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05B1 -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05B1
KR101771505B1 KR1020160082868A KR20160082868A KR101771505B1 KR 101771505 B1 KR101771505 B1 KR 101771505B1 KR 1020160082868 A KR1020160082868 A KR 1020160082868A KR 20160082868 A KR20160082868 A KR 20160082868A KR 101771505 B1 KR101771505 B1 KR 10177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inker
hinge shaft
seatback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인석
정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16008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6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back of a vehicle sea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back of a vehicle seat, capable of maintaining a horizontal angle of an armrest, which is pivotally coupled to a lateral surface of the seat back, to a cushion unit by interlocking the armrest and the pivotal rotation of the seat back by a linker when rotating the seat back around the cushion unit with the linker having multiple joints. The vehicle seat includes: the cushion unit supporting the hips of a passenger; the seat back supporting the back of a passenger; a recliner hinge-coupled between the cushion unit and the seat back and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around the cushion unit; and the armrest hinge-coupled to the lateral surface of the seat back. The linker is coupled between the recliner and the hinge shaft of the armrest. Thus, the linker regularly maintains the angle of the armrest to the cushion unit while interlocking the hinge shaft of the armrest and the recliner when the seat back rotates.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회전시 복수의 관절로 구성된 링커를 통해 암레스트긔 수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To an angle adjusting device.

차량의 실내에는 탑승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탑승자가 팔을 기대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구비된다.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for the passenger. One of them is provided with an armrest so that the occupant can lean his / her arm and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이러한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승객이 장시간 탑승으로 인한 팔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ch an armrest is intended for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occupant,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the fatigue of the arm caused by the occupant for a long time.

특히, 이러한 암레스트는 승용차 외에 특수한 목적을 갖는 특수 차량, 예컨대 트랙터, 기중기, 지게차 등의 급격한 출발 주행,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시 운전가가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Particularly, such a crown restraint serves to prevent a sudden start of a special vehicle having a special purpose other than a passenger car, such as a tractor, a crane, and a forklift, or sudden turning of the driver in sudden turning or sudden braking.

이러한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10)는 통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암레스트(10) 전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며 올리거나 내려,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The armrest 10 of this vehicle seat is generally rotatably engaged at one end to the seatback 20 as shown in Fig. 1, and manually rotates the entire armrest 10 around the mating portion, Or down, and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이는 암레스트(10)를 시트(30)에 대해 수직 상태로 올려 해당 시트(30)에 착석하거나 내리고자 하는 탑승자의 이동 동선 확보와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암레스트(10)를 수평 상태로 내려 해당 시트(30)에 착석한 탑승자의 팔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This can raise the armrest 10 to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30 so as to secure the movement line of the occupant who wishes to sit on the seat 30 or to lower the armrest 10 and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So that the arm of the occupant seated on the seat 30 can be naturally supported.

하지만 이러한 암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red in the armrests.

첫째, 탑승자 승,하차시 시트백(2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을 시트의 전방으로 폴딩시키는 경우, 암레스트(10)가 차량 바닥에 간섭되거나 충돌되는 문제가 있었다.First, in order to avoid the interference of the seat back 20 at the time of boarding and getting off, when the seat back 20 is folded forward of the seat as shown in FIG. 2A, the armrest 10 is interfered or collided with the vehicle floor There was a problem.

물론, 시트백(20)을 폴딩시키기 전, 암레스트(10)를 미리 회동하여 시트백(20)을 폴딩시키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무심코 부주의하게 시트백(20)을 폴딩시키는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re is no problem in folding the seat back 20 by pivoting the armrest 10 before folding the seat back 20. However, when the seat back 20 is inadvertently folded inadvertently, You can.

둘째, 탑승자의 탑승 편의를 위해 시트백(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 각도 조절시 암레스트(10)의 각도도 함께 조절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Secondly, the angle of the seat back 2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 back 20 for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However, as shown in FIG. 2B, there was.

즉, 시트백(20) 각도 조절시 암레스트(10) 각도를 추가로 조정해야함으로써, 탑승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angle of the armrest 10 must be further adjusted when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 back 20,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ture of the occupant.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423774Korea Registration No. 10-142377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백 각도 조절시, 복수의 링커를 통해 암레스트와 리클라이너가 서로 연동되어 암레스트가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 편의성을 높인 차량의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mrest and a recliner, which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linkers, And to provide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improved angle adjusting 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쿠션부와 시트백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부를 기준으로 시트백이 회전되도록 한 리클라이너와, 시트백의 측면에 힌지축 결합된 암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시트가 마련되고, 상기 리클라이너와 암레스트의 힌지축 사이에는 링커가 결합되어, 시트백 회전시 링커가 리클라이너와 암레스트의 힌지축을 연동시키면서 쿠션부에 대한 암레스트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리클라이너는 쿠션부의 전,후로 설치된 전방 리클라이너 및 후방 리클라이너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된 힌지축은 전방 힌지축 및 후방 힌지축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링커는, 한 쌍의 리클라이너 사이에 결합된 베이스링커;상기 한 쌍의 힌지축 사이에 결합된 커넥터 링커;상기 전방 리클라이너와 전방 힌지축 사이에 결합된 아웃풋 링커;상기 후방 리클라이너와 후방 힌진축 사이에 결합된 인풋 링커:로 구성되며, 상기 암레스트의 일단부는 후방 힌지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암레스트와 전방 힌지축 사이에는 탈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는 탈착수단을 통해 전방 힌지축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reclining apparatus comprising: a cushion portion for supporting a hip portion of a rider; a seatback for supporting a rider's back; a recliner hinge coupled betwee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eat back, And a hinge shaft which is hinge-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at back, wherein a linker is engaged between the recliner and the hinge shaft of the armrest, and when the seatback is rotated, the linker is engaged with the hinge shaft of the recliner and the armrest And the angle of the armrest relative to the cushion portion is kept constant while the shafts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recliner is provided in a pair of a front reclining and a rear recliner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cushion portion, and a hinge shaf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Wherein the link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axle and rear hinge shafts, A connector linker coupled between the pair of hinge shafts, an output linker coupled between the front recliner and the front hinge shaft, and an input linker coupled between the rear recliner and the rear hinge shaft, Wherein the one end of the rest is axially coupled to the rear hinge shaft and a detachment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armrest and the fron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hinge shaft through a detachment means. Thereby providing an angle adjusting device.

삭제delete

이때, 상기 인풋 링커는 시트백에 고정되고, 상기 암레스트는 한 쌍의 힌지축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linker is fixed to the seatback, and the armrest is coupled to the pair of hinge shafts.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해 리클라이너를 중심으로 시트백 회전시, 암레스트가 시트백과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는 쿠션부에 대하여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First, when the seat back is rotated around the reclin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the armrest is interlocked with the seat back so that the armrest can be kept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즉, 시트백의 각도에 관계없이 암레스트는 쿠션부에 대하여 항상 수평을 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seat back, the armrest can always be level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이에 따라, 시트백 폴딩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트백 각도 변화에 따라 탑승자의 팔 안착 부위에 대한 각도가 가변되지 않으므로, 탑승자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 when the seat back folding occurs, and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arm rest portion of the occupant is not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tback ang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s armrest angle adjustment .

둘째, 시트백과 암레스트 간에 연동수단이 4절링크로 마련됨으로써, 시트백과 암레스트 연동을 위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interlocking means between the seat back and the armrest is provided as a four-bar link, the configuration for interlocking the seat back and the armrest can be simplified.

즉, 시트백과 암레스트 간에 연동을 위한 구성에 있어서, 4개의 링커 구성으로 인해 기계적 장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질 필요가 없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figuration for interlocking between the seat back and the armrest, the mechanical device configuration need not be complicated due to the four linker configurations.

이에 따라, 시트백과 암레스트 연동 구성을 위한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installation cost for the interlocking between the seat back and the armrest can be reduced.

셋째, 암레스트가 링커에 결합되어 시트백 회전시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암레스트의 일단부는 후방 힌지축에 결합되고 전방 힌지축과 암레스트 간에는 탈착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암레스트는 후방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Third, the armrest is coupled to the linker to be interlocked when the seatback rotates. One end of the armrest is coupled to the rear hinge shaft, and a detachment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hinge shaft and the armrest, So that it can be turned upwards.

이에 따라, 탑승자가 암레스트를 전방 힌지축에 탈착시키면서 쿠션부에 대한 암레스트 간섭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탑승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occupant can release the armrest to the cushion portion while detaching the armrest to the front hinge shaf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boarding the occupant.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회전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가 탈착수단을 통해 전방힌지축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가 탈착수단을 통해 전방힌지축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 시트의 시트백 회전에 따라 암레스트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mrest operating state of a general vehicle seat;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blem in a seat back rotation in a conventional vehicle seat;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at back of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forward;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of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front hinge shaft through an attaching / detaching means and rotated upwar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of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a front hinge shaft through an attaching / detaching means and rotated upward.
7 and 8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mrest angle is kept constant according to a seatback rotation of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attached hereto.

시트백 연동형 각도 조절장치는 쿠션부의 리클라이너를 기준으로 시트백 회전시 암레스트도 연동되도록 하되, 복수의 링커를 통해 연동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adjusting device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armrest is interlocked with the recliner of the cushion portion when the seatback is rotated with reference to the recliner, and the inter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linkers.

이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에 관계없이 암레스트는 쿠션부에 대하여 수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트백 폴딩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암레스트 각도 조절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angle of the seat back, the armrest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so that the seat back folding a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convenience for the armrest angle adjusting operation can be enhanced.

차량용 시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30)와, 시트백(20)과, 암레스트(10)와, 시트백 연동형 각도 조절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vehicle seat includes a cushion portion 30, a seat back 20, an armrest 10, and a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ngle adjusting device 100. As shown in Fig.

쿠션부(30)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며, 승차감의 피로도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쿠션으로 구성된다.The cushion portion 30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occupant and is formed of a cushion to relieve the fatigue of the ride feeling.

다음으로, 시트백(20)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로서, 쿠션부(30)의 후단부에 세워지게 배치된다.Next, the seatback 20 is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ssenger, and is disposed so as to stand on the rear end of the cushion portion 30.

이때, 시트백(20)도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back 20 also includes a cushion.

다음으로, 암레스트(10)는 탑승자의 팔을 지지하여, 탑승자의 탑승 상태를 편안하게 유지시키며, 시트백(20)의 양측면에 힌지축(21) 결합된다.Next, the armrest 10 supports the arm of the occupant, and keeps the occupant in a comfortable state, and the hinge shaft 21 is engaged with both sides of the seatback 20.

힌지축(21)은 암레스트(10)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서 시트백(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시트백(20) 측면의 전,후로 복수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shaft 21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0 as a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armrest 10 and that a plurality of hinge shafts 21 ar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0.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링커의 구성이 4관절 링커로 마련된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기 힌지축(21)은 시트백(20) 측면의 전,후 방향으로 2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er is provided with a four-link linker as described below.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wo hinge shafts 21 are provi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0.

이때, 설명의 편의상, 시트백(20) 측면의 전방측에 설치된 힌지축(21)을 전방 힌지축(21a)이라 하고, 시트백(20) 측면의 후방측에 설치된 힌지축(21)을 후방 힌지축(21b)이라 한다.The hinge shaft 21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of the seatback 20 is referred to as a front hinge shaft 21a and the hinge shaft 21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of the seatback 20 is referred to as a rear hinge shaft 21a, (21b).

이때, 전방 힌지축(21a)은 시트백(20)의 측면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hinge shaft 21a is preferably protruded outwardly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0.

이는 후반 힌지축(21b)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암레스트(10)가 상기 전방 힌지축(21a)의 돌출 형성된 부위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armrest 10, which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axis 21b, to be detached from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front hinge shaft 21a.

즉, 암레스트(10)가 전방 힌지축(21a)에 결합되면 후술하는 링커와 연동되어 수평을 유지하고, 전방 힌지축(21a)으로부터 암레스트(10)가 분리되면, 후방 힌지축(21b)을 기준으로 암레스트(10)를 상방으로 젖힐 수 있으므로 쿠션부(30) 탑승시 암레스트(10) 간섭이 없어져 편리하게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armrest 10 is detached from the front hinge shaft 21a, the rear hinge shaft 21b is coupled to the front hinge shaft 21a, The armrest 10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cushion portion 30 when boarding the cushion portion 30, so that the boarding and landing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이때, 전방 힌지축(21a)과 암레스트(10) 간에 탈착은 탈착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attachment / detachment between the front hinge shaft 21a and the armrest 10 is performed through the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다음으로, 시트백 연동혁 각도 조절 장치(100)는 시트백(20) 회동시 암레스트(1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쿠션부(30)와, 시트백(20) 및 암레스트(10)에 걸쳐 설치된다.Next, the seatback interlocking angle adjusting device 100 serves to interlock the armrest 10 when the seatback 20 is rotated, and the seatback 20 interlocks with the cushion 30, the seatback 20 and the armrest 10 Respectively.

시트백 연동형 각도 조절 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0)와, 링커(120)와, 탈착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5 and 6, the seatback interlock type angle adjusting device 100 includes a recliner 110, a linker 120, and an attaching / detaching means 130.

리클라이너(110)는 쿠션부(30)를 기준으로 시트백(20)의 회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쿠션부(30)의 후단부와 시트백(20)의 하단부 사이에 설치된다.The recliner 110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ushion portion 30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back 20 as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seatback 20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30.

이때, 리클라이너(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30)의 전,후 방향으로 한 쌍으로 마련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recliner 110 is provided in a pai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ushion part 30. [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쿠션부(30)의 전방측에 설치된 리클라이너는 전방 리클라이너(111)라 하고, 전방 리클라이너(111)의 후방에 설치된 리클라이너는 후방 리클라이너(112)라 한다.The reclin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30 is referred to as a front recliner 111 and the recliner provided behind the front recliner 111 is referred to as a rear recliner 112. In this case, .

상기 리클라이너(110)가 한 쌍으로 마련된 이유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링커(120)를 이용한 연동 작용에 있어서, 4개의 링커를 이용한 최적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이며, 리클라이너(110) 개수는 링커(120)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recliner 110 is provided as a pair is to explain an optimum embodiment using four linkers in the interlocking operation using the linker 120 which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cliner 110 )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linkers 120.

그리고, 상기 링커(120)는 시트백(20) 회동시 암레스트(1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암레스트(10)와 리클라이너(110) 사이에 설치된다.The linker 120 interlocks the armrest 10 when the seatback 20 is rotated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armrest 10 and the recliner 110.

이때, 링커(12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최적의 개수인 4개의 링커(120)로 구성된 4절 링커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linkers 12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four-linker composed of four linkers 120, which is an optimal numb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링커(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며, 마주하는 2쌍으로 구성된다.The linker 120 is composed of four pairs as described above, and is composed of two pairs facing each other.

상기 링커(120)는 베이스 링커(121)와, 커넥터 링커(122)와, 인풋 링커(123)와, 아웃풋 링커(124)로 구성된다.The linker 120 includes a base linker 121, a connector linker 122, an input linker 123, and an output linker 124.

베이스 링커(121)는 링커(120)의 하부를 구성하며, 시트백(20) 회전시 기준이 되는 구성이다.The base linker 121 constitutes the lower portion of the linker 120 and serves as a reference when the seatback 20 is rotated.

베이스 링커(121)는 한 쌍의 리클라이너(110) 사이에 결합된다.The base linker 121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recliners 110.

커넥터 링커(122)는 시트백(20)과의 연동시, 암레스트(1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암레스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connector linker 122 serves to keep the armrest 10 horizontal when interlocked with the seatback 20 and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10. [

이때, 커넥터 링커(122)는 시트백(20)의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축(21)에 축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linker 122 is axially coupled to the pair of hinge shafts 2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0.

인풋 링커(123)는 시트백(20) 회전시 커넥터 링커(122)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시트백(2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input linker 123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onnector linker 122 when the seat back 20 is rotated, and is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t back 20.

인풋 링커(123)는 시트백(20)의 높이 방향으로 고정되되, 후방 힌지축(21b)과 후방 리클라이너(112) 사이에 설치된다.The input linker 123 is fix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tback 2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hinge shaft 21b and the rear recliner 112. [

아웃풋 링커(124)는 4절링커(120)의 설치각을 유지시키며, 전방 힌지축(21a)과 전방 리클라이너(111) 사이에 설치된다.The output linker 124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hinge shaft 21a and the front recliner 111 while maintain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four-fold linker 120.

상기한 4절 링커(120)는 4개의 각 링커들로 구성되며, 그들의 설치 형태는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The four-fold linker 120 is composed of four linkers, and their installation forms are rectangula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트백(20)에 고정된 인풋 링커(123)가 시트백(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면, 암레스트(10)가 결합된 힌지축(21)에 연결된 커넥터 링커(122)를 연동시키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절 링커(120)의 형태를 직사각형에서 평행사변형으로 가변시키게 된다.When the input linker 123 fixed to the seatback 2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atback 20, the connector linker 122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21 to which the armrest 10 is coupled, The shape of the four-fold linker 120 is changed from a rectangular shape to a parallelogram shape, as shown in FIG.

이러한 작용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scription of this operation will be given later.

그리고, 탈착수단(130)은 암레스트(10)를 전방 힌지축(21a)에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detachment means 130 serves to detach the armrest 10 to the front hinge shaft 21a.

암레스트(10)의 후단부가 후방 힌지축(21b)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수단(130)을 통해 암레스트(10)가 전방 힌지축(21a)에만 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상기 암레스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힌지축(21b)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Since the armrest 10 can be detached only to the front hinge shaft 21a through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130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armrest 10 is fixed to the rear hinge shaft 21b, As shown in Fig. 5, the rear hinge shaft 10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being turned upwards with respect to the rear hinge shaft 21b.

이는, 암레스트(10)가 힌지축(21)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을 경우, 시트백(20)과의 연동은 가능하겠지만, 암레스트(10)를 항상 수평으로 유지시켜 쿠션부(30)를 간섭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탑승자의 탑승과정이 불편해질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이 탈착수단(130)을 통해 암레스트(10)를 상방으로 젖힐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탑승자의 승차 과정이 원활해질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when the armrest 10 is fully engaged with the hinge shaft 21, interlocking with the seatback 20 is possible, but the armrest 10 is always held horizontally to interfere with the cushion 30 The armrest 10 can be tilted upwards through the attaching / detaching means 13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iding process of the passenger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때, 탈착수단(130)의 구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 힌지축(21a)과 암레스트(10) 사이에 자석을 설치하여 마련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결합 구성을 통해 마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of the detachment means 130 is not limited,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hinge shaft 21a and the armrest 10, and as shown in FIG. 6, It can be arranged through.

즉, 전방 힌지축(21a)을 시트백(20)의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전방 힌지축(21a)에 대응되는 암레스트(10)의 부위에는 전방 힌지축(21a)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1)을 형성하는 것이다.The front hinge shaft 21a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seatback 20 and the front hinge shaft 21a is fitted to the seat portion 20a at a portion of the armrest 10 corresponding to the front hinge shaft 21a. Thereby forming the groove 11.

이에 따라, 간편한 탈착작용을 통해, 암레스트(10)를 시트백 각도 연동 조절 메카니즘에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armrest 10 can be detached from the seat back angle interlocking adjustment mechanism through a simple detachment action.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 회동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eatback pivoting action of the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seat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차량 시트의 최초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쿠션부(30)를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다.3 shows the initial state of the vehicle seat. In this state, the seat back 20 is rotated forward as shown in Fig. 4 with the cushion portion 30 as a reference.

이와 같은 동작은 뒷좌석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백(20)의 공간 간섭을 회피시켜주는 동작이다.This operation is an operation for avoiding the spatial interference of the seatback 20 so that a person can ride on the back seat.

이때, 후방 리클라이너(112)를 기준으로 인풋 링커(123)가 회전되며, 시트백(20)은 인풋 링커(123)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인풋 링커(123)와 함께 후방 리클라이너(112)를 기준으로 회전된다.At this time, since the input linker 123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ear recliner 112 and the seatback 20 is fixed to the input linker 123, the rear link recliner 112, together with the input linker 123, .

이때, 커넥터 링커(122)는 인풋 링커(123)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밀려나는데, 아웃풋 링커(124)에 의해 커넥터 링커(122)의 수평각은 유지된 상태로 움직인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linker 122 is pushed forward by interlocking with the input linker 123, and the horizontal link angle of the connector linker 122 is maintained by the output linker 124.

이때, 커넥터 링커(122)는 한 쌍의 힌지축(2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21)에는 암레스트(1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링커(122) 유동시 암레스트(10) 역시 커넥터 링커(122)와 함께 수평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움직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linker 122 is connected between the pair of hinge shafts 21, and the armrest 10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21. Therefore, when the connector linker 122 is moved, The connector linker 122 moves forward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angle.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을 전방으로 완전히 폴딩시키더라도, 암레스트(10)는 자동으로 쿠션부(3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트백(20) 폴딩시 주변 구조물과 간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7, even if the seat back 20 is completely folded forward, the armrest 10 is automatically levele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30, No interference with the structure will occur.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백(20)을 젖혀 탑승자의 착석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시트백(20)을 도면상 좌측으로 회전시킨다.8, when the seatback 20 is tilted to adjust the occupant's seating angle, the seatback 20 is rotat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이 과정에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20)의 각도는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데, 시트백(20)을 어떠한 각도로 가변시키더라도, 링커(120)에 의한 시트백(20)과 암레스트(10)의 연동 작용으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0)는 쿠션부(30)에 대하여 수평각을 유지하게 된다.The angle of the seat back 20 varies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in this process. Even if the seat back 20 is changed at any angle, the seatback 20 and the armrest 10, The armrest 10 maintains the horizont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ortion 30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탑승자는 편안한 착석감을 느낄 수 있으며, 별도의 암레스트(10) 각도 조절 동작 없이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는 암레스트(10)로 인해 암레스트 각도 조절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occupant can feel a comfortable sitting feeling, and the convenience of adjusting the armrest angle can be improved by the armrest 10, which is automatically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position without any additional angl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rmrest 1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시트백 회동시 암레스트가 연동되는 링커를 마련하되 시트백의 각도에 관계없이 암레스트는 쿠션부에 대하여 수평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 back interlocking type armrest angl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nker in which the armrest is interlocked when the seatback is rotated, so that the armrest can maintain a horizont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part, There is one technical feature.

이에 따라, 시트백 각도 조절에 대한 암레스트 각도 조절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armrest angle adjusting operation for the seatback angle adjust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암레스트 11 : 끼움홈
20 : 시트백 21 : 힌지축
21a : 전방힌지축 21b : 후방힌지축
30 : 쿠션부 100 : 시트백 연동형 각도조절장치
110 : 리클라이너 111 : 전방 리클라이너
112 : 후방 리클라이너 120 : 링커
121 : 베이스 링커 122 : 커넥터 링커
123 : 인풋 링커 124 : 아웃풋 링커
130 : 탈착수단
10: armrest 11: fitting groove
20: Seat back 21: Hinge shaft
21a: front hinge shaft 21b: rear hinge shaft
30: Cushion part 100: Seatback interlock type angle adjusting device
110: Recliner 111: Front recliner
112: rear recliner 120: linker
121: base linker 122: connector linker
123: input linker 124: output linker
130: Desorption means

Claims (4)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부와,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쿠션부와 시트백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부를 기준으로 시트백이 회전되도록 한 리클라이너와, 시트백의 측면에 힌지축 결합된 암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시트가 마련되고,
상기 리클라이너와 암레스트의 힌지축 사이에는 링커가 결합되어, 시트백 회전시 링커가 리클라이너와 암레스트의 힌지축을 연동시키면서 쿠션부에 대한 암레스트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리클라이너는 쿠션부의 전,후로 설치된 전방 리클라이너 및 후방 리클라이너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된 힌지축은 전방 힌지축 및 후방 힌지축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링커는,
한 쌍의 리클라이너 사이에 결합된 베이스링커;상기 한 쌍의 힌지축 사이에 결합된 커넥터 링커;상기 전방 리클라이너와 전방 힌지축 사이에 결합된 아웃풋 링커;상기 후방 리클라이너와 후방 힌진축 사이에 결합된 인풋 링커:로 구성되며,
상기 암레스트의 일단부는 후방 힌지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암레스트와 전방 힌지축 사이에는 탈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는 탈착수단을 통해 전방 힌지축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A reclining unit hinged between the cushion unit and the seat back to allow the seatback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unit; an arm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at back by a hinge shaft, the seat cushion including a cushion unit for supporting the buttocks of the occupant, A vehicle seat comprising a rest is provided,
A linker is coupled between the recliner and the hinge axis of the armrest so that the linker interlocks with the hinge axis of the recliner and the armrest when the seatback is rotated so that the angle of the armrest relative to the cushion portion is maintained constant,
Wherein the recliner is provided in a pair of a front reclining and a rear reclining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cushion,
A hinge shaf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is provided as a pair of a front hinge shaft and a rear hinge shaft,
The linker includes:
A base linker coupled between the pair of recliners, a connector linker coupled between the pair of hinge axes, an output linker coupled between the front recliner and the front hinge axis, A combined input linker:
One end of the armrest is axially coupled to the rear hinge shaft,
And a detachment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armrest and the front hinge shaft so that the armres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hinge shaft through the detachment mean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 링커는 시트백에 고정되고, 상기 암레스트는 한 쌍의 힌지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연동형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linker is fixed to the seatback, and the armrest is coupled to the pair of hinge shafts.









삭제delete
KR1020160082868A 2016-06-30 2016-06-30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KR101771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868A KR101771505B1 (en) 2016-06-30 2016-06-30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868A KR101771505B1 (en) 2016-06-30 2016-06-30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505B1 true KR101771505B1 (en) 2017-08-25

Family

ID=5976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868A KR101771505B1 (en) 2016-06-30 2016-06-30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0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782A (en) * 2007-03-16 2008-10-02 Aisin Seiki Co Ltd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8782A (en) * 2007-03-16 2008-10-02 Aisin Seiki Co Ltd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7353B (en) Seat capable of inclining backwards
JP5396978B2 (en) Vehicle seat
JP2010036892A (en) Seat for automobile
KR101771505B1 (en) A seat-back interlocking type angle controlling device of a vehicle
US11052787B2 (en) Seat adjustment mechanism
US11708013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JP6041618B2 (en) Seat device
GB2292676A (en) Reclinable seat for passenger-carrying vehicles
US9402480B2 (en) Adjustable seat assembly
KR20220036002A (en) Structure of seat chair seat having under supporting
KR101407262B1 (en) Tilt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2338310B1 (en) Seat for vehicle
US11820257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JP7431551B2 (en) Railway vehicle seats
CN114851924B (en) Zero gravity seat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366118B1 (en) Seat-back having Shoulder Adjuster
US9132757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head restraint
KR200144425Y1 (en) Car seat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angle of the headrest
KR200140918Y1 (en) Device of adjusting a seat cushion
JP2008043521A (en) Seat back folding/reclining type automobile seat
KR20240021384A (en) Armrest device with level maintenance function
JP2023004166A (en) Vehicular seat
JP2022158430A (en) Vehicular seat device
JP2007210391A (en) Seat installing structure of vehicle
KR100292865B1 (en) Device for controlling cushion of rear seat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