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918B1 -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918B1
KR101772918B1 KR1020150048910A KR20150048910A KR101772918B1 KR 101772918 B1 KR101772918 B1 KR 101772918B1 KR 1020150048910 A KR1020150048910 A KR 1020150048910A KR 20150048910 A KR20150048910 A KR 20150048910A KR 101772918 B1 KR101772918 B1 KR 10177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edical care
car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726A (ko
Inventor
조춘래
김정표
박성용
윤순기
이관표
하문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6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수신된 결과 정보가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수신된 결과 정보가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URSING SERVICE}
본 발명은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요양원, 병원 등에서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구의 노령화 등에 의한 영향으로 병원이나 요양소 등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간병 서비스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간병 서비스란, 간병인이 환자의 건강 상태에 맞춰 감시, 활동 보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병 서비스는 간호(Nursing), 치료(Therapy), 목욕(Bathing), 드레싱(Dressing), 식사 준비(Preparation of meals), 식료품 구입(Grocery shopping), 처방전 발급 대행, 세탁, 병원 동행 및 기타 개인업무 (Personal care) 등을 포함한다.
간병인이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간병인 또는 환자가 간병 서비스 결과를 기록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환자 본인이 스스로 서비스 결과를 기록하거나, 간병인이 수기로 서비스 결과를 기록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그에 대한 조치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상태가 장기적으로 관리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장기 요양 환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의료인으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상태 이상으로 인해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의료인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 및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간병 서비스가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는, 제 1 의료인이 상기 환자에게 상기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 또는 제공이 완료된 뒤에, 상기 제 1 의료인에 의해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입력된 결과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는, 상기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질문 정보에 대해 어느 답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간병 서비스는, 식사 보조 서비스, 드레싱(dressing) 보조 서비스, 목욕(bathing) 보조 서비스, 이동(transfer) 보조 서비스 또는 배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푸시(push) 메시지, 이메일(e-mail) 또는 문자(text)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의료인으로 하여금, 환자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상태 이상으로 인해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의료인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동시에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제 1 의료인 단말 및 제 2 의료인 단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제 1 의료인 단말 및 제 2 의료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의료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UI(user interface)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규칙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의료인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UI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자'는 단순히 질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노환 또는 장애 등의 원인으로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간병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의료인'은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인으로서, 간병인, 간호사, 간호 조무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의료인'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의료인으로서, 간호사, 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과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소정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의료인 단말(130)은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의료인이 사용하는 단말이다. 제 1 의료인 단말(130)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이외에, PDA, 테블릿 PC, 노트북 등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제 2 의료인 단말(150)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제 2 의료인이 사용하는 단말이다. 제 2 의료인 단말(150)은 도 1에 도시된 데스크탑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노트북 등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을 포함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과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병원 또는 요양원 내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210 단계에서,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한다. 제 1 의료인은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또는, 간병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된 뒤에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입력할 수 있고, 제 1 의료인 단말(130)은 제 1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결과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한다.
간병 서비스는 식사 보조 서비스, 드레싱(dressing) 보조 서비스, 목욕(bathing) 보조 서비스, 이동(transfer) 보조 서비스, 배변 보조 서비스, 세탁 서비스 또는 기타 개인업무 보조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한다. 규칙 정보란,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하여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환자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결과 정보가 규칙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병 서비스가 식사 보조 서비스인 경우, 규칙 정보는 i) 환자가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 및 ii) 환자가 식사량을 50% 이상 남긴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간병 서비스가 이동 보조 서비스인 경우, 규칙 정보는 환자가 이동 중 고통을 호소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가 기 설정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예에서, 제 1 의료인이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환자가 식사를 하지 않았다는 결과 정보를 입력하면, 제 1 의료인 단말(130)은 해당 결과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하고,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수신된 결과 정보가 규칙 정보에 정의된 i) 환자가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S240 단계에서,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가 기 설정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결과 정보가 기 설정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복수의 환자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응하는 제 2 의료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특정 환자에 대한 결과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환자에 대응하는 제 2 의료인의 단말로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결과 정보를 참조하였을 때, 환자에게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에게 전송하므로, 제 2 의료인은 환자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의료인의 입장에서는, 제 1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모든 결과 정보를 확인할 필요 없이,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결과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 2 의료인의 업무 부담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① 환자가 병원 또는 요양원에 입원을 하면, 제 2 의료인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에 입력하고, 제 2 의료인 단말(150)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한다. 다른 예로서, 제 1 의료인이 환자의 상태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입력하고, 제 1 의료인 단말(130)이 환자의 상태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의료인 또는 제 2 의료인이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직접 환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②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간병 서비스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다리가 불편한 경우,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이동 보조 서비스, 세탁 서비스 등을 간병 서비스로 결정할 수 있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의해 결정된 간병 서비스는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제 1 의료인 및 제 2 의료인 각각은 제 1 의료인 단말(130)과 제 2 의료인 단말(150)을 조작하여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고, 또는,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이 직접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③ 제 1 의료인은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제 1 의료인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아이디(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로그인한다. 또는, 제 1 의료인은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지문, 음성, 홍체 등의 생체 정보를 입력하여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로그인할 수도 있다.
④ 제 1 의료인이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로그인하면,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에게 할당된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전송한다. 만약,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변경된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재전송할 수 있다.
⑤ 제 1 의료인은 어느 하나의 간병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또는 어느 하나의 간병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된 뒤에, 간병 서비스의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입력한다.
⑥ 제 1 의료인 단말(130)은 제 1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결과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한다.
⑦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이 환자에게 제공한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규칙 정보와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를 비교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저장된 규칙 정보는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은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과 제 2 의료인 단말(150) 각각에 입력하고, 제 1 의료인 단말(130)과 제 2 의료인 단말(150) 각각은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하여,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가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이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를 직접 조작하여 규칙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규칙 정보를 추출하기 전에, 제 1 의료인이 환자에게 제공한 간병 서비스가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매우 많은 경우, 모든 간병 서비스의 결과 정보가 제 2 의료인에게 전달되면, 제 2 의료인의 업무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여러 간병 서비스들 중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의 종류는 제 1 의료인과 제 2 의료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이 환자에게 제공한 간병 서비스가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인 경우, 해당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⑧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가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한다.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푸시(push) 메시지, 이메일(e-mail) 또는 문자(text) 메시지의 형태로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⑨ 제 2 의료인은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수신된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보고, 제 1 의료인에 대한 지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의료인은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위급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환자를 응급실로 이송하라는 지시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에 입력할 수 있다.
⑩ 제 2 의료인 단말(150)은 지시 정보를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전송하고, ⑪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지시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전송하여, 제 1 의료인이 지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해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 및 규칙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환자에게 제공되었던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들을 참조하였을 때, 환자의 상태가 호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규칙 정보를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이동 보조 서비스, 세탁 보조 서비스 및 드레싱 보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이동 중에 고통을 호소하지 않았다는 결과 정보들이 연속적으로 수신된 경우,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이동 보조 서비스, 세탁 보조 서비스 및 드레싱 보조 서비스 중 세탁 보조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에서 제외시킬 수 있고, 또는, 이동 보조 서비스에 대한 규칙 정보를 완화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제 1 의료인 단말(130)의 화면에 표시된 UI(user interface)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의료인은 제 1 의료인 단말(130)에 로그인을 하여,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의료인 단말(130)의 화면의 제 1 영역(410)에는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표시된다. 제 1 의료인은 제 1 영역(410)에 표시된 간병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2 영역(430)에 입력할 수 있다.
화면의 제 2 영역(430)에는 제 1 의료인에 의해 선택된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 정보들이 표시되며, 제 1 의료인은 적어도 하나의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를 제 2 영역(430)에 입력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의 질문 정보들 각각에 대한 답변 정보들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인에 의해 식사 보조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화면의 제 2 영역(430)에는, '환자의 식사량은?' 이라는 질문 정보와 함께, 해당 질문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답변 정보, 예를 들어, '식사하지 않음', '50%를 남김', '25%를 남김', '남기지 않음'이라는 답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 1 의료인은 제 2 영역(430)에 표시된 답변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식사 보조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는,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질문 정보에 대해 어느 답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어느 답변 정보가 몇 회 연속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보조 서비스의 경우에, '식사하지 않음' 또는 '25%를 남김'이라는 답변 정보가 선택된 경우, 또는, '식사하지 않음' 또는 '25%를 남김'이라는 답변 정보가 3회 연속 선택된 경우,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여러 간병 서비스들에 대한 규칙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규칙 정보는 각 간병 서비스의 특정 질문 정보에 대해 어떠한 답변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제 2 의료인 단말(150)의 화면에 표시된 UI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의료인 단말(150)의 화면에는, 환자 정보(610), 환자에게 제공된 간병 서비스(630) 및 간병 서비스에 대한 질문 정보(640) 및 질문 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650)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의료인 단말(150)의 화면에 표시된 결과 정보들은 기 설정된 규칙 정보에 대응되어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들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7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700)는 통신부(710), 저장부(730) 및 제어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과 소정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저장부(730)는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730)에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750)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저장부(7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750)와 통신부(710)를 별개의 모듈로 도시하고 있지만, 제어부(750)와 통신부(71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750)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가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통신부(710)로 수신되면,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저장부(730)로부터 추출한다. 제어부(750)는 수신된 결과 정보가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결과 정보가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통신부(710)를 통해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한다.
제어부(75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 및 제 2 의료인 단말(15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환자의 상태 정보가 통신부(710)로 수신되는 경우,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50)는,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부(710)를 통해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전송하고, 상기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부(710)를 통해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재전송한다.
또한, 제어부(750)는, 제 1 의료인 단말(130)이나 제 2 의료인 단말(15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제 1 의료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결과 정보들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제공될 간병 서비스의 종류 및 각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50)는,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150)로 전송한 뒤에, 제 2 의료인 단말(150)로부터 통신부(710)로 지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통신부(710)를 통해 제 1 의료인 단말(1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700: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130: 제 1 의료인 단말
150: 제 2 의료인 단말
710: 통신부
730: 저장부
750: 제어부

Claims (25)

  1.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 1 의료인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결과 정보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 및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간병 서비스가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는,
    제 1 의료인이 상기 환자에게 상기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 또는 제공이 완료된 뒤에, 상기 제 1 의료인에 의해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입력된 결과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는,
    상기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질문 정보에 대해 어느 답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는,
    식사 보조 서비스, 드레싱(dressing) 보조 서비스, 목욕(bathing) 보조 서비스, 이동(transfer) 보조 서비스 또는 배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푸시(push) 메시지, 이메일(e-mail) 또는 문자(text)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의료인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를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추출된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가 상기 규칙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규칙 정보는,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부터 기 수신된 결과 정보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 및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종류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간병 서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해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간병 서비스가 통지 대상 간병 서비스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한 후,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에 대한 결과 정보는,
    제 1 의료인이 상기 환자에게 상기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 또는 제공이 완료된 뒤에, 상기 제 1 의료인에 의해 상기 제 1 의료인 단말로 입력된 결과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규칙 정보는,
    상기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질문 정보에 대해 어느 답변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는,
    식사 보조 서비스, 드레싱(dressing) 보조 서비스, 목욕(bathing) 보조 서비스, 이동(transfer) 보조 서비스 또는 배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푸시(push) 메시지, 이메일(e-mail) 또는 문자(text)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제 2 의료인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50048910A 2014-12-01 2015-04-07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72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57,279 2014-12-01
US14/557,279 US10282519B2 (en) 2014-12-01 2014-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urs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26A KR20160065726A (ko) 2016-06-09
KR101772918B1 true KR101772918B1 (ko) 2017-08-31

Family

ID=5607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10A KR101772918B1 (ko) 2014-12-01 2015-04-07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82519B2 (ko)
KR (1) KR1017729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421A (ko) 2019-06-21 2020-12-30 김성민 간병서비스 매칭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5681B2 (en) 2015-10-07 2022-04-26 Smith & Nephew, Inc. Reduced pressure therapy device operation and authorization monitoring
US11602461B2 (en) 2016-05-13 2023-03-14 Smith & Nephew, Inc. Automatic wound coupling detection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EP3519002A2 (en) 2016-09-29 2019-08-07 Smith & Nephew, Inc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components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11974903B2 (en) 2017-03-07 2024-05-07 Smith & Nephew, Inc. Reduced pressure therapy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an antenna
US11712508B2 (en) 2017-07-10 2023-08-01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interacting with communications module of wound therapy apparatus
GB201820668D0 (en) 2018-12-19 2019-01-30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escribed wound therap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47B1 (ko) * 2010-10-20 2012-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 활력징후 이상에 따른 의사결정지원방법 및 시스템
JP2012185644A (ja) * 2011-03-04 2012-09-27 Toshiba Tec Corp 看護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4369B1 (en) * 2000-05-31 2006-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lancing the comprehensive health of a user
US8380631B2 (en) * 2006-07-19 2013-02-19 Mvisum, Inc. Communication of emergency medical data over a vulnerable system
US9848778B2 (en) * 2011-04-29 2017-12-26 Medtronic, Inc. Method and device to monitor patients with kidney disease
KR20130113893A (ko)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건강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50269329A1 (en) * 2014-03-24 2015-09-24 Roger E. Fearon Living Community with Health Care Services
US20150356701A1 (en) * 2014-06-06 2015-12-10 Play-it Health, Inc. Monitoring and adapting a patient's medical regimen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a careg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47B1 (ko) * 2010-10-20 2012-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 활력징후 이상에 따른 의사결정지원방법 및 시스템
JP2012185644A (ja) * 2011-03-04 2012-09-27 Toshiba Tec Corp 看護支援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サー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421A (ko) 2019-06-21 2020-12-30 김성민 간병서비스 매칭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726A (ko) 2016-06-09
US10282519B2 (en) 2019-05-07
US20160154943A1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18B1 (ko) 간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999717B1 (en) Message analysis application and response system
US20220215944A1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8326649B2 (en) System for providing expert care to outpatients from a remote location
Lee et al. A mobile care system with alert mechanism
Bardram Pervasive healthcare as a scientific discipline
US9323894B2 (en) Health care sanitation monitoring system
Vergados Service personalization for assistive living in a mobile ambient healthcare-networked environment
JP2017517088A (ja) 健康状態の改善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2299952A (zh) 一种远程医疗系统及智能家居医疗系统
CN104299090A (zh) 社区医生信息管理系统
Kaushik et al. Digital cardiovascular care in COVID‐19 pandemic: A potential alternative?
Vergados et al. Intelligent services for assisting independent living of elderly people at home
KR101695130B1 (ko)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23172A (ko)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
CN109524081A (zh) 一种药房选择方法、服务器及系统
JP2008242502A (ja) 総合医療支援システム
CN110570945B (zh) Ai慢病管理方法、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Gusev et al. Resilient IoT eHealth solutions in case of disasters
Cund et al. Self-management: keeping it simple with “Flo”
Woolrych Ageing and technology: creating environments to support an ageing society
Selvakanmani Android Based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Duggan Self-care and health: by all, for all-Learning from COVID-19
CN110021443B (zh) 一种人工智能会诊方法和平台
CN112842302A (zh)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