공급되고, 외통(130)의 상단부와 중간통(120)의 상단부가 제 6 연결관(CP6)에 의해 연결되고, 중간통(120)의 상단부와 1차 헤드박스(140)가 제 7 연결관(CP7)에 의해 연결되어, 제 3 워터자켓(WJ3)의 온수가 1차 헤드박스(140)로 공급될 때, 제 4 워터자켓(WJ4)의 온수가 제 3 워터자켓(WJ3)을 통해 1차 헤드박스(14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2. 삭제
  3. 내통(110), 중간통(120) 및 외통(130)으로 구성되고, 중간통(120)에 의해 내통(110)과 외통(130) 사이에 제 1 가스통로(GP1)와 제 2 가스통로(GP2)가 형성되며, 내통(110)이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로 구성되고, 하부 구체부(111)가 볼록한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구체부(111)의 내부에 구 형태의 화염 연소공간(115)이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상부 구멍에 상부 원통부(112)의 하단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와 상부 원통부(112)에 제 1 워터자켓(WJ1) 및 제 2 워터자켓(WJ2)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구체부(111)의 제 1 워터자켓(WJ1)과 상부 원통부(112)의 제 2 워터자켓(WJ2)이 연결되고, 제 1 워터자켓(WJ1)의 하단에 저온수 공급관(SP)이 연결되며, 내통(110)의 상부 원통부(112) 상부에 1차 헤드박스(140)가 배치되어, 상부 원통부(112)의 상단이 제 1 연결관(CP1)에 의해 1차 헤드박스(140)에 연결되고, 1차 헤드박스(140)의 상부에 배치된 2차 헤드박스(145)가 중간통(120)과 외통(130) 사이에 배치되고, 1차 헤드박스(140)와 2차 헤드박스(145)가 제 2 연결관(CP2)에 의해 연결되고, 외통(130)의 상부에 리버스 탱크(150)가 배치되고, 2차 헤드박스(145)와 리버스 탱크(150)가 제 3 연결관(CP3)에 의해 연결되며, 리버스 탱크(150)가 열교환기(160)와 제 1 순환관(RP1)에 의해 연결되고, 열교환기(160)와 저온수 공급관(SP)이 제 2 순환관(RP2)에 의해 연결되고, 제 2 순환관(RP2)에 제 1 펌프(165)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가스통로(GP1)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1 나선관(180) 및 제 2 나선관(182)이 배치되고, 제 2 가스통로(GP2)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제 3 나선관(184) 및 제 4 나선관(186)이 배치되며, 제 1 내지 제 4 나선관(180, 182, 184, 186)의 하단이 내통(110)의 하부 구체부(111)에 연결되고, 제 1 내지 제 4 나선관(180, 182, 184, 186)의 상단이 제 8 내지 제 11 연결관(CP8, CP9, CP10, CP11)에 의해 리버스 탱크(1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KR1020150069800A 2015-05-19 2015-05-19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KR10177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00A KR101774955B1 (ko) 2015-05-19 2015-05-19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00A KR101774955B1 (ko) 2015-05-19 2015-05-19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726A Division KR20160136260A (ko) 2016-11-16 2016-11-16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85A KR20160136085A (ko) 2016-11-29
KR101774955B1 true KR101774955B1 (ko) 2017-09-05

Family

ID=5770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00A KR101774955B1 (ko) 2015-05-19 2015-05-19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64Y1 (ko) 2003-12-15 2004-03-18 홍열 목재 또는 톱밥을 원료로 한 온수 보일러.
KR101099469B1 (ko) 2011-04-05 2011-12-27 염동섭 하향 연소식 나무 보일러
KR101313533B1 (ko) * 2010-11-30 2013-10-15 김재순 하입식 우드 펠렛 보일러 연소장치
KR101389507B1 (ko) * 2012-11-19 2014-04-25 윤성구 펠렛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64Y1 (ko) 2003-12-15 2004-03-18 홍열 목재 또는 톱밥을 원료로 한 온수 보일러.
KR101313533B1 (ko) * 2010-11-30 2013-10-15 김재순 하입식 우드 펠렛 보일러 연소장치
KR101099469B1 (ko) 2011-04-05 2011-12-27 염동섭 하향 연소식 나무 보일러
KR101389507B1 (ko) * 2012-11-19 2014-04-25 윤성구 펠렛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085A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5495C (zh) 敞口反水往复烟道式常压锅炉
CN201081395Y (zh) 一种节能立式锅炉
KR101774955B1 (ko)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KR100626540B1 (ko) 열매체유 보일러와 온수기를 하나로 결합한 열매체온수저장식 보일러
US20040139929A1 (en) Dual function high efficiency water heater
KR101741757B1 (ko) 복사열 및 폐열을 이용한 고효율 스팀 보일러
KR20160136260A (ko) 펠렛 온수 보일러용 화실통
CN201992830U (zh) 一种不锈钢波纹管螺旋式热交换器
CN206449853U (zh) 一种逆流式热管常压热水锅炉
CN202546710U (zh) 套筒式小型燃油气蒸汽锅炉
CN200996622Y (zh) 一种有机热载体燃煤链条锅炉
CN104523144A (zh) 具有烟气余热回收功能的整体式豆浆炉
CN103868045B (zh) 移动式螺旋方形膜式壁油田蒸汽发生器
CN104791994A (zh) 立式双回程燃气热水锅炉
CN107559792A (zh) 一种贯流式锅炉
CN103940071A (zh) 一种容积式蒸汽壁挂炉
CN109028563A (zh) 一种热效率高的醇基燃料锅炉
CN220981568U (zh) 一种立式燃气锅炉
KR200464650Y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보일러
RU2794679C1 (ru) Жаротруб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CN209386540U (zh) 防水套变形的热水锅炉
CN203784909U (zh) 移动式螺旋方形膜式壁油田蒸汽发生器
CN201028764Y (zh) 子母式热水炉
CN102748745A (zh) 高压无缝多头内螺纹锅炉钢管
CN209876875U (zh) 贯流蒸汽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