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496B1 -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496B1
KR101772496B1 KR1020110013846A KR20110013846A KR101772496B1 KR 101772496 B1 KR101772496 B1 KR 101772496B1 KR 1020110013846 A KR1020110013846 A KR 1020110013846A KR 20110013846 A KR20110013846 A KR 20110013846A KR 101772496 B1 KR101772496 B1 KR 10177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ath
protection message
protection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375A (ko
Inventor
이종민
신성호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4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55Preven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데이터가 라우팅(routing)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음을 알리는 보호 메시지를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송되는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액세스링; 및 액세스링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연결되며,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를 제1 프로토콜에서 제2 프로토콜로 형식을 변경하고, 변경된 형식의 보호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송되는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매트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이종의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인터워킹에 따라 경로의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System for protection path in a heterogeneous network,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라우팅(rout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의 라우팅 경로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더넷(Ethernet) 기술이 LAN(Local Area Network) 영역을 벗어나 전달망 계층에서 사용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전달망 계층에서의 이더넷은 라우팅 경로에 대한 보호(Protection)가 미비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기술들이 추가 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기술로서 ERP(Ethernet Ring Protection) 및 MPLS-TP(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 ring protection이 있다.
일반적으로, 링 구조 측면에서 이더넷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므로 액세스(Access) 영역에 주로 사용하며, 매트로(Metro) 영역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송 및 QoS(Quality of Service)를 위해 MPLS-TP 기반의 네트워크 구축이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이하, “이더넷 네트워크”로 축약함)는 FDB(Forwarding DataBase) 기반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MPLS-TP 기반의 네트워크(이하, “MPLS-TP 네트워크”로 축약함)는 LSP(Label Switching Path)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이더넷 네트워크 및 MPLS-TP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달 방식이 상이하며,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이더넷 및 MPLS-TP 네트워크가 혼재된 망에서는 경로 보호를 위해 이 둘간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이 필요하며, 이러한 인터워킹이 없을 시에는 복구 시간의 증대 및 통신 두절 문제에 빠질 수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는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MPLS-TP 네트워크로 확장 및 진화가 진행 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이더넷 네트워크를 수용하여 이더넷 및 MPLS-TP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멀티링(multi-ring)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의 확장 및 단대단(end-to-end) 서비스 보호/복구(protection/restoring)를 위해서는 이러한 형태의 연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링 네트워크 즉, MPLS-TP 기반의 네트워크인 매트로링과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인 액세스링이 혼재된 구조에서 라우팅 경로가 손상되었을 때, 경로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가 라우팅(routing)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음을 알리는 보호 메시지를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송되는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액세스링; 및 액세스링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연결되며,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를 제1 프로토콜에서 제2 프로토콜로 형식을 변경하고, 변경된 형식의 보호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송되는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매트로링;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장치는, 데이터가 라우팅되는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경로에 따라 정해진 포트를 통해 포트에 대응하는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제1 프로토콜에서 제2 프로토콜로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변경하며, 변경된 보호 메시지에 따라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호 메시지는 2개의 노드 간의 경로가 손상되어 있음을 알리도록 2개의 노드가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 메시지는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하는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포트 및 포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변경하여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프로토콜로 형식이 변경된 보호 메시지를 인접한 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는 입력 포트와 특정 노드를 지칭하는 라벨 및 출력 포트와 특정 노드를 지칭하는 라벨을 매핑시켜 경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이며, 제2 프로토콜은 MPLS-TP(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장치는 데이터가 라우팅되는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임의의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며, 라우팅 경로에 따라 정해진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에 따라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며, 인접한 노드가 제1 프로토콜에 의거한 노드가 아닌 경우,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제1 프로토콜에서 제2 프로토콜로 변경하여 인접한 노드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 메시지는 2개의 노드 간의 경로가 손상되어 있음을 알리도록 2개의 노드가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 메시지는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하는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는 저장된 경로를 플러싱(flushing)하여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인 목적 주소(destination address)와 목적 주소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를 매핑시켜 상기 경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로토콜은 이더넷이며, 제2 프로토콜은 MPLS-TP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방법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데이터가 라우팅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제2 프로토콜로 변경하는 단계; 보호 메시지가 첫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인지 또는 두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두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이면, 첫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한 노드와 두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한 노드 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인지하고,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판단하는 단계 후, 판단 결과, 첫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이면,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한 노드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경로의 포트 및 포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변경하여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로토콜은 이더넷이며, 제2 프로토콜은 MPLS-TP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프로토콜로 형식이 변경된 보호 메시지를 인접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방법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데이터가 라우팅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보호 메시지에 따라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단계; 인접한 노드가 제1 프로토콜을 따르는 노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인접한 노드가 제1 프로토콜에 따르는 노드가 아니면,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제2 프로토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제2 프로토콜로 형식이 변경된 보호 메시지를 인접한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호하는 단계는 저장된 경로를 플러싱(flushing)하여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로토콜은 이더넷이며, 제2 프로토콜은 MPLS-TP임을 특징으로 한다.
확인하는 단계 후, 확인 결과, 인접한 노드가 제1 프로토콜에 따르는 노드이면, 보호 메시지를 그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 간에도 경로의 보호가 가능하여,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고 통신 두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의 링 형태의 망이 서로 연결된 경우, 그 경로가 손상된 경우에도,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줌으로서 이종망간의 보호 절체 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종망 간의 연동을 제공해 줌으로써 기존 망과 프로토콜이 다른 신규 망 도입 시 기존 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로 비용 및 노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경로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경로의 변경 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경로를 수정할 수 있음으로, 경로 수정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데이터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 손상되기 전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경로 중 일부가 손상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손상된 경로를 보호 기법에 재설정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PLS-TP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데이터 전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1개의 매트로(metro) 네트워크와 각각 매트로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2개의 액세스(Access)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트로 네트워크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를 가지는 매트로링(20)이며, 액세스 네트워크는 링 형태의 토폴로지를 가지는 액세스링(10)이다. 또한, 매트로링은 MPLS-TP에 기반한 네트워크이며, 액세스링(10)은 이더넷에 기반한 네트워크라고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링(10)에 속하는 이더넷 노드(node)는 노드 A, B, C, D, E, F(a, b, c, d, e, f)가 있다. 액세스링(10)은 이더넷 전송 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노드 A, B, C, D, E, F(a, b, c, d, e, f)는 FDB(Forwarding DataBase)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더넷 노드 A, B, C, D, E, F(a, b, c, d, e, f)는 복수의 포트를 가진다. 각 노드의 포트 중 두 개는 인접한 노드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그 외의 포트들은 외부의 다른 이더넷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액세스링(10)은 데이터 전달 시 무한 루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포트를 임의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차단된 포트를 RPL(Ring Protection Link) 포트라 하며, RPL 포트를 가지는 노드를 링 보호 링크 노드(RPL owner, Ring Protection Link owner)라고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링 보호 링크 노드는 노드 C(c) 및 노드 F(f)가 된다.
또한, 매트로링(20)에 속하는 MPLS-TP 노드는 노드 G, H, I, J, K, L, M, N(g, h, I, j, k, l, m, n)이 있다. 매트로링(20)은 MPLS-TP 전송 기술을 이용하며, 이에 따라, 노드 G, H, I, J, K, L, M, N(g, h, I, j, k, l, m, n)은 LIB(Label Information Base)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드 A, 노드 F 및 노드 N(a, f, n)은 각각 제1 단말(101), 제2 단말(102) 및 제3 단말(103)과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로 보호”, “경로를 보호한다.”고 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단말에서 다른 하나의 단말로 전송되는 경로를 하나 이상 유지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 단말(101)에서 제2 단말(1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는 적어도 2개 존재하며, 경로의 손상이 없는 경우, 미리 정해진 경로에 의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경로 보호”, “경로를 보호한다.”고 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경로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경로를 제외한 다른 경로로 수정하여 제1 단말(101)에서 제2 단말(1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액세스링(10)의 어느 하나의 노드는 데이터가 라우팅(routing)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가 손상되었음을 알리는 보호 메시지를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한다. 이 보호 메시지는 액세스링(10) 내에서 전송되며, 이를 수신한 노드들은 경로를 보호한다. 매트로링(20)의 각 노드들 또한 보호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메시지가 이더넷 노드에서 MPLS-TP 노드로 전송되는 경우, 이더넷 노드 또는 MPLS-TP 노드는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이더넷 프로토콜에서 MPLS-TP 프로토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 간에도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는 데이터를 라우팅시키는 스위칭 장치이며,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이더넷 노드의 경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지정된 포트를 통해 전송하며, 임의의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통신부(210)는 MPLS-TP 노드의 경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지정된 포트를 통해 인접한 노드와 송수신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정보 및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이더넷 노드인 경우, FDB(Forwarding DataBase)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MPLS-TP 노드인 경우, LIB(Label Information Base)를 저장할 수 있다.
이더넷 노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FDB(Forwarding DataBase)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DB(Forwarding DataBase)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노드 A의 FDB
목적 주소(Destination add.) 출력 포트(Output Port)
제3 단말의 주소 2
제2 단말의 주소 2
제1 단말의 주소 3
<표 1>에 노드 A(a)의 FDB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를 참조하면, FDB는 목적 주소(Destination address)와 출력 포트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헤더(header) 및 페이로드(payload)를 가질 수 있으며, 헤더에는 소스 주소(Source address)와 목적 주소가 기술된다. 여기서, 소스 주소는 해당 데이터를 최초 발송하는 장치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또한, 목적 주소는 해당 데이터를 최종 수신할 장치의 맥 어드레스가 될 수 있다. 이더넷 노드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데이터의 헤더로부터 목적 주소를 인지하고, FDB에 따라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에 매핑되는 출력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컨대,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노드 A(a)는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 주소가 제1 단말(101)의 주소인 경우, 3번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동일하게, 노드 A(a)는 수신된 데이터의 목적 주소가 제2 단말(102) 또는 제3 단말(103)이 목적 주소인 경우, 2번 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모든 이더넷 노드들이 해당하는 목적 주소에 대해 매핑되는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결국 목적 주소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FDB는 학습을 통해 생성되며,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더넷 노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특정 소스 주소(source address)를 가지는 데이터를 임의의 포트를 통해 수신하면, 해당 소스 주소를 목적 주소로 설정하고, 설정된 목적 주소에 해당 소스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가 수신된 포트를 매핑시키고, 이를 FDB에 저장한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2번 포트로 수신한 데이터의 소스 주소가 제2 단말(102)의 주소인 경우, 목적 주소가 제2 단말(102)인 데이터의 출력 포트는 2번 포트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한편, 이더넷 노드는 아직 학습되지 않은 목적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FDB에 기술되지 않은 목적 주소를 가지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로 데이터를 플러딩(flooding)한다. 즉, 이더넷 노드는 나머지 포트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에 따라 손상된 경로를 보호한다. 즉, 제어부(230)는 상술한 FDB를 플러싱(flushing)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인접한 노드가 MPLS-TP 노드이면,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이더넷 프로토콜에서 MPLS-TP 프로토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MPLS-TP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MPLS-TP 노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LIB(Label Information Base)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B(Label Information Base)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K의 LIB
Input Port Input Label Output Port Output Label
1 11 2 -
1 21 3 51
2 - 1 61
2 - 3 71
3 31 2 -
3 41 1 81
<표 2>를 참조하면, 노드 K의 LIB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를 참조하면, LIB는 입력 포트에 해당하는 라벨과 출력 포트에 해당하는 라벨을 매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라벨은 인접하는 노드, 즉, 다음 홉(hop)의 노드를 지시하는 값이다. 예컨대, 1번 포트로 라벨 21을 가지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3번 포트를 통해 라벨 51을 가지는 노드로 출력한다. 예컨대, 라벨 21은 노드 G(g)가 될 수 있다. 또한, 라벨 51은 노드 L(l)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노드 K(k)는 1번 포트를 통해 노드 G(g)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3번 포트를 통해 노드 L(l)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LIB에는 입력과 출력 포트 및 각 입력 및 출력 포트에 매핑하는 노드를 지시하는 라벨이 기술된다. 따라서, MPLS-TP 노드인 경우,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가 입력된 포트 및 그 라벨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출력 포트 및 라벨이 지시하는 노드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각 노드들이 LIB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매트로링(20)에서 전송되는 경로를 LSP(Label Switching Path)라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되어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나타내는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MPLS-TP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변경된 보호 메시지에 따라 손상된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상술한 LIB를 수정하여,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 손상되기 전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경로 중 일부가 손상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손상된 경로를 보호 기법에 재설정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제1 단말(101)이 제2 단말(10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1)은 노드 A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단말(102)은 노드 F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노드가 저장한 FDB 또는 LIB에 따라 전송 경로가 설정되면, 설정된 경로에 따라 제1 단말(101)이 전송한 데이터는 순차로 노드 A, H, G, K, D, E 및 F(a, h, g, k, d, e, f)를 통해 제2 단말(102)에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노드 F(f)는 링 보호 링크 노드(RPL owner)이며, 노드 F(f)의 노드 M(m)과 연결되는 포트는 무한 루프를 막기 위해 차단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즉, 노드 F(f)의 포트 중 노드 M(m)과 연결되는 포트는 RPL 포트라고 가정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노드 E(e)와 노드 F(f)간의 경로에 손상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기법에 따라 도 5와 같이 경로를 재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노드 E(e)와 노드 F(f)간의 경로가 손상되면, 노드 E 및 노드 F(e, f)는 문제가 발생한 경로에 해당하는 포트를 차단하여 RPL 포트로 설정한다. 즉, 노드 E(e)는 노드 F(f)와 연결된 포트를 RPL 포트로 설정하고, 노드 F(f)는 노드 E(e)와 연결된 포트를 RPL 포트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전의 RPL 포트는 개방한다. 그런 다음, 노드 E 및 노드 F(e, f)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기법에 따라 경로를 보호한다. 이어서, 노드 E 및 노드 F(e, f)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보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이더넷 노드들은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기법에 따라 경로를 보호한다. 즉, 이더넷 노드들은 각 노드가 학습을 통해 저장한 FDB를 플러싱(flushing)하고, 새로운 경로를 학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컨대,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는 RAPS(Ring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다음의 <표 3>은 RAPS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1 2 3 4
8 7 6 5 4 3 2 1 8 7 6 5 4 3 2 1 8 7 6 5 4 3 2 1 8 7 6 5 4 3 2 1
Request/
State
Sub-code Status Node ID(6 octets)
R
B
D
N
F
B
P
R
Status Reserved
Node ID
Reserved 2 (24 octets)
<표 3>을 참조하면,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RAPS 메시지는 4 byte의 크기를 가지며, 4 bit의 Request/State 필드, 4 bit의 Sub-code 필드, 1 bit의 RB(RPL Blocked) 필드, 1 bit의 DNF(Do Not Flush) 필드, 1 bit의 BPR(Blocked Port Referenc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 6 octect 및 24 octect 크기의 노드 식별자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RAPS 메시지는 4 bit의 Request/State 필드 및 4 bit의 Sub-code 필드를 통해 해당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DNF 필드를 통해서는 FDB의 플러쉬 여부를 지시한다. 또한, BPR 필드를 통해서는 포트의 블록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RB 필드를 통해서는 RPL 포트의 차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링 보호 링크 노드(RPL owner)의 경우에만 RPL 포트가 차단되었음을 설정하여 전송한다. 예컨대, RAPS 메시지의 Request/State 필드에 특정 값(“1011”)을 기술하면, SF(signal fail)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메시지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식으로 보호 메시지의 형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메시지는 2개의 노드 간의 경로 손상이 있을 시, 해당 보호 메시지가 경로의 손상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며, 경로 손상이 일어난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최초 전송하는 것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MPLS-TP 노드는 상술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를 해석하고, 해석된 바에 따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로 변경하여, 다른 MPLS-TP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노드는 상술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라 변경하여 MPLS-TP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MPLS-TP 노드는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특히, 노드 K(k)는 노드 E(e)가 최초 전송한 보호 메시지 및 노드 F(f)가 최초 전송한 보호 메시지를 순서에 무관하게 각각 수신하면, 수신된 보호 메시지에 따라 노드 E와 노드 F간의 경로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해당하는 경로에 대한 LIB를 변경한다.
다음의 <표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LS-TP 노드가 LIB의 변경을 통해 경로를 보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Input Port Input Label Output Port Output Label
변경 전 1 11(노드 G를 나타내는 라벨) 2 51(노드 D를 나타내는 라벨
변경 후 1 11(노드 G를 나타내는 라벨) 3 91(노드 L을 나타내는 라벨)
노드 K(k)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LIB에 따라 포트 1을 통해 노드 G(g)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포트 2를 통해 노드 D(d)를 나타내는 라벨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였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후, 노드 K(k)는 <표 4>와 같이 LIB를 변경하고, 포트 1을 통해 노드 G(g)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포트 3을 통해 노드 L(l)을 나타내는 라벨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 K(k)와 같이, 노드 L 및 노드 M(l, m)이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기존의 경로를 변경한다. 즉, 노드 K, 노드 L 및 노드 M(k, l, m)은 보호 노드(protection node)가 된다. 이와 같이, 변경된 경로에 따라 제1 단말(101)이 전송한 데이터는 순차로 노드 A, H, G, K, L, M, F(a, h, g, k, l, m, f)를 통해 제2 단말(102)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1 단계에서 노드 E(e)는 노드 F(f)와의 경로에 손상을 감지한다. 그러면, 노드 E(e)는 FDB를 플러싱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E(e)는 S603 단계에서 노드 F(f)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이어서, 노드 E(e)는 S605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호 메시지는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노드 E(e)는 S607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D(d)로 전송한다.
노드 D(d)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호 메시지에 따라 FDB를 플러싱하고, 보호 메시지를 노드 K(k)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보호 메시지는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S611 단계에서 수신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으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노드 K(k)는 S613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노드 L(l)로 전송한다. 여기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 또한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L(l)은 S615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M(m)으로 전송한다.
한편, S617 단계에서 노드 F(f)는 노드 E(e)와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감지하면, FDB를 플러싱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이어서, 노드 F(f)는 S619 단계에서 노드 E(e)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그런 다음, 노드 F(f)는 S621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호 메시지는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노드 F(f)는 S62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M(m)으로 전송한다.
노드 M(m)은 앞서, S615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M(m)은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62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M(m)은 S625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M(m)은 S627 단계에서 수신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노드 M(m)은 S629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노드 L(l)로 전송한다. 여기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는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노드 L(l)은 앞서, S613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L(l)은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629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M(m)은 S631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L(l)은 S63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K(k)로 전송한다.
노드 K(k)는 앞서, S609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63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S635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노드와 1 홉(hop) 연접한 MPLS-TP 노드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MPLS-TP 프로토콜에 따라 보호 메시지를 변경하여 주변 MPLS-TP 노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MPLS-TP 노드는 2개의 노드 간에 경로가 손상된 경우, 해당 노드 각각의 식별자를 가지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PLS-TP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MPLS-TP 노드의 제어부(230)는 S701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S703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이더넷 형식의 보호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S703 단계의 판단 결과, 이더넷 프로토콜에 다른 보호 메시지인 경우, 제어부(230)는 S705 단계에서 이더넷 형식을 MPLS-TP 프로토콜에 따라 그 형식을 변경한다. 형식이 변경된 경우라도,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와 같이,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E(e)와 연결된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리는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S703 단계의 판단 결과, 이더넷 형식이 아닌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이면, 그 형식을 변경할 필요가 없음으로, S707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30)는 S707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첫 번째 수신한 보호 메시지인지 판단한다. MPLS-TP 노드는 두 노드 사이의 경로가 손상된 경우, 두 노드 각각으로부터 보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MPLS-TP 노드는 2개의 보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노드 K(k)의 경우를 예시하면, 첫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는 노드 K(k)가 S609 단계에서 수신한 보호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노드 E(e)가 최초 전송한 것이다. 또한, 두 번째 수신된 보호 메시지는 S639 단계에서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노드 F(f)가 최초 전송한 것이다.
S707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첫 번째이면, 제어부(230)는 S709 단계로 진행하고,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두 번째이면, S7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S709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에 포함된 노드 식별자를 저장부(220)에 임시 저장한다. 예컨대, 수신된 보호 메시는 노드 K(k)가 S609 단계에서 수신한 보호 메시지라고 가정하면, 제어부(230)는 노드 E(e)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S711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로 변경된 형식의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주변 노드에 전송한다. 이때, 1 홉(hop) 범위의 노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703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된 보호 메시지가 두 번째이면, 제어부(230)는 S713 단계에서 경로 보호를 수행한다. 예컨대, 예컨대, 수신된 보호 메시지는 노드 K(k)가 S639 단계에서 수신한 보호 메시지라고 가정하면, 제어부(230)는 앞서 첫 번째 수신한 보호 메시지에 기술된 노드 E(e)의 식별자와, 두 번째 수신한 보호 메시지에 기술된 노드 F(f)의 식별자를 통해, 노드 E와 노드 F(e, f) 사이의 경로에 문제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LIB의 관련된 경로를 수정하여 해당 경로를 보호하는 경로 보호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601 단계에서 노드 E(e)는 노드 F(f)와의 경로에 손상을 감지한다. 그러면, 노드 E(e)는 FDB를 플러싱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E(e)는 S803 단계에서 노드 F(f)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이어서, 노드 E(e)는 S805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보호 메시지는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노드 E(e)는 S807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D(d)로 전송한다.
노드 D(d)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호 메시지에 따라 FDB를 플러싱한다. 그런 다음, 노드 D(d)는 S809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으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노드 D(d)는 S811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노드 K(k)로 전송한다. 여기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 또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S81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L(l)로 전송한다. 그리고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L(l)은 S815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M(m)으로 전송한다.
한편, S817 단계에서 노드 F(f)는 노드 E(e)와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감지하면, FDB를 플러싱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이어서, 노드 F(f)는 S819 단계에서 노드 E(e)와 연결된 포트를 차단한다. 그런 다음, 노드 F(f)는 S821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노드 F(f)가 전송할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노드는 MPLS-TP 노드임으로, 노드 F(f)는 S823 단계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형식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노드 F(f)는 S825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노드 M(m)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는 경로 보호를 위한 것임을 알리는 정보 및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노드 M(m)은 앞서, S815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M(m)은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825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M(m)은 S827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M(m)은 S829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L(l)로 전달한다.
노드 L(l)은 앞서, S813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S829 단계에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L(l)은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드 L(l)은 S831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그런 다음, 노드 L(l)은 S83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노드 K(k)로 전송한다.
노드 K(k)는 앞서, S811 단계에서 노드 E(e)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S833 단계에서 노드 F(f)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노드 E와 노드 F(e, f)간의 경로가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835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노드 K(k)는 S837 단계에서 LIB를 변경하여 경로를 보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MPLS-TP 노드와 1 홉(hop) 연접한 이더넷 노드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라 그 형식을 변경하여 MPLS-TP 노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가 혼재된 환경에서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MPLS-TP 노드는 2개의 노드 간에 경로가 손상된 경우, 해당 노드 각각의 식별자를 가지는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경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더넷 노드의 제어부(230)는 S801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즉,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다른 노드에서 경로가 손상된 경우이며, 직접 보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는 노드 자신과 연결되는 경로가 손상된 경우이다.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S903 단계에서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 보호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기 저장된 FDB를 플러싱(Flushing)한다.
이어서, 제어부(230)는 S905 단계에서 1 홉 인접한 노드가 이더넷 노드인지 또는 MPLS-TP 노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 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노드 D(d)의 경우, 노드 D(d)와 1 홉 인접한 노드는 노드 K(k)이며, 이는 MPLS-TP 노드이다.
S905 단계의 판단 결과, 인접한 노드가 MPLS-TP 노드이면, 제어부(230)는 S907 단계로 진행하여 이더넷 프로토콜에 다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라 그 형식을 변경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30)는 S909 단계에서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S905 단계의 판단 결과, 인접한 노드가 이더넷 노드이면, 제어부(230)는 S911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보호 메시지를 인접한 노드에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의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인터워킹에 따라 경로의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경로 보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제안되었다. 즉, 이종의 네트워크 간에 경로 보호를 위해서는 이종의 네트워크간 인터워킹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를 MPLS-TP 프로토콜에 따른 보호 메시지로 변경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종의 네트워크 간에도 경로의 보호가 가능하여,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고 통신 두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2개의 링 형태의 망이 서로 연결된 경우, 그 경로가 손상된 경우에도,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줌으로서 이종망간의 보호 절체 시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종망 간의 연동을 제공해 줌으로써 기존 망과 프로토콜이 다른 신규 망 도입 시 기존 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로 비용 및 노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경로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경로의 변경 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경로를 수정할 수 있음으로, 경로 수정 방법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a: 노드 A b: 노드 B c: 노드 C
d: 노드 D e: 노드 E f: 노드 F
g: 노드 G h: 노드 H i: 노드 I
j: 노드 J k: 노드 K l: 노드 L
m: 노드 M n: 노드 N 10: 액세스링
20: 매트로링 101: 제1 단말 102: 제2 단말
103: 제3 단말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Claims (23)

  1. 하나의 매트로링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링을 포함하며, 상기 매트로링과 액세스링은 복수 개의 노드가 링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가 라우팅(routing)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가 손상되면, 해당 경로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노드가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제1 보호 메시지 및 제2 보호 메시지를 생성하여 각각 전송하는 액세스링; 및
    매트로링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액세스링의 제1 노드로부터 제1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2 노드로부터 제2 보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여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매트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2. 하나의 매트로링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링을 포함하며, 상기 매트로링과 액세스링은 복수 개의 노드가 링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트로링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노드는
    데이터가 라우팅되는 경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경로에 따라 정해진 포트를 통해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노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액세스링의 제1 노드로부터 제1 보호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액세스링의 제2 노드로부터 제2 보호 메시지가 수신되면, 보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경로를 보호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호 메시지는 해당 보호 메시지를 최초 전송하는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보호 메시지에서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간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된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 및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노드를 변경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손상된 경로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링은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매트로링은 MPLS-TP(Multi-Protocol Label Switching-Transport Profile)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입력 포트와 특정 노드를 지칭하는 라벨 및 출력 포트와 특정 노드를 지칭하는 라벨을 매핑시켜 상기 경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링으로부터 수신된 이더넷 프로토콜의 보호 메시지를 인접된 다른 노드로 전달하되, 상기 인접된 다른 노드가 매트로링의 노드일 경우, 상기 MPLS-TP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하나의 매트로링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스링을 포함하며, 상기 매트로링과 액세스링은 복수 개의 노드가 링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에서의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트로링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노드가, 상기 액세스링의 제1 노드로부터 제1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링의 제2 노드로부터 제2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호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링의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간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인지하고, 보호 메시지에 따라 경로를 보호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보호 메시지에서 최초 전송한 제1 노드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보호 메시지에서 최초 전송한 제2 노드의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간의 경로에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10013846A 2011-02-16 2011-02-16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77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46A KR101772496B1 (ko) 2011-02-16 2011-02-16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46A KR101772496B1 (ko) 2011-02-16 2011-02-16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75A KR20120094375A (ko) 2012-08-24
KR101772496B1 true KR101772496B1 (ko) 2017-09-13

Family

ID=4688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46A KR101772496B1 (ko) 2011-02-16 2011-02-16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64B1 (ko) * 2015-08-28 2017-04-13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패킷전달망간 연동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67008A (zh) * 2018-07-17 2020-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i/o请求的方法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51B1 (ko) * 2003-12-26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효율적인 그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멀티캐스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7360B1 (ko) * 2006-10-20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이동형 네트워크에서의 루트 이동 라우터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51B1 (ko) * 2003-12-26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효율적인 그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멀티캐스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7360B1 (ko) * 2006-10-20 2007-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이동형 네트워크에서의 루트 이동 라우터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75A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1748B2 (ja) パケット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パケット転送方法
CN103036809B (zh) 用于具有有效链路利用的可伸缩网络的方法和装置
US20080310342A1 (en) Addressing Messages in a Two-Tier Network
CN102136994B (zh) 一种建立标签交换路径的方法、系统和节点设备
EP2560326B1 (en) Ring network protection method, network node and ring network
CN113794637B (zh) Sid列表的处理方法及装置
JP2006270169A (ja) パケット中継装置
JP2006140806A (ja) 通信システム、無線lan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lan基地局装置
JP2010263395A (ja) ネットワーク中継機器及びリングネットワーク
US9509523B2 (en) Method for protection switching in ethernet ring network
JP2008167315A (ja) 回線冗長接続方法および広域通信網ノード装置
US20150103830A1 (en) The handling of data transfers in a network with a ring topology
JP2007251817A (ja) リングノード装置及びリングノード冗長方法
KR101772496B1 (ko) 이종의 네트워크에서 경로 보호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77338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bridging traffic in a resilient packet ring network
US20100034204A1 (en) Packet ring network system, packet transfer method and interlink node
EP1730865B1 (en) Automatic update of squelch tables for optical network applications
US8249101B2 (en) Mobile ad hoc network configured as a virtual internet protocol network
JP5045332B2 (ja) パケット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フォワーディング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
CN102148693A (zh) 共享链路保护方法、节点和共享链路保护系统
JP5526625B2 (ja) 中継装置、中継方法、及び中継プログラム
JP6890334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60708A (ja) 冗長経路を有する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転送装置
CN110535675B (zh) 一种组播快速切换的方法及装置
JP6668834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