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59B1 - 해저 복합 케이블 - Google Patents

해저 복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59B1
KR101772559B1 KR1020150175816A KR20150175816A KR101772559B1 KR 101772559 B1 KR101772559 B1 KR 101772559B1 KR 1020150175816 A KR1020150175816 A KR 1020150175816A KR 20150175816 A KR20150175816 A KR 20150175816A KR 101772559 B1 KR101772559 B1 KR 10177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steel wire
power
tub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844A (ko
Inventor
김태엽
Original Assignee
(주)킴스유비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킴스유비큐 filed Critical (주)킴스유비큐
Priority to KR102015017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4Submarine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4Construction of the space inside the hollow inn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저 복합 케이블이 개시된다.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은, 신호 전달 유닛,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원 전달 유닛 및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은,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1차 절연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전원 튜브, 상기 제 1 전원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2차 절연부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2차 절연부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2 차 절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전원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 복합 케이블{SUBMARINE COMPOSITION CABLE}
본 발명은 해저 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광통신 신호 및 전력전달이 가능한 해저 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해저 케이블(submarine cable)은 대륙과 대륙, 육지와 섬, 육지와 바다 등과 같이 바다를 사이에 두고 격리된 두 지점 사이의 전력전달, 통신 등을 위해 해저에 부설되는 케이블이다.
해저 케이블은 해저에 부설되기 때문에 어업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기 쉽고, 해류나 파랑에 의한 해풍사태, 해저면과의 마찰 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케이블이 손상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케이블 내부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소재가 적용된 케이블을 사용한다. 해저케이블은 부설지역에 따라 천해용과 심해용으로 나뉜다. 천해용은 해안부터 수심 약 500m지역에까지 펼쳐진 비교적 경사가 완만한 대륙붕 지역에 설치되는 케이블로 외장이 견고한 케이블이 사용되며, 심해용은 어업활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자연현상에 의한 피해가 비교적 적은 심해에 설치되므로 외장이 용이한 케이블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해저 케이블 중 해저 복합 케이블은 통신을 위한 통신케이블과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 케이블이 합쳐진 다용도 케이블이다. 해저 복합 케이블을 통해 해양 자원의 개발(생태계 조사, 수중 온도변화 감지, 수중 생명체 활동 모니터링 등), 이상물체의 감지 및 감식(선박추적, 이상물체 감지, 지진예측, 해일 예측 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해양 관측 장비 또는 해저 감시를 위한 센서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장비 또는 센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은 육상 관측소로부터 해저, 인공 섬까지 설치될 수 있다. 해저 복합 케이블은 해저에 설치되므로, 해수의 압력을 견뎌야 하며, 통신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해수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또한, 해수는 유동적이므로, 해저 복합 케이블은 적절한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해수의 압력을 견디며, 해수의 내부유입을 차단하며 유연한 해저 복합 케이블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특허공개문헌 10-2014-0146374호는 구리를 편조한 케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저 및 해수면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 등과 통신, 시스템 제어 및 전력공급을 위한 해저 복합 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내부에 해수 유입의 차단, 내수압력이 강화된 해저 복합 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해저 복합 케이블이 개시된다.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은, 신호 전달 유닛,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원 전달 유닛 및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은,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1차 절연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수용할 수 있는 제 1 전원 튜브 및 상기 제 1 전원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2차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2차 절연부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2 차 절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전원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금속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는 구리, 철,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제 1 전원 튜브가 음극인 경우, 제 2 전원 튜브는 양극이고, 제 1 전원 튜브가 양극인 경우, 제 2 전원 튜브는 음극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부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강선외장, 상기 1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피복, 상기 내부 피복을 수용하는 상기 케이블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성 소재로 구성된 방부성 혼합물 및 상기 방부성 혼합물을 수용하는 외부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강선외장은 아연 도금 강선, 철선, 동선, 알루미늄강선, 동복강선 및 알루미늄 피복 강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내부 및 외부 피복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1차 강선외장, 상기 1차 강선외장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1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피복, 상기 내부 피복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내부 피복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보강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2차 강선외장, 상기 2차 강선외장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2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는 방부성 혼합물 및 상기 방부성 혼합물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방부성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1차 강선외장의 강선의 외경은 0.3mm ~ 8.0mm이고, 상기 내부 피복의 두께는 0.5mm ~ 5.0mm 이고, 상기 보강재의 두께는 0.1mm ~ 5.0mm 이고, 상기 2차 강선외장의 강선의 외경은 0.3mm ~ 8.0mm이고, 그리고 상기 외부피복의 두께는 0.5mm ~ 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저 및 해수면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 등과 통신, 시스템 제어 및 전력공급을 위한 해저 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내부에 해수 유입의 차단, 내수압력이 강화된 해저 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이 적용된 해양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종래 해저 복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이 적용된 해양 감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이 적용된 해양 감시 시스템에서, 육상 관측소(10)부터 해저, 섬, 인공섬 등까지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은 해저에 설치되는 센서(20), 해수면에 설치되는 해양 관측 부이(30)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측 장비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육상 관측소(10)는 센서(20) 및 해양 관측 부이(30)와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무인 잠수정(40) 등은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을 통해 육상 관측소(10)와 통신할 수 있다.
육상 관측소(10)와 무인 잠수정(40)등 해저에 배치된 장치들이 직접 무선 통신하는 경우, 해수로 인하여 통신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해저 복합 케이블(1000)로 통신 경로를 구성하면, 무선 통신의 거리가 짧아져 해수의 영향이 감소하게 되어 보다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해양의 연구를 위한 해수 기온 관측, 지진 등의 예보를 위한 관측 등을 센서(20)가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20)는 해저에 설치되어 베터리 등으로 전원을 공급할 경우에는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해 육상 관측소(10)와 통신할 경우 해수에 인한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해저 센서(20)는 해저 복합 케이블(1000)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도록 하여, 전원 공급을 위한 유지 관리의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을 통해 육상 관측소(10)와 통신하도록 하여 해수로 인한 통신 장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은 해양에 설치될 수 있는 여러 구조물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며, 육지와 해양 구조물간의 원활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는 종래 해저 복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해저 복합 케이블(100)은 신호부(110), 전원부(120) 및 보호 유닛(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부(110)는 신호선(111), 절연체(112), 차폐 부재(113) 및 피복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111)은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전달되는 데이터는 해저 센서(20) 등의 제어 신호, 센서들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데이터는 예시일 뿐이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선(111)은 구리선, 광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체(112)는 상기 신호선(111)을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신호선(111)을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12)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1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부재(113)는 피복 부재(114)의 내부에 충진되며, 내부에 상기 신호선(111) 및 절연체(112)를 포함하여 상기 신호선(111) 및 절연체(11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13)는 동선, 알루미늄선, 철선의 편조 구조 또는 동테이프, 알루미늄 테이프 등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피복 부재(114)는 상기 신호부(110)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신호부(110)를 피복할 수 있다. 상기 피복 부재(114)는 상기 신호선(111), 절연체(112)를 내부에 포함하며, 차폐 부재(113)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피복 부재(114)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불소수지, 폴리프로필렌,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전원선(121), 절연체(122), 차폐 부재(113) 및 피복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선(121)은 해저에 설치되는 센서(20), 통신장비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선(121)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리 등의 전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121)은 예를 들어, 구리, 철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연체(122)는 상기 전원선(121)을 내부에 포함하여 상기 전원선(121)을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22)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22)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차폐 부재(123)는 피복 부재(124)의 내부에 충진되며, 내부에 상기 전원선(121) 및 절연체(122)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선(121) 및 절연체(12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차폐 부재(113)는 동선, 알루미늄선, 철선의 편조 구조 또는 동테이프, 알루미늄 테이프 등 고정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피복 부재(124)는 상기 전원부(120)의 외곽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부(120)를 피복할 수 있다. 상기 피복 부재(124)는 상기 전원선(121), 절연체(122)를 내부에 포함하며, 차폐 부재(123)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피복 부재(124)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전원선(121)을 다수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121)은 내구력을 위하여 직조 및 편조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원부(120) 및 신호부(110)는 해저 복합 케이블의 코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보호 유닛(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해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유닛(130)은 1차 피복(131), 1차 강선외장(132), 방부성 혼합물(133), 2차 피복(134), 2차 강선외장(135), 방부성 혼합물(136), 3차 피복(1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유닛(130)은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의 코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피복층과 각 피복층 사이에 금속 등 강한 인장 강도를 갖는 보호층을 만들고, 상기 금속 등으로 구성된 보호층에 방부성 혼합물을 충진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1차 내지 3차 피복(131, 134, 136)은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의 코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각 보호층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차 내지 3차 피복(131, 134, 136)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및 2차 강선외장(132, 135)은 금속 선 등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되며, 도 2 에 도시된 강선 외장(132, 135)는 상기 연선된 금속 선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방부성 혼합물(133, 136)은 아스팔트계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3, 136)은 상기 강선외장과 피복 사이의 빈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3, 136)은 코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해저 복합 케이블(100)은 신호부(110) 및 전원부(120)가 각기 피복된 전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원형의 형태를 가짐으로 인하여 해저 복합 케이블 내에 공극이 발생하게 되어 해수의 차단이 완벽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극을 메우기 위하여 아스팔트 혼합물, 실리콘 혼합물 등을 충진하여야 하여, 제조 공정이 증가되며,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케이블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며, 케이블의 유연성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신호부(110)에 포함된 신호선(111)은 광섬유 다발 또는 전선다발로 구성되며, 전원부(120)에 포함된 전원선(121)은 전선다발로 구성되어 해수의 유동을 견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신호부(110) 및 전원부(120)를 각기 피복하여야 하므로 피복 부재가 중복 사용되어, 해저 복합 케이블(100) 전체의 무게가 증가될 수 있으며, 각기 피복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제작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은 신호 전달 유닛(1100), 전원 전달 유닛(1200), 보호 유닛(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달 유닛(1100)은 상기 전원 전달 유닛(1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유닛(1300)은 상기 신호 전달 유닛(1100), 전원 전달 유닛(12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신호 전달 유닛(1100)은 광섬유(1101), 튜브 충진 젤리(1102), 금속 튜브(1103), 신호 유닛 강선(1104), 충진 컴파운드(1105), 1차 절연부(1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1101)는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1101)는 원통 모양으로 구성되며, 신호를 부호로 만든 광선을 내부 전반사로 전송하며 다른 유선 전송 매체(구리선 등)에 비하여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 전송량과 전송 속도가 높다. 또한, 케이블 지름과 중량이 적어 외장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빛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외부 간섭, 내부 간섭, 데이터 손실, 잡음, 누화 등의 외부적 간섭을 받지 않는다. 상기 광섬유(1101)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1101)는 예를 들어, 2심 내지 144심 및 필요에 따라 다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 충진 젤리(1102)는 상기 광섬유(1101)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튜브 충진 젤리(1102)는 비전도성, 비흡습성 및 방부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튜브(1103)는 상기 광섬유(1101)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튜브(1103)는 스테인레스 스틸, 납, 알루미늄, 구리,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튜브(1103)는 하나의 광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튜브(1103)는 예를 들어, 튜브 내경이 0.3mm ~ 5mm, 튜브의 외경이 0.5mm ~ 8mm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금속 튜브의 규격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호 유닛 강선(1104)은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 주석, 알루미늄, 동 등으로 코팅된 금속 선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되며, 도 3 에 도시된 신호 유닛 강선(1104)은 상기 연선된 금속 선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신호 유닛 강선(1104)은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광 섬유(1101)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신호 유닛 강선(110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코팅 강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 및 1 층의 외경이 0.5mm ~ 8mm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신호 유닛 강선(1104)의 규격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충진 컴파운드(1105)는 금속 튜브(1103) 및 신호 유닛 강선(1104)을 1차 절연부(1106)의 내부에 수용하며 발생하는 공극을 메워 해수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충진 컴파운드(1105)는 아스팔트계 혼합물, 실리콘계 혼합물, 폴리우레탄계 혼합물 등 해수의 침입을 차단하며 구조를 고정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절연부(1106)는 상기 신호 전달 유닛(1100)의 최 외각에 위치하여,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전원부로부터 절연할 수 있다. 상기 1차 절연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절연부(1106)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mm ~ 5.5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원 전달 유닛(1200)은 제 1 전원 튜브(1201), 2차 절연부(1202), 제 2 전원 튜브(1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은 예를 들어, 구리 철, 및 알류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의 소재는 예시일 뿐이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는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mm ~ 5.0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절연부(1202)의 내측은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와 접하며, 외측은 제 2 전원 튜브(1203)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부(1202)는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 및 제 2 전원 튜브(1203)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와 상기 제 2 전원 튜브(1203)가 서로 다른 극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을 통해 해저 장치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부(1202)의 두께는 0.5mm ~ 5.0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는 내부에 상기 신호 전달 유닛(110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는 1차 절연부(1106)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제 1 차 절연부(1106)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제 1 전원 튜브(1201)의 내측은 상기 1 차 절연부(1106)와 접하며, 외측은 상기 2 차 절연부(1202)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원 튜브(1203)는 상기 2차 절연부(1202)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2차 절연부(120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가 음극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 튜브(1203)는 양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원 튜브(1201)가 양극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 튜브(1203)는 음극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는 극을 달리 하여 해저 장치들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잇다.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의 경우 전원 형식에 따라 제 2 전원 튜브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저 복합 케이블의 경우 전원 용량에 따라 전원 튜브의 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신호 전달 유닛(1100)을 수용함으로써, 광 케이블심의 내부 내수압력을 향상시키고, 보다 높은 해수 차단 능력을 가지며, 파이프 구조이므로 종래의 전선 형태보다 단선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파이프 구조로 구성되어 종래의 전선 형태보다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전원 공급 라인의 전기 도체 저항을 줄여 전력 손실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1201, 1203)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모든 방향으로부터 해수의 압력을 균등하게 받아 보다 높은 해수압을 견딜 수 있다.
보호 유닛(1300)은 1차 강선외장(1301), 내부피복(1302), 보강재(1303), 2차 강선외장(1304), 방부성 혼합물(1305), 3차 강선외장(1306), 방부성 혼합물(1307), 외부 피복(13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유닛(1300)은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의 코어(신호 전달 유닛(1100) 및 전원 전달 유닛(12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피복층과 각 피복층 사이에 금속 등 강한 인장 강도를 갖는 보호층을 만들고, 상기 금속 등으로 구성된 보호층에 방부성 혼합물을 충진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1차 강선외장(1301)은 제 2 전원 튜브(1203)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전원 전달 유닛(12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1차 강선외장(1301)은 금속 선 등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되며, 도 3 에 도시된 강선 외장(1301)은 상기 연선된 금속 선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1차 강선외장(1301)은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광 섬유(1101)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1차 강선외장(130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동, 스틸 등으로 코팅된 금속 선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1차 강선외장(1301)의 소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강선외장(1301)은 외장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강선류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강선외장(1301)의 강선의 외경은 예를 들어 0.3mm ~ 8.0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피복(1302)은 상기 1차 강선외장(1301)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1차 강선 외장(130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내부 피복(1302) 및 제 2 전원 튜브(1203)가 만드는 공간에 1차 강선외장(1301)이 위치하며, 1 차 강선외장(1301)이 만드는 공극에 방부성 혼합물, 충진 컴파운드 등이 충진될 수 있다. 내부 피복(1302)은 상기 전원 전달 유닛(1200)을 절연하고, 상기 전원 전달 유닛(1200) 및 신호 전달 유닛(11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피복(1302)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내부 피복(1302)의 소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피복(1302)은 피복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피복(1302)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mm ~ 5.0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강재(1303)(serving yarn)는 상기 내부 피복(1302)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내부 피복(1302)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303)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aramid yarn), PBO, 고인장 폴리에틸렌(High Strength Polyethylene), 폴리 아리레이트(Polyarylate), 탄소 섬유(Carbon Fiber), 폴리 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보강재(1303)의 소재는 예시일뿐이며, 상기 보강재(1303)는 임의의 섬유(yarn)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303)는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의 단선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mm ~ 5.0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차 강선외장(1304)은 상기 보강재(1303)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보강재(130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2차 강선외장(1304)은 금속 선 등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되며, 도 3 에 도시된 2차 강선 외장(1304)은 상기 연선된 금속 선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2차 강선외장(1304)은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광 섬유(1101)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차 강선외장(130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동, 스틸 등으로 코팅된 금속 선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2차 강선외장(1304)의 소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강선외장(1304)은 외장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강선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강선외장(1304)의 강선의 외경은 예를 들어 0.3mm ~ 8.0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부성 혼합물(1305)은 상기 2차 강선외장(1304)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2차 강선외장(1304)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5)은 아스팔트계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5)의 소재는 예시일 뿐이며,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5)은 외장선의 부식을 방지하고, 해수로부터 외장선을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5)은 상기 강선외장과 피복 사이의 빈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5)은 케이블심을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심을 해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3차 강선외장(1306)은 상기 2차 강선외장의 방부성 혼합물(1305) 및 상기 2차 강선외장(1304)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2차 강선외장(1304)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3차 강선외장(1306)은 금속 선 등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되며, 도 3 에 도시된 3차 강선 외장(1306)은 상기 연선된 금속 선을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러한 3차 강선외장(1306)은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광 섬유(1101)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차 강선외장(1306)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동, 스틸 등으로 코팅된 금속 선을 연선(우연(S방향) 또는 좌연(Z방향))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3차 강선외장(1306)의 소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 강선외장(1306)은 외장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강선류를 포함할 수 있다. 3차 강선외장(1306)의 강선의 외경은 예를 들어 0.3mm ~ 8.0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부성 혼합물(1307)은 3차 강선외장(1306)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3차 강선외장(1306)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은 아스팔트계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의 소재는 예시일 뿐이며,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은 외장선의 부식을 방지하고, 해수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은 상기 강선외장과 피복 사이의 빈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은 외장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을 해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피복(1308)은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방부성 혼합물(1307)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피복(1308)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외부 피복(1308)의 소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피복(1308)은 피복 역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피복(1308)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mm ~ 5.0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강선의 외경, 각 구성요소들의 두께에 의하여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1000)은 최적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최적의 강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해저 복합 케이블로서,
    신호 전달 유닛;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전원 전달 유닛; 및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은,
    단선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부식 방지를 위해 코팅된 금속 선을 연선하여 제조되는 신호 유닛 강선;
    광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광섬유;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둘 이상의 금속 튜브;
    상기 둘 이상의 금속 튜브와 상기 하나 이상의 광섬유 사이 공간에 충진되고, 비전도성, 비흡습성 및 방부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튜브 충진 젤리;
    상기 신호 전달 유닛과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이 절연되도록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상기 광섬유를 내부에 수용하는 1차 절연부; 및
    상기 1차 절연부 내부의 공극을 메워 해수의 침입을 차단하는 충진 컴파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신호 전달 유닛을 수용하는 제 1 전원 튜브;
    상기 제 1 전원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제 1 전원 튜브와 제 2 전원 튜브의 사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원 튜브와 상기 제 2 전원 튜브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2차 절연부; 및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2차 절연부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2차 절연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제 2 전원 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튜브는 구리, 철,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원 튜브가 음극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 튜브는 양극이고,
    상기 제 1 전원 튜브가 양극인 경우, 상기 제 2 전원 튜브는 음극이고, 그리고
    상기 보호 유닛은,
    각 층과 연속되는 층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도록,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내부에 수용하는 1차 강선외장;
    상기 1차 강선외장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1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전원 전달 유닛을 절연하는 내부 피복;
    상기 내부 피복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내부 피복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해저 복합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는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보강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2차 강선외장;
    상기 2차 강선외장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2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는 3차 강선외장;
    상기 보강재와 상기 2차 강선외장의 사이, 상기 2차 강선외장과 상기 3차 강선외장의 사이 및 상기 3차 강선외장과 외부 피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2차 강선외장 및 상기 3차 강선외장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부성 혼합물; 및
    상기 방부성 혼합물 중 일부 및 상기 3차 강선외장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방부성 혼합물 중 일부 및 상기 3차 강선외장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외부 피복;
    을 포함하고,
    상기 1차 강선외장, 2차 강선외장 및 3차 강선외장은,
    아연 도금 강선, 철선, 동선, 알루미늄강선, 동복강선 및 알루미늄 피복 강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및 외부 피복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 열가소성 탄성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1차 강선외장의 강선의 외경은 0.3mm ~ 8.0mm이고,
    상기 내부 피복의 두께는 0.5mm ~ 5.0mm 이고,
    상기 보강재의 두께는 0.1mm ~ 5.0mm 이고,
    상기 2차 강선외장의 강선의 외경은 0.3mm ~ 8.0mm이고, 그리고
    상기 외부 피복의 두께는 0.5mm ~ 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복합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부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불소수지, 고무,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열가소성 탄성체(thermos plastic elastomer, TPE),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해저 복합 케이블.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5816A 2015-12-10 2015-12-10 해저 복합 케이블 KR10177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6A KR101772559B1 (ko) 2015-12-10 2015-12-10 해저 복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6A KR101772559B1 (ko) 2015-12-10 2015-12-10 해저 복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44A KR20170068844A (ko) 2017-06-20
KR101772559B1 true KR101772559B1 (ko) 2017-08-29

Family

ID=5928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816A KR101772559B1 (ko) 2015-12-10 2015-12-10 해저 복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497B1 (ko) 2023-03-17 2023-07-19 (주)인테크놀로지 내수성, 유연성 자기윤활 조성물로 성형된 인입성이 향상된 케이블 충진물과 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785B1 (ko) * 2018-01-08 2023-09-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해양 광전복합케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488B2 (ja) * 2002-12-27 2008-10-15 大東テック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ケーブル
CN104332225A (zh) * 2014-09-15 2015-02-04 沈群华 海底敷设用光电复合缆及其制造方法
JP2015099750A (ja) * 2013-11-20 2015-05-28 サンデン商事株式会社 炭素繊維を用いた導伝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488B2 (ja) * 2002-12-27 2008-10-15 大東テック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ケーブル
JP2015099750A (ja) * 2013-11-20 2015-05-28 サンデン商事株式会社 炭素繊維を用いた導伝ケーブル
CN104332225A (zh) * 2014-09-15 2015-02-04 沈群华 海底敷设用光电复合缆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497B1 (ko) 2023-03-17 2023-07-19 (주)인테크놀로지 내수성, 유연성 자기윤활 조성물로 성형된 인입성이 향상된 케이블 충진물과 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44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2237B2 (en) A submarine line arrangement
RU2550251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составной кабель высокой мощности
KR101768004B1 (ko) 해저 복합 케이블
CN202855430U (zh) 一种海洋工程水下承荷初级脐带电缆
US20110075979A1 (en) Armored optical fiber cable
CN202167262U (zh) 一种水下生产系统脐带缆
US4722589A (en) Pressure resistant optical fiber cable
KR101772559B1 (ko) 해저 복합 케이블
CN102737782B (zh) 一种中心钢管双铠型水下生产系统用脐带缆
CN105761828A (zh) 一种额定电压220kV 两芯光电复合海底电缆
KR102278052B1 (ko) 복합 하네스
CN219716522U (zh) 一种全候性高速铁路用软电缆
CN105702325A (zh) 船舶及海上石油平台用轻型化电力电缆
GB1594702A (en) Armoured cables
CN205787277U (zh) 一种提供故障检测的无中继海底光缆
CN212380158U (zh) 一种复合电缆
US11531175B2 (en) Abrasion protected deepwater cable
CN209993394U (zh) 适用于12GHz高频通信的10Mpa水压纵向水密同轴电缆
CN113340351A (zh) 监测装置和方法
KR20130070950A (ko) 방수 케이블
CN115312239A (zh) 一种rov用的中性浮力电缆
CN2525544Y (zh) 高强钢丝铠装海底光缆
CN220627461U (zh) 船用耐油抗拉阻燃电力电缆
CN212062012U (zh) 一种柔性海底机器人的视觉和5g通讯电缆
CN213583204U (zh) 一种抗拉抗压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