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323B1 - 융,적설량 관측장치 - Google Patents

융,적설량 관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323B1
KR101772323B1 KR1020160044595A KR20160044595A KR101772323B1 KR 101772323 B1 KR101772323 B1 KR 101772323B1 KR 1020160044595 A KR1020160044595 A KR 1020160044595A KR 20160044595 A KR20160044595 A KR 20160044595A KR 101772323 B1 KR101772323 B1 KR 10177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snow
weight sensor
bu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용
이현석
조형진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weight, e.g. to determine the level of stored liquefied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이 쌓이는 적설량과 눈이 녹는 융설량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상부판체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을 두고 평판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적설판과, 상기 적설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설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중량센서와, 상기 상부판체와 적설판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판체 및 적설판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는 차집수로와, 상기 차집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 버킷과, 상기 전도 버킷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제2중량센서로 이루어진 융,적설량 관측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융,적설량 관측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SNOWMELT & SNOWDRIFT AMOUNT}
본 발명은 융,적설량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눈이 쌓이는 적설량에서부터 눈이 녹는 융설량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설은 강우와 함께 강수를 구성하는 기상요소로서, 기상분석은 물론 이수(利水) 및 치수(治水) 관련 계획수립 등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갈수기인 봄철 하천 유출 및 지하수 유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융설(融雪)을 예측 및 분석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매우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
겨울철 강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적설은 하천 상류의 산악지역 등의 오지에 다수의 관측지점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따라서 관측시설의 무인화 및 자동화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는바, 적설 관측시설의 무인화 및 자동화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동 적설계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선행기술의 일실시예로서, 특허 제10-1340632호로 개시된 적설량 계측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면, 눈금이 상하방향을 따라 표시되어 있는 눈금 표시부재; 상기 눈금 표시부재와 평행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서, 상기 눈금 표시부재와의 사이에 눈이 놓여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눈금 표시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쌓인 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눈금 표시부재 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적설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특허 제10-1087662호로 개시된 적설량 측정 수집장치의 구성을 살펴 보면, 지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유닛; 지지유닛에 지지되어 적설량을 측정하는 메인 적설량 감지유닛과;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지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지지유닛과; 지지유닛을 회전시켜, 메인 적설량 감지유닛에서 여러 지점에서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유닛과; 메인 적설량 감지유닛을 통해 여러 지점에서 측정된 복수의 측정값을 근거로 적설량을 산출하는 제어유닛; 지지유닛에 의해 소정 위치로 이동된 메인 적설량 감지유닛을 크리닝하기 위한 크리닝유닛; 및 지지유닛과 구동유닛을 덮도록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눈이 내리는 적설량 관측은 길이단위 관측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적설 깊이에 따른 눈의 평균 단위 중량으로 가정하여 적설 하중을 산정하고 있지만, 눈의 밀도는 눈이 내린 강도와 바람, 기온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길이단위의 관측으로 정확한 적설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눈이 녹는 것을 측정하는 융설량계에 의해 직접측정을 할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위성자료를 이용하거나 경험식을 통해 만들어진 공식을 사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관측자료를 추정하고 있는 것이어서 정확한 융설량을 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눈이 쌓여 있는 눈의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센서에 의해 적설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설된 눈이 녹아 액체 형태로 흐르는 물은 차집수로를 통해 이동하여 전도 버킷으로 유입시켜 전도 버킷의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눈이 내리는 적설량에서부터 눈이 녹아 액체의 형태로 흐르는 융설량까지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융,적설량 관측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이 쌓여 있는 적설 상태에서 다시 눈이 와서 새롭게 쌓이는 적설량(신적설)도 관측이 가능하고, 적설된 눈이 녹는 초기에는 물의 양이 미미하기 때문에 전도 버킷만으로는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전도 버킷에 담겨진 물의 중량 증가를 감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정밀한 융설량 관측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판체와 하부판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상부판체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을 두고 평판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적설판과, 상기 적설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설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중량센서와, 상기 상부판체와 적설판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판체 및 적설판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는 차집수로와, 상기 차집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 버킷과, 상기 전도 버킷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제2중량센서로 이루어진 융,적설량 관측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체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부를 두고 적설판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치되고, 상부판체의 외주면은 상향 돌출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체의 둘레는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적설판은 원판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중량센서는 적설판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적어도 3등분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중량센서는 적설판의 하부에 고정된 하중전달대와 연결하되 하중전달대를 상,하부로 분할하고 그 분할부분에 볼형 받침축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 버킷은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게 되면 전도 버킷이 전도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펄스신호를 측정하여 융설량을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중량센서는 전도 버킷의 축부지지대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의 하중이 축부지지대를 통해 제2중량센서에 전달되는 중량을 측정하여 전도 버킷에 담겨진 물의 증가된 양을 관측할 수 있도록 병합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융,적설량 관측장치는 눈이 쌓여 있는 눈의 하중(무게)을 감지한 다음 이를 길이단위로 변환하여 눈의 적설량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적설된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전도 버킷으로 유입시켜 전도 버킷이 전도되는 전기적인 펄스를 이용하여 융설량 측정을 할 수 있게 되므로, 눈이 내리는 적설량에서부터 눈이 녹아 액체의 형태로 흐르는 융설량까지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이 쌓여 있는 적설 상태에서 다시 눈이 와서 새롭게 쌓이는 적설량(신적설)도 관측이 가능하고, 적설된 눈이 녹는 초기에는 물의 양이 미미하기 때문에 전도 버킷만으로는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전도 버킷에 담겨진 물의 중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병합수단으로 융설량 측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정밀한 융설량 관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의 본체 및 적설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서 적설판 및 제1중량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관측할 때의 구성 및 확대된 볼형 받침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서 적설된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이 전도 버킷으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서 상부판체와 적설판에 적설된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이 차집수로에 수용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에서 전도 버킷과 제2감지센서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전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융,적설량 관측장치는, 상부판체(12)와 하부판체(14)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상부판체(12)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을 두고 평판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적설판(20)과, 상기 적설판(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설판(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중량센서(50)와, 상기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판체(12) 및 적설판(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는 차집수로(40)와, 상기 차집수로(40)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 버킷(60)과, 상기 전도 버킷(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60)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제2중량센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부판체(12)와 하부판체(14)로 이루어져서 수직지지대(16)로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부판체(12)에 원호형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그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부(30)를 두고 적설판(20)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치되고, 상부판체(12)의 외주면은 상향 돌출단턱(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판체(14)에는 차집수로(40) 및 제1중량센서(5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판체(12)의 돌출단턱(12a)은 지면과 상부판체(12)가 지면과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치되었을 때 지면에 적설된 눈이 녹으면서 발생되는 물이 상부판체(12)로 침범하는 것을 돌출단턱(12a)에 의해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융설량 측정지점이 측정 간섭으로 인한 측정 오류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체(10)의 설치장소나 지형적인 특성 등에 맞추어 돌출단턱(12a)의 돌출된 높낮이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판체(12)는 내측에 설치되는 적설판(20)과 함께 상부판체(12) 및 적설판(20)에 쌓인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융설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지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각형 둘레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설판(20)은 원판상으로 구비하여 눈이 쌓이면서 가해지는 하중이 적설판(20)에 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여 적설판(20)에 설치되는 중량을 측정하는 제1중량센서(50)에 의한 중량 산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2중량센서(50)(70)는 통상의 로드셀에 해당되는 것으로, 제1중량센서(50)는 적설판(20)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3등분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적설판(20) 전체의 하중을 균일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제1중량센서(50)는 4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적어도 3등분하는 지점에 제1중량센서(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중량센서(50)는 적설판(20)의 하부에 고정된 하중전달대(22)와 연결하되 하중전달대(22)를 상,하부로 분할하고 그 분할부분에 볼형 받침축부(24)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적설판(20)의 하중이 하중전달대(22)를 통해 제1중량센서(50)에 전달될 때 볼형 받침축부(24)에 의해 상부 하중전달대(22)의 하중이 한 지점으로 집속된 다음 하부 하중전달대(22)에 수직 하중이 전달되어 제1중량센서(50)에 의한 적설판(20) 중량 측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중량센서(50)는 적설판(20)에 눈이 쌓이면서 발생하는 하중 변화를 감지한 다음 적설판(20)의 단위 면적당 중량 변화를 산출하고, 이를 길이단위로 변환하여 눈의 적설량을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 사이에는 간극부(30)가 형성되어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에 쌓여있는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이 간극부(3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고, 그 간극부(30)의 하부에는 상향 개구된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하부판체(14)에 고정된 차집수로(40)가 설치되어 간극부(3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차집수로(40)에서 수용하여 전도 버킷(6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집수로(40)의 일측에 집수구멍(42)이 형성되어 차집수로(40)의 물이 집수구멍(4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차집수로(40)내에 있는 물이 정체되어 고이거나 얼음점 이하로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집수로(40)는 경사지게 구성하여 집수구멍(42)으로 물이 쉽게 집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차집수로(40)는 적설판(20)과 분리 설치되어 적설판(20)의 하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차집수로(40)의 집수구멍(4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집수관로(44)로 유입된 다음 집수관로(44)의 끝단부에 위치한 깔대기형 출구(46)를 통해 전도 버킷(60)으로 물이 담겨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도 버킷(60)의 전도 방향 하부에는 분리배출용기(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도 버킷(60)은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게 되면 전도 버킷(60)이 전도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펄스신호를 측정하여 융설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도 버킷(60)의 경우에는 주로 0.5mm 단위의 측정을 위한 일정 용적의 전도 버킷(60)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0.5mm 단위의 측정을 위한 용적의 전도 버킷(60)으로는 융설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물의 양이 너무 미미하여 전도 버킷(60)에 의한 융설량 측정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렇게 전도 버킷(60)으로 측정되지 않는 미미한 융설량은 전도 버킷(6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중량센서(70)에 의해 융설량을 병합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제2중량센서(70)는 전도 버킷(60)의 축부지지대(62)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60)의 하중이 축부지지대(62)를 통해 제2중량센서(70)에 전달되는 중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전도 버킷(60)에 담겨진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의 증가된 양을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융설량 측정시에 전도 버킷(60)과 제2중량센서(70)를 이용한 병합 측정수단으로 정밀한 융설량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도 버킷(60)에 의한 융설량 측정시에는 적설판(20)에서 눈이 녹는 물의 양뿐만 아니라 상부판체(12)에서 녹는 물의 양도 포함하여 측정한 다음 적설판(20)을 포함하는 상부판체(12)의 전체 단위 면적당 눈의 녹아 흘러내리는 물의 양도 산출하게 된다.
이는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30)의 하부에 차집수로(40)가 설치된 구성이므로, 상부판체(12) 및 적설판(20)에서 눈이 녹으면서 발생되는 물도 차집수로(40)로 함께 수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융설량 측정시에는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의 융설량을 함께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눈이 내리는 적설량에서부터 눈이 녹는 융설량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한 융,적설량 관측장치로서, 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상부판체(12)가 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중에 형성시킨 공동구(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지면에 쌓이는 눈과 적설판(20)을 포함하는 상부판체(12)에 쌓이는 눈이 동일하게 적설되도록 하는 환경 조건을 만든 다음 적설량 및 융설량을 유,무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관측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는 지면에 쌓이는 눈과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본체(10)의 적설판(20) 및 상부판체(12)에 눈이 쌓여있는 적설 상태가 되면, 적설판(20)의 수직 하중이 제1중량센서(50)에 전달되어 적설판(20)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적설판(20)의 단위 면적량 중량 변화를 산출한 다음 이를 길이단위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적설량 관측을 보다 정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적설판(20)에서 제1중량센서(50)로 수직 하중이 전달될 때 적설판(20)의 하부에 고정된 하중전달대(22)에 상,하부로 분할시킨 분할부분에 볼형 받침축부(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형 받침축부(24)에 의해 상부 하중전달대(22)의 하중이 한 지점으로 집속된 수직 하중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제1중량센서(50)에 의한 적설판(20) 중량 측정의 정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융설량 관측시에는,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에 쌓여있는 눈이 녹아 흘러내리는 물은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30)를 통해 차집수로(40)에 수용되고, 차집수로(40)에서는 일측의 집수구멍(42)을 통해 집수관로(44)로 유입된 다음 집수관로(44)의 끝단부에 위치한 출구(46)를 통해 전도 버킷(60)에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게 되면 전도 버킷(60)이 전도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펄스신호에 의해 융설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적설된 눈이 녹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물의 양이 너무 미미하여 일정 용적의 전도 버킷(60)이 전도되지 않는 융설량의 경우에는 전도 버킷(6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중량센서(70)에 의해 융설량을 측정하게 된다.
즉, 전도 버킷(60)의 하중이 제2중량센서(70)에 전달되는 중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전도 버킷(60)에 담겨진 물의 양을 측정하여 물의 증가된 양을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설량 관측시에는 쌓여 있는 눈의 하중(무게)을 제1중량센서(50)로 감지한 다음 이를 길이단위로 변환하여 눈의 적설량을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융설량 관측은 전도 버킷(60) 및 제2중량센서(70)에 의한 병합 측정수단에 의해 융설량 관측을 정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본체 12 : 상부판체
12a : 돌출단턱 14 : 하부판체
16 : 수직지지대 20 : 적설판
22 : 하중전달대 24 : 볼형 받침축부
30 : 간극부 40 : 차집수로
42 : 집수구멍 44 : 집수관로
46 : 출구 50 : 제1중량센서
60 : 전도 버킷 62 : 축부지지대
70 : 제2중량센서 80 : 분리배출용기

Claims (8)

  1. 상부판체(12)와 하부판체(14)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상부판체(12)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을 두고 평판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적설판(20)과,
    상기 적설판(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설판(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중량센서(50)와,
    상기 상부판체(12)와 적설판(20) 사이에 형성된 간극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판체(12) 및 적설판(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는 차집수로(40)와,
    상기 차집수로(40)에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하는 전도 버킷(60)과,
    상기 전도 버킷(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60)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제2중량센서(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12)의 중공부 내측에 일정 간극부(30)를 두고 적설판(20)이 동일 수평선상으로 설치되고, 상부판체(12)의 외주면은 상향 돌출단턱(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체(12)의 둘레는 사각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판(20)은 원판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량센서(50)는 적설판(20)의 하부에서 방사상으로 적어도 3등분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량센서(50)는 적설판(20)의 하부에 고정된 하중전달대(22)와 연결하되 하중전달대(22)를 상,하부로 분할하고 그 분할부분에 볼형 받침축부(24)가 형성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버킷(60)은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게 되면 전도 버킷(60)이 전도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펄스신호를 측정하여 융설량을 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량센서(70)는 전도 버킷(60)의 축부지지대(62) 하부에 설치되어 전도 버킷(60)의 하중이 축부지지대(62)를 통해 제2중량센서(70)에 전달되는 중량을 측정하여 전도 버킷(60)에 담겨진 물의 증가된 양을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적설량 관측장치.
KR1020160044595A 2016-04-12 2016-04-12 융,적설량 관측장치 KR10177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95A KR101772323B1 (ko) 2016-04-12 2016-04-12 융,적설량 관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95A KR101772323B1 (ko) 2016-04-12 2016-04-12 융,적설량 관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323B1 true KR101772323B1 (ko) 2017-09-12

Family

ID=5992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95A KR101772323B1 (ko) 2016-04-12 2016-04-12 융,적설량 관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28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11774634B2 (en) * 2016-04-08 2023-10-03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nowpack characteristic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94B1 (ko) 2011-04-13 2011-08-31 정찬두 눈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적설계
KR101123238B1 (ko) 2011-08-26 2012-03-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294B1 (ko) 2011-04-13 2011-08-31 정찬두 눈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적설계
KR101123238B1 (ko) 2011-08-26 2012-03-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적설량 및 강설량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4634B2 (en) * 2016-04-08 2023-10-03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Reno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nowpack characteristics
KR20190075288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001096B1 (ko) * 2017-12-21 2019-07-18 주식회사 디케이이앤씨 중량식 적설 경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617B2 (ja) 電気伝導性を利用した積雪量及び降雪量測定装置
KR101772323B1 (ko) 융,적설량 관측장치
CN106461468A (zh) 用于读取和发送所测量的温度值的设备
CN111727382A (zh) 雨量计/气象站
KR101224270B1 (ko) 강수량 측정장치
CN109143414A (zh) 一种基于红外测距的防冻型雨量计及控制方法
KR101751037B1 (ko)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567255B1 (ko) 팁핑 버킷형 강수량계
KR101061294B1 (ko) 눈의 무게 측정이 가능한 적설계
US7584656B2 (en) Floatless rain gauge
KR100960850B1 (ko) 우량 계측정보 전송시스템
CN112648977A (zh) 一种基于视频的河流流量在线测流方法
CN205263335U (zh) 一种温控型称重式雨量计
CN209707716U (zh) 一种翻斗式光学雨量计
JP7048026B2 (ja) 雨量等変化率計測システム、雨量等変化率計測方法、及び雨量等変化率計測用装置
CN205665423U (zh) 一种可测量降雨强度的称重雨量计
KR20060025450A (ko) 수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수위 측정시스템
KR20110021339A (ko) 강우강설량 측정 장치
CN104977315A (zh) 一种积雪融化速率测定仪
KR20150080840A (ko) 강수형태 구별이 가능한 적설감지장치 및 방법
KR101736678B1 (ko) 표면장력식 우량계 및 강우량 측정방법
KR100569719B1 (ko) 고 신뢰 무접점 우량측정장치
CA2157943A1 (en) Rgs-100 siphoning rain gauge
KR20170080936A (ko) 이중 전도형 강수량계
KR101087661B1 (ko) 적설량 측정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