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29B1 -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 Google Patents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29B1
KR101772029B1 KR1020170008889A KR20170008889A KR101772029B1 KR 101772029 B1 KR101772029 B1 KR 101772029B1 KR 1020170008889 A KR1020170008889 A KR 1020170008889A KR 20170008889 A KR20170008889 A KR 20170008889A KR 101772029 B1 KR101772029 B1 KR 10177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oor
opening
main body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7000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for a multi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is installed to be able to reciprocate on a rail having a plurality of rail grooves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a door frame or an opening portion, and is installed to have an opening and closing body to be interlock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including a middle door, a front surface door, and a rear surface door installed in the door frame or the opening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n interlocking manner. The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for a multi door comprises: a main body for the middle door installed in an upper side end of the middle door; a main body for the front side door installed in an upper side end of the front surface door and hooked and coupl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iddle door; and a main body for the rear surface door installed in an upper side end of the rear surface door and hooked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iddle door.

Description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0001]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0002]

본 발명은 전면도어, 중간도어 및 후면도어로 구성되는 다중 도어에 대해서 전면도어 또는 후면도어의 개폐 동작시 중간도어를 기준으로 후면도어 또는 전면도어가 서로 연동되어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다중 도어의 개폐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multi-door including a front door, an intermediate door, and a rear door, wherein the rear door or the front door is interlocked with the middle door in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door or the rear door, To an interlocking device.

일반적으로 주택, 산업용 건물 및 특정 용도의 빌딩 등 다양한 건축물에는 사람은 물론 물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여닫이, 미닫이, 회전문 등 다양한 형상의 도어 또는 문이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various buildings such as houses, industrial buildings and buildings for specific purposes are provided with doors or doors of various shapes such as hinges, sliding doors and revolving doors so that people as well as objects can be entered and exited.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 및 작동의 유연성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를 위하여 복수개로 구성된 다중 도어를 설치하여 각각의 도어가 상호 연동적으로 작동하여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구성된 도어 개폐 연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vided a 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oor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oors are install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flexibility of operation, and the doors are mutually interlocked to smoothly open and close for the interior effect.

종래의 도어 개폐 연동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6443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문틀 또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개폐체를 상호 연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개구부 또는 문틀의 상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더를 구비한 레일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개폐체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치되는 개폐체 연동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 상기 각각의 체결홈의 내측으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단턱부 및 양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중앙부와,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에지 및 내측 하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측부를 일체로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삽입홈에 설치길이가 조절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제1가이더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개폐체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가이드기둥의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몸체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를 구비하는 결합체, 상기 본체 측부의 에지에 이동가능하게 외삽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측방으로 확장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 상기 개폐체의 상부면 양단에 설치된 가이드기둥의 끼움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이동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단을 구비한 전달체 및 상기 결합체의 풀리에 감겨지며, 각각의 전달체의 고정단에 각각의 일단부 및 차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전달체를 연동시키도록 분리되어 형성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로 이루어진 연동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r the door frame so as to interlockably open / close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bodies provided in the door frame or the opening portion of the door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164439, The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reciprocatable along a rail provided with a guider, and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bodies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device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ain body integrally including a step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entral portion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at both end portions, an edge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end, and a side portion having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inner lower portion thereof, A body that is adjustably and releas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in an installation length;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insert a fitting portion of a guide column provided at both ends of an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 moving part extending extensively on the edge of the main body side part, a supporting part extending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moving part, and a supporting part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t a central part of the supporting part A carrier having a fixed e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unit, and a pulley of the coupling unit, wherein the one end and the blocking unit are fixed to the fixed ends of the respective carriers, And an interlocking wire composed of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separately formed to interlock the respective carriers have.

이에 종래의 개폐체 연동장치는 가이드 및 풀리를 하나로 패키지화하여 연동장치 본체에 간단하게 조립하고, 가이드기둥의 끼움부가 삽입공에서 요동되지 않도록 하며, 연동장치 본체의 하부면과 개폐체의 상부면 간의 틈새를 차단하고, 벨트체를 간단하게 전달체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항상 정상적인 장력을 유지하게 하며, 가이드기둥의 끼움부가 가이드블럭의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상부로 과도하게 돌출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존 개폐체에 설치된 다양한 끼워넣기 결합부가 호환도어 적용될 수 있는 개폐체 연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nterlocking device, the guide and the pulley are packaged as one and are simply assembled to the main body of the interlocking device so that the fitting part of the guide column is not pivotally moved from the insertion hole, and the lower face of the interlocking device body and the upper face The belt body can be easily fixed to the carrier and the normal tension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and the fitting portion of the guide colum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project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fitting hole of the guide block And an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to which a variety of interlocking portions provided on the conventional opening / closing body can be applied.

그러나 종래의 개폐체 연동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에도 불구하고, 복수개의 개폐체 즉, 전면도어, 중간도어 및 후면도어 중 중간도어에만 상기 결합체, 전달체 및 연동 와이어가 장착된 본체가 중간도어의 상측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전면도어와 후면도어의 상측단과 레일 사이에는 본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만큼의 이격이 발생하게 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opening / closing body interlocking device, despit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effect, the main body to which the coupling body, the carrier, and the interlocking wire are mounted only in the intermediate door among the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bodies, that is, the front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is genera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and the rail so that the soundproof and windproof function can not be provided.

또한 본체의 양단부에 구성되어 슬라이딩 동작되는 전달체의 삽입공에 전면도어 또는 후면도어의 상측단에 돌출 구성되는 가이드기둥의 끼움부가 삽입되는 것을 통해 전달체가 본체의 슬라이딩시 개폐체가 연동 개폐 동작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전면도어 또는 후면도어의 상측단에 돌출된 가이드기둥이 상기 본체에 이미 끼워진 상태의 전달체 삽입공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된 후 상기 레일의 해당 홈에 가이드기둥이 상단이 가이드 되도록 끼워져야 하는데, 이때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이에 대한 작업이 원활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Further, sinc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guide pillar,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is slidab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or the rear doo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liding body, A guide pillar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or the rear door is inse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elivery body insertion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illar is already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n the upper end of the guide pillar is guided in the corresponding groove of the rail. At this time, if the skilled worker does not work smoothly, the work should be repeatedly perform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레일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을 제거하여 방음 및 방풍 기능을 유지하며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균일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new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noise generated between the rails to maintain soundproofing and wind- .

한국 등록특허 제10-1164439호 (2012.07.04.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4439 (Registered on July 4,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도어와 후면도어의 상측단에도 중간도어에 설치되는 중간도어용 본체에 대응되는 방풍 및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전면도어용 본체와 후면도어용 본체가 각각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의 제공과 함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 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or a front door having a front windshield and a guide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iddle door for a middle door, And a door for a rear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provide a soundproof and windproof function and a guide function for sliding along the rail can be stab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에 구성되는 한 쌍의 전달체가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와 후면도어용 본체의 일측단에 구성되는 후크부에 가이드 된 후, 후크 결속되도록 하여 전달체와 전면도어 및 후면도어의 결속을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transporters constituting the body for the middle door are guided by the hook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for the front door and the body for the rear door, respectivel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capable of more easily connecting a carrier,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틀 또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중간도어, 전면도어 및 후면도어를 포함하는 개폐체를 상호 연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문틀 또는 개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홈을 구비한 레일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체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에 있어서, 중간도어의 상측단에 설치 구성되는 중간도어용 본체와, 전면도어의 상측단에 각각 설치 구성되고 중간도어용 본체에 일측부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도어용 본체와, 후면도어의 상측단에 설치 구성되고 중간도어용 본체에 타측부가 후크 결합되는 후면도어용 본체를 포함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frame or an opening for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bodies including an intermediate door,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installed in a door frame or an opening, And a plurality of rail groove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n intermediate door main body A front door main body which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and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for the middle door and a rear doo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A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 device including a body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는 중간도어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제1레일홈에 삽입되어 브라켓이 설치된 중간도어가 제1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과, 상기 브라켓의 폭방향 양측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의 일측부와 후면도어용 본체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한 쌍의 연동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블록과 상기 한 쌍의 연돌블록 사이에 구성되고 전면도어 또는 후면도어의 개폐 동작시 연동블록에 의해 후크 결합된 상태의 중간도어용 본체에 결합된 후면도어용 본체 또는 전면도어용 본체가 각각 제2레일홈과 제3레일홈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여 중간도어를 중심으로 전면도어와 후면도어가 연동 슬라이딩되어 개폐 동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ddle door main body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and a middle door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bracket 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A pair of guide blocks which are slidably engaged with both side ends of the bracket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hooks on one side of the front door body and hooks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door body A pair of guide blocks, and a pair of guide blocks, and a pair of guide blocks, which are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blocks and the pair of guide blocks, The rear door main body or the front door main body is guided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and the third rail groove, respectively, so that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s are ma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동블록은 브라켓의 에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되어 가이드홈과 연동수단의 와이어 단부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홈을 가지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블록의 측방으로 확장되어 전면도어용 본체의 일측부 또는 후면도어용 본체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락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block includes a guide block having a fixing groove, which is slidably extrapolated on the edge of the bracket and provide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guide groove and the wire end of the interlocking means are fixedly installed, Shaped locking piec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lock and extending laterally of the guide block to be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or rear side door main body of the front door bod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는 상기 전면도어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2레일홈에 삽입되어 브라켓이 설치된 전면도어가 제2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2레일홈에 삽입되어 브라켓이 설치된 전면도어가 제2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과, 상기 제2가이드블록에 설치되어 중간도어용 본체의 연동블록이 브라켓의 타측단 방향으로부터 제2가이드블록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 the front door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a front door fitted to one longitudinal end of the bracket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A first guide block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ail groove so as to be slid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a second guide groove, which is fit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bracket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And hook means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block for providing a hook function for fixing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block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when slid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block from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bracket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수단은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구가 제2가이드블록 끼움체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 걸림구가 형성되며, 끼움체의 설치부에 위치된 탄성체에 의해 걸림구가 하향 회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걸림편과,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편이 슬라이딩블록의 체결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 후크고리가 형성되어 설치부와 슬라이딩블록 사이에 슬라이딩된 중간도어용 본체의 연동블록 락킹편을 걸림편과 함께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means is formed such that the pivotal opening formed at one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side wall of the second guide block fitting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stopp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fastening piece formed at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a fastening hole of the sliding block and a hook ring is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fastening piece is sli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liding block And a hook for hooking the interlocking block locking piece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together with the engaging pie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는 후면도어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3레일홈에 삽입되어 브라켓이 설치된 전면도어가 제3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3레일홈에 삽입되어 브라켓이 설치된 후면도어가 상기 제3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과, 상기 제2가이드블록에 설치되어 중간도어용 본체의 연동블록이 브라켓의 일측단 방향으로부터 제2가이드블록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main body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a front door fit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bracket and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A first guide block that slides along a third rail groove, a second guide block that is fitted in one end of the brack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and is inserted into a third rail groove and slides along a third rail groove, 2 guide block and hook means provided in the second guide block for providing a hook function for fixing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block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when the sliding block contacts the second guide block from one side end direction of the bracket .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as it does not mean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must include all such effects or merely include such effects.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he terms " first ",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the middle,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전면도어와 후면도어의 상측단에는 전면도어용 본체와 후면도어용 본체가 각각 설치되어짐으로써, 중간도어에 설치되는 중간도어용 본체와 동일하도록 방음 및 방풍 기능이 제공되어지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front door main body and the rear door main body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the soundproof and windproof functions are provided so as to be the same as the middle door main body installed in the middle door .

또한 중간도어용 본체에 구성되는 한 쌍의 연동블록 락킹편이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와 후면도어용 본체의 일측단에 구성되는 후크수단에 가이드 된 후, 후크 결속되도록 하여 연동블록과 전면도어 및 후면도어의 결속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a pair of the interlocking block locking pieces constituting the middle door main body is guided by the hook means formed at one side end of the front door main body and the rear door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n hooked to the hooks so that the interlocking block, the front door and the rear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사시부분을 나타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중간도어용 본체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전면도어용 본체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본체의 후크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oor opening /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3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main body for an intermediate door of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of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hooking process of the main body of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는, 문틀 또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중간도어(11), 전면도어(12) 및 후면도어(13)를 포함하는 개폐체(10)를 상호 연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문틀 또는 개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홈(21, 22, 23)을 구비한 레일(20)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체(10)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설치 구성되는 중간도어용 본체(100),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설치 구성되고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일측부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도어용 본체(200) 및 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설치 구성되고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타측부가 후크 결합되는 후면도어용 본체(30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1 to 5,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mediate door 11, a front door 12, and a rear door 13 installed at door frames or openings (2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il grooves (21, 22, 23) provided at an upper end of a door frame or an opening for interlocking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body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nd a rear door main body 30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door 12 and hooked to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by hooks, .

상기 개폐체(10)는 통상의 도어로서, 일예로 중간도어(1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도어(12)와 후면도어(13)가 배치되는 3중 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중간도어(11)가 복수개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 is a normal door, for example, a triple door in which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ar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iddle door 11, It is not excluded that a plurality of the intermediate doors 11 are form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object and the function can be achieved.

상기 레일(20)은 문틀 또는 개구부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으로,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 중간도어용 본체(100)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레일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홈(21)의 양측에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후면도어용 본체(300)가 슬라이딩되도록 제2 및 제3레일홈(22, 23)이 형성되어진다.The rail 20 is a guide mean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or frame or the opening portion. The rail 20 has a first rail groove 21 for sliding the main body 100 for a middle do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cond and third rail grooves 22 and 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21 so that the front and rear door main bodies 200 and 300 slide.

상기 제2레일홈(22)의 일측단과 상기 제3레일홈(23)의 타측단에는 각각 전면도어(12)와 후면도어(13)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하여 스토퍼(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스토퍼가 미구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A stopper (not show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rail groove 23 to limit movement of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But does not exclude that the stopper is not configur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ame purpose and function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레일(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rail 20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중간도어 본체(100)는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도어(11)가 상기 레일(20)의 제1레일홈(2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양측에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후면도어용 본체(300)가 후크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 또는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개폐 동작시 후면도어용 본체(300) 또는 전면도어용 본체(200)가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하는 연동수단이다.The middle door body 100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so that the middle door 11 is slid along the first rail groove 21 of the rail 20, The rear main body 300 and the rear door main body 300 are hook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ar main body 300 or the front main body 300 can be opened or closed dur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200 or the main body 300, And the main body 2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operate them.

이를 위하여,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제1레일홈(21)에 삽입되어 브라켓(110)이 설치된 중간도어(11)가 상기 제1레일홈(2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120)과, 상기 브라켓(110)의 폭방향 양측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후술된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일측부와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한 쌍의 연동블록(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120)과 상기 한 쌍의 연동블록(130) 사이에 구성되고 전면도어(12) 또는 후면도어(13)의 개폐 동작시 연동블록(130)에 의해 후크 결합된 상태의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결합된 후면도어용 본체(300) 또는 전면도어용 본체(200)가 각각 상기 제2레일홈(22)과 제3레일홈(2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여 중간도어(11)를 중심으로 전면도어(12)와 후면도어(13)가 연동 슬라이딩되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수단(140)이 포함되어진다.The main body 100 for the middle door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ncludes a bracket 11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nd a bracket 110 fitt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110, A pair of guide blocks 120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21 and allowing the intermediate door 11 provided with the bracket 110 to slide along the first rail groove 21, And a pair of interlocking blocks 130 slidably coupl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hooked to one sid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A pair of guide blocks 120 and the pair of link blocks 130 and hooked by the link block 130 when the front door 12 or the rear door 13 is opened and closed, The rear door main body 300 or the front door main body 20 0 are guided along the second rail grooves 22 and the third rail grooves 23 so that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bout the intermediate door 11, And interlocking means (140) for interlocking the interlocking means (140).

상기 브라켓(110)은 중간도어(11)의 상측단부에 하면이 접촉되고 양측의 측벽(111)에 의해 상면이 요홈 구조를 가지며 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112)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112)의 측벽(111)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연동블록(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에지(113) 및 플레이트(112)의 양측단부에 절취 형성되는 가이드블록(120)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개구부(114) 등이 포함되어진다.The bracket 110 includes a plate 112 having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nd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by the side walls 111 on both sides and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 edge 113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111 of the plate 112 to allow the interlocking block 130 to slidably engage with the guide block 120 and a guide block 1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12, And the like.

이때, 상기 개구부(114)는 가이드블록(120)과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단부위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어진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114 is formed in a round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force with the guide block 120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또한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플레이트(112)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개구부(114)의 종단부위가 연통되도록 삽입홈(115)이 요홈 형성되고 가스켓(미도시)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플레이트(112)의 하면과 중간도어(11) 상측단부와의 이격이 차단되도록 구성되어진다.The bracket 110 has a groove 11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112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openings 11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asket (not show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112 and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브라켓(1110)은 상기 플레이트(112)의 개구부(114) 형성부위에 단턱부와 돌출부에 의해 끼움홈(166)이 형성되어진다.Further, the bracket 111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166 by a step portion and a projecting portion at a portion where the opening 114 of the plate 112 is formed.

상기 가이드블록(120)은 개구부(114)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121)을 통해 플레이트(112)의 단부를 마감하는 끼움체(122)와, 상기 끼움체(122)의 양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14)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12)의 끼움홈(116)에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123)과, 상기 끼움체(122)의 마감벽(121)에 인접한 상기 끼움용레일(12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14)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4) 및 끼움체(12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125)이 포함되어진다.The guide block 120 includes a fitting body 122 inserted into the opening 114 and closing an end of the plate 112 through a finishing wall 121 and a fitting portion 1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ody 122, A fitting rail 123 releas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116 of the plate 1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member 114 and a fitting rail 123 which is adjacent to the fitting wall 121 of the fitting member 122, A coupling portion 124 form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123 and releasably coupled to the projection of the plate 1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4, And a sliding block 125 protruding from the first rail groove 21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21.

상기 슬라이딩블록(125)은 끼움체(122)의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돌출되는 블록바디(125a)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캡(125b)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바디(125a)의 삽입공에 상기 블록캡(125b)의 삽입봉이 삽입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블록바디(125a)의 체결구가 블록캡(125b)의 내부 중공에 수용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블록캡(125b)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진다.The sliding block 125 includes a block body 125a integrally or detachab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1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lock cap 125b detachably fitted to the block body 125a. An insertion rod of the block cap 125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body 125a. At this time, the fastener of the block body 125a is received in the hollow of the block cap 125b, And is detachably assembled by the cap 125b and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fastener.

따라서 상기 제1레일홈(21)에 상기 블록캡(125b)만 마찰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블록캡(125b)의 파손 또는 수면 초과시 상기 블록캡(125b)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only the block cap 125b can be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first rail groove 21,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block cap 125b when the block cap 125b is damaged or overflow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상기 연동블록(130)은 브라켓(110)의 에지(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되는 가이드홈(131)과 후술된 연동수단(140)의 와이어(142) 단부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홈(132)을 가지는 가이드블록(133)과, 상기 가이드블록(133)의 상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블록(133)의 측방으로 확장되어 후술된 전면도어 본체(200)의 일측부 또는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락킹편(134) 등을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block 130 is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 for allowing the end portions of the wires 142 of the interlocking means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guide groove 131, which is slidably extrapolated to the edge 113 of the bracket 110, A guide block 133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block 133 and extending laterally of the guide block 133 to be described later Shaped locking piece 134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side or rear door main body 300, and the like.

상기 고정홈(132)은 상기 가이드블록(133)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이를 통하여 개폐체(100)의 이동시 편심 또는 힘의 집중으로 인한 연동블록(130)의 불안전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 132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block 133 to prevent unstable movement of the interlock block 130 due to eccentricity or concentration of forc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00 is mov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상기 가이드블록(133)과 락킹편(134)은 상기 가이드블록(1330)의 삽입편이 락킹편(134)의 삽입공에 삽탈되는 것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락킹편(134)의 파손 또는 수명 초과시 락킹편(134)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guide block 133 and the locking piece 134 can be detachably assembled through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insertion piece of the guide block 1330 into an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locking piece 134, ) Or a simple replacement of the locking piece (134) when the life is over.

상기 연동수단(140)은 상기 가이드블록(120)의 끼움체(122)에 슬라이딩블록(125)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설치부(12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141)와, 각 일단이 브라켓(110)의 일측에 구성된 가이드블록(133)의 고정홈(1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풀리(141)를 경유한 후, 각 타단이 브라켓(110)의 타측에 구성된 가이드블록(133)의 고정홈(132)에 고정되어 한 쌍의 연동블록(130)이 상호간 연동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와이어(142)가 포함되어진다.The interlocking means 140 includes a pulley 141 rotatably installed in a fitting portion 122 of the guide block 120 and a mounting portion 127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block 12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e end of each of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2 of the guide block 133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110 and the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110 And a pair of wires 142 that are fixed to the fixing grooves 132 of the guide block 133 and configured so that a pair of the interlocking blocks 13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연동수단(140)은 한 쌍의 와이어(142)가 각각 브라켓(110) 일측의 풀리(141)와 가이드블록(133)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 브라켓(110) 타측의 풀리(141)와 가이드블록(133)에 타단이 연결됨으로써, 간단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일체의 연동 와이어로 기능하게 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해당 와이어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interlocking means 140 includes a pair of wires 142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ulleys 141 and the guide block 133 at one side of the bracket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block 133 and the guide block 133.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simple installation and to function as an integral interlocking wire. If any one of the interlocking wires is abnormal, There is one advantage.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는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설치되고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후크 결합되며 전면도어(12)가 상기 레일(20)의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이다.The main body 200 for the front doo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main body 100 for the middle door is hooked and the front door 12 is fixed to the rail 20 2 rail grooves 22. The guide grooves 22a,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210)과, 상기 브라켓(21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기움 결합되고 제2레일홈(22)에 삽입되어 브라켓(210)이 설치된 전면도어(12)가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220)과, 상기 브라켓(21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2레일홈(22)에 삽입되어 브라켓(210)이 설치된 전면도어(12)가 상기 제2레일홈(22)을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230)가, 상기 제1가이드블록(220)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블록(220)이 상기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240) 및 제2가이드블록(230)에 설치되어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브라켓(210)의 타측단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250)이 포함되어진다.The main body 200 for the front door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a bracket 210 which is slidably fitt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210, A first guide block 220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22 to allow the front door 12 provided with the bracket 210 to slide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a second guide block 230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for sliding the second rail groove 22 with the front door 12 provided with the bracket 210, A stopper 240 and a second guide block 230 provided in the first guide block 220 to provide a stopper function for limiting the distance that the first guide block 220 slides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So that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mov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10 to the second guide A hook means 250 is provided to provide a hook function for locking the lock 230 in its sliding contact condition.

상기 브라켓(210)은 전면도어(12)의 상측단부에 하면이 접촉되고 양측의 측벽(211)에 의해 상면이 요홈 구조를 가지며, 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212)와, 상기 플레이트(212)의 양측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블록(220, 230)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개구부(213) 및 제2가이드블록(230)이 끼움 고정되는 플레이트(212)의 개구부(213) 내측(중간도어용 본체에 내접하는 장향)의 측벽(211)이 절취 형성되어, 연동블록(130)의 락킹편(134)이 슬라이딩 접촉시 측벽(211)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개방부(214)가 포함되어진다.The bracket 210 includes a plate 212 having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by side walls 211 on both sides and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212 are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first guide block 220 and the second guide block 230 so that the first guide block 220 and the second guide block 230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213 and the plate 212, The side wall 211 is cut so that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ide wall 211 when the sliding contact is made 214).

이때, 상기 개구부(213)는 제1 및 제2가이드블록(220, 230)가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여 결합력이 증대되어지도록 종단부위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어진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213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 blocks 220 and 230 increase the contact area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또한 상기 브라켓(210)은 상기 플레이트(212)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개구부(214)의 종단부위가 연통되도록 삽입홈(215)이 요홈 형성되고 가스켓(미도시)이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플레이트(212)의 하면과 전면도어(12) 상측단부와의 이격이 차단되어진다.The bracket 210 has a groove 212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12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pair of openings 21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asket (not show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212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브라켓(210)은 상기 플레이트(212)의 개구부(213) 형성부위에 단턱부와 돌출부에 의해 끼움홈(216)이 형성된다.The bracket 210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216 by a step and a protrusion at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213 of the plate 212 is formed.

상기 제1가이드블록(220)은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단에 형성된 개구부(213)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221)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12)의 단부를 마감하는 끼움체(222)와, 상기 끼움체(222)의 양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끼움홈(216)에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223)과, 상기 끼움체(222)의 마감벽(221)에 인접한 끼움용레일(22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24) 및 끼움체(22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제2레일홈(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225)가 포함되어진다.The first guide block 220 includes a fitting 222 inserted through an opening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bracket 210 and closing an end of the plate 212 through a finishing wall 221, Fitting rails 223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tting body 222 and releasably fitted in fitting grooves 216 of the plate 212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 engaging hole 224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rail 223 adjacent to the closing wall 221 of the opening 213 and releasably engag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d a sliding block 225 which is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rt of the fitting direction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상기 슬라이딩블록(225)은 상기 끼움체(222)의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돌출되는 블록바디(225a)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캡(225b)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바디(225a)의 삽입공에 상기 블록캡(225b)의 삽입봉이 삽입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블록바디(225a)의 체결구가 블록캡(225b)의 내부 중공에 수용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블록캡(225b)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진다.The sliding block 225 includes a block body 225a integrally or detachab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2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lock cap 225b detachably fitted to the block body 225a. An insertion rod of the block cap 225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body 225a. At this time, after the fastener of the block body 225a is received in the hollow of the block cap 225b, And is detachably assembled by a cap 225b and a bol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astener.

따라서 상기 제2레일홈(22)에 블록캡(225b)만 마찰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상기 블록캡(225b)의 파손 또는 수명 초과시 상기 블록캡(225b)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only the block cap 225b can be rubbed against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the block cap 225b can be easily repaired when the block cap 225b breaks or the life of the block cap 225b is simply changed. There is one advantage.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은 상기 브라켓(210)의 타측단에 형성된 개구부(213)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231)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212)의 단부를 마감하는 끼움체(232)와, 상기 끼움체(232)의 양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212)의 끼움홈(216)에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233)과, 상기 끼움체(232)의 마감벽(231)에 인접한 끼움용레일(23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2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34) 및 끼움체(23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홈(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235)이 포함되어진다.The second guide block 23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1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body 232 through the finishing wall 231 to close the end of the plate 212 Fitting rails 233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tting body 232 and releas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s 216 of the plate 212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232 formed on one side of the fitting rail 233 adjacent to the finishing wall 231 of the fitting portion 231 and releasably joined to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213, And a sliding block 235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232 in a fitting direction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상기 슬라이딩블록(235)은 끼움체(232)의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돌출되는 블록바디(235a)와, 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캡(235b)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바디(235a)의 삽입공에 상기 블록캡(235b)의 삽입봉이 삽입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블록바디(235a)의 체결구가 상기 블록캡(235b)의 내부 중공에 수용된 후 외부로부터 상기 블록캡(235b)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해체 가능하게 조립되어진다.The sliding block 235 includes a block body 235a integrally or detachably protruded from a top surface of the fitting body 232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lock cap 235b detachably fitted to the block body 235a. , The insertion rod of the block cap 235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body 235a. At this time, the fastener of the block body 235a is received in the hollow of the block cap 235b, And is detachably assembled by the block cap 235b and a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fastener.

따라서 상기 제2레일홈(22)에 상기 블록캡(235b)만 마찰되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블록캡(235b)의 파손 또는 수명 초과시 상기 블록캡(235b)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only the block cap 235b can be rubbed against the second rail groove 22, so that the block cap 235b can be easily repaired by simply replacing the block cap 235b when the block cap 235b breaks or the life of the block cap 235b There is one advantage.

상기 스토퍼(240)는 상기 제1가이드블록(220)의 끼움체(222)에 슬라이딩블록(225)과 소정의 거리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설치부(227)에 끼움체(222)의 하측부로부처 상측부를 향해 관통되면서 끼움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측부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제한봉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한봉의 파손 또는 수명 초과시 상기 제한봉만 교체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stopper 240 is attached to the fitting part 222 of the first guide block 220 by a fitting part 227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iding block 22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restricting bar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so that the restricting bar can be replaced only when the restricting bar breaks or the life of the restricting bar is exceeded.

상기 후크수단(250)은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구가 제2가이드블록(230) 끼움체(232)의 측벽(23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 걸림구(251)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체(232)의 설치부(237)에 위치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걸림구(251)가 하향 회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걸림편(252)과,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편이 슬라이딩블록(235) 블록바디(235a)의 체결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에 후크고리(253)가 형성되어 설치부(237)와 슬라이딩블록(235) 사이에 슬라이딩된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을 걸림편(252)과 함께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254)가 포함되어진다.The hook means 250 has a pivot hole formed at one end thereof hingedly coupled to the side wall 231 of the fitting body 232 of the second guide block 230 and a hooking hole 251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locking piece 252 for restoring the locking hole 251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locking hole 251 is rotated downward by an elastic body (not shown) located at the fitting portion 237 of the fitting body 232, And a hook ring 25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slidingly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237 and the sliding block 235, A hook 254 for hooking the locking piece 134 with the latching piece 252 is included.

이때 상기 후크수단(250)은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브라켓(210)의 타측단 방향으로부터 제2가이드블록(230)을 향해 하향 회동되어 락킹편(134)이 슬라이딩블록(235)까지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원위치로 복원되며, 이때 걸림편(252)의 걸림구(251) 상측부위가 후크(254)의 후크고리(253) 하측면에 접촉되어 홀더(holder)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에 상기 락킹편(134)이 반대방향으로 또는 원래의 진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후크 결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The locking means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is rotated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10 toward the second guide block 230, The upper part of the latching part 251 of the latching piece 25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hook ring 253 of the hook 254 Holder structure so that the locking piece 134 can be hooked without being slid in the opposite direction or in the original traveling direction.

한편, 상기 락킹편(134)의 후크 결합 해제는, 결림편(252)이 하향 이동되어 홀더 구조가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락킹편(134)이 방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지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locking piece 134 may be unlocked by sliding the locking piece 134 in the radial direction after the locking piece 252 is moved downward to open the holder structure. So that maintenance is easy.

따라서 상기 후크수단(250)에 의하면, 상기 전면도어(12)에 전면도어용 본체(200)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도어(11)에 중간도용 본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타측단이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타측단 제2가이드블록(230)을 향해 접근시,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걸림편(252)을 가압하면서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딩블록(235)까지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가압 해제된 걸림편(252)이 다시 상향 회동되면서 슬라이딩블록(235)에 설치된 후크(254)와 홀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락킹편(134)이 후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연동블록(130)의 이동시 전면도어(12)가 상기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main body 100 for a front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door 12 and the intermediate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middle door 11,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body 100 is caught by the other side end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other side end approaches the other side end second guide block 230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The gripping piece 252 is pushed upward again so that the hook 254 provided in the sliding block 235 and the holder 252 having the holder structure are moved downward while pressing the piece 252 downward to be slid to the sliding block 235 The locking part 134 can be hooked and the front door 12 can be slid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when the interlock block 130 is moved.

이에 종래와 같이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에 직접 전면도어(12)의 가이드기둥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에 비해, 연동블록(130)과 전면도어(12)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engagement of the guide block of the front door 12 with the guide block of the front door 12 is made easier than that of the guide block of the front door 12, .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는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 설치되고 중간도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후크 결합되며 상기 후면도어(13)가 상기 레일(20)의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이다.The rear door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door 13 and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body 100 is hooked, 3 rail grooves 23, as shown in Fig.

위를 위하여,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는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고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320)과, 상기 브라켓(31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3레일홈(23)에 삽입되어 브라켓(310)이 설치된 전면도어(13)가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320)과, 상기 브라켓(31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3레일홈(23)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310)이 설치된 후면도어(13)가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330)과, 상기 제1가이드블록(320)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블록(320)이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340) 및 제 2가이드블록(330)에 설치되어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상기 브라켓(310)의 일측단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블록(330)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350)이 포함되어진다.The rear door main body 3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ncludes a bracket 32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13 and a second bracket 320 fit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310, A first guide block 320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23 and allowing the front door 13 provided with the bracket 310 to slide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A second guide block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23 to slide the rear door 13 provided with the bracket 310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A stopper 340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block 320 and providing a stopper function for limiting the distance that the first guide block 320 slides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2 guide block 330 so that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bracket 310 And hook means 350 for providing a hook function for fixing the state of the second guide block 330 to the second guide block 330 when the sliding contact is made.

이때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는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가 180도 회전되어 제1가이드블록(320)과 제2가이드블록(330)이 상호간 대향되는 위치를 가지고 그 구성부들의 식별번호가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이 선호되므로, 각 구성부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rear door main body 300 is rotated 180 degrees so that the first guide block 320 and the second guide block 33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ident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ction as those of the main body 200 for the front door, except that the numb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stituent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후크수단(350)에 의하면, 상기 후면도어(13)에 후면도어용 본체(300)가 설치되고 중간도어(11)에 중간도어용 본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일측단이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일측단 제2가이드블록(330)을 향해 접근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걸림편(352)을 가압하면서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딩블록(335)까지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가압 해제된 걸림편(352)이 다시 상향 회동되면서 슬라이딩블록(335)에 설치된 후크(354)와 홀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락킹편(134)이 후크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연동블록(130)이 이동시 후면도어(13)가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main body 300 for the rear door is installed on the rear door 13 and the main body 100 for the middle door is installed on the middle door 11 according to the hook means 350,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is caught by the first guide block 330 when the one end of the interlocking block 100 approaches the one second end guide block 330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The gripped piece 352 is pushed upward again so that the hook 354 provided in the sliding block 335 and the holder structure are provided The locking piece 134 can be hooked and the rear door 13 can be slid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when the interlock block 130 is moved.

이에, 종래와 같이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에 직접 후면도어(13)의 가이드기둥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에 비해, 상기 연동블록(130)과 후면도어(13)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block of the rear door 13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30 of the main body 100 for a middle door in the related art, So that it can be made more si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문틀 또는 개구부의 상측부에 레일(20)이 설치되어지고, 이후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브라켓(110)이 설치 고정되고,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전면도어용 본체(100)의 브라켓(210)이 설치 고정되며,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브라켓(310)이 설치 고정된다.The bracket 110 of the main body 100 for a middle door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iddle door 11 and the bracket 110 of the middle door 11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a bracket 310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13. The bracket 310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door 13,

이후 상기 중간도어(11)에 설치된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한 쌍의 가이드블록(120) 슬라이딩블록(125)이 제1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문틀 또는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면도어(12) 및 후면도어(13)도 슬라이딩블록(223, 235, 325, 335)이 각각 제2레일홈(22)과 제3레일홈(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문틀 또는 개구부에 장착된다.A pair of guide blocks 120 of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installed in the middle door 11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s 21 and mounted on the door frames or openings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are also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the third rail groove 23 so that the sliding blocks 223, 235, 325, And is mounted on the opening.

이후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한 쌍의 연동블록(130)이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후크수단(250)과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후크수단(350)에 후크 결합된다.The pair of interlocking blocks 130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are hooked to the hook means 250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and the hook means 350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do.

더욱 상세하게는, 일예로 문틀 또는 개구부의 우측부에 전면도어(11)가 위치되고, 문틀 또는 개부구의 중앙부에 중간도어(12)가 위치되며, 문틀 또는 개구부의 좌측부에 후면도어(13)가 위치된다.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ront door 11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door frame or opening, the middle door 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or opening, and the rear door 13 is provided at the left side of the door frame or opening. .

이때,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는 브라켓(210)의 일측단에 제1가이드블록(220)이 위치되고, 타측단에 제2가이드블록(220)이 위치되며, 후면도어용 본체(300)는 브라켓(310)의 일측단에 제2가이드블록(330)이 위치되고 타측단에 제1가이드블록(320)이 위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어진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200 for the front door has the first guide block 220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bracket 210, the second guide block 220 position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rear door main body 300 It is preferred that the second guide block 33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bracket 310 and the first guide block 320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타측단 제2가이드블록(230)을 향해 접근시, 상기 락킹편(134)이 걸림편(252)을 가압하면서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딩블록(235)까지 슬라이딩된 후, 가압 해제된 걸림편(252)이 다시 상향 회동되어 슬라이딩블록(235)에 설치된 후크(254)와 홀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락킹편(134)이 후크 결합된다.When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body 100 approaches the other side end second guide block 230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in the above state, The piece 134 is pivoted downward while pressing the latch piece 252 to slide it to the sliding block 235 and then the latch piece 252 which has been released from pressure is turned upward again so that the hook 254 provided on the sliding block 235, And the locking piece 134 is hook-coupled with the holder structure.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일측단 제2가이드블록(330)을 향해 접근시, 상기 락킹편(134)이 걸림편(352)을 가압하면서 하향 회동시켜 슬라이딩블록(335)까지 슬라이딩된 후, 가압 해제된 걸림편(352)이 다시 상향 회동되어 슬라이딩블록(335)에 설치된 후크(354)와 홀더 구조를 가지면서 상기 락킹편(134)이 후크 결합된다.When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approaches the one side end second guide block 330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in the above state, The locking piece 134 pushes down the locking piece 352 downward to slide it to the sliding block 335 and then the releasing piece 352 is pushed up again and the hook 354 provided on the sliding block 335 And the locking piece 134 is hook-coupled with the holder structure.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개폐체(100) 중 어느 하나를 개방방향으로 밀거나 가압하면, 하나 또는 나머지 3개의 개폐체들이 연동블록(130)과 연동수단(140)에 의해 연동되어 상호 중첩되거나 유도되는 방식으로 개방된다.Then, when any one of the openable members 100 is pushed or pressed in the opening direction in the above state, one or the other three openable members are interlocked by the interlocking block 130 and the interlocking means 140, Lt; / RTI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면도어(120)와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도 중간도어(11)에 설치되는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대응되는 방풍 및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후면도어용 본체(300)가 각각 설치되어 방음 및 방풍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door 120 has a front door 120 and a front door 130. The front door 120 has a windshield and a guid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iddle door 100 installed at the middle door 11, (200) and a rear door main body (300) are installed to provide a soundproof and windproof function.

또한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구성되는 한 쌍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이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일측단에 구성되는 후크수단(250, 350)에 가이드된 후, 후크 결속되도록 하여 연동블록(130)과 전면도어(12) 및 후면도어(13)의 결속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 pair of locking blocks 130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constituting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and the rear door main body 300, So that the coupling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with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do so.

10 : 개폐체 20 : 레일
100 : 중간도어용 본체 200 : 전면도어용 본체
300 : 후면도어용 본체
10: opening / closing body 20: rail
100: Body for middle door 200: Body for front door
300: Body for rear door

Claims (14)

문틀 또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중간도어(11), 전면도어(12) 및 후면도어(13)를 포함하는 개폐체(10)를 상호 연동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문틀 또는 개구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홈(21, 22, 23)을 구비한 레일(20)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체(100)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위한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는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구성되어지는 중간도어용 본체(100)와,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에는 일측단부가 후크 결합되는 전면도어용 본체(200)와,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 구성되어지고,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에는 타측부가 후크 결합되는 후면도어용 본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는
중간도어(11)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제1레일홈(21)에 삽입되어 브라켓(110)이 설치된 중간도어(11)가 상기 제1레일홈(2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120)과, 상기 브라켓(110)의 폭방향 양측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일측부와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한 쌍의 연동블록(13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120)과 상기 한 쌍의 연동블록(13) 사이에 구성되고, 전면도어(12) 또는 후면도어(13)의 개폐 동작시 연동블록(130)에 의해 후크 결합된 상태의 중간도어용 본체(100)에 결합된 후면도용 본체(300) 또는 전면도어용 본체(200)가 각각 제2레일홈(22)과 제3레일홈(23)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중간도어(11)를 중심으로 상기 전면도어(12)와 상기 후면도어(13)가 연동 슬라이딩되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중간도어(11)의 상측단부에는 하면이 접촉되고, 양측의 측벽(111)에 의해 상면이 요홈 구조를 가지며, 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12)와, 상기 플레이트(112)의 측벽(111)에는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연동블록(13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에지(113)와, 상기 플레이트(112)의 양측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가이드블록(120)이 끼움 고정되는 개구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A door frame or a plurality of openings 10 provided at the top of the opening to interlockingly open and close the intermediate door 11, the front door 1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body 10 including the rear door 13, The multiple 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is provided so as to be reciprocable on a rail (20) provided with rail grooves (21, 22, 23)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odies (100) The device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door 11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has a front surface A door main body 200 and a rear door main body 30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rear door 13 and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The middle door main body 100
The brackets 110 ar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brackets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s 110 and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s 21, A pair of guide blocks 120 slid along the first rail groove 21 and a pair of guide blocks 120 slid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racket 110 in the width direction, A pair of interlocking blocks 130 hooked to one side of the rear door main body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ar door body 300 and a pair of interlocking blocks 130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ar door body 300, And the rear surface painting body 300 or the front surface painting body 300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for the middle door in a hooked state by the interlocking block 130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door 12 or the rear door 13. [ The main body body 200 is guided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the third rail groove 23, And interlocking means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oor (12) and the rear door (13)
The bracket (110)
A plate 112 having a lower end in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door 11 and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formed by side walls 111 on both sides and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 edge 113 formed by b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sliding block 111 so that the interlock block 130 is slidably fitted thereon and an opening 114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12 and fitted and fixed to the guide block 120 And a second 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for opening / closing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120)은
상기 개구부(114)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121)을 통해 플레이트(112)의 단부를 마감하는 끼움체(122)와, 상기 끼움체(12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4)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12)의 끼움홈(116)에 해체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123)과, 상기 끼움체(122)의 마감벽(121)에 인접한 상기 끼움용레일(12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14)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1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124)와, 상기 끼움체(12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제1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block (120)
A fitting body 122 inserted into the opening 114 and closing an end of the plate 112 through a finishing wall 121 and a fitting body 1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ody 122, A fitting rail 123 which is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116 of the plate 112 formed on the fitting member 122 and a fitting rail 123 which is adjacent to the fitting wall 123 of the fitting member 122, And an engaging hole 124 formed in the opening 114 and releasably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plate 1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4. The engaging portion 124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122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a sliding block (125)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125)은
상기 끼움체(122)의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돌출되는 블록바디(125a)와, 상기 블록바디(125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캡(125b)과, 상기 블록바디(125a)의 삽입공에 상기 블록캡(125b)의 삽입봉이 삽입되어지면, 상기 블록바디(125a)의 체결구에 블록캡(125b)의 내부 중공에 수용된 후 외부로부터 블록캡(125b)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ding block 125
A block body 125a integrally or detachab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1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 block cap 125b detachably fitted in the block body 125a, When the insertion rod of the block cap 125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body 125a,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cap 125b is receiv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block cap 125b in the fastener of the block body 125a, And a bol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asten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블록(130)은
브라켓(110)의 에지(1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되는 가이드홈(131)과 연동수단(140)의 와이어(142) 단부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고정홈(132)을 가지는 가이드블록(133)과, 상기 가이드블록(133)의 상측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블록(133)의 측방으로 확장되어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의 일측부 또는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락킹편(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locking block (130)
A guide having a guide groove 131 slidably extrapolated on the edge 113 of the bracket 110 and a fixing groove 132 providing a receiving space for fixing the end of the wire 142 of the interlocking means 140, A block 133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block 133 and is extended laterally of the guide block 133 so as to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or the rear side door main body 300 Like locking piece (134) h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door (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133)과 상기 락킹편(134)은
가이드블록(133)의 삽입편이 락킹편(134)의 삽입공에 삽탈되는 것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block 133 and the locking piece 134
Wherein the insertion block of the guide block (133) is detachably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locking piece (1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도어용 본체(200)는
상기 전면도어(12)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210)과, 상기 브라켓(21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2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10)이 설치된 전면도어(12)가 상기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220)과, 상기 브라켓(21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레일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210)이 설치된 전면도어(12)가 상기 제2레일홈(2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230)과,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에 설치되어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브라켓(210)의 타측단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door main body 200
A bracket 21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a second bracket 210 fitted to one longitudinal end of the bracket 210 and inserted into a second rail groove 22, A first guide block 220 for sliding the door 12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a second guide block 220 fitted to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210, A second guide block 230 installed on the second guide block 230 to allow the front door 12 to be inserted with the bracket 210 to slide along the second rail groove 22, A hook means 250 for providing a hook function for fixing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main body 100 to the second guide block 230 when the second interlocking block 130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block 230 from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10 Wherein the multi-door opening / closing interlocking device compris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10)은
상기 전면도어(12)의 상측단부에 하면이 접촉되고 양측의 측벽(211)에 의해 상면이 요홈 구조를 가지며 측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212)와, 상기 플레이트(212)의 양측단부에 절취 형성되어 각각 제1 및 제2가이드 블록(220, 230)이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개구부(213)와,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이 끼움 고정되는 플레이트(212)의 개구부(213) 내측(중간도어용 본체에 내접하는 방향)의 측벽(211)이 절취 형성되어 연동블록(130)의 락킹편(134)이 슬라이딩 접촉시 상기 측벽(211)에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개방부(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racket 210
A plate 212 having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2 and having a concave upper surface by side walls 211 on both sides and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 opening 213 for cutting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blocks 220 and 230 and an inner side of the opening 213 of the plate 212 to which the second guide block 230 is fitted The side wall 211 is cut so that the locking piece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ide wall 211 when the sliding contact is made Wherein said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ompr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블록(220)은
상기 브라켓(210)의 일측단에 형성된 개구부(213)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221)을 통해 플레이트(212)의 단부를 마감하는 끼움체(222)와, 상기 끼움체(22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끼움홈(216)에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223)과, 상기 끼움체(222)의 마감벽(221)에 인접한 끼움용레일(22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24)와, 상기 끼움체(22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제2레일홈(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2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guide block 220
A fitting body 222 inserted into an opening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bracket 210 and closing an end of the plate 212 through a finishing wall 221, A fitting rail 223 which is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222 and is releas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216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 engaging hole 224 form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rail 223 and releasably coupled to the projection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d a sliding block (225)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225)은
상기 끼움체(222)의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일체 또는 탈착 가능하게 돌출되는 블록바디(225a)와, 상기 블록바디(225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캡(225b)과, 상기 블록바디(225a)의 삽입공에 상기 블록캡(225b)의 삽입봉이 삽입되어지면, 상기 블록바디(225a)의 체결구에 블록캡(225b)의 내부 중공에 수용된 후 외부로부터 블록캡(225b)과 체결구의 관통공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liding block 225
A block body 225a integrally or detachab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2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 block cap 225b detachably fitted in the block body 225a, When the insertion rod of the block cap 225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body 225a, the insertion hole of the block cap 225b is receiv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block cap 225b in the fastener of the block body 225a, And a bol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astening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블록(230)은
상기 브라켓(210)의 타측단에 형성된 개구부(213)에 끼움 삽입되고 마감벽(231)을 통해 플레이트(212)의 단부에 마감하는 끼움체(232)와, 상기 끼움체(232)의 양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끼움홈(216)에 해제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끼움용레일(233)과, 상기 끼움체(232)의 마감벽(231)에 인접한 끼움용레일(233)의 일측에 형성되어 개구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12)의 돌출부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234)와, 상기 끼움체(232)의 끼움방향 전방부 상측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제2레일홈(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록(2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guide block 230
A fitting body 232 which is inserted into an opening 21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10 and which is closed at an end of the plate 212 through a finishing wall 231, A fitting rail 233 which is formed on the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d is releas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216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 fitting hole 234 formed on one side of the rail 233 for releasably coupling to the protrusion of the plate 2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13, And a sliding block (235)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cond rail groove (22)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groove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수단(250)은
일단부에 형성된 회동구가 제2가이드블록(230) 끼움체(232)의 측벽(23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 걸림구(251)가 형성되며, 끼움체(232)의 설치부(237)에 위치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걸립구(251)가 하향 회동 후 원위치로 복원되는 걸림편(252)과,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편이 슬라이딩블록(235)의 체결구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에 후크고리(253)가 형성되어 설치부(237)와 슬라이딩블록(235) 사이에 슬라이딩된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 락킹편(134)을 걸림편(252)과 후크 결합시키는 후크(2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ok means (250)
And the second guide block 2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251 which is hinged on the side wall 231 of the fitting body 232 and is rotatably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guide block 230, A locking piece 252 which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take-up part 251 is rotated downward by an elastic body (not shown) located at the lower part 237 and a fastening part of the fastening piece sliding block 235 formed at one end, And hooking hooks 253 are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locking pieces 134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intermediate door main body 100 sli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237 and the sliding block 235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pieces 252, And a hook (254) for hook engagement with the hook (25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용 본체(300)는
상기 후면도어(13)의 상측단에 설치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브라켓(310)의 길이방향 타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3레일홈(23)에 삽입되어 브라켓(310)이 설치된 전면도어(13)가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1가이드블록(320)과, 상기 브라켓(31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끼움 결합되고 제3레일홈(23)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310)이 설치된 후면도어(13)가 상기 제3레일홈(2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블록(330)과, 상기 제2가이드블록(330)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도어용 본체(100)의 연동블록(130)이 브라켓(310)의 일측단 방향으로부터 제2가이드블록(330)에 슬라이딩 접촉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후크 기능을 제공하는 후크수단(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도어 개폐 연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door main body 300
A front door 30 which is fitt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bracket 310 and is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23 and provided with a bracket 310, A first guide block 320 for sliding the third rail groove 23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and a second guide block 320 fitted to one end of the bracket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23 A second guide block 330 for allowing the rear door 13 provided with the bracket 310 to slide along the third rail groove 23 and a second guide block 330 installed on the second guide block 330, And a hooking means 350 for providing a hook function for fixing the state of the interlocking block 130 of the main body 100 when sliding on the second guide block 330 from one end of the bracket 310 Wherein the door opening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08889A 2017-01-18 2017-01-18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KR101772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89A KR101772029B1 (en) 2017-01-18 2017-01-18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89A KR101772029B1 (en) 2017-01-18 2017-01-18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29B1 true KR101772029B1 (en) 2017-09-05

Family

ID=5992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89A KR101772029B1 (en) 2017-01-18 2017-01-18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48B1 (en) * 2020-06-04 2021-11-23 박지경 Inter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216A (en) * 2003-06-17 2005-04-07 Yagi:Kk Interlocked sliding doors
KR101164439B1 (en) * 2012-02-21 2012-08-06 주식회사 미다지인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216A (en) * 2003-06-17 2005-04-07 Yagi:Kk Interlocked sliding doors
KR101164439B1 (en) * 2012-02-21 2012-08-06 주식회사 미다지인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948B1 (en) * 2020-06-04 2021-11-23 박지경 Inter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27B1 (en) Caster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KR100872183B1 (en) cabin of heavy equipment
US5868448A (en) Glove box structure
KR20080041830A (en) Cabin of heavy equipment
KR101772029B1 (en) Opening and closing interlocking apparatus of a multi door
GB2247914A (en) Friction stays
CA2489097A1 (en) Vehicle door with pivot arm
KR100873334B1 (en) A suspended type classroom do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46873B1 (en) Sliding and hinged door
KR101539772B1 (en) Sliding door system
KR102340129B1 (en) Turn/Tilt Window System
CN211058550U (en) Suspension type sliding door structure and sliding assembly
KR101772651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KR101917240B1 (en) Sash for windows and doors
KR101786705B1 (en) Opposed opening and closing type door structure of vehicle
PL197920B1 (en) Lock bar mounting for a window or door
KR200147398Y1 (en) Lock device of window
JP3937796B2 (en) Lighting device with push-lock device
CN220184841U (en) Baffle structure and door lock
JPH0723499Y2 (en) Partition device lock structure
KR200443900Y1 (en) A window for being able to switch easily
JPH10317789A (en) Closed window lock device of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H0740043Y2 (en) Partition device lock structure
KR102003102B1 (en) Hardware assembly for window
KR101885426B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