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239B1 -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239B1
KR101774239B1 KR1020150174469A KR20150174469A KR101774239B1 KR 101774239 B1 KR101774239 B1 KR 101774239B1 KR 1020150174469 A KR1020150174469 A KR 1020150174469A KR 20150174469 A KR20150174469 A KR 20150174469A KR 101774239 B1 KR101774239 B1 KR 10177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hole portion
spac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57A (ko
Inventor
김황호
Original Assignee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7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2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이동장치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부와 제2연통홀부를 구비하며, 배출홀부와 유입홀부가 구비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공기가 출입되는 하우징과, 공간부를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구획부와, 구획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브공간부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는 필터부와,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송풍부와,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배출홀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FOR 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장치 내부 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장치는 객실 또는 화물칸을 구비하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객, 화물 등을 운반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이동장치에는 이동장치 내부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장착된다.
종래의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이동장치의 이동 중에 발생되는 충격 등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장치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이동장치의 외부에 장착되는 경우, 이동장치의 이동 시 발생되는 풍압, 이동장치 외부 환경 등에 따라, 입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내부 압력의 급격한 변동 등에 의하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공기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2235호(2012.04.04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공기조화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장치에 적용되어 이동장치의 이동 중에도 공기조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이동장치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부와 제2연통홀부를 구비하며, 배출홀부와 유입홀부가 구비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공기가 출입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를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공간부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는 필터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송풍부;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통홀부, 상기 제2연통홀부, 상기 배출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하우징바디와 상기 이동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하우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지지부는,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지지하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결합되는 지지상부; 및 상기 지지하부와 상기 지지상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지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여, 상기 제1연통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1서브공간부와, 상기 제2연통홀부 및 상기 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2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메인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서브공간부를, 상기 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유입서브공간부와, 상기 제1연통홀부가 연결되는 송풍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제1서브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송풍부는,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송풍부는,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에 구비되며 공급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급송풍본체부; 상기 공급송풍본체부와, 상기 제1연통홀부를 연통시켜, 상기 공급송풍본체부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상기 제1연통홀부로 안내하는 공급송풍안내부; 및 상기 공급송풍안내부에 장착되고,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급송풍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서브공간부를, 상기 배출홀부가 연결되는 배출서브공간부와, 상기 제2연통홀부가 연결되는 흡입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제2서브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송풍부는,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홀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송풍부는,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에 구비되며 배출송풍팬을 포함하는 배출송풍본체부; 상기 배출송풍본체부와, 상기 배출홀부를 연통시켜, 상기 배출송풍본체부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상기 배출홀부로 안내하는 배출송풍안내부; 및 상기 배출송풍안내부에 장착되고,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출송풍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구획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및 상기 필터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서브공간부에 노출되는 부위와 상기 제2서브공간부에 노출되는 부위의 위치가 전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상기 유입홀부를 둘러싸며, 유입챔버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고, 수용된 공기를 상기 유입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전달하는 유입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입압력조절부는, 상기 유입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입홀부를 매개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유입내부챔버부; 및 상기 유입내부챔버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입내부챔버부와 연통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외부홀부가 형성되는 유입외부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입압력조절부는, 상기 유입챔버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입챔버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상기 배출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배출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되고, 배출챔버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배출압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압력조절부는, 상기 배출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배출홀부를 매개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내부챔버부; 및 상기 배출내부챔버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배출내부챔버부와 연통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외부홀부가 형성되는 배출외부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압력조절부는, 상기 배출챔버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배출챔버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는 이동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이동장치에 재 공급되며, 유입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장치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온도 변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지지부가 하우징을 탄성 지지하므로, 이동장치의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하우징 내부 구성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 역시 이동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조절부가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이동장치의 이동, 또는 이동장치 외부의 환경 등에 따라 하우징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조화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가 이동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이동장치로의 공기의 공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이동장치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가 이동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0), 구획부(200), 필터부(300), 공급송풍부(400) 및 배출송풍부(500)를 포함하여 이동장치(1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한다.
하우징(100)은 이동장치(10)의 개구부(11, 도 4 참조)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부(111) 및 제2연통홀부(113)를 구비하고, 내측에 공기를 수용하는 공간부(101)가 형성되며, 배출홀부(115)와 유입홀부(117)를 통하여 공기가 출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하우징바디(110) 및 하우징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바디(110)는 내측에 공간부(101)가 구비되어 공기가 수용되고, 제1연통홀부(111), 제2연통홀부(113), 배출홀부(115) 및 유입홀부(117)가 형성되어 공기가 출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바디(110)는,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부(101)를 개폐하는 하우징커버(102)를 포함하여, 공간부(101)게 구비되는 필터부(300), 공급송풍부(400) 및 배출송풍부(500) 등의 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지지부(130)는 하우징바디(110)와 이동장치(10)를 연결하며, 하우징바디(11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동장치(10)의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장치가 파손되거나,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지지부(130)는 공급송풍부(400) 또는 배출송풍부(500)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이 이동장치(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지지부(130)는 지지하부(131), 지지상부(133) 및 지지탄성부(135)를 포함한다.
지지하부(131)는 이동장치(1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하부(131)는 단면이 대략 'ㄷ' 형상인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이동장치(10)의 상부면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지지상부(133)는 지지하부(131)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우징바디(11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상부(133)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부면이 지지하부(131)의 상부면에 대향되도록 위치한다.
지지탄성부(135)는 지지하부(131)와 지지상부(133)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지상부(133)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탄성부(135)는 합성고무 등의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하우징바디(110)가 결합된 지지상부(133)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탄성부(135)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지지하부(131) 및 지지상부(133)에 볼팅,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탄성부(135)의 교체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구획부(200)는 공간부(101)를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103, 103a, 103b, 105, 105a, 105b)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획부(200)는 메인구획부(210)를 포함하여 공간부(101)를 구획한다.
메인구획부(210)는 필터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간부(101)를 구획하여 제1연통홀부(111) 및 유입홀부(117)가 연결되는 제1서브공간부(103)와, 제2연통홀부(113) 및 배출홀부(115)가 연결되는 제2서브공간부(105)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구획부(210)는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동장치(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공간부(101)를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구획부(210)는 대략 원판 형상인 필터부(300)와 대략 수직하게 형성되어 필터부(300)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하우징(100)을 제1서브공간부(103)와 제2서브공간부(105)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에서 유입홀부(117)를 통하여 제1서브공간부(103)로 진입되는 공기는 제1서브공간부(103) 상에 위치한 필터부(300)를 지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제1연통홀부(111)를 거쳐 이동장치(10)의 내부로 전달된다.
또한, 이동장치(10) 내부의 공기는 제2연통홀부(113)를 통하여 제2서브공간부(105)로 진입된 후 필터부(300)를 거치면서 이물질 등이 걸러지고, 배출홀부(115)를 거쳐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획부(200)는 제1서브구획부(230)를 포함하여 제1서브공간부(103)를 구획한다. 제1서브구획부(230)는 필터부(300)를 둘러싸고 제1서브공간부(103)를 유입홀부(117)가 연결되는 유입서브공간부(103a)와, 제1연통홀부(111)가 연결되는 송풍서브공간부(103b)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서브구획부(230)는 대략 원판 형상인 필터부(300)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필터부(300)의 측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1서브공간부(103)를 유입서브공간부(103a)와 송풍서브공간부(103b)로 구획함으로써, 유입서브공간부(103a)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부(300)를 거쳐 송풍서브공간부(103b)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획부(200)는 제2서브부획부(250)를 더 포함하여 제2서브공간부(105)를 구획한다. 제2서브부획부(250)는 필터부(300)를 둘러싸고, 제2서브공간부(105)를 배출홀부(115)가 연결되는 배출서브공간부(105a)와 제2연통홀부(113)가 연결되는 흡입서브공간부(105b)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서브부획부(250)는 대략 원판 형상인 필터부(300)를 포함하는 평면상에 위치하여 필터부(300)의 측면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제2서브공간부(105)를 배출서브공간부(105a)와 흡입서브공간부(105b)로 구획함으로써, 흡입서브공간부(105b)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부(300)를 거쳐 배출서브공간부(105a)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7을 참조하면, 필터부(300)는 구획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103, 103a, 103b, 105, 105a, 105b)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300)는 필터하우징(310), 필터(330) 및 필터구동부(350)를 포함한다.
필터하우징(310)은 구획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하우징(310)은 메인구획부(210)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축의 일단부는 필터구동부(350)에 결합되어, 필터구동부(350)의 작동 시 회전된다.
필터(330)는 필터하우징(3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오염된 필터(330)를 필터하우징(3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 후,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330)는 부채꼴 형상으로 대략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필터하우징(31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필터(330)는 필터하우징(310)의 회전에 따라 제1서브공간부(103)에 노출되는 부위와 제2서브공간부(105)에 노출되는 부위의 위치가 전환됨으로써, 제2서브공간부(105)에서 수용된 공기, 열에너지의 일부를 제1서브공간부(103)로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이동장치로의 공기의 공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급송풍부(400)는 유입홀부(117)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부(300)에 통과시키고, 제1연통홀부(111)를 통하여 이동장치(10)의 내부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송풍부(400)는 송풍서브공간부(103b)에 구비되어 송풍서브공간부(103b) 내부의 공기를 제1연통홀부(111)를 통하여 이동장치(1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송풍부(400)는 공급송풍본체부(410), 공급송풍안내부(430) 및 공급송풍필터부(450)를 포함한다.
공급송풍본체부(410)는 송풍서브공간부(103b)에 구비되며 공급송풍팬(411)을 포함하여 송풍서브공간부(103b) 내부의 공기를 공급송풍안내부(430)로 이동시킨다.
공급송풍안내부(430)는 공급송풍본체부(410)와, 제1연통홀부(111)를 연통시켜 공급송풍본체부(410)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1연통홀부(111)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송풍안내부(43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대략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급송풍본체부(41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1연통홀부(111)로 안내한다.
결국 공급송풍본체부(410)에 의하여 송풍서브공간부(103b)의 공기가 공급송풍안내부(430)를 거쳐 제1연통홀부(111)에 전달되면, 송풍서브공간부(103b)의 압력이 유입서브공간부(103a)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유입서브공간부(103a)의 공기가 필터부(300)를 거쳐 송풍서브공간부(103b)에 전달된다.
또한, 유입서브공간부(103a)의 공기 이동에 따라 유입서브공간부(103a)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가 유입홀부(117)를 거쳐 유입서브공간부(103a)로 진입된다.
결국 송풍서브공간부(103b)에 위치한 공급송풍본체부(410)의 작동에 의하여, 하우징(100) 외부의 공기는 유입홀부(117), 유입서브공간부(103a), 필터부(300), 송풍서브공간부(103b) 및 제1연통홀부(111)를 거쳐 이동장치(10)의 내부로 공급된다.
공급송풍필터부(450)는 공급송풍안내부(430)에 장착되고, 스펀지 등의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송풍안내부(430)를 통하여 제1연통홀부(111)로 전달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에서 이동장치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출송풍부(500)는 제2연통홀부(113)를 통하여 이동장치(10) 내부로부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부(300)에 통과시키고, 배출홀부(115)를 통하여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송풍부(500)는 배출서브공간부(105a)에 구비되어 배출서브공간부(105a) 내부의 공기를 배출홀부(115)를 통하여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송풍부(500)는 배출송풍본체부(510), 배출송풍안내부(530) 및 배출송풍필터부(550)를 포함한다.
배출송풍본체부(510)는 배출서브공간부(105a)에 구비되며, 배출송풍팬(511)을 포함하여, 배출서브공간부(105a) 내부의 배출송풍안내부(530)로 이동시킨다.
배출송풍안내부(530)는 배출송풍본체부(510)와 배출홀부(115)를 연통시켜, 배출송풍본체부(510)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배출홀부(115)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송풍안내부(53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대략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송풍본체부(51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이동을 배출홀부(115)로 안내한다.
결국 배출송풍본체부(510)에 의하여 배출서브공간부(105a)의 공기가 배출홀부(115)를 거쳐 하우징바디(110)의 외부로 배출되면, 배출서브공간부(105a)의 압력이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공기가 필터부(300)를 거쳐 배출서브공간부(105a)에 전달된다.
또한,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공기 이동에 따라 흡입서브공간부(105b) 내부의 압력이 이동장치(10) 내부의 압력보다 낮아지면 이동장치(10) 내부의 공기가 제2연통홀부(113)를 거쳐 흡입서브공간부(105b)로 진입된다.
결국 배출서브공간부(105a)에 위치한 배출송풍본체부(510)의 작동에 의하여, 이동장치(10) 내부의 공기는 제2연통홀부(113), 흡입서브공간부(105b), 필터부(300), 배출서브공간부(105a) 및 배출홀부(115)를 거쳐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송풍필터부(550)는 배출송풍안내부(530)에 장착되고,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배출송풍안내부(530)를 통하여 배출홀부(115)로 전달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유입압력조절부(600)를 더 포함한다. 유입압력조절부(600)는 유입홀부(117)를 둘러싸며, 유입챔버개구부(611)가 형성되어 유입챔버개구부(6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고, 수용된 공기를 유입홀부(117)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부(101)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압력조절부(600)는 유입내부챔버부(610) 및 유입외부챔버부(630)를 포함한다.
유입내부챔버부(610)는 유입홀부(117)를 둘러싸며, 유입홀부(117)를 매개로 공간부(101)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내부챔버부(610)는 유입홀부(117)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우징(1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내부챔버부(610)에 진입되어 압력 유동이 조정된 후 유입홀부(117)를 통하여 하우징(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유입외부챔버부(630)는 유입내부챔버부(610)에 형성되는 유입챔버개구부(611)를 통하여 유입내부챔버부(610)와 연통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외부홀부(6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외부챔버부(630)는 하우징바디(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유입외부홀부(631)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진입된 후, 유입챔버개구부(611)를 통하여 유입내부챔버부(610)로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장치(10)가 이동되는 동안 외부의 이물질 등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압력조절부(600)는 유입챔버메쉬부(650)를 더 포함한다. 유입챔버메쉬부(650)는 유입챔버개구부(611)에 구비되어, 유입챔버개구부(61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챔버메쉬부(650)는 유입챔버개구부(6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챔버개구부(611)에 끼워짐으로써, 유입챔버개구부(61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와 마찰되어 공기의 급격한 유입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배출압력조절부(700)를 더 포함한다. 배출압력조절부(700)는 배출홀부(115)를 둘러싸며, 배출홀부(11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되고, 배출챔버개구부(711)가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배출챔버개구부(711)를 통하여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압력조절부(700)는 배출내부챔버부(710) 및 배출외부챔버부(730)를 포함한다.
배출내부챔버부(710)는 배출홀부(115)를 둘러싸며, 배출홀부(115)를 매개로 공간부(101)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내부챔버부(710)는 하우징바디(110)의 타측에 위치하여 배출홀부(115)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우징(1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배출홀부(115)를 통하여 하우징(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수용, 배출외부챔버부(730)에 전달한다.
배출외부챔버부(730)는 배출내부챔버부(710)에 형성되는 배출챔버개구부(711)를 통하여 배출내부챔버부(710)와 연통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외부홀부(731)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공기에 의하여 배출홀부(115)의 주변 압력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압력조절부(700)는 배출챔버메쉬부(750)를 더 포함한다. 배출챔버메쉬부(750)는 배출챔버개구부(711)에 구비되어, 배출챔버개구부(71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챔버메쉬부(750)는 배출챔버개구부(7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챔버개구부(711)에 끼워짐으로써, 배출챔버개구부(71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와 마찰되는 방식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제한하고,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장치(10) 내부 공기의 배출은 배출송풍부(500)의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어부 등에서 배출송풍부(500)를 작동시키면, 배출서브공간부(105a) 내부의 공기는 배출홀부(115)를 거쳐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송풍부(500)에 의하여 배출서브공간부(105a)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배출서브공간부(105a)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인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공기가 필터부(300)를 거쳐 배출서브공간부(105a)로 전달된다.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공기는 필터부(300)의 필터(330)에 도달하면서 필터(330)에 이물질이 흡착되는데, 이러한 필터(330)는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터구동부(350)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제1공간부(101)에 노출된 부위와 제2공간부(101)에 노출된 부위가 전환된다.
따라서 흡입서브공간부(105b)의 공기의 일부는 필터(33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동시에 제2공간부(101)로 이동되며, 일부는 필터(330)를 통과하여 배출서브공간부(105a)에 전달된 후 배출송풍부(500)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배출압력조절부(700)를 거쳐 최종적으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압력조절부(700)는 배출홀부(11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를 배출내부챔버부(710)에 수용한 후, 배출챔버메쉬부(750)를 거쳐 배출외부챔버부(730)에 형성된 배출외부홀부(731)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100)의 배출홀부(115)가 배출압력조절부(700)를 거쳐 배출되므로, 이동장치(10)의 이동속도 또는 이동장치(10) 주변의 풍압 등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배출홀부(115)를 통한 공기의 배출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배출홀부(115)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역 입력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장치(10) 내부로의 공기의 공급은 공급송풍부(400)의 작동에 의하여 구현된다. 제어부가 이동장치(10) 내부의 습도, 온도 등에 기초하여 공급송풍부(400)를 작동시키면, 송풍서브공간부(103b) 내부의 공기는 공급송풍팬(411)의 회전에 따라 공급송풍안내부(430) 및 제1연통홀부(111)를 거쳐 이동장치(10)의 내부로 전달된다.
공급송풍부(400)의 작동에 따라 송풍서브공간부(103b)의 공기가 이동장치(10)의 내부로 공급되면, 송풍서브공간부(103b)의 압력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인 유입서브공간부(103a)의 공기가 필터(330) 측으로 이동된다.
송풍서브공간부(103b)에서 필터(330)에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필터(330)에 수용된 상태로 필터(330)와 함께 이동하여 제2공간부(101) 측으로 이동되며, 필터(330)에 공급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필터(33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서브공간부(103a), 공급송풍부(400)를 거쳐 이동장치(10)의 내부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이동장치(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이동장치(10)에 재 공급되므로, 유입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 등의 적용 없이 유입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이동장치(10)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동시에, 온도 변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하우징지지부(130)가 하우징(100)을 탄성 지지하므로, 이동장치(10)의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1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 구성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 역시 이동장치(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1)는 압력조절부(600, 700)가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하우징(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이동장치(10)의 이동, 또는 이동장치(10) 외부의 환경 등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조화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0: 이동장치
11: 개구부 100: 하우징
101: 공간부 102: 하우징커버
103, 103a, 103b, 105, 105a, 105b: 서브공간부
103: 제1서브공간부 103a: 유입서브공간부
103b: 송풍서브공간부 105: 제2서브공간부
105a; 배출서브공간부 105b; 흡입서브공간부
110: 하우징바디 111: 제1연통홀부
113: 제2연통홀부 115: 배출홀부
117: 유입홀부 130: 하우징지지부
131: 지지하부 133: 지지상부
135: 지지탄성부 200: 구획부
210: 메인구획부 230: 제1서브구획부
250: 제2서브구획부 300: 필터부
310: 필터하우징 330: 필터
350: 필터구동부 400: 공급송풍부
410: 공급송풍본체부 411: 공급송풍팬
430: 공급송풍안내부 450: 공급송풍필터부
500: 배출송풍부 510: 배출송풍본체부
511: 배출송풍팬 530: 배출송풍안내부
550: 배출송풍필터부 600: 유입압력조절부
610: 유입내부챔버부 611: 유입챔버개구부
630: 유입외부챔버부 631: 유입외부홀부
650: 유입챔버메쉬부 700: 배출압력조절부
710: 배출내부챔버부 711: 배출챔버개구부
730: 배출외부챔버부 731: 배출외부홀부
750: 배출챔버메쉬부

Claims (17)

  1. 이동장치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부와 제2연통홀부를 구비하며, 배출홀부와 유입홀부가 구비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공기가 출입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를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공간부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는 필터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송풍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송풍부; 및
    상기 유입홀부를 둘러싸며, 유입챔버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고, 수용된 공기를 상기 유입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전달하는 유입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압력조절부는,
    상기 유입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유입홀부를 매개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유입내부챔버부; 및
    상기 유입내부챔버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유입내부챔버부와 연통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외부홀부가 형성되는 유입외부챔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통홀부, 상기 제2연통홀부, 상기 배출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바디; 및
    상기 하우징바디와 상기 이동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하우징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지지부는,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지지하부;
    상기 하우징바디에 결합되는 지지상부; 및
    상기 지지하부와 상기 지지상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지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여, 상기 제1연통홀부 및 상기 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제1서브공간부와, 상기 제2연통홀부 및 상기 배출홀부가 연결되는 제2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메인구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1서브공간부를, 상기 유입홀부가 연결되는 유입서브공간부와, 상기 제1연통홀부가 연결되는 송풍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제1서브구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송풍부는,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의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송풍부는,
    상기 송풍서브공간부에 구비되며 공급송풍팬을 포함하는 공급송풍본체부;
    상기 공급송풍본체부와, 상기 제1연통홀부를 연통시켜, 상기 공급송풍본체부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상기 제1연통홀부로 안내하는 공급송풍안내부; 및
    상기 공급송풍안내부에 장착되고,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급송풍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필터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서브공간부를, 상기 배출홀부가 연결되는 배출서브공간부와, 상기 제2연통홀부가 연결되는 흡입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제2서브구획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송풍부는,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의 공기를 상기 배출홀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송풍부는,
    상기 배출서브공간부에 구비되며 배출송풍팬을 포함하는 배출송풍본체부;
    상기 배출송풍본체부와, 상기 배출홀부를 연통시켜, 상기 배출송풍본체부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상기 배출홀부로 안내하는 배출송풍안내부; 및
    상기 배출송풍안내부에 장착되고,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출송풍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구획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하우징; 및
    상기 필터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서브공간부에 노출되는 부위와 상기 제2서브공간부에 노출되는 부위의 위치가 전환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압력조절부는,
    상기 유입챔버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입챔버메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5.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배출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되고, 배출챔버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배출압력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6. 이동장치와 연통되는 제1연통홀부와 제2연통홀부를 구비하며, 배출홀부와 유입홀부가 구비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공기가 출입되는 하우징;
    상기 공간부를 복수 개의 서브공간부로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구획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공간부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는 필터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제1연통홀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장치에 공급하는 공급송풍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는 공기를 상기 배출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송풍부; 및
    상기 배출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배출홀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되고, 배출챔버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용된 공기를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배출하는 배출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압력조절부는,
    상기 배출홀부를 둘러싸며, 상기 배출홀부를 매개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출내부챔버부; 및
    상기 배출내부챔버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배출내부챔버부와 연통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외부홀부가 형성되는 배출외부챔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압력조절부는,
    상기 배출챔버개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챔버개구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배출챔버메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KR1020150174469A 2015-12-08 2015-12-08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KR10177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469A KR101774239B1 (ko) 2015-12-08 2015-12-08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469A KR101774239B1 (ko) 2015-12-08 2015-12-08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57A KR20170067957A (ko) 2017-06-19
KR101774239B1 true KR101774239B1 (ko) 2017-09-05

Family

ID=5927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469A KR101774239B1 (ko) 2015-12-08 2015-12-08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412B1 (ko) * 2019-05-31 2021-03-15 주식회사 퓨어에코텍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351A (ja) * 2010-12-17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フィルタを使用し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磁気フィルタ
JP2013082277A (ja) * 2011-10-07 2013-05-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の屋根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351A (ja) * 2010-12-17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フィルタを使用し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磁気フィルタ
JP2013082277A (ja) * 2011-10-07 2013-05-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の屋根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57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2958A (zh) 空气喷嘴
JP5884176B2 (ja) ブロワー型空気吸入装置
JP5924187B2 (ja) 車載用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装置
US20160236542A1 (en) Fragrancing device
KR101951954B1 (ko) 콤바인
KR101774239B1 (ko) 이동장치용 공기조화기
JP201720614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318640B1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JP6129683B2 (ja) 蓄電装置
KR102281911B1 (ko) 체크밸브와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
JP4251279B2 (ja) 板状体搬送装置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JP7372896B2 (ja) 給気設備、及び、給気設備の取付方法
KR20110039980A (ko) 용접용 캐리지의 냉각 장치
CN218902291U (zh) 爬壁喷漆机器人
CN110562208A (zh) 车内仪表盘清洁系统和方法
KR101562869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90071506A (ko) 차량용 에어서스펜션 장치
JP6290418B2 (ja) 外気の取入れと共に再循環気の流れを維持する、暖房、通気、および/または空調システム用の空気取入ケーシング
CN217396151U (zh) 工程机械
JP7479969B2 (ja) 作業車両
EP3581799B1 (en) Air compression device
KR100705113B1 (ko) 자동차의 클러스터 크리닝장치
KR100250607B1 (ko) 철도차량의 운전실 공기압력 조절장치
JP2016088141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