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925B1 -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 Google Patents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925B1
KR101773925B1 KR1020170023410A KR20170023410A KR101773925B1 KR 101773925 B1 KR101773925 B1 KR 101773925B1 KR 1020170023410 A KR1020170023410 A KR 1020170023410A KR 20170023410 A KR20170023410 A KR 20170023410A KR 101773925 B1 KR101773925 B1 KR 10177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guide
fixing
joining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익
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을
Priority to KR102017002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지주대고정부와 표지판고정부와 상기 표지판고정부에 끼움결합되는 표지판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지주대고정부는 상기 지주대에 장착되며 지주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단결합부재와 상기 하단결합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고정부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와 상기 상단결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표지판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Guide indicator that guides the correct direction with a simple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판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와 지주대에 고정되는 하단결합부재에 각각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끼움홈을 형성하여 표지판이 지시하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 산책로 등에서 안내 표지판은 현 위치에서부터 통행인의 목적지까지 이르는 거리와 방향을 제시하여 통행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는 안내표지 구조체는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며, 특히 종래의 안내표지 구조체는 여러 방향을 동시에 지시해야 할 경우 다수개의 안내표지판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정을 위한 다수개의 볼트나 너트가 필요하여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안내 표지판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교체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내 표지판의 결합력 내지 내구력이 약하여 태풍이나 강풍 또는 아이들이 매달리는 장난으로 인해 쉽게 파손이 발생하여 재보수의 번거로움과 비용이 낭비되고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안내 표지판 구조체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지주의 각 면에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안내 표지판을 고정하거나 원형의 단면을 갖는 지주에 고정판을 감싸고 상기 고정판에 안내 표지판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는 경우에 지주의 형상에 따라 안내 표지판의 설치방향이 특정되어 정확한 위치표시가 어렵고, 주변 환경 등의 변화로 안내 표지판의 방향이나 새로운 정보를 표시한 안내 표지판의 교체 설치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지주는 안내 표지판을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주로 목재가 사용되는데 목재는 기후변화에 따라 쉽게 부식되거나 훼손되기 쉽고, 지주의 재질을 금속으로 하는 경우에는 안내 표지판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단 고정된 후에는 변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원형의 단면을 갖는 지주에 고정판을 감싸고 안내 표지판을 결합하는 방법은 방향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차이점이 있으나 설치된 안내 표지판이 쉽게 움직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제20-0476717호 안내표지 구조체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강도가 우수하며 설치 작업뿐만 아니라 표지판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등록특허 제10-1036246호 방사형 도로 안내표지판 고정장치는 안내표지판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표지판 고정부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된 안내표지판 고정장치에 의하여 복잡한 도로나 여러 관련 시설이 모여 있는 지역에서 하나의 안내표지판 고정장치에 의하여 여러 방향 또는 여러 건물을 동시에 지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등록특허 제10-1360840호 안내표지판 고정구는 몸체홀더와 고정체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등산로 등의 길 방향을 안내하는 표지판을 결합하여 등산로 길 등에 세워 설치되는 지주목에 결합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표지판의 끝단부가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표지판이 결합되는 표지판 결합부가 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지주에 결합됨으로써, 표지판의 고정하는 지지력이 낮고,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표지판 또는 표지판 결합구에 의해 표지판의 일부가 가려져 시인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등산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청소년뿐 아니라 어린이도 등산을 하면서 안내표지판에 매달리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지지력이 약한 종래의 안내표지판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안내표지판은 등산로 또는 산책로의 삼거리 또는 사거리 등 길이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삼거리 또는 사거리에서 단축길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등산객들은 안내표지판이 설치된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가까운 길로 가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내표지판은 원형의 표지판 결합구에 의해 글자 또는 화살표가 가려지므로 안내표지판의 앞까지 등산객이 가야 정확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어린이들이 매달리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는 강한 지지력을 갖추고, 원거리에서도 글자와 화살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인성이 높은 안내표지판이 요구되고 있다.
KR 20-0453573 Y1
본원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표지판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와 지주대에 결합되는 하단결합부재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끼움홈을 형성하고 돌출부재와 끼움홈 을 통해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정보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단결합부재와 하단결합부재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표지판의 방향을 변경할 때,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소정간격만 이격되도록 한 후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주대에 태양전지판을 구비하여 태양열을 이용해 축전지가 충전되도록 하고, 비상시에 대처할 수 있는 휴대폰포트, 비상램프, 스피커등을 구비하여 비상상황 및 응급상황시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안내표지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은 지주대고정부와 표지판고정부와 상기 표지판고정부에 끼움결합되는 표지판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지주대고정부는 상기 지주대에 장착되며 지주대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판넬과 상기 고정판넬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단결합부재와 상기 하단결합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고정부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와 상기 상단결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표지판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본원발명의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에 의하면, 표지판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와 하단결합부재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와 끼움홈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표지판을 통해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정보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결합부재와 하단결합부재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표지판의 방향을 변경할 때,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소정간격만 이격되도록 한 후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대에 태양전지판을 구비하여 태양열을 이용해 축전지가 충전되도록 하고, 비상시에 대처할 수 있는 휴대폰포트, 비상램프, 스피커등을 구비하여 비상상황 및 응급상황시에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이나 저시력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내표지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내표지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대와 지주대고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지판고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표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내표지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내표지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대와 지주대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표지판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지판은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대(100)와 상기 지주대(100)에 설치되는 지주대고정부(200)와 상기 지주대고정부(200)에 결합되는 표지판고정부(300)와 상기 표지판고정부(300)에 끼움결합되는 표지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100)는 등산로,탐방로,둘레길, 및 산책로등과 같은 갈림길의 지면에 직립하여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대(100)의 크기와 높이는 설치되는 위치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지주대의 형상 및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에는 태양열전지판(140)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전지판(140)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대(100) 내부에 구비되는 축전지(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대(100)에는 상기 축전지를 이용하여 비상시에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충전포트(110)와 야간에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비상램프(120)와 안내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피커(130)가 형성되어 비상상황 및 응급상황 발생 시 상기 지주대(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대비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피커(130)는 비상상황 및 응급상황에 대비한 방송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등을 위한 해당위치의 안내방송 및 다양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방송이 출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주대(100)의 일정 높이에 안내버튼(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안내버튼을 눌러 안내방송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RF(RADIO FREQUENCY) 및 BEAC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센서부를 형성하여 센서부를 통해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들이 상기 지주대(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대고정부(200)는 상기 지주대(100)의 일측에 장착되도록 상기 지주대(100)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판넬(210)과 상기 고정판넬(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단결합부재(220)와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넬(210)은 상기 지주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장방형의 사각판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면에 고정홀(50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500)에 나사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판넬(210)이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넬(210)은 상기 지주대(100)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판넬(210)도 원형으로 형성하는 등 상기 지주대(100)의 일측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주재(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결합부재(220)는 상기 고정판넬(2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넬(210)과 상기 하단결합부재(220) 사이에 연결부재(600)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결합부재(220)가 상기 고정판넬(2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외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끼움홈(230)이 상기 하단결합부재(2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단결합부재(220)는 상기 지주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후술되는 상기 상단결합부재(3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단단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230)은 도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형뿐만 아니라, 6~32각형 또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표지판을 이용하여 60~11.25°의 각도로 방향을 조절하여 정확하고 다양한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내용은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표지판고정부(300)는 상기 끼움홈(230)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재(310)와 상기 돌출부재(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320)와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표지판가이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재(310)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0)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돌출부재(310)는 상기 끼움홈(230)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끼움홈(23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310)는 상기 하단결합부재(220)가 형성되는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소정간격 낮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310)가 상기 끼움홈(230)에 결합될 때, 상기 끼움홈(230)에 상기 돌출부재(3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결합부재(320)는 상기 돌출부재(3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와 동일한 직경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0)에 상기 돌출부재(31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와 상기 상단결합부재(320)가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판가이드(330)는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일측에 사각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표지판(400)이 결합되도록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측면 상단과 하단에 고정홀(500)이 형성되어 다양한 정보 문구가 기재되는 상기 표지판(400)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지판가이드(330)의 상부에는 표지판조명(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표지판(400)의 위치를 확인시켜주거나, 야간에도 상기 표지판(400)에 기재된 문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지판(400)은 상기 표지판가이드(330)에 일측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가이드(330)에 상기 표지판(400)이 결합된 후, 고정홀(5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표지판(400)이 상기 표지판가이드(330)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판(400)은 본원발명에서는 방향을 효율적으로 지시하기 위해 끝단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되었으나, 방향지시의 목적이 아닌 해당지역에 대한 안내 및 해설문구가 포함되도록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한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지판(400)이 장방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표지판(400)을 해설판(미도시)로 형성하여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해설판이 상기 지주대에 결합될 경우, 상기 연결부재를 2~4개로 형성하여 상기 해설판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표지판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와 하단결합부재(220)에는 각각 끼움홈(230)과 돌출부재(310)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0)에 돌출부재(3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홈(230)과 상기 돌출부재(310)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재(310)가 상기 끼움홈(230)에 끼워질 때 다양한 각도를 유지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돌출부재(310)와 상기 끼움홈(230)이 형성되는 모양에 따라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에 결합되는 상기 표지판(400)이 가르키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표지판(400)의 위치를 알맞은 곳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표지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하단 외주연과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상단 외주연에는 톱니모양 형상의 요철부(700)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하단에는 원통형상의 원형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내주연에는 원통형상의 원형끼움홈(230)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결합부재에 상기 원형끼움홈(230)이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와 상기 하단결합부재(2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와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에 상기 요철부(700)가 형성되면, 상기 원형결합부재와 상기 원형끼움홈(230)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소정간격만 이격되도록 한 후, 상기 상단결합부재(320)를 회전시켜 상기 표지판의 방향이 설정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상기 끼움홈(230)과 상기 돌출부재(310)는 16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끼움홈(230)과 상기 돌출부재(310)가 6~32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도면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230)과 상기 돌출부재(310)를 16각형으로 형성하면, 상기 끼움홈과 상기 돌출부재를 8각형으로 형성한 것보다 더욱 세밀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안내표지판의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에는 각도고정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310)의 외주연을 따라 각도조절홈(340)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고정홈(240)과 상기 각도조절홈(340)이 고정나사(800)로 결합되어 상기 끼움홈(230)과 상기 돌출부재(31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끼움홈(230)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재(310)는 12각형 이상, 32각형 이하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결합부재(320)가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홈(340)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재(310)의 면부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이를테면 상기 돌출부재(310)가 12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면마다 상기 각도조절홈(340)이 하나씩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310)에 상기 각도조절홈(340)이 12개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고정나사(800)를 통해 상기 각도고정홈(240)과 상기 각도조절홈(34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표지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원발명의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상기 돌출부재(310)는 다각형 형상이 아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단결합부재(310)의 각도고정홈(240)에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상기 돌출부재(310)의 어느 한 부분이 고정되어 상기 상단결합부재(320)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돌출부재(3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경우 각도조절홈(340)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정나사(800)를 상기 돌출부재(310)의 외주연 어느부위에 직접 고정시켜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표지판의 각도가 더욱더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의 안내표지판에 의하면, 표지판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320)와 하단결합부재(220)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재(310)와 끼움홈(23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표지판을 통해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정보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결합부재(320)와 하단결합부재(220)의 외주연에 톱니모양의 요철부(700)를 형성하여 표지판의 방향을 변경할 때, 완전히 탈거하지 않고, 소정간격만 이격되도록 한 후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안내표지판 100 : 지주대
110 : 충전포트 120 : 비상램프
130 : 스피커 140 : 태양열전지판
200 : 지주대고정부 210 : 고정판넬
220 : 하단결합부재 230 : 끼움홈
240 : 각도고정홈 300 : 표지판고정부
310 : 돌출부재 320 : 상단결합부재
330 : 표지판가이드 340 : 각도조절홈
400 : 표지판 500 : 고정홀
600 : 연결부재 700 : 요철부
800 : 고정나사

Claims (5)

  1.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지판은 지면에 세워지는 지주대(100)와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도록 형성되는 지주대고정부(200)와 표지판고정부(300)에 끼움결합되는 표지판(4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대고정부(200)는 상기 지주대(100)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판넬(210)과 상기 고정판넬(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단결합부재(220)와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홈(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지판고정부(300)는 상기 끼움홈(230)에 결합되는 돌출부재(310)와 상기 돌출부재(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단결합부재(320)와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표지판가이드(330);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에 형성되는 각도고정홈(240)
    상기 돌출부재(31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각도조절홈(340);
    상기 고정판넬(21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넬(210)이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결합부재(320)는 상기 돌출부재(3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와 동일한 직경과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0)에 상기 돌출부재(31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와 상기 상단결합부재(320)가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상단에는 태양열전지판(140)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열전지판(140)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대(100) 내부에 구비되는 축전지(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부재(320)의 하단 외주연과 상기 하단결합부재(220)의 상단 외주연에는 톱니모양 형상의 요철부(700)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표지판.
  5. 삭제
KR1020170023410A 2017-02-22 2017-02-22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KR10177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10A KR101773925B1 (ko) 2017-02-22 2017-02-22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10A KR101773925B1 (ko) 2017-02-22 2017-02-22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925B1 true KR101773925B1 (ko) 2017-09-01

Family

ID=5992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10A KR101773925B1 (ko) 2017-02-22 2017-02-22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044B1 (ko) 2020-03-25 2020-12-22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방향 안내 표지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468464B1 (ko) * 2021-11-23 2022-11-18 (주)제이에스파워 전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도로형 태양광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044B1 (ko) 2020-03-25 2020-12-22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방향 안내 표지판 및 그 시공방법
KR102468464B1 (ko) * 2021-11-23 2022-11-18 (주)제이에스파워 전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도로형 태양광 시스템
WO2023096295A1 (ko) * 2021-11-23 2023-06-01 (주)제이에스파워 전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도로형 태양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925B1 (ko) 간편한 체결방식으로 정확한 방향을 유도하는 안내표지판.
US20060012487A1 (en) Traffic control sign assembly
US4533122A (en) Barrier system
US4801123A (en) Support stand for pole-like objects
US10127844B2 (en) Sign base and sign assembly
GB2102466A (en) Barrier systems
US9792842B2 (en) Post flag
KR101208920B1 (ko) 솔라셀을 구비한 안내 표지판
US6053337A (en) Bike rack
US7681349B2 (en) Hand operated traffic signal device
KR101884461B1 (ko) 안전 액세서리 장착이 가능한 라바콘
KR101904897B1 (ko) 가로등 받침 조립체
CN108709544B (zh) 航测无人机像控点布设靶标
JP2013072207A (ja) 道路標識柱
KR20130125988A (ko) 맨홀 출입을 위한 휴대용 안전표식장치
KR200170733Y1 (ko) 다방면 방향 표지판 장치
CN210955866U (zh) 一种景点指示牌
KR101414279B1 (ko) 배너 스탠드
KR20170023253A (ko) 광고용 게시물 거치장치
KR200437123Y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현수막 걸이대
GB2444493A (en) Magnetic support structure
KR200415798Y1 (ko) 스텐 난간의 구조
CN205793100U (zh) 北斗区域基准站墙标
KR20160029283A (ko) 윈드배너용 프레임
KR20160029284A (ko) 윈드배너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