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627B1 - 휴대식 배설 봉투 - Google Patents

휴대식 배설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627B1
KR101772627B1 KR1020127014319A KR20127014319A KR101772627B1 KR 101772627 B1 KR101772627 B1 KR 101772627B1 KR 1020127014319 A KR1020127014319 A KR 1020127014319A KR 20127014319 A KR20127014319 A KR 20127014319A KR 101772627 B1 KR101772627 B1 KR 10177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opening
support members
envelope bod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609A (ko
Inventor
쿠오후앙 양
Original Assignee
쿠오후앙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010235761.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048488B/zh
Application filed by 쿠오후앙 양 filed Critical 쿠오후앙 양
Publication of KR2012010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휴대식 배설 봉투는 봉투 본체(10)를 포함한다. 봉투 본체(10)의 상부에 봉투 개구(12)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부재(14)는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봉투 개구(12)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결정하도록 지지 부재(14)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에 2개의 손가락을 유지할 수 있다. 손가락이 고정되는 지지 부재(14) 각각의 측면에는,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에 2개의 손가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도록 점착재(13)가 도포되어 있다. 지퍼(16)가 봉투 개구(12)에 인접한 봉투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용 가능한 화장실이 없는 경우 봉투 본체(10)를 밀봉할 수 있다. 봉투 본체(10)에는 봉투 본체(10) 내 내용물 배출을 위해 개구(18)가 설치되어, 사용자들, 특히 여성들이 선 자세에서 배뇨할 수 있으며, 밀봉 후 휴대식 배설 봉투를 가지고 갈 수 있다.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도록 개구(18)에 밸브(20)가 설치될 수 있다. 휴대식 배설 봉투는 환자들의 소변 및 대변을 수집하기 위해 병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닥부에서 개구(18)에 연결된 파이프(22)는 배설물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식 배설 봉투{PORTABLE EXCREMENT BAG}
본 발명은 휴대식 배설 봉투, 특히 배설물을 수집하고 도출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에 관한 것이다.
실외 환경에서 공중 화장실을 찾는 것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항상 귀찮은 일이다. 일부 사람들, 특히 여성들은, 비위생적인 좌변기의 사용을 원치 않아, 대신에 소변을 참아버린다. 장시간 소변을 참는 것은 신장에 유해하다.
또한, 일례로서 건강 검진의 소변 검사를 받을 때, 종이컵이나 일회용 종이 봉투가 제공되어 소변을 일시적으로 수집하며, 그런 다음 소변을 시험관으로 옮긴다. 그러나, 컵이나 봉투는 조작이 어렵다. 예를 들어, 쏟아진 소변으로 인해 손이 오염되기 쉽다. 또한, 컵이나 봉투에 들어 있는 소변에서 악취가 날 수 있으며, 운반 중에 쏟아질 수도 있다. 또한, 컵/봉투로부터 작은 구멍의 시험관으로 소변을 옮기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단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신규한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봉투 본체의 봉투 개구에 손가락을 고정하는 2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로서, 인체에 밀착하여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며, 배설물 수집을 위해 배설 구멍에 조준하도록, 지지 부재에 의해 고정된 2개의 손가락으로 봉투 본체의 봉투 개구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투 본체를 밀봉하는 지퍼를 포함하여, 실외에 이용 가능한 화장실이 없는 경우 배설물을 가지고 갈 수 있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투 본체를 밀봉하는 지퍼 및 검뇨를 위한 밸브가 장착된 개구를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투 본체에 형성된 개구, 또는 내용물을 유도하기 위해 바닥부의 개구에 연결된 파이프를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성들은 선 자세에서 의류를 오염시키지 않고 배뇨를 위해 휴대식 배설 봉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봉투 개구를 갖는 봉투 본체 및 봉투 본체의 봉투 개구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된 2개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한다. 봉투 본체는 봉투 본체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 및 봉투 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봉투 개구의 2개의 측면에 2개의 손가락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손가락이 고정되는 각각의 지지 부재의 측면에 점착재가 도포되어 있으며, 지지 부재를 통해 2개의 손가락으로 봉투 개구의 2개의 측면을 유지하여, 손가락의 촉각과 민첩함에 따라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결정함으로써, 배설물의 수집을 위해 휴대식 배설 봉투가 요도 및/또는 항문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봉투 본체의 봉투 개구 하부에, 봉투 본체를 밀봉하는 지퍼가 위치결정되어, 실외에 이용 가능한 화장실이 없는 경우 배설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봉투 본체는 내용물 배출용 개구를 가지며,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도록 개구에 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개구 및 밸브를 갖는 봉투 본체는 검뇨에 특히 적합하다. 대안적으로는, 내용물을 유도하기 위해 개구에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투 개구 및 봉투 개구 전방부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지지 부재를 갖는 봉투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를 제공한다. 봉투 개구는 높은 위치의 전방부 및 낮은 위치의 후방부를 갖는다. 봉투 본체는 봉투 본체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 및 봉투 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와 봉투 개구의 후방부 사이에 각도가 존재한다. 이 각도는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서의 각도이며, 둔각이다. 지지 부재를 통해 2개의 손가락으로 봉투 개구의 2개의 측면을 유지하여, 손가락의 촉각과 민첩함에 따라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결정함으로써, 봉투 개구가 인체의 배설 구멍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식 배설 봉투를 이용함으로써, 조작이 용이하고, 피부-친화적이며, 요도 및/또는 항문에 대해 잘 맞춰진다. 이런 이유로, 배설물을 누출 없이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임의의 사용자, 특히 여성들은 휴대식 배설 봉투를 이용하여 선 자세 또는 자동차에서와 같은 임의의 상황에서 배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지지 부재의 제 1 구성 및 봉투 본체의 제 1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식 배설 봉투의 사시도 및 모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식 배설 봉투의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의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봉투 본체의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식 배설 봉투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각각 개구에 연결된 파이프를 구비한 도 4의 휴대식 배설 봉투의 사시도 및 모식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개시된 휴대식 배설 봉투는 수납 및 휴대가 편리한 열가소성 수지, 종이 또는 그 밖의 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봉투 본체(10)를 포함한다. 봉투 본체(10)의 상부에는 봉투 개구(12)가 있다. 봉투 본체(10)는 봉투 본체(10)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 및 봉투 개구(12)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부 가장자리를 갖는다. 2개의 지지 부재(14)는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2개의 손가락으로 지지 부재(14)를 유지한다(도 1b 참조). 2개의 손가락을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도록, 손가락이 고정되는 각 지지 부재(14)의 측면에는 점착재(13)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민첩함에 의해 봉투 개구(12)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한편, 손가락의 촉각에 의해 배설물을 수집하도록 요도 및/또는 항문에 대한 조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손가락을 통해) 지지 부재(14)와 피부가 밀착 접촉하기 때문에 수집 공정에서 배설물의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봉투 본체(10)의 연성 재료는 피부 친화적 특성을 제공하여, 사용감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봉투 개구(12)의 구성 이외에, 도 1c에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봉투 개구(12)는 높은 위치의 전방부 및 낮은 위치의 후방부를 갖는다. 조작 중, 봉투 개구(12)의 전방부는 손가락을 향하며, 봉투 개구(12)의 후방부는 둔부를 향한다. 지지 부재(14)는 봉투 개구(12)의 전방부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지지 부재(14)와 봉투 개구(12)의 후방부 사이에 각도(11)가 존재한다. 이 각도(11)는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서의 각도이며, 둔각이다. 각도(11)는 외음부의 윤곽과 정합된다. 이는 특히 여성들에게 적합하다.
제 3 실시형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지퍼(16)가 봉투 본체(10)의 봉투 개구(12) 하부에 위치결정되어 있어, 봉투 본체(10)를 밀봉함으로써, 공중 화장실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 실외 환경에서도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구성 이외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도 2a 내지 도 2e 참조). 도 2a, 도 2b 및 도 2d에서 지지 부재(14)는 연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2c 및 도 2e에서 지지 부재(14)는 강성 재료에 의해 m자 형상의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봉투 본체(10)가 손가락에 걸리게 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손가락 크기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대안적으로는, 점착재(13)가 봉투 개구(12)의 외측 표면에 도포되어, 봉투 본체(10)가 손가락에 점착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4)는 손가락에 점착되도록 점착재로 형성되거나,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골무로 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 본체(10)는 연성 막 재료로 형성되며, 지지 부재(14)를 m자 형상으로 일체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접어져,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 지점이 봉투 본체(10)에 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도 2a 참조). 대안적으로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봉투 개구(12)의 2개의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2개의 점착재(13)가 각 지지 부재(14)의 손가락 측에 도포되어, 지지 부재(14)가 2개의 손가락을 커버하며 점착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재(14)는 다양한 크기의 손가락에 맞춰질 수 있다. 게다가, 수분 흡수층(15)이 인체의 배설 구멍에 밀착하여 각 지지 부재(14)의 표면에 점착되어 있다(도 2b 참조). 이는 인체나 의류가 배설물 누출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지지 부재(14)의 다양한 구성 이외에, 봉투 본체(10)를 유지하는 지지 부재(14)의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봉투 본체(10)는 내용물 배출용 개구(18)를 갖는다. 또한, 밸브(20)가 개구(18)에 장착되어 있어, 봉투 본체(10)의 내용물 배출을 제어한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개구(18)에 장착된 밸브(20)는 지퍼로서 이용되어, 본 발명의 휴대식 배설 봉투를 사용한 후에, 밸브(20)를 제어함으로써 개구(18)로부터 내용물을 쏟아낼 수 있다. 소변 검사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식 배설 봉투는 소변 수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시험관에 대한 소변의 주입도 용이하게 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밸브(20)의 다양한 구성 이외에, 봉투 본체(10)의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20)의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식 배설 봉투가 도시되어 있다. 여성들은 사용 가능한 변기가 비위생적인 경우 소변을 참을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봉투 본체(10)는 바닥부 코너에서 돌출된 부분과 돌출된 단부에 형성된 개구(18)를 구비한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되어, 선 자세에서 배뇨 시, 사용자가 봉투 본체(10)로 배뇨할 수도 있다. 또한, 소변은 돌출된 단부를 통해 개구(18)로부터 변기를 향해 흐른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소변을 인체로부터 멀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부재(14)와 봉투 개구(12)의 후방부 사이에 각도(11)가 존재한다. 이 각도(11)는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서의 각도이며, 둔각이다. 지지 부재(14)는 봉투 본체(10)의 봉투 개구(12)의 전방부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각도(11)는 외음부의 윤곽과 정합된다. 이는 특히 여성들에게 적합하다. 게다가, 탭(21)이 봉투 본체(10)의 개구(18)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개구(18)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탭(21)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 코너에서 파이프(22)가 개구(18)에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22)를 통해 봉투 본체(10) 내 소변을 변기로 정확하게 쏟아낼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뇨하는 중에 사용자가 불결한 좌변기에 앉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파이프(22)의 배출구가 사용자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어, 소변이 의류에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식 배설 봉투는 소변 수집뿐만 아니라 대변 수집도 가능하다. 인체의 배설 구멍을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2개의 손가락으로 지지 부재를 유지하여, 휴대식 배설 봉투의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민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사용 후, 밀봉, 운반 및 폐기가 용이하다. 시험관에 대한 소변의 주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변기에 소변을 직접 쏟아낼 수도 있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휴대식 배설 봉투는,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민첩하게 제어하도록 손가락이 고정되는 2개의 지지 부재를 개시한다. 또한, 휴대식 배설 봉투는 피부-친화적이며, 요도 및/또는 항문에 잘 맞춰진다. 이런 이유로, 배설물을 누출 없이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식 배설 봉투를 이용하여 선 자세 또는 자동차에서와 같은 임의의 상황에서 배뇨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봉투 본체
11 : 각도
12 : 봉투 개구
13 : 점착재
14 : 지지 부재
15 : 수분 흡수층
16 : 지퍼
18 : 개구
20 : 밸브
21 : 탭
22 : 파이프

Claims (20)

  1. 휴대식 배설 봉투로서,
    봉투 개구를 갖고, 상기 봉투 본체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들 및 상기 봉투 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부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봉투 본체; 및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봉투 개구의 2개의 측면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로서,
    2개의 손가락들로 상기 지지 부재들을 유지하여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시킴으로써, 인체의 배설 구멍을 커버하며, 상기 양 지지 부재들의 손가락 측들에 점착재가 도포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를 밀봉하도록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봉투 개구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퍼를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3. 제 2 항에 있어서,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도록 상기 봉투 본체에 장착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4. 제 1 항에 있어서,
    내용물 배출을 위해 상기 봉투 본체에 위치된 개구를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내용물 배출을 제어하는 지퍼에 의해 밀봉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봉투 본체의 바닥부 코너에 배치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 내 내용물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휴대식 배설 봉투.
  9.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손가락에 걸리도록 m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0.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봉투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1. 제 9 항에 있어서,
    m자 형상의 지지 부재 각각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 지점이 상기 봉투 본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각각은 상기 인체의 상기 배설 구멍에 밀착하는 외측 표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수분 흡수층을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바닥부 코너에서 개구를 갖는 돌출된 각도를 구비한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개구의 일 측면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탭을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개구는 높은 위치의 전방부 및 낮은 위치의 후방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 부재들은 상기 봉투 개구의 상기 전방부의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들과 상기 봉투 개구의 후방부 사이에 각도가 존재하고, 상기 각도는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서의 각도이며, 둔각인, 휴대식 배설 봉투.
  16. 휴대식 배설 봉투로서,
    높은 위치의 전방부와 낮은 위치의 후방부를 갖는 봉투 개구를 구비한 봉투 본체로서, 상기 봉투 본체를 형성하는 2개의 측벽들 및 상기 봉투 개구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닥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봉투 본체; 및
    상기 봉투 개구의 상기 전방부의 2개의 측면들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로서,
    상기 지지 부재들과 상기 봉투 개구의 상기 후방부 사이에 각도가 존재하고, 상기 각도는 인체와 접촉하는 측에서의 각도이며, 둔각이고, 2개의 손가락들로 상기 지지 부재들을 유지하여,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봉투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시킴으로써, 인체의 배설 구멍을 커버하고,
    상기 지지 부재들은 상기 손가락들에 점착되는 점착재로 이루어지는, 휴대식 배설 봉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를 밀봉하도록 상기 봉투 본체의 상기 봉투 개구의 하부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지퍼를 더 포함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봉투 본체 내 내용물 배출을 위해 상기 바닥부 코너에서 개구를 갖는 돌출된 각도를 구비한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식 배설 봉투.
  19. 삭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 각각은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골무인, 휴대식 배설 봉투.
KR1020127014319A 2009-11-06 2010-09-25 휴대식 배설 봉투 KR101772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212336 2009-11-06
CN200910212336.3 2009-11-06
CN201010235761.7 2010-07-15
CN201010235761.7A CN102048488B (zh) 2009-11-06 2010-07-15 携带型排泄袋
PCT/CN2010/001475 WO2011054170A1 (zh) 2009-11-06 2010-09-25 携带型排泄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609A KR20120103609A (ko) 2012-09-19
KR101772627B1 true KR101772627B1 (ko) 2017-08-29

Family

ID=4711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319A KR101772627B1 (ko) 2009-11-06 2010-09-25 휴대식 배설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2226A (zh) * 2020-04-03 2020-07-10 曹乐 开闭兼具的一次性塑料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8709A1 (en) * 2005-03-31 2006-10-05 Langford Marlynn J Female urination ai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8709A1 (en) * 2005-03-31 2006-10-05 Langford Marlynn J Female urination ai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609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1388B (zh) Carrying bag
US6460200B1 (en) Sanitary device
US20070270716A1 (en) Disposable Urine Collector
KR20030009413A (ko) 방뇨 장치
WO2009023878A1 (en) Disposable female urinary aid
US4756029A (en) Feminine urinary device
CA2777136C (en) Portable excrement bag
US6922852B1 (en) Disposable female urinal
KR101772627B1 (ko) 휴대식 배설 봉투
JP5735529B2 (ja) 便失禁収集袋
US20070169253A1 (en) Funnel for female urine direction
US20160309970A1 (en) Ultra portable restroom system
US20070017009A1 (en) Disposable urine bag
CN210644296U (zh) 一种泌尿外科用一次性接便袋
JP3216528U (ja) 排泄用具
BRMU8902088U2 (pt) objeto para conforto ìntimo descartável, no ato da micção e defecação
WO2022177033A1 (ja) 排泄処理具
CN106725051A (zh) 便携式应急尿袋
MX2009013769A (es) Receptor desechable para orina.
WO2019220374A1 (en) Portable, pocketable and disposable toilet usable in squatting position
JP3026468U (ja) 女性用漏屎尿受け具
KR200368967Y1 (ko) 기립식 여성 배뇨용구
MX2007002977A (es) Dispositivo que facilita la miccion femenina en una posicion erguida.
MXPA00001114A (en) Collector and redirectioning device of urinary flow
CN115212026A (zh) 一种老年科用便携式集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