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215B1 -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215B1
KR101774215B1 KR1020160099324A KR20160099324A KR101774215B1 KR 101774215 B1 KR101774215 B1 KR 101774215B1 KR 1020160099324 A KR1020160099324 A KR 1020160099324A KR 20160099324 A KR20160099324 A KR 20160099324A KR 101774215 B1 KR101774215 B1 KR 101774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
exhausted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89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이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수 filed Critical 이진수
Publication of KR2017009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10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direct heating both surfaces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가게는, 상기 케이싱 하단에 결합되어 케이싱로 공급되어 배기되는 에어가 어느 한 방향 또는 다른 한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에어의 배기 경로를 제어하는 바이패스부재와; 상기 바이패스부재에 결합되어 케이싱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부위로 배기되게 하는 토오치와; 상기 바이패스부재에 결합되어 케이싱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공기중으로 배기되게 하는 바이패스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타포린(Polyethylene tarpaulin) 소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 등 테두리가 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면상의 바닥면부 테두리와 이 바닥면의 테두리에 융착되어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면상으로 이루어진 측면부의 상, 하단 테두리 중 어느 하나를 융착할 때 융착되는 시작점과 융착작업이 끝나는 끝점이 동일하더라도 3방변에 의하여 열풍이 바이패스관으로 배출됨으로써 과열에 의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Heating tool for heat welding of polyethylene tarpaulin}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틸렌 타포린(Polyethylene tarpaulin) 소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 등 테두리가 곡선의 형태를 이루는 면상의 바닥면부 테두리와 이 바닥면의 테두리에 융착되어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면상으로 이루어진 측면부의 상, 하단 테두리 중 어느 하나를 융착할 때 융착되는 시작점과 융착작업이 끝나는 끝점이 동일하더라도 3방변에 의하여 열풍이 바이패스관으로 배출됨으로써 과열에 의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야적용 방수덮개, 자동차용 방수호로, 햇빛 차양, 등 여러 가지 용도로 PVC 타포린이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PVC 타포린은 재활용이 되지 않고 공해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의 대체품으로 폴리에틸렌 타포린(Polyethylene tarpaulin, 이하 PE 타포린이라 함)이 개발되었다.
상기 PE 타포린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PVC 타포린을 대체할 수 있으나, PE 타포린은 접착이 어려워 가공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즉, PVC 타포린은 고주파방식에 의한 접착이나 열융착에 의한 접착 등 접합이 용이하여 사용에 제한이 없으나. PE 타포린은 고주파 방식으로 접합시킬 경우 PE 타포린의 조직이 파괴되어 녹아버리기 때문에 고주파 방식으로는 접착시키지 못하고, 열융착에 의한 접착이나 수지를 이용한 접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열융착 접착방식은 접착면에서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접착면이 견고하지 못하고 쉽게 찢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과 함께 90°로 꺾이는 부분은 접착을 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수지를 이용한 접착방식은 수지를 도포해 주어야 하므로 현장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수지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PE 타포린은 꺽어진 부분의 접착시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시키지 못하 고 박음질에 의하여 접착시키고 있으나 박음질 방식은 방수에 취약점이 따르게 되므로, PE 타포린은 재활용을 시킬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접착에 문제가 있어 활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즉, 상부만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된 형태, 즉, 용기 형태의 타포린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과 벽면(4)을 겹치게 한 후, 겹쳐진 부위를 가열시킴으로써, 바닥면(2)과 벽면(4)을 융착하는 것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이루어진 형태는,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가열될 우려가 있다.
특히, 종래의 가열장치(10)는 히팅된 바람이 폴리에틸렌 타포린으로 그대로 공급되면서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히팅된 바람이 토출되는 가열장치(10)를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근접시켜서 융착시키는 단계에서는 가열장치(10)가 근접되면서 일시적으로 타포린에 과열상태가 발생하며, 시작점과 끝점이 동일하기 때문에 다시 한번 폴리에틸렌 타포린이 과열됨으로써,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지점이 용융됨으로써 불량률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폴리에틸렌 타포린이 90°로 꺾어져 융착되어야 할 부분에도 박음질에 의존하지 않고, 물성이 변화되지 않게 하면서 융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꺾어진 부분의 융착 시작점과 꺾어진 부분의 융착끝점이 동일지점에서 만나게 되는 구조의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작업도 과열로 인해 소재가 녹는 등에 의한 불량을 완전히 해소하여 양질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케이싱(102)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 마련된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히팅코일(104)과; 상기 케이싱(102)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케이싱(102) 하단에 결합되어 케이싱(102)으로 공급되어 배기되는 에어가 어느 한 방향 또는 다른 한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에어의 배기 경로를 제어하는 바이패스부재(200)와; 상기 바이패스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부위로 배기되게 하는 토오치(106)와; 상기 바이패스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공기중으로 배기되게 하는 바이패스관(1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부재(200)는, 상기 케이싱(102)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면이 폐쇄된 상부 개방형 원통형 구조로서, 하부면에는 제1배출공(202)이 형성되고, 내경면에서 외경면으로 관통되는 제2배출공(204)이 형성된 몸체(206)와; 상기 몸체(206)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하향삽입되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일정깊이까지 분기홈(208)이 하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분기홈(208)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면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연결홈(210)이 형성되며, 연결홈(210)과 연통되도록 외경면에서 분기홈(208)까지 연결공(212)이 관통형성된 경로전환부(214)와; 상기 몸체(206)의 내, 외경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16)과; 상기 가이드공(216)으로 삽입되어 경로전환부(214)의 외경에 결합되어 가이드공(216)의 일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게 하고, 가이드공(216)의 타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게 하여 분기홈(208)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분기되게 하는 조작부(2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토오치(106)는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융착부위로 삽입되도록 'ㄴ'자로 절곡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타포린을 열융착함에 있어서, 직선형태로 가열하면서 융착하는 작업은 융착 시작점과 융착 끝점이 설령 과열되어 불량이 된다 하더라도 불량된 부분을 절단하여 나머지 부분만을 활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융착한다하더라도 크게 문제되는 점은 없지만, 직선형이 아닌 폐곡선 즉,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융착할 경우 융착 시작점과 융착 끝점이 중복되거나 교차되므로, 융착되어야 할 해당 부위가 쉽게 가열되어 타포린이 녹아내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융착이 아닌 봉재타입만으르 생산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방수기능은 전혀 부가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직으로 꺽이는 부분을 융착할 때 적당한 열풍이 해당 부위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융착 시작점에서 적합한 온도의 열풍이 단 한번에 공급되게 하여 불량을 배제시킬 수 있었으며, 융착 끝점에서도 정확한 위치에서 열풍의 공급경로를 전환시킴으로써, 열풍의 공급을 중단시켜 폴리에틸렌 타포린이 녹아내려서 뚫리는 등의 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부분 결합하여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바이패스부재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바이패스부재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바이패스부재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바이패스부재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원공급부와 송풍기의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는, 케이싱(102) 내측에 히팅코일(104)을 설치하여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히팅코일(104)이 발열하게 한 것이며, 이때, 상기 케이싱(102)의 상단에는 에어공급관(110)이 결합되고, 이 에어공급관(110)은 원격의 송풍기와 연결 또는 결합되어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공기 또는 에어(air)를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케이싱(102) 내측에서 히팅코일(104)이 발열하면서 가열시킨 공기(이하, 에어라 함)가 하부로 배기되도록 하면서 지속적으로 새로운 에어가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한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싱(102) 내부에서 가열된 에어는 케이싱(102)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바, 이때, 배기되는 가열된 에어는 케이싱(102) 하부에 결합된 바이패스부재(200)에 의하여 배기 또는 토출되는 경로가 어느 한 방향 또는 다른 한 방향으로 전환된다.
상기한 바이패스부재(200)는, 케이싱(102)의 하단에 결합되는 몸체(206)와, 몸체(206)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경로전환부(214)와, 이 경로전환부(214)를 조작하도록 된 조작부(218)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6)는, 상기 케이싱(102)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 케이싱(102)과 몸체(206)의 결합구조는 용접, 나합 등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케이싱(102) 하단에 결합되는 몸체(206)는 도 2,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성형되되, 하부면은 폐쇄된 '┗┛'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06)의 하부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출공(202)이 형성되고, 외경면에는 내, 외경을 관통하는 제2배출공(204)이 형성되어, 케이싱(102)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가열된 후 몸체(206)의 제1배출공(202) 또는 제2배출공(204) 중 어느 하나로 배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공(20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치(106)가 결합되고, 제2배출공(204)에는 바이패스관(108)이 결합되어 제1배출공(202)으로 배기되는 에어는 토오치(106)로 배기되고, 제2배출공(204)으로 배기되는 에어는 바이패스관(108)으로 배기되는 것이다.
상기 토오치(106)는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부위, 즉,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타포린 바닥면과 폴리에틸렌 타포린 벽면이 겹쳐지는 부위의 사이로 삽입 또는 근접된 상태에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오치(106)는 융착되어야 할 폴리에틸렌 타포린사이로(바닥면과 벽면이 겹쳐지는 곳) 삽입이 용이하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토오치(106)의 끝단부에는 다수 개의 토출공을 형성하여 토오치(106)로 공급되는 열풍이 토출 전방과 상하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가열부위를 확산시킴과 동시에 어느 한 곳으로 열풍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배출공(204)에 결합되는 바이패스관(108)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타포린을 융착하지 않을 때 이 융착부위를 향하여 토오치(106)에서 열풍이 공급되지 않도록 다른 방향으로 열풍 또는 케이싱(102) 내부의 에어를 배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융착을 시작하기도 전에 열에 약한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열풍이 공급되어 폴리에틸렌 타포린이 녹아내리거나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이패스부재(200)를 구성하는 또 다른 구성요소인 경로전환부(2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6) 내부에 회전자유롭게 삽입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일정깊이의 분기홈(208)이 형성되고, 몸체(206)의 제1배출공(202)과 가급적 동심원상으로 일치되도록 연결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210)은 측면방향 또는 원의 중심방향으로 분기홈(208)과 간섭 또는 연통되지 않도록 상부로 일정높이까지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경로전환부(214)의 외경에는 몸체(206)의 외경에 형성된 제2배출공(204)과 가급적 동심원상으로 일치되도록 연결공(212)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공(212)은 분기홈(208)까지 관통되어 연결공(212)과 분기홈(208)이 연통됨으로써, 분기홈(208)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연결공(212)을 통하여 제2배출공(204)측으로 배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212)이 연결홈(210)에 연통되게 함으로써, 'ㅡ'자형 연결공(212)과 'l'자형 연결홈(210)이 만나 'T'자형 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206)에 삽입된 경로전환부(21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경로전환부(214)의 외경면에 조작부(218)를 결합시켜, 조작부(218)가 몸체(206)의 중심에서 경로전환부(214)를 회동시킴에 따라 경로전환부(214)의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게 하거나,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206) 내부에 삽입된 경로전환부(214)가 몸체(206) 외부에서 조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몸체(206)의 내, 외경면이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가이드공(216)을 일정길이만큼 형성하고, 이 가이드공(216)을 조작부(218)가 관통하여 몸체(206)의 외경에 나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게 한다.
결국, 상기 가이드공(216)으로 삽입되어 경로전환부(214)의 외경에 결합된 조작부(218)가 가이드공(216)의 일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게 하고, 가이드공(216)의 타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게 하여 분기홈(208)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제1배출공(202) 또는 제2배출공(204)으로 분기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될 때에는 연결공(212)과 제2배출공(204)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이므로, 연결공(212)을 통하여 제2배출공(204)으로는 열풍이 공급되지 않으며, 연결공(212)과 제2배출공(204)과 일치될 때에는 연결홈(210)과 제1배출공(202)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이므로, 연결홈(210)을 통하여 제1배출공(202)으로 열풍이 공급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한 바이패스부재(200)는 가열된 공기를 토오치(106) 또는 바이패스관(108)으로 분기시키는 역할로서, 케이싱(102) 내부에 설치된 3방변(3way valve)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3방변은 3way valve라고도 하며, 통상적으로 어느 하나의 유로로 공급된 공기를 다른 두 개의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의 유로는 개방하여 공기의 이동경로를 전환시켜주는 것이며, 유로의 개폐동작 제어는 솔레노이드밸브 등 다양한 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된 3방변를 또 다른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이 솔레노이드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를 ON/OFF 제어하는 스위치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이 솔레노이드의 전환동작에 의해 3방변의 유로가 변경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타포린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바닥면(302)에 폴리에틸렌 타포린 재질로 이루어진 벽면(304)을 융착하고자 할 경우, 벽면(304)의 하단을 'ㄴ'자로 절곡한 후 바닥면(302)에 근접시키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는 이미 가동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작업자가 조작부(218)를 가이드공(216)의 일단으로 회동시켜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은 바이패스관(108)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한다.
따라서, 히팅코일(104)에 의해 가열된 열풍은 바이패스관(10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부위에는 열이 전달되지 않아 과열되는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상기 토오치(106)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절곡된 벽면(304)의 하부면과 바닥면(302)사이에 완전히 근접되면, 작업자가 조작부(218)를 가이드공(216)의 타단으로 회동시켜 경로전환부(214)의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분기홈(208)으로 공급된 열풍은 연결공(212)과 연결홈(210)을 통하여 제1배출공(202) 및 토오치(106)를 통하여 배기되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오치(106)로부터 열풍이 공급되면 바닥면(302)이 안착된 회전원판(306)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동시키면서 전체적으로 벽면(304)과 바닥면(302)이 융착되게 하며, 마지막으로 벽면(304)과 바닥면(302)이 끝나는 지점은 시작점과 동일하므로 해당 위치에 토오치(106)가 위치되면, 작업자는 조작부(218)를 가이드공(216)의 일단으로 회동시켜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공급되는 열풍은 바이패스관(108)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하여 최초 융착 시작점에서 마감 융착이 이루어질 때 순간적으로 열풍의 공급을 단절시킴으로써, 과열에 의해 용융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2 : 케이싱 104 : 히팅코일
106 : 토오치 108 : 바이패스관
110 : 에어공급관
200 : 바이패스부재
202 : 제1배출공 204 : 제2배출공
206 : 몸체 208 : 분기홈
210 : 연결홈 212 : 연결공
214 : 경로전환부 216 : 가이드공
218 : 조작부
302 : 폴리에틸렌 타포린 바닥면
304 : 폴리에틸렌 타포린 벽면
306 : 회전원판

Claims (3)

  1. 케이싱(102)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에 마련된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열을 발생시키도록 된 히팅코일(104)과;
    상기 케이싱(102)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케이싱(102) 하단에 결합되어 케이싱(102)으로 공급되어 배기되는 에어가 어느 한 방향 또는 다른 한 방향으로 배기되도록 에어의 배기 경로를 제어하는 바이패스부재(200)와;
    상기 바이패스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폴리에틸렌 타포린의 융착부위로 배기되게 하는 토오치(106)와;
    상기 바이패스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싱(102) 내부로 공급된 에어가 공기중으로 배기되게 하는 바이패스관(1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재(200)는,
    상기 케이싱(102)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면이 폐쇄된 상부 개방형 원통형 구조로서, 하부면에는 제1배출공(202)이 형성되고, 내경면에서 외경면으로 관통되는 제2배출공(204)이 형성된 몸체(206)와;
    상기 몸체(206)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하향삽입되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일정깊이까지 분기홈(208)이 하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분기홈(208)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면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까지 연결홈(210)이 형성되며, 연결홈(210)과 연통되도록 외경면에서 분기홈(208)까지 연결공(212)이 관통형성된 경로전환부(214)와;
    상기 몸체(206)의 내, 외경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16)과;
    상기 가이드공(216)으로 삽입되어 경로전환부(214)의 외경에 결합되어 가이드공(216)의 일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공(212)이 제2배출공(204)과 일치되게 하고, 가이드공(216)의 타단으로 회동하면 경로전환부(214)의 연결홈(210)이 제1배출공(202)과 일치되게 하여 분기홈(208)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분기되게 하는 조작부(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치(106)는 폴리에틸렌 타포린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융착부위로 삽입되도록 'ㄴ'자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
KR1020160099324A 2016-02-02 2016-08-04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KR101774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731 2016-02-02
KR20160012731 201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89A KR20170092089A (ko) 2017-08-10
KR101774215B1 true KR101774215B1 (ko) 2017-09-19

Family

ID=5965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324A KR101774215B1 (ko) 2016-02-02 2016-08-04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048B (zh) * 2020-04-25 2022-05-10 芜湖荣基实业有限公司 一种高分子塑料生产用熔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463B1 (ko) 2007-05-29 2008-09-04 심길섭 환부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463B1 (ko) 2007-05-29 2008-09-04 심길섭 환부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89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3697B (zh) 一种pe管件与主管道不停输热熔焊接装置及焊接方法
US7954691B2 (en) Method for joining tube plates and tubes as well as friction tool to carry out the method
US6471803B1 (en) Rotary hot air welder and stitchless seaming
EP2537429B1 (en) Machine for making an impermeable join on impermeable three-layer or two-layer fabrics
KR101774215B1 (ko) 폴리에틸렌 타포린 융착용 가열장치
CN104014932B (zh) 一种激光焊接旋转侧吹保护气的装置及方法
KR101001480B1 (ko) 접착제 도포 장치
CA2639918A1 (en) Welding process
CN103495811B (zh) 一种焊接组合管及其制造方法和应用
US20090032066A1 (en) Dishwasher With Spray Apparatus
US20090200277A1 (en) Underwater repair welding method
JP2014188591A (ja) 溶接プロセス、溶接システム、及び溶接物品
CN105228811A (zh) 具有旋转摩擦焊缝的壳体
US4820249A (en) Multiple seam forming apparatus for continuously running webs
US20110000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or Adhesively Bonding Together Areal Built-Structure Waterproofing Systems
CA2230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ube for lining pipelines and sewer systems
JP5764664B2 (ja) 熱風式ホットメルトテープ溶着装置
KR101937223B1 (ko) 열 융착 장치
JPWO2002060675A1 (ja) シート溶着機
CN207044704U (zh) 一种汽车内饰件焊接装置
US5169053A (en) Heating device for a robot
KR100518481B1 (ko) 합성수지재 시트용 열풍용착기의 테이핑장치
US201200218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bag
CN107695478B (zh) 一种焊接装置
JP4375601B2 (ja) 遮水シート融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