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617B1 -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617B1
KR101771617B1 KR1020120093691A KR20120093691A KR101771617B1 KR 101771617 B1 KR101771617 B1 KR 101771617B1 KR 1020120093691 A KR1020120093691 A KR 1020120093691A KR 20120093691 A KR20120093691 A KR 20120093691A KR 101771617 B1 KR101771617 B1 KR 10177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ush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738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617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85 priority patent/WO2014027772A1/ko
Publication of KR2014002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푸시 에이전트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변경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푸시 허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 단말의 USIM 카드가 교체되어 가입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푸시 허브가 가입자 단말 측에 가입자 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함으로써,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푸시 메시지가 오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USH SERVICE}
본 발명은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 단말의 USIM 카드가 교체되어 가입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푸시 허브가 가입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함으로써,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푸시 메시지가 오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캐스팅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능해짐에 따라서 이동단말기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스마트 폰을 비롯한 모바일 단말의 진화에 따라 서버의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에서 동기화하는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서비스, 일정 서비스, 연락처 서비스 등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서버 측에서 모바일 단말과 동기화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데이터 푸시(Push) 서비스라고 하며, 현재 카카오톡, 마이피플, Viber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가입자는 먼저 모바일 단말에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후 서버에서 송신하는 인증번호를 SMS로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앱에 입력함으로써 서버에 사용자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동적 IP 및 사설 IP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데이터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대신 모바일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한다. 이에, 서버는 가입자의 MAC address나 IMEI 등 기기에 할당되는 고유한 정보를 가입자의 단말 식별정보로 설정하여 해당 단말 식별정보를 갖는 단말에 데이터를 푸시한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로 가입자를 식별하는 경우,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의 USIM을 다른 단말에 장착하면 서버 측에서는 단말의 사용자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서버에서는 가입자가 이전에 사용하였던 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므로 가입자는 필요한 메시지를 받을 수 없고, 다른 사용자에게 가입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090201호(2010.08.13), 발명의 명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메시지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 단말의 USIM 카드가 교체되어 가입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푸시 허브가 가입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함으로써,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푸시 메시지가 오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푸시 에이전트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변경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푸시 허브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가입자의 가입 ID가 저장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및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단말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푸시 허브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상기 가입자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맥 어드레스와 단말의 기기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화번호는,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가입 ID가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입 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서비스 앱;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전화번호가 저장된 USIM;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의 접속 시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상호 매칭하여 송신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경고하는 푸시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푸시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푸시 허브에서 기 저장된 상기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상기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경고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가입 ID를 저장하여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설정되었던 이전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현재 설정된 전화번호에 각각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허브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및 전화번호와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가입 ID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 단말의 USIM 카드가 교체되어 가입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푸시 허브가 가입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가입자가 서비스 재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푸시 메시지가 오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기존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의 정보를 리셋하거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가입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허브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정보 DB의 데이터 저장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변경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되어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기능을 제어하는 푸시 에이전트(330), 사용자 단말(300)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퍼레이터,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300)의 푸시 에이전트(33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허브(PUSH HUB)(200)를 포함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되어 푸시 허브(200) 측에 연결을 요청하고, 푸시 허브(200)로부터 수신된 푸시 메시지를 표시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푸시 허브(200) 측에 연결을 요청할 시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푸시 허브(200) 등에 경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푸시 허브(200)와 연동하여 연결을 개시하고,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는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 쿼리(Query)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서비스 데이터가 갱신되면 갱신 데이터를 푸시 허브(200)로 푸시 방식으로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푸시 방식으로 해당 오퍼레이터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혹은, 해당 단말로 직접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30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푸시 허브(200)로 전송한다.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메시지 PDU, 단말 식별정보, 푸시 허브(200) 식별정보, 회신 플래그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시지 PDU는 단말에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 메시지를 전송할 응용 프로그램을 구분하기 위한 응용 식별자를 말하고, 회신 플래그는 푸시 서비스에 대한 회신의 필요 여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식별정보는 MAC address, IMEI 등 기기에 할당되는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카카오 톡, 마이피플, 네이버 라인, 네이트온톡 등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웹(Web) 또는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에 기반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갱신 데이터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무선 마크업 언어(WML: Wireless Markup Language)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의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구성되면, 사용자 단말(300)의 푸시 에이전트(330)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장치(100) 중 하나의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임의로(Random) 또는 일정한 접속 규칙에 따라 접속하여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푸시 허브(200)는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들을 가입자로 하는 오퍼레이터들을 확인한다. 푸시 허브(200)는 확인된 오퍼레이터들 중에서 푸시장치가 있는 오퍼레이터의 경우 해당 푸시장치로 해당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푸시장치가 없는 오퍼레이터의 경우 상기 푸시 허브(200)는 해당 사용자 단말(300)로 직접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푸시 메시지 전송 신호는 단말 식별정보들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푸시 허브(200)는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된 것을 확인한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서 재가입 혹은 재인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 허브(200)는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된 것을 확인한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100) 가입자 정보 변경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 변경 사실을 통보 받은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에게 서비스 재가입 혹은 재인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허브(2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변경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허브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허브(200)는 통신부(210), 가입자정보 DB(230), 푸시 메시지 전송처리부(22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서비스 제공장치(100), 오퍼레이터의 푸시장치,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망,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가입자정보 DB(230)에는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가 저장되며, 가입된 서비스의 가입 ID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식별정보 혹은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 서비스 제공장치(10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으로 사용자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안내하여, 사용자 단말(300)에서 재가입 혹은 재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가입자정보 DB(23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 혹은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 측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 혹은 전화번호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300)의 망 공급자인 오퍼레이터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오퍼레이터는 푸시 허브(200)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경고하고,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가입자정보 변경 사실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 측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 혹은 전화번호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는 푸시 에이전트(330)에 의해서도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푸시 에이전트(330)는 푸시 허브(200)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경고하고,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가입자정보 변경 사실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 측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가입자정보 변경이 확인된 사용자 단말(300) 측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재인증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리셋하도록 서비스 리셋 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40)는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오퍼레이터가 푸시장치를 구비한 경우, 푸시 메시지 전송처리부(220)는 해당 푸시장치로 해당 단말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가입 ID, 즉, 가입 ID가 가입자정보 DB(230)에 저장된 가입 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단말(300) 측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가입 ID, 즉, 가입 ID가 가입자정보 DB(230)에 저장된 가입 ID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100) 측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통보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가입자 정보가 변경된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에게 서비스 재가입 혹은 재인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제어블럭도이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복수개의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푸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앱(310)과, 서비스 앱(310)과 연동하여 푸시 허브(200) 측에 연결을 요청하는 푸시 에이전트(330) 및 USIM(320)을 포함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푸시 허브(200) 측에 연결을 요청하고, 푸시 허브(200)로부터 수신된 푸시 메시지를 표시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푸시 허브(200) 측에 연결을 요청할 시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상호 매칭하여 저장한다. 푸시 에이전트(330)는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푸시 허브(200) 등에 경고할 수 있다.
USIM(320)은 사용자 단말(300)의 통신망 이용을 위한 각종 정보들과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된다. 특히, USIM(320)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푸시 에이전트(330)에 전화번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USIM(320)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의 단말 식별정보는 그대로이나 전화번호 정보는 변경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정보 DB(230)의 데이터 저장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변경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3명의 가입자가 전화번호가 저장된 USIM을 상호 교체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정보 DB(230)에는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및 가입된 서비스의 가입 ID가 저장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입자의 전화번호는 USIM에 저장될 수 있다.
각 가입자의 단말 ID는 A, B, C 이고, 이는 각 단말의 MAC address, IMEI 등 기기에 할당되는 고유한 정보를 뜻한다.
가입자 단말에 장착된 USIM에는 각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단말 A에는 전화번호 123이 저장된 USIM이 장착되고, 단말 B에는 전화번호 456이 저장된 USIM이 장착되며, 단말 C에는 전화번호 789가 저장된 USIM이 장착된다. 여기서, 단말 A와 단말 B에는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단말 C에는 서비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후, 단말 A의 USIM을 단말 B에 장착하는 경우 단말 B의 단말 식별정보는 그대로 "B"로 유지되나 전화번호는 456에서 123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가입자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말 A의 USIM을 단말 B에 교체하여 장착하면(S110), 단말 B의 푸시 에이전트(330)가 가입자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여 푸시 허브(200)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알릴 수 있다(S112). 여기서, 가입자정보 변경 사실은 단말에 설치된 푸시 에이전트(330)가 전달하거나, 푸시 허브(200)에서 단말 B로부터 단말정보와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가입자정보의 변경 사실을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오퍼레이터나 통신사 서버, 대리점 등에서 푸시 허브(200) 측에 가입자정보의 변경 사실을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입자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한 푸시 허브(200)는 단말 A의 서비스 앱과 단말 B의 서비스 앱 모두에게 가입자정보 변경사실을 경고한다(S114, S118). 여기서, 푸시 허브(200)는 가입자정보 변경사실을 단순 경고하거나, 재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혹은, 기존에 저장된 서비스 앱의 사용자 정보를 리셋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입자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한 푸시 허브(200)는 서비스 제공장치(100)에도 가입자정보 변경사실을 경고할 수 있다(S116). 즉, 가입자정보가 변경된 경우 푸시 허브(200)는 단말과 서비스 제공장치(10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가입자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경고할 수 있다. 이에, 가입자 정보 변경 사실을 통보 받은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에게 서비스 재가입 혹은 재인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단말 A의 사용자와 단말 B의 사용자는 각각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앱의 재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6, S118).
한편, 단말 B의 USIM을 서비스 앱이 설치되지 않은 단말 C에 장착하는 경우, 단말 B의 푸시 에이전트(330)가 가입자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여 푸시 허브(200)에 가입자정보 변경을 알릴 수 있으며, 혹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가입자 정보 변경 사실이 푸시 허브(2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단말 C에는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접속하여 단말 C의 고유ID 및 USIM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456을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등록하여 푸시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단말을 교체하거나 가입자 단말의 USIM 카드가 교체되어 가입자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푸시 허브가 가입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함으로써, 가입자의 단말 교체 시 푸시 메시지가 오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서비스 제공장치 200 : 푸시 허브
210 : 통신부 220 : 푸시 메시지 전송처리부
230 : 가입자정보 DB 240 : 제어부
300 : 사용자 단말 310 : 서비스 앱
330 : 푸시 에이전트 320 : USIM
400 : 서비스 제공 장치

Claims (14)

  1.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푸시 에이전트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허브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장치 중 적어도 한 측에 가입자 정보변경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가입자의 가입 ID가 저장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및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단말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푸시 메시지 전송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푸시 허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가입한 사용자의 가입 ID 중 어느 하나라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상기 가입자정보의 변경사실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허브.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식별정보는,
    맥 어드레스와 단말의 기기번호(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허브.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는,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허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전화번호, USIM코드(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사용자의 가입 ID중 하나라도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허브.
  9.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서비스 앱;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전화번호가 저장된 USIM;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와의 접속 시 단말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상호 매칭하여 송신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가입자 정보변경을 경고하는 푸시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0. (a) 사용자 단말에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신호를 푸시 허브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푸시 허브에서 기 저장된 상기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11. (a) 사용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상기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경고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푸시 허브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리셋하거나, 가입자 정보에 대해 재인증을 요청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방법.
  12. (a)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와 서비스 제공장치의 가입 ID를 저장하여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설정되었던 이전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 식별정보에 현재 설정된 전화번호에 각각 가입자 정보변경을 안내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허브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단말 식별정보 및 전화번호와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허브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가입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의 가입 ID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허브의 제어방법.
KR1020120093691A 2012-08-16 2012-08-27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691A KR101771617B1 (ko) 2012-08-27 2012-08-27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6885 WO2014027772A1 (ko) 2012-08-16 2013-07-31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691A KR101771617B1 (ko) 2012-08-27 2012-08-27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38A KR20140027738A (ko) 2014-03-07
KR101771617B1 true KR101771617B1 (ko) 2017-08-31

Family

ID=5064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691A KR101771617B1 (ko) 2012-08-16 2012-08-27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211B1 (ko) * 2014-03-17 2020-10-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의 메신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746B1 (ko) * 2011-12-15 2012-07-18 (주)다우기술 푸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746B1 (ko) * 2011-12-15 2012-07-18 (주)다우기술 푸시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738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832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registration
US8443059B2 (en) Configuring a client application
US20150319613A1 (en) Co-Activation For Authenticating A User's Registration
US20050272455A1 (en) Management of devices
US20040005875A1 (en) Method of furnishing illegal mobile equipment user information
JP2019525549A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装置のリモートプロビジョニングのための方法
JP4648381B2 (ja) ハードウェア部分をアドレス指定することにより移動機へ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9673004B (zh) 终端获取集群业务服务器地址的方法及设备
US8396469B2 (en) Association of a mobile user identifier and a radio identifier of a mobile phone
US20100177751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content over a local wireless system
KR101771617B1 (ko)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4540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타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54389B1 (ko) 애플리케이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78914A1 (en) System and method of delivering content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9674706B2 (en) Database coordinator processor and method for providing certification information
KR101377947B1 (ko) 브로드캐스트 로밍 방법, 그 시스템 및 그 단말
KR101832366B1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69243B1 (ko) 푸쉬 중개 시스템 및 단말
CN10408180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有效地递送短消息服务的装置和方法
KR102296080B1 (ko) 5g sa 코어망 장애 발생 시의 서비스 복구 방법
JP534744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移動機位置管理方法
KR20090120210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86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인증 방법 및 장치
EP1345403B1 (en) Billing a subscriber station without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CN117319930A (zh) 通信服务切换和请求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