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609B1 -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609B1
KR101770609B1 KR1020170035627A KR20170035627A KR101770609B1 KR 101770609 B1 KR101770609 B1 KR 101770609B1 KR 1020170035627 A KR1020170035627 A KR 1020170035627A KR 20170035627 A KR20170035627 A KR 20170035627A KR 101770609 B1 KR101770609 B1 KR 10177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body portion
connect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3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36Electric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설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판; 상기 발열판의 열이 상기 발열판과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발열판 위에 적층되는 단열재; 두께 방향 단면이 사각형이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과 단열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지부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네 개로 마련되어 상호 간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 및 일측은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RADIANT HEAT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
본 발명은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을 전달하는 방식에는 크게 전도(Conduction), 대류(Convection), 복사(Radiation)가 있다.
전도는 열에너지가 물질의 이동을 수반하지 아니하고 고온부에서 저온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열전도에 의해 물체 내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속도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구리, 철과 같은 도체의 경우에는 열이 매우 빠르게 전달되지만, 황,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체인 물질의 경우에는 느리게 전달된다.
온돌 마루가 열의 전도 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난방장치이다.
대류는 유체가 부력에 의한 상하운동으로 열을 전달하는 현상으로서, 아랫부분이 가열되면 대류에 의해 유체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는 방식이다. 즉, 기체가 액체같은 유체들 내에서 분자들의 이동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온풍용 에어컨이 열의 대류 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난방장치이다.
복사는 물체의 표면에서 열 에너지가 전자기파 형태로 방출되는 현상으로서, 온도 복사라고도 한다. 뜨거운 물체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열 파장인데, 뜨거운 물체 옆에 있으면 접촉도 없고 공기의 흐름도 없는데 열이 전해지는 것이 복사 현상 때문이다.
원적외선 복사 난방기가 열의 복사 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난방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벽 또는 천장에 설치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천장에 설치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는 천장에 와이어나 로드로 매달거나 천장 마감재에 매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에 텍스 보드 등의 마감재를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20)를 천장 마감재(12)에 매립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20)를 천장 마감재(12)에 매립하여 설치하다 보니 테두리 부분이 천장면과 일치하지 않고, 단차(30)를 이루며 돌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실내 미감을 크게 해치게 되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가 필요한 장소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는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이 발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벌어지게 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56902 Y1 (2011.11.28.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설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판; 상기 발열판의 열이 상기 발열판과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발열판 위에 적층되는 단열재; 두께 방향 단면이 사각형이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과 단열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지부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네 개로 마련되어 상호 간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 및 일측은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니은자(ㄴ)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분 중 외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 높이보다 긴 돌기 형태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어 맞닿은 프레임의 모서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의 저면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은 디귿자(ㄷ)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본체부에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게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상기 측벽은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상기 제2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으로 이루어진 제1플랜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천장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상기 본체부 상면, 상기 제1플랜지부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발열판의 테두리가 지지되고, 상기 발열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의 상면은 제1플랜지부의 제3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네 개로 마련되는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의 내부에는 컨트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제2관통공의 내부에는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을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중공으로된 본체부 내부에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배관 및 전선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지지부에서 제1플랜지부를 제1부분, 제2부분 및 제3부분으로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천장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M바와 같은 구조물에 프레임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을 디귿자(ㄷ) 형태로 형성하여 연결부재의 저면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하고, 연결부재의 저면에는 체결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와 상기 측벽은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의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형성된 제2관통공의 내부에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온도 표시로 인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서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연결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연결부재의 저면과 반대쪽 외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연결부재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가 천장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는, 발열체(10), 발열판(20), 단열재(30), 프레임(40) 및 연결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열체(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열선의 형태로 후술할 발열판(20)에 내설된다.
발열판(20)은 발열체(10)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서, 원적외선 물질, 은나노 물질, 음이온 물질 등이 포함된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발열체(10)에서 열이 발생된 후 대략 3~5분 정도 지나면 표면에는 85~120℃의 열이 발생된다.
이때, 발열판(20)으로부터 4~14㎛(중심파장 9㎛)의 파장을 가지는 원적외선이 방사되게 된다.
단열재(30)는 발열판(20)의 열이 발열판(20)과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발열판(20) 위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고밀도 유리섬유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프레임(40)은 두께 방향 단면이 사각형이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41)와, 본체부(41)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발열판(20)과 단열재(30)를 지지하는 지지부(4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부(41)와 지지부(43)를 포함하는 프레임(40)의 양단부는 본체부(41)로부터 지지부(43)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프레임(40)은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네 개로 마련되어 상호 간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된다.
한편, 프레임(40)의 지지부(43)는, 제1플랜지부(43a)와 제2플랜지부(43e)로 구성이 된다.
제1플랜지부(43a)는 본체부(41)의 상면(41a)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본체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43b)과, 제1부분(43b)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43c)과, 제1부분(43b)과 평행하게 상기 제2부분(43c)의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43d)으로 이루어진다.
제2플랜지부(43e)는 본체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부(41)의 하면(41c)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천장 마감재(T)를 지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M바와 같은 구조물(S)은 본체부(41)의 상면(41a), 제1플랜지부(43a)의 제1부분(43b) 및 제2부분(43c)에 볼트(B)와 같은 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고, 제2플랜지부(43e)에는 발열판(20)의 테두리가 지지되며, 발열판(2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30)의 상면은 제1플랜지부(43a)의 제3부분(43d)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프레임(40)의 지지부(43)에서 제1플랜지부(43a)를 제1부분(43b), 제2부분(43c) 및 제3부분(43d)으로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천장 마감재(T)를 지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M바와 같은 구조물(S)에 프레임(40)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네 개로 마련되는 프레임(40)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40)의 본체부(41)의 상면(41a)과 하면(41c)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1관통공(미도시) 및 제2관통공(41d)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관통공(미도시) 및 제2관통공(41d)이 형성된 본체부(41)의 내부에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C)가 설치된다. 이러한 컨트롤러(C)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관통공(41d)의 내부에는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관통공(41d)에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41e)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40)의 내부에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C) 및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배관 및 전선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온도 표시로 인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50)는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의 본체부(41)에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의 본체부(41)에 타측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에서 연결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연결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연결부재의 저면과 반대쪽 외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연결부재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부재(50)는 니은자(ㄴ)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외면(51)은 프레임(40)의 본체부(41)의 내면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재(50)의 절곡된 부분 중 외측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부재(50)의 상하 높이보다 긴 돌기 형태의 스토퍼(52)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러한 스토퍼(52)의 돌출된 높이(h)는 본체부(41)의 테두리 두께(t)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의 본체부(41)에 연결부재(50)가 삽입되는 경우 스토퍼(52)는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어 맞닿은 프레임(40)의 모서리가 되게 된다.
아울러, 연결부재(50)의 저면(53) 양측에 측벽(54)이 형성되도록 연결부재(50)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은 디귿자(ㄷ)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50)의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고 이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가 적게 들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5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체결공(56)이 형성되며, 연결부재(5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본체부(41)에는 상기 체결공(56)과 연통되게 결합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이처럼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을 연결부재(50)로 연결함으로써,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과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40)의 맞닿는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연결부재(50)의 저면(53)에는 상기 체결공(56)과 연통되는 체결부(53a)가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53a)와 상기 측벽(54)은 보강리브(55)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로 및 세로 프레임(40)의 본체부(41) 내부에 체결된 연결부재(50)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발열체 20 : 발열판
30 : 단열재 40 : 프레임
41 : 본체부 43 : 지지부
43a : 제1플랜지부 43e : 제2플랜지부
50 : 연결부재 52 : 스토퍼

Claims (5)

  1.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설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열을 전도받아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발열판;
    상기 발열판의 열이 상기 발열판과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발열판 위에 적층되는 단열재;
    두께 방향 단면이 사각형이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열판과 단열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양단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지지부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는 직선 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며,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네 개로 마련되어 상호 간의 양단부가 맞닿도록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 및
    일측은 가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타측은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는 니은자(ㄴ)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지며, 절곡된 부분 중 외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하 높이보다 긴 돌기 형태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는 프레임의 본체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로 및 세로로 배치되어 맞닿은 프레임의 모서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저면 양측에 측벽이 형성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은 디귿자(ㄷ)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삽입되는 본체부에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게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와 상기 측벽은 보강리브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평행하게 상기 제2부분의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으로 이루어진 제1플랜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하면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천장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구조물은 상기 본체부 상면, 상기 제1플랜지부의 제1부분 및 제2부분에 체결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발열판의 테두리가 지지되고, 상기 발열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재의 상면은 제1플랜지부의 제3부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네 개로 마련되는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본체부의 상면과 하면에는 서로 대응되게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의 내부에는 컨트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제2관통공의 내부에는 복사난방장치가 작동하는지 여부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에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KR1020170035627A 2017-03-21 2017-03-21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KR10177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627A KR101770609B1 (ko) 2017-03-21 2017-03-21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627A KR101770609B1 (ko) 2017-03-21 2017-03-21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609B1 true KR101770609B1 (ko) 2017-08-23

Family

ID=597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627A KR101770609B1 (ko) 2017-03-21 2017-03-21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6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823B1 (ko) * 2018-02-19 2018-09-20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원적외선 복사난방 장치
KR101913951B1 (ko) * 2017-07-11 2018-10-31 임찬연 승압 트랜스를 이용한 생수병 탈부착식 온수장치
KR101933591B1 (ko) 2018-08-07 2018-12-28 샤프에너지테크(주) 난방패널용 프레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난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85B1 (ko) * 2007-11-05 2008-02-22 이상준 실내보온용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185B1 (ko) * 2007-11-05 2008-02-22 이상준 실내보온용 난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951B1 (ko) * 2017-07-11 2018-10-31 임찬연 승압 트랜스를 이용한 생수병 탈부착식 온수장치
KR101889823B1 (ko) * 2018-02-19 2018-09-20 주식회사 에너지코리아 원적외선 복사난방 장치
KR101933591B1 (ko) 2018-08-07 2018-12-28 샤프에너지테크(주) 난방패널용 프레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609B1 (ko) 원적외선 복사난방장치
US8782987B2 (en) Supported architectural structure
US2662743A (en) Suspended panel type air conditioner
JP2009276003A (ja) 移動式温水循環暖房システム
KR101571468B1 (ko)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86666A (ko)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85347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발열 거푸집용 슬라이딩 장치
KR20160037317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양생장치 및 터널식 콘크리트 블록 양생 시스템
KR101889823B1 (ko) 원적외선 복사난방 장치
JP6375508B2 (ja) レンジフード
KR102240903B1 (ko) 매설형 전열장치 시공용 바닥판 구조
JP5081023B2 (ja) 建物の空調設備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KR20170108356A (ko) 축열식 온수난방패널을 이용한 바닥온수난방시스템
KR101707453B1 (ko) 원적외선 복사 난방 장치
KR101906233B1 (ko) 판넬 구조 건축물의 하부 단열 의자베이스 시공방법
DK2950008T3 (en) Monolithic cooling or heating beam panel arrangement
ITMI950893A1 (it) Sistema modulare per il riscaldamento ambientale con trasformazione dell'energia elettrica in calore diffuso
KR20130063522A (ko) 하이브리드 패널의 고정구조
KR101454784B1 (ko) 천장고정식 원적외선 난방기
DE9320255U1 (de) Deckenstrahlplatteneinrichtung
KR200193503Y1 (ko) 옥 찜질방 장치
EP2048447A2 (en) A panel
JP7328870B2 (ja) 間仕切りの取付構造、建築物及び間仕切りの取付方法
KR20230000574A (ko) 온돌 파이프용 가이드 프레임
ITMI992336A1 (it) Pannello per riscaldamento elettrico ad alto rendimento di sicurez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