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349B1 -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349B1
KR101771349B1 KR1020160029046A KR20160029046A KR101771349B1 KR 101771349 B1 KR101771349 B1 KR 101771349B1 KR 1020160029046 A KR1020160029046 A KR 1020160029046A KR 20160029046 A KR20160029046 A KR 20160029046A KR 101771349 B1 KR101771349 B1 KR 10177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tate
power plant
nuclear power
screen mod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승
최문재
김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운전 상태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부는 운전 상태가 핵연료 집합체와 관련된 제1 운전 상태이면 제1화면 모드로 제어하고, 원자로 수위 조절과 관련된 제2 운전 상태이면 제2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핵분열 및 터빈 발전과 관련된 제3 운전 상태이면 제3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에 관한 계통의 표시방법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일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 비상운전 정보 서버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운전 상태 및 비상운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부는 일반 운전상태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일반 화면모드로 제어하고, 비상운전 상태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비상 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비상 운전 상태가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비상 화 면모드로 우선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소의 디스플레이부를 마련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이 아닐 경우, 운전원의 운전 상태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가 비상운전일 경우, 비상운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면 모드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LARG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ISPLAYING OPERATION STATUS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는 원자력발전소 전체 계통의 운전상태 및 안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를 포함하는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이 있다.
종래 대형정보표시반의 경우, 원자력발전소의 6가지 운 전모드(핵연료 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출력운전)을 포함하는 일반운전 상황뿐 아니라 비상운전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체 계통이 출력되는 화면으로 표시되고, 필요 시 각 상황에 필요한 정보를 수동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 공개 제2001-0076716호(2001년 08월 16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운전 상태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부는 운전 상태가 핵연료 집합체와 관련된 제1 운전 상태이면 제1화면 모드로 제어하고, 원자로 수위 조절과 관련된 제2 운전 상태이면 제2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핵분열 및 터빈 발전과 관련된 제3 운전 상태이면 제3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에 관한 계통의 표시방법이 상이한 것으로 달성된다.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을 포함하고, 제1 운전상태는 핵연료재장전을 포함하며, 제2 운전상태는 저온정지를 포함하고, 제3 운전상태는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된 계통이 확대 표시되며,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계통은 생략, 축소 및 음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비상운전 상태를 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운전 상태보다 우선하여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제4 화면모드로 제어하며, 제4화면모드에서는 비상운전 상태에 따라 운전되는 비상 계통으로만 설정될 수 있다.
비상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및 공학적안전설비 작동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일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 비상운전 정보 서버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된 운전 상태 및 비상운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부는 일반 운전상태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일반 화면 모드로 제어하고, 비상운전 상태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비상 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비상 운전 상태가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비상 화면 모드로 우선하여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반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기동, 출력운전 및 고온대기 중 어느 하나이며, 비상 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및 공학적안전설비 작동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 화면 모드는 각 운전 상태와 관련된 계통이 확대되며, 각 운전 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계통은 생략, 축소 또는 음영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원자력발전소의 디스플레이부를 마련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이 아닐 경우, 운전원의 운전 상태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가 비상운전일 경우, 비상운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면 모드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이 아닐 경우,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일 경우, 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또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사한 정상계통이 운전되는 상기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상태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동일한 구성의 화면으로 표시되며, 감시해야 할 관련 정보가 유사한 비상계통이 운전되는 상기 원자로정지 상태와 공학적 안전설비상태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자력발전소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은 저온 정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1)은, 운전원으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10), 원자력발전소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40) 및 입력된 운전 상태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프로세서부(30)는, 운전 상태가 핵연료 집합체와 관련된 제1 운전 상태이면 제1화면 모드로 제어하고, 원자로 수위 조절과 관련된 제2 운전 상태이면 제2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핵분열 및 터빈 발전과 관련된 제3 운전 상태이면 제3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에 관한 계통의 표시방법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일반운전 상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운전상태는 핵연료재장전을, 제2 운전상태는 저온정지를, 제3 운전상태는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운전 상태는 운전원이 원자력발전소의 각 계통의 반응도 조건(Keff), 정격열출력(%FP), 원자로 냉각재출구 모관온도(℃) 등을 파악하여 조작부(10)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 운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다양한 예시가 가능하다.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또한, 상기 기재된 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운전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면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의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에서 관련된 계통이 확대 표시되고,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계통은 생략, 축소 및 음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어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란, 현재 원자력발전소의 각 운전 상태에 있을 경우 해당 계통이 눈에 띌 수 있도록, 관련되지 않은 계통보다 일정 비율 이상 크게 표시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일정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며, 운전원이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계통의 경우, 디스플레이부(40)에 생략, 축소 및 음영으로 표시되는 것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원의 해당 계통만이 눈에 띌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화면표시시스템(1)은 외부로부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30)는 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비상운전 상태를 우선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운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운전 상태보다 우선하여 기초로 한다.
비상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및 공학적안전설비 작동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이 때, 수신된 비상운전 상태에 해당하는 제4 화면 모드로 표시되어, 비상운전 상태에 관한 상황 정보를 그 즉시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통해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원자력발전소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냉각재 수위를 RCS 배관의 중간 수위로 유지하면서 SG전열관 검사를 하거나, RCP Seal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Mid-Loop 운전상태 즉, 특정한 저온 정지 상태의 경우에는, RCS 계통의 노심 및 배관의 수위를 확인해야되는데, 이것은 도 2의 A 부분에 해당된다.
종래의 원자력발전소 대형정보표시시스템에서는 대형정보표시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계통의 전체가 디스플레이부의 한 화면에 표시되어 있어, 운전 상태를 파악하려면 전체 화면의 계통을 모두 확인하여야 하고, 디스플레이부의 일부에 표시되는 계통의 변화를 즉시 파악하기 어려웠다.
도 3은 도 2와 같은 Mid-Loop 운전의 저온 정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은 원자력발전소의 저온 정지 상태에서 최대 현안이 되는 RCS 계통의 단면도를 제시하고, 그 수위를 표시(도면의 색칠된 부분)함으로써, 종래의 화면(도 2)보다 운전원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저온 정지 상태를 표시하는 것은 도 3에서처럼 수위 표시에 제한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 옆에 수위를 숫자로 표시하거나, 수위 이외에 운전원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에 도시되는 각 운전 상태에 따른 화면의 구성은 제한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상황 및 운전 상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저온 정지 상태뿐 아니라 핵연료재장전,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등 다른 운전 상태도, 각 운전 상태에 현안이 되는 운전 변수들을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의 경우, 관련된 계통이 유사하여 디스플레이부(40)에 동일한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관련된 계통이 유사한 비상운전 상태인 원자로정지 및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상태 또한 디스플레이부(40)에 동일한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운전 상태를 알 수 있는 운전변수들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원자력발전소의 디스플레이부(40)를 마련하는 단계(S100),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이 아닐 경우, 운전원의 운전 상태에 대한 입력(S210)을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S300),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가 비상운전일 경우, 비상운전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면 모드(S230)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0)의 화면 구성이 변화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때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이 아닐 경우,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가 비상운전일 경우, 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또는 공학적 안전설비 작동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유사한 정상계통이 운전되는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상태는 적어도 둘 이상이 디스플레이부(40)에 동일한 구성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감시해야 할 관련 정보가 유사한 비상계통이 운전되는 원자로정지와 공학적 안전설비는 동일한 구성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1) 및 운전정보표시방법은, 대형정보표시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출력운전 및 비상운전 상태에서 각 가장 유용한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 운전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원의 운전 상태별 즉각 대응이 가능하고,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원으로부터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를 입력받는 조작부;
    원자력발전소의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및
    상기 입력된 운전 상태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모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운전 상태가 핵연료 집합체와 관련된 제1 운전 상태이면 제1화면 모드로 제어하고, 원자로 수위 조절과 관련된 제2 운전 상태이면 제2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핵분열 및 터빈 발전과 관련된 제3 운전 상태이면 제3화면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에 관한 계통의 표시방법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운전 상태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받은 비상운전 상태를 상기 운전원으로부터 입력받은 운전 상태보다 우선하여 기초로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4 화면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4화면모드에서는 상기 비상운전 상태에 따라 운전되는 비상 계통으로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상태는 핵연료재장전, 저온정지,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을 포함하고,
    제1 운전상태는 핵연료재장전을 포함하며,
    제2 운전상태는 저온정지를 포함하고,
    제3 운전상태는 고온정지, 고온대기, 기동 및 출력운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면 모드에서는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된 계통이 확대 표시되며,
    상기 해당 운전 상태와 관련되지 않은 계통은 생략, 축소 및 음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운전 상태는,
    원자로정지 및 공학적안전설비 작동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29046A 2016-03-10 2016-03-10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KR10177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46A KR101771349B1 (ko) 2016-03-10 2016-03-10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46A KR101771349B1 (ko) 2016-03-10 2016-03-10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349B1 true KR101771349B1 (ko) 2017-09-05

Family

ID=5992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46A KR101771349B1 (ko) 2016-03-10 2016-03-10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3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7240B (zh) 一种核电机组的事故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970003786B1 (ko) 콤펙트한 작업대를 갖는 제어실
EP2840577B1 (en) Central control device of nuclear power plant
JP5758692B2 (ja) 原子力プラントの監視制御システム
US10572493B2 (en) Computerized process safety management system
EP2629301B1 (en) Control system for nuclear power facility
US1040181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685246B2 (en) Control system for nuclear facility and control method for nuclear facility
KR101771349B1 (ko) 원자력발전소의 대형정보표시시스템 및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상태 표시 방법
CN109213108B (zh) 一种核电站操纵员运行辅助支持系统以及方法
US9696697B2 (en) Automatic switching of HMI screens based on process, task, and abnormal deviation in a power plant
Boring et al. RevealFlow: A process control visualization framework
JP2018088025A (ja) プラント運転装置
KR20010076716A (ko) 원자력 발전소 주제어실의 컴퓨터 기반 감시 및 제어를위한 정보표시시스템
KR101675676B1 (ko)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JP5416069B2 (ja) 警報処理システム
JP2016194920A (ja) 緊急時プラント状況表示装置および緊急時プラント状況表示方法
KR101615451B1 (ko) 인지성을 향상시키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방법
EP2477087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03439932A (zh) 火电机组自动启停控制系统运行中增减断点的方法
Balteanu et 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for Tritium Compatible Hydrogen Generator
JPS63292295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JP2014178829A (ja) プラント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情報表示方法
Yu et al.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
JPS633448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